KR890001363B1 -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63B1
KR890001363B1 KR1019830000536A KR830000536A KR890001363B1 KR 890001363 B1 KR890001363 B1 KR 890001363B1 KR 1019830000536 A KR1019830000536 A KR 1019830000536A KR 830000536 A KR830000536 A KR 830000536A KR 890001363 B1 KR890001363 B1 KR 89000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ing
rolling mill
rolls
stiffness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440A (ko
Inventor
겐이찌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1392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013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21B37/64Mill spring or roll spring compensation systems, e.g. control of prestressed mill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13/023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the axis of the rolls being other tha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roduct, e.g. cross-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2013/028Sixto, six-high stan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6단 압연기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워크롤벤딩 변화와 로드셀로 검출되는 하중변화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압연기를 스프링모델로 바꾸어 놓은 도면.
제4도는 중간롤 위치와 각 밀강성계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원 발명을 피드백제어에 적용한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을 압연기 설정장치에서 적용한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본원 발명을 다른 타입의 6단의 압연기에 실시한 판두께 제어장치의 구성도.
본원 발명은 롤을 롤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또는 수평면내에서 롤축의 경사각이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롤을 구비한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압연제품의 두께 정밀도에 대한 요구에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종래, 판재(板材)의 길이방향에 따른 판두께 정밀도에 대해서는 자동판두께 제어장치(AGC)에 의해, 또, 폭방향의 판두께정밀도(형상이나 판크라운)는 롤벤딩장치로 각기 제어되어 그런대로의 효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롤벤딩장치는 롤의 양단에 벤딩모멘트를 거는 것뿐인 단순한 장치이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으로 제어할 수 없다.
그래서, 롤벤더 대신 신규의 형상제어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장치의 특징은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상하방향)이외의 방향에도 이동 가능한 롤을 구비한 것이며, 예를 들면 그 한가지가 워크롤과 백업롤과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중간롤을 구비한 압연기이며, 또 다른 한가지가 워크롤과 백업롤과의 사이에 수평면내에서 롤의 축심이 다른 롤의 그것과 경사진 경사각이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중간롤을 구비한 압연기이다. 이들 장치에서는 각기 중간롤의 상기 이동과 롤벤더를 병용함으로써 종래의 압연재의 형상제어어능력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신규의 형상제어장치를 구비한 압연기에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발견되었다. 그 과제란 이동 가능한 롤을 이동시킬때에 생기는 압연기 전제의 밀강성계수의 변화이다. 밀강성계수는 압연후의 제품판두께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롤 개도(開度)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압연중에 이 밀강성계수가 변화하면 압연후의 판재의 길이방향 판두께가 균일해지지 않는다. 또 공지의 BISRA방식 AGC에 있어서도 밀강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으면 고정밀도의 제어를 할 수 없으며, 역시 길이방향 판두께 정밀도가 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일본국 특공소 52-749호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롤을 구비한 압연기에 관한 것이며, 또 일본국 특공소 52-26226호는 수평면내에서 롤의 경사각이 변화가능한 롤을 갖는 압연기에 대해서, 각기 압연기 전제의 밀강성계수의 변화를 보상하는 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또하나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견되었다. 그것을 형상제어를 위해 롤벤딩력 QW를 가하면, 압연하중 검출치가 그 영향을 받아 변화하지만 그 영향정도가 이동롤의 이동량, 즉 롤축방향의 이동량 또는 수평면내에서의 롤축심이 다른 롤축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방향의 롤이동량에 의해서 바뀐다고 하는 것이다. 즉, 워크롤에 부여되는 벤딩력 Qw의 변화분 ㅿQw와, 그때에 백업롤에 설치된 하중검출기에 나타나는 하중변화 ㅿPo와는 일정한 비례관계에 있지만, 이것이 이동롤의 이동량에 따라서 ㅿQw와 ㅿPo와의 비례관계의 비례치 그 자체가 변화한다고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4단 압연기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공소 47-32192호에 대해서 벤딩력이 압연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없애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즉, 본 공지예에서는 출구측 판두께 h를
Figure kpo00001
(1)
라는 식으로 구함으로써 워크롤 벤딩력 Q 및 백업롤 벤딩력 Q의 판두께에의 영향을 제거하고 있다. 여기서, S는 롤개도, P는 압연재에 직접 가해지는 힘, K는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 M는 워크롤간에서의 밀강성, M는 백업롤간에서의 밀강성이며, 이 MW, MB는 미리구해진 일정치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에, 로드셀로 검출하는 하중 PO은,
PO=P+QW+QB(2)
로 되므로, (2)식을 (1)식에 대입하면,
Figure kpo00002
(3)
이 얻어진다. (3)식의 변화분을 취하면,
Figure kpo00003
(4)
로 된다. 여기서, ㅿh, ㅿS, ㅿQW를 0이라고 하면,
Figure kpo00004
가 얻어진다. 이 관계식이 상술한 ㅿP와 ㅿQW와의 비례관계에 해당하는 것이며, (5)식중의
Figure kpo00005
가 비례치로 된다.
