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02B1 -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 Google Patents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02B1
KR890001202B1 KR1019860002053A KR860002053A KR890001202B1 KR 890001202 B1 KR890001202 B1 KR 890001202B1 KR 1019860002053 A KR1019860002053 A KR 1019860002053A KR 860002053 A KR860002053 A KR 860002053A KR 890001202 B1 KR890001202 B1 KR 89000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generator
output
eprom
shift reg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599A (ko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금성반도체 주식회사
이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반도체 주식회사, 이만용 filed Critical 금성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202B1/ko
Publication of KR87000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톤 제너레이터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톤 제너레이터에 입력되는 클럭 펄스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톤 주기 발생부 200 : 채널 선택/분 배부
300 : 톤 주파수 발생부 400 : 기록 및 출력부
1, 3, 7 : NAND 게이트 2,4, 5, 6, 8 : 인버터
10, 25, 45 : 카운터 15, 30, 50 : EPROM
20 : 멀티 플렉서 35 : 데이타 셀렉터
40, 55, 65 : EPROM 60 : D플립프롭
A0-A13: 어드레스 단자 D0-D7: 데이터 단자
CLR : 클리어 단자 TO0-O7: 타임 펄스
F0-F4: 클럭 펄스 O0-O7: 출력단자
K1-K2: 타이밍 신호 SEL : 셀렉터 단자
THW : 하이웨이 출력단자 I1, I2: 인버터 군
본 발명은 디지탈 교환기에 있어서, 일정 주파수를 분주하여 조합한 후 PCM신호로 변환하여 하이웨이선을 통해서 가입자에게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톤 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는 통화로부, 제어부,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톤 신호를 발생하는 톤 제너레이터는 통화로부에 있는 톤 카드의 한 구성부이다.
이와 같은 톤 제너레이터는 채널 메모리로부터 클럭펄스를 공급받아 이를 분주하여 다양한 크기의 톤 신호를 만들어서 가입자에게 공급하게 되는데 종래의 톤 제너레이터는 크게 두가지 형태가 있었다.
먼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환기인 전자식 디지탈 교환기에 적용하려면 별도로 부가되는 값비싼 A/D 컨버터를 거치도록 하여야 만 사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톤 제너레이터가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톤 제너레이터는 A/D 컨버터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원가가 상승되고, 주파수가 바귈때마다 하드웨어 자체를 다시 설계하여 새로운 카드를 설치해야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원 브리지, 이상형 혹은 음차 발지기로써 정현파 발진회로를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정현파를 얻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종래의 기계식 교환기에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회로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기계적 진동에 약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아날로그 톤 제너레이터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종래의 또 다른 디지탈 톤 제너레이터가 있었는데 이 디지탈 톤 제너레이터는 시간에 따른 채널 선택기능이 없었고, 온/오프 시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중앙처리장치등에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오버헤드가 증가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역시 A/D 컨버터를 필요로 하였고 가입자수가 많아질수록 A/D 컨버터는 산술적으로 늘어나 비용이 증가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A/D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시간에 따른 채널선택 및 온/오프 제어시간을 하드웨어적으로 간단히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많은 톤 신호를 훨씬 간편하고도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톤 제너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톤 주기발생부(100)와 채널선택/분배부(200) 및 톤주파수 발생부(300), 그리고 기록 및 출력부(400)등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볼수 있으며 이들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먼저 톤 주기발생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시 되어있지 않은 타이밍 제너레이터로 부터 출력된 타이밍신호(K1)를 받아서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세개의 카운터(10), 이러한 카운터(10)의 출력단자에 어드레스 