4단압연기에서는 K나 MW가 일정하므로, 상기 ㅿPO와 ㅿQW의 관계의 변화를 보상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롤을 구비한 압연기와 같이 이동롤의 이동량에 의한 ㅿPO와 ㅿQW의 관계의 변화를 보상하는것, 바꾸어 말하면 상기 (1)식에 의거하여 판두께 변화 ㅿh를 정확히 파악하여 판두께 제어를 하는 데는 종래의 공지예의 것으로 대처할수 없다. 더우기,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률의 이동량에 의한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 K의 변화 이외의 워크롤간에서의 밀강성 MW또는 백업롤간에서의 밀강성 MB등의 변화에 대해서 고려를 하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해서, 롤 이동에 의한 판두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정밀도가 높은 판두께제어를 하기가 곤란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뿐만 아니라 각 롤간의 밀강성에 대해서도 롤의 이동에 의한 변화를 고려하며, 또한 롤에 부여되는 벤딩력의 압연하중에 주는 영향을 정확히 포착함으로써 고정밀도의 판두께 제어를 가능하게 한 다단 롤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를 실현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워크롤과, 이 방향 및 이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롤을 구비한 다단롤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에 따라서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및 각 롤간의 밀강성계수를 결정하고, 이들 강성계수, 압연하중 및 워크롤과 이동 가능한 롤에 부여된 롤벤딩력의 값으로부터 압연재를 압연하는 롤간의 간극을 결정하고, 이 롤간극치에 맞추어서 압연기의 압하장치를 제어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에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단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6단 압연기의구성을 모델화한 것이다. 압연재(1)는 상워크롤(2)과 하워크롤(3)과의 사이에서 압연되며, 또 상워크롤(2)의 수직방향 윗쪽에는 상중간(上中間)롤(4)과 상백업롤(6)이 배치되고, 하워크롤(3)의 수직방향 아래쪽에는 하중간(下中間)롤(5)과 하백업롤(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압연기에서는 백업롤(6), (7)에 하연하중 PO이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백업롤(6), (7)에는 벤딩력 QB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 하중간롤(4), (5)은 각기 축방향의 상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더구나 벤딩력 Q1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이들 중간롤의 위치를 상중간롤(4)의 일단과 하중간롤(5)의 상반되는 축의 타단과의 사이를 거리를 δ로하여 표시해 놓았다. 따라서, 중간롤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δ는 변화하게 된다. 또 상, 하워크롤(2), (3)에도 벤딩력 QW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압하장치(23)는 압연재(1)를 압연하는 상하워크롤(2), (3)의 간극인 롤개도 S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되는 압연재(1)의 출구측 판두께 h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6
S : 워크롤간도(間度)
P : 압연재에 직접 가해지는 힘
K :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QW: 워크롤 벤딩력
Q1: 중간롤 벤딩력
QB: 백업롤 벤딩력
MW: 워크롤간에서의 밀강성 계수
M1: 중간롤간에서의 밀강성 계수
MB: 백업롤간에서의 밀강성 계수
이 (6)식에 로드셀로 검출하는 하중 P0=P+QW+QB+Q1을 대입하면,
Figure kpo00007
이 얻어진다. (7)식의 변화분을 취하면
Figure kpo00008
로 된다. 여기서, ㅿh, ㅿS, ㅿQB, ㅿQ1을 0이라고 하면,
Figure kpo00009
로 되어 (5)과의 같이 것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ㅿQ1. ㅿQB에 대한 ㅿPO를 얻을 수 있다. 이 (9)식의 관계식에 상당하는 것을 도면에 나타낸 것이 제2도이다. 이 제2도에서는 중간롤(4), (5)간의 위치변화가 δ가 100㎜에서 200㎜, 300㎜, 400㎜로 각각 변화한 경우에 있어서의 ㅿQW에 대한 ㅿPO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ㅿQW, ㅿPO의 단위는 t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압연기에서는 중간롤의 이동량에 따라서 각 롤에 부여되는 벤딩력의 변화에 대한 하중변화를 보상하도록 하여, 압연재의 정확한 판두께제어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1도의 6단의 압연기를 제3도와 같은 스프링모델로 바꾸어 놓으면 다음 식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10
여기서, K1은 상하워크롤(2), (3)표면과 워크롤(2), (3)의 중심간의 스프링 상수, K2는 상하워크롤(2), (3)과 상하중간롤(4), (5)의 중심각의 스프링상수, K3는 상하중간롤(4)(5)과 상하백업롤(6), (7)의 중심간의 스프링상수, K는 각 롤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스프링상수 및 제3도중의 M은 압연재의 재료자체의 스프링상수(소성계수)이다. 제1도에서 축방향이동이 가능한 상하중간롤(4), (5)의 위치 δ에 의해서 변화하는 스프링상수는 K2와 K3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중간롤(4), (5)과 워크롤(2), (3) 또는 백업롤(6), (7)간의 접촉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들 접촉변형량이 변화해서 스프링상수가 바뀐다. 그래서, 상기(10), (11), (12)식에서 중간롤(4), (5)위치 δ의 변화로 바뀌는 스프링상수 K, MW, M1이며, MB에 대해서는 변화하지 않는 것이 명백해졌다. 따라서, 중간롤(4), (5)위치 δ와 K, MW, M1의 관계를 미리 구해 놓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K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이며, MW, M1에 대해서도 실험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MW에 대해서는 워크롤(2), (3)끼리의 축심간거리와 벤딩력의 측정을 중간롤(4), (5)위치 δ를 여러가지로 바꾸어서 하면 된다. 또, M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같이 해서 측정한 중간롤(4), (5)의 단부간거리 δ와 각 밀강성계수의 관계의 일례를 제4도에 나타낸다. 그리고,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모델압연기의 다음의 조건으로 이루어진 실험조건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워크롤(2), (3)의 직경 100㎜, 벤딩력 QW2t, 중간롤(4), (5)의 직경 130㎜, 벤딩력 Q14t, 백업롤(6), (7)의 직경 300㎜, 벤딩력 QB8t, 압연하중 PO은 최대 100t, 압연재의 판폭 200㎜, 각 롤의 동체길이 400㎜, 따라서 δ=400㎜란 롤이동량 영을 의미한다.
이상의 기본사항을 근거로 다음에 상세예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압연재(1)가 워크롤(2), (3)에 의해 압연되어 있으며, 워크롤(2), (3)과 백업롤(6), (7)의 사이에, 측방향 이동이 가능한 중간롤(4), (5)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체의 압연하중 PO은 로드셀(8)에 의해, 또 벤딩장치(9)에 의해 워크롤(2), (3)에 가해지는 워크롤 벤딩력 QW은 로드셀(10) 또는 벤딩장치(9)의 유압력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벤딩장치(11)에 의한 중간롤(4), (5)에 부여되는 벤딩력 Q1은 로드셀(12) 또는 벤딩장치(11)의 유압력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역시 벤딩장치(13)에 의해 백업롤(6), (7)에 부여되는 벤딩력 QB은 로드셀(14) 또는 벤딩장치(13)의 유압력검출기에 의해 검출된다.