단자(A0-A1)가 연결되어 있고, 톤 주기 시간을 내장하고 있는 EPROM(15)과, 이 EPROM(15)의 출력단자 (O0-O)에 연결된 멀티플렉서(20), 그리고 상기 카운터(10)의 출력단자중 네 단자를 뽑아서 궤환시켜 클리어 신호를 보내주는 NAND 게이트(1) 및 인버터(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채널선택/분배부(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타이밍 제너레이터로부터 타이밍 신호(K2)를 받아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카운터(25)와, 이러한 카운터(25)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어드레스 단자(A0-A7)와 도시되지 않은 클럭 제너레이터로부터 출력된 클럭신호(F0-F4)를 받는 어드레스단자(A8-A12)가 있으며, 톤 주파수의 채널 분배 및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EPROM(30) 및 이 EPROM(30)의 출력단자(O0-O3)에 연결되어 최종 채널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스용 데이타 셀렉터(35)와, 상기 카운터(25)의 출력단자중 네단자와 연결된 NAND 게이트(3), 그리고 이 NAND 게이트(3)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운터(25)의 클리어 단자와도 연결되어 있는 인버터(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톤 주파수 발생부(300)는 톤 주파수에 따른 순간 순간의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데이타를 이동 펄스에 의해 이동시키는 세개의 시프트 레지스터(40)와, 이러한 시프트 레지스터(40)로 부터 인버터군 (Ⅰ1)(Ⅰ2) 및 인버터(5)를 통해서 번지를 지정받아 카운팅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켜 주는 세개의 카운터(45) 및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40)의 출력단자(O0-O3) 및 상기 카운터(45)의 출력단자에 어드레스단자(A0-A7)가 연결되어 있고, 어드레스단자(A9-A12)에 도시되지 않은 클럭 제너레이터의 출력 신호인 클럭펄스(F0-F4)를 받도록 되어 있으며, 다수의 톤 주파수 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는 EPROM(50)과 이러한 EPROM(50)의 출력단자(O0-O7)와 인버터(6)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카운터(45)에 동기속도의 클리어 신호(TA CLR)를 보내주는 NAND 게이트(7) 및 인버터(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 및 출력부(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톤 주파수 발생부(300)의 EPROM(50)의 출력단자(O0-O7)에 데이타단자(D1-D4)가 연결되어 있고, 채널선택 분배부(200)의 데이타 셀렉터(35)의 출력단자(O0-O3)에 어드레스 단자(A0-A3)가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55)와 이러한 시프트 레지스터(55)의 출력단자(O0-O3)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톤 주기 발생부(200)의 멀티플렉서(20)의 출력단자(0)와 연결되어 있는 D플립플롭(60)과, 이 D플립플롭(60)의 출력단자(O0-O7)와 연결되어 하이웨이 출력단자(THW)를 통해서 PCM데이타를 출력시키는 시프트 레지스터(65)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톤 주기발생부(100)의 카운터(10)와 채널선택/분배부(200)의 카운터(25)의 클럭펄스 단자에 공지의 타이밍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타이밍 신호(K1)(K2)가 각각 인가되고 (보통 K1=250ms, K2=250ms 정도), 제2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클럭 제너레이터 혹은 래치 타임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F0-F4) 및 타임펄스(T0, T2, T4, T6)가 인가되면 톤 신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출력시키는 동시에 톤 주기시간을 다양하게 만들어서 내장하고 있는 EPROM(15)을 상기 타이밍 신호(K1)를 받아서 카운팅 하면서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카운터(10)로 부터 어드레스를 지정받아 톤 주기 시간 데이타를 출력 단자(O0-O6)를 통해 멀티플렉서(20)에 전송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톤 주파수의 채널을 선택하고 분배하는 기능을 지닌 EPROM(30)은 카운터(25)를 통해서 어드레스를 지정받는 동시에 클럭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클럭펄스(F0-F4)로 번지를 지정 받아 데이타 출력단자(O4-O6)를 통해서 채널을 선택하게 하는 셀렉터 입력 데이타를 출력시켜 상기 멀티플렉서(20)의 셀렉터 단자(SEL)에 인가시키며, 한편 EPROM(30)의 다른 데이타 출력단자(O0-O3)를 통해서는 톤 주파수를 기록할 레지스터(55)에 채널할당 번지를 지정하는 셀렉터(35)에 할당 데이타를 인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동작과정과 동시에 여러개(보통 16가지)의 톤 주파수를 내장하고 있는 EPROM(50)은 순차적으로 톤 주파수의 번지를 증가시켜 주는 카운터(45)로 부터 번지를 지정 받는, 동시에 톤 주파수의 소스 다시 말하면 클럭 제너레이터로 부터 출력된 클럭펄스(F0-F4)에 따라 순간순간의 번지를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40)로 부터 번지를 지정 받아서 EPROM(50)의 데이타 출력단자(O0-O7)를 통해서 필요에 따른 톤 주파수 데이타를 시프트 레지스터(55)에 보내게 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을 거쳐 채널선택/분배부(200)의 셀렉터(35)의 출력단자(O0-O3)를 