또, 중간롤(4), (5)의 위치는 위치검출기(15), (16)에 의한 검지신호로부터 연산기(17)로 구해지며, 이 위치신호 δ가 밀강성계수 연산장치(18)로 출력된다. 이 연산장치(18)에서는 제4도의 관계에 의거하여, 중간롤 단부간거리 δ로부터 각 밀강성계수 K, MW, M1, MB가 각기 계산된다. 즉, K=fK(δ), MW=fW(δ), M1=f1(δ), MB=fB(δ)로서 모두 상기 δ의 함수로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연산장치로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연산된 밀강성계수치는 다음에 판두께 연산장치 (19)에 입력된다. 이 연산장치(19)에서는 각 로드셀(8), (10), (12), (14)로부터의 PO, QW, Q1, QB및 앞서의 밀강성 계수치에서 (6)식에 따라서 그때의 판두께 h가 계산되다. 그리고 (6)식의 P는 재료에 가해지는 압연하중이며, 측정된 PO와는 다르며, 다음식으로 구해진다.
P=PO-(QW+Q1+QB) (14)
다음에, 비교기(20)에서는 구해진 판두께 h와 목표판두께 hO가 계산되고, 이 차이분 ㅿh를 연산기(21)에 출력한다. 이 연산기(21)에서는 ㅿh를 수정하는 압하변경량 ㅿS를 다음식에 따라서 계산한다.
Figure kpo00011
여기서, M은 재료의 소성계수이며 기지의 양이다. 이 ㅿS를 압하장치(23)의 제어기(22)에 출력하여, 압하제어를 한다. 이것에 의해, 압연기 출구측의 판두께는 항상 목표치로 제어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이동가능한 롤을 갖는 다단 압연기에 있어서, 롤 이동에 의해서 변화하는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및 각 롤의 강성계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더우기 롤에 부여되는 벤딩력의 압연하중에 주는 영향도 정확히 포착하여 압연재의 판두께를 제어하는 롤 개도를 정하고 있는 것으로 해서 매우 정밀도가 높은 다단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δ=200㎜ 즉 중간롤(4), (5)이 이동량이 200㎜인 본원 발명의 6단 압연기에 있어서의 강성계수치는 각기 K=35t/㎜, MW=37t/㎜, M1=39.2t/㎜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백업롤(6), (7)에는 벤딩력 QB=0으로 했으므로, MB는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6단 압연기에 있어서의 롤개도 S를 (6)식에 의해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 (6)식을 제1도의 모델압연기의 일반적인 압연조건, H=0.5, h=0.36, b=200㎜, P=54t, QW=2t, Q1=4t에 적용해서 계산하면
Figure kpo00012
그런데, 종래 기술인 δ=400㎜ 즉 제4도에서 중간롤(4), (5)가 이동하지 않을 경우의 강성계수치인 K=38t/㎜, MW=38.8t/㎜, M1=40.2t/㎜를 그래도의 값으로 (6)식에 적용하면 S가 같은 값이라고 상정하여
Figure kpo00013
따라서, 종래는 h가 0.36인 것에 비교하여 약 4.1%나 상위한 오차가 큰 것으로 롤개도를 제어하고 있었던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이 롤 이동량에 따라 압연기의 밀강성계수 및 롤의 강성계수변화를 고려하여 정확히 롤 개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매우 정확한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상은 피드백 제어장치의 예이지만 압연기의 설정장치에도 같은 생각을 응용할 수 있다. 제6도에 그 일례를 나타낸다. 계산기(24)에서는 기지의 압연조건(모재판두께H, 목표판두께 hO, 판폭 b, 변형저장 k등)을 입력하고, 공지인 다음 식에서 그때의 압연하중 P를 계산하다.
Figure kpo00014
여기서, QP는 공지의 보정계수, R'는 편평후의 워크롤 변경이다. 다음에, 계산기(25)에서는 이 압연하중이나 압연조건등에서 중간롤위치와 벤딩력을 결정한다. 또한, 이 결정도 공지이다. 그리고, 중간롤위치가 결정되면 제5도와 같은 연산장치(18)에 출력되며, 각 밀강성이 계산된다. 연산장치(26)는 이상의 여러가지 양을 입력하고, (6)식을 변형한 다음식에 의해서 목표판 두께를 얻는 압하위치 S를 계산한다.