통해서 데이터를 공급받아 번지가 지정되고, 상기 톤 주파수 발생부(300)의 EPROM으로 부터 톤 주파수 데이타를 공급받는 기록 및 출력부(400)의 시프트 레지스터(55)는 순차적으로 D플립플롭(60)에 주파수 채널이 선택되고 할당된 톤 주파수 데이타를 인가시키게 되며, D플립플롭(60)은 전술한 톤 주기 발생부(100)의 멀리플렉서(20)에서 출력된 온/오프 제어시간에 의해서 제어되면서 상기 톤 주파수를 시프트 레지스터(65)에 병렬로 인가시키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일정주기를 지닌 톤 주파수는 직렬 형태의 PCM신호로 하이웨이 출력단자(THW)를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는 종래와는 달리 A/D변환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채널 선택 및 분배기능을 가지고 있고, 온/오프 제어 시간을 EPROM에 내장된 DATA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간단히 제어시킴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켰으며,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변하는 톤 신호를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에 있어서, 카운터(10), 톤 주기시간을 내장한 EPROM(15), 및 온/오프 제어시간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20)로 구성된 톤 주기 발생부(100)와, 카운터(25), 상기 멀티플렉서(20)의 셀렉터단자(SEL)에 그 출력단자(O4-O6)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EPROM(30) 및 데이타 셀렉터(35)로 구성된 채널 선택/분배부(200)와, 시프트 레지스터(40), 카운터(45) 및 다수의 톤 주파수를 내장한 EPROM(50)으로 구성된 톤 주파수 발생부(300)와, 상기 셀렉터(35)의 출력단자(O0-O3) 및 EPROM(50)의 데이타 출력단자(O0-O7)와 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55), 이러한 시프트 레지스터(55)의 출력단자(O0-O3)와 상기 멀티 플렉서의 출력단자(O)에 연결되어 있는 D플립플롭(60), 그리고 이 D플립플롭(60)의 출력단자(O0-O7)에 연결되어 PCM형태의 톤 신호를 하이 웨이 출력단자(THW)를 통해 내보내는 시프트 레지스터(65)로 구성된 기록 및 출력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KR1019860002053A 1986-03-18 1986-03-18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KR89000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2053A KR890001202B1 (ko) 1986-03-18 1986-03-18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2053A KR890001202B1 (ko) 1986-03-18 1986-03-18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99A KR870009599A (ko) 1987-10-27
KR890001202B1 true KR890001202B1 (ko) 1989-04-27

Family

ID=1924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053A KR890001202B1 (ko) 1986-03-18 1986-03-18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99A (ko) 198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0847A (en) Clock pulse control system for microcomputer systems
US5361290A (en) Clock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ingle chip microcomputer
US3961138A (en) Asynchronous bit-serial data receiver
US4227248A (en) PCM Tone signal generator
KR850007723A (ko) 전기통신 회의를 할 수 있는 교환시스템
US4820992A (en) Clock signal multiplexers
KR100343404B1 (ko) Pwm 신호 생성용 타이머 어셈블리
KR100245077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딜레이 루프 럭크 회로
KR890001202B1 (ko)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US5142487A (en) 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
EP0461309B1 (en) Data transfer apparatus comprising a primary devi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condary devices
US4471310A (en) Pulse generator having variable pulse occurrence rate
KR890005371B1 (ko)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JP3089646B2 (ja) Pwm出力回路
JPS642256B2 (ko)
GB2134752A (en) Tone generator
KR100194918B1 (ko) 톤발생장치
JPS6226478B2 (ko)
KR100206987B1 (ko) 다기능 타이머
KR900005040B1 (ko) 자동 카덴스회로에 의한 디지탈 톤 공급회로
SU11073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многочастотных сигналов
KR970001292Y1 (ko) 전자교환기 신호서비스장치
SU1264242A1 (ru) Регистр сдвига
JP3003328B2 (ja) クロック信号回路
JPH08221151A (ja) クロッ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89000385; OPPOSITION DATE: 1989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