Figure kpo00015
S를 압하장치(23)의 제어기(22)에 출력하고, 압연을 개시한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모두 HC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크로스밀등의 어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을 구비한 압연기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같은 생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크로스밀의 경우 중간롤의 축방향의 이동량 δ 대신에 롤(4), (5)의 수평면내에서의 다른 롤측에 대한 경사각 θ 을 사용하면 되며, 이것을 경사각검출기(35), (36)에 의해 검지하면 된다. 그리고, 다른 수법은 전적으로 같은 생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밖에, 제5도에서는 각 롤에 모두 벤딩력을 가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워크롤 벤딩력 QW만을 거는 구조의 압연기나 워크롤 벤딩력 QW와 중간롤 벤딩력 Q1만을 걸 수 있는 압연기에도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는 (6)식, (7)식중의 Q1또는 QB의 항이 없어질 뿐이며, 기본적인 사상에 변함이 없다. 이밖에도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함이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워크롤과, 이 방향 및 이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롤을 구비한 다단 롤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에 따라서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및 각 롤간의 밀강성계수를 결정하고, 이들 강성계수, 압연하중 및 워크롤과 이동 가능한 롤에 부여된 롤 벤딩력의 값으로부터 압연재를 압연하는 롤간의 간극을 결정하고, 이 롤간극치에 맞추어서 압연기의 압하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롤의 다른 이동방향은 롤축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롤 이외의 롤축은 수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다른 이동방향은 수평면내에서 롤의 축심이 다른 롤축에 대해 경사진 그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압연조건에 따라서 상기 압연하중을 예측 연산하고, 상기 압연조건 및 압연하중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을 연산한 다음에, 이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에 따라서 상기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및 롤간의 밀강성 계수를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압연기는 백업롤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이동가능한 롤은 상기 워크롤과 상기 백업롤간에 배치되는 중간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벤딩력이 워크롤, 백억롤 및 중간롤중 최소한 하나의 롤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7.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 및 이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롤과,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른 롤을 구비한 다단 롤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롤의 위치에 따라서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및 상기 이동 가능한 롤과 다른 롤간의 강성계수를 연산하는 강성계수 연산장치와, 이들 강성계수, 압연하중 및 이동가능한 롤과 다른 롤에 부여된 롤벤딩력의 값으로부터 압연재를 압연하는 롤간의 간극인 롤개도를 연산하는 롤개도 연산장치와, 이 연산된 롤개도에 따라서 압연기에 구비된 압하장치의 압하량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에 압연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와,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기와, 각 롤에 부여되는 벤딩력을 검출하는 벤딩력검출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에 압연하중을 설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기와, 각 롤에 부여하는 벤딩력을 설정하는 벤딩장치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는 또한 압연조건에 따라서 압연하중을 계산하는 계산기와, 이 계산된 압연하중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 및 롤벤딩력을 계산하는 계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계수 연산장치는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에 따라서는 밀강성계수 및 상기 이동가능한 롤과 다른 각 롤간의 강성계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계수 연산장치는 다른 롤축에 의해 형성된 수평면에 대해 상기 이동 가능한 롤축의 경사각에 따라서 밀강성계수 및 상기 이동가능한 롤과 다른 각 롤간의 강성계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3.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 및 이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롤과, 압연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른 롤을 구비한 다단롤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에 따라서 압연기 전체의 밀강성계수 및 각 쌍의 롤간의 강성계수를 연산하는 강성계수 연산장치와, 롤에 부여되는 압연하중과 각쌍의 롤에 부여되는 롤벤딩력을 계산하는 계산기와, 밀강성계수, 각 쌍의 롤간의 강성계수, 압연하중 및 롤벤딩력의 값으로부터 롤간의 압하위치를 계산하는 연산장치와, 이 롤간의 압하위치에 따라서 압연기에 구비된 압하장치의 압하량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기는 또한 압연조건에 따라서 압연하중을 계산하는 계산기와, 이 계산된 압연하중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이동량 및 롤벤딩력을 계산하는 계산기로 이루어지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계수 연산장치는 상기 이동가능한 롤의 상대적 축이동에 따라서 밀강성계수 및 각쌍의 롤간의 강성계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계수 연산장치는 다른 롤축에 의해 형성된 수평면에 대해 상기 이동가능한 롤축의 경사각에 따라서 밀강성계수 및 각 쌍의 롤간의 강성계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롤간의 압하위치를 계산하는 연산장치는, 밀강성계수, 각쌍의 롤간의 강성계수, 압연하중 및 롤벤딩력에 따라서 압연재의 출구측 판두께를 계산하는 연산장치와, 압연재의 출구측 판두께와 압연재의 목표판두께를 비교하고, 출구측 판두께와 목표판두께간의 차이분을 출력하는 비교기와, 이 차이분에 따라서 압하변경량을 연산하는 연산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변경량을 연산하는 또한 밀강성계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변경량을 연산하는 연산기는 압연재의 밀강성계수를 입력하는 상기 압하변경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장치.
KR1019830000536A 1982-02-19 1983-02-10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 KR890001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24478A JPS58141808A (ja) 1982-02-19 1982-02-19 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及び装置
JP82-24478 1982-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40A KR840003440A (ko) 1984-09-08
KR890001363B1 true KR890001363B1 (ko) 1989-05-02

Family

ID=1213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536A KR890001363B1 (ko) 1982-02-19 1983-02-10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483165A (ko)
EP (1) EP0087083B1 (ko)
JP (1) JPS58141808A (ko)
KR (1) KR890001363B1 (ko)
BR (1) BR8300769A (ko)
DE (1) DE337187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84794A (en) * 1982-02-11 1985-04-02 William I. Deversterre Load-transfer mechanism
FR2611541B1 (fr) * 1987-02-27 1994-04-29 Clecim Sa Dispositif de reglage du profil et de repartition d'usure de cylindres dans un laminoir a cylindres deplacables axialement
JPH01186208A (ja) * 1988-01-21 1989-07-25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延機の自動板厚制御装置
DE19500336A1 (de) * 1995-01-07 1996-07-11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zur Regelung des Walzspaltprofils
US5839313A (en) * 1998-02-18 1998-11-24 Danieli United, A Division Of Danieli Corporation Rolling mill with intermediate crossed rolls background
KR101550549B1 (ko) * 2014-08-01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14054708B (zh) * 2021-10-18 2023-05-09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辊缝控制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04B2 (ko) * 1972-07-07 1977-02-12
JPS5597806A (en) * 1979-01-17 1980-07-25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symmetry of rolling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61327B2 (ko) 1990-12-19
EP0087083B1 (en) 1987-06-03
EP0087083A1 (en) 1983-08-31
US4483165A (en) 1984-11-20
JPS58141808A (ja) 1983-08-23
KR840003440A (ko) 1984-09-08
BR8300769A (pt) 1983-11-16
DE3371873D1 (en) 1987-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44B1 (ko) 판(strip)의 형상 제어방법 및 장치
US3247697A (en) Strip rolling mill
KR890001363B1 (ko) 압연기의 판두께 제어방법 및 장치
KR890001365B1 (ko) 연속압연기의 부하배분 제어방법
KR101530514B1 (ko) 롤 스트리퍼 장치 및 방법
US4470297A (en) Camber-monitoring tensiometer
US44910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ensing of roll separation force in a rolling mill
JP3055838B2 (ja) 圧延機の作業ロールの位置検出方法及び位置調整方法並びに圧延機
KR100534499B1 (ko) 판압연에 있어서의 압하 위치 설정 방법
EP0500324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ydraulic rolling reduction in a rolling mill
JPH05277533A (ja) 調質圧延における鋼板表面粗度の制御方法
KR20020051522A (ko) 압연기의 롤갭 보정방법
KR20190119620A (ko) 크로스각 동정 방법, 크로스각 동정 장치, 및 압연기
JPS6245002B2 (ko)
JPS6333923B2 (ko)
JPH0413413A (ja) 熱間連続圧延機における通板時の板厚制御方法
JPS587365B2 (ja) 圧延板厚制御方法
JPH0534092B2 (ko)
JPS63119920A (ja) 板圧延形状制御方法及び装置
JPH0736923B2 (ja) 多段圧延機における板厚と形状の非干渉制御法
JPS62192204A (ja) ロ−ルクラウンの測定方法
JPS58218326A (ja) 圧延機の圧延荷重検出方法
JPS6120371B2 (ko)
JPS6120608A (ja) ロ−ル間隙基準点決定方法
JPS62224416A (ja) 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