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71B1 -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 Google Patents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71B1
KR890005371B1 KR1019860005737A KR860005737A KR890005371B1 KR 890005371 B1 KR890005371 B1 KR 890005371B1 KR 1019860005737 A KR1019860005737 A KR 1019860005737A KR 860005737 A KR860005737 A KR 860005737A KR 890005371 B1 KR890005371 B1 KR 89000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data
terminals
multiplex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360A (ko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금성반도체 주식회사
이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반도체 주식회사, 이만용 filed Critical 금성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371B1/ko
Publication of KR88000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04Q1/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 H04Q1/444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using alternate current with voice-band signalling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0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2Coun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톤 제너레이터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톤주기/종류 지정부 (H/W) 200 : 톤 주파수 발생부
300 : 톤주기/종류 지정부(S/W) 400 : 톤 신호전송부
10, 15, 20 : 카운터 11, 16, 19 : PROM
12, 27, 27', 30, 35 : 래치회로 13, 17, 24, 28 : 멀티플렉서
14, 21, 23, 33, 37 : 인버터 18, 25, 29, 34 : 램
22, 26, 32 : NAND 게이트 31, 36 : 시프트 레지스터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디지탈식 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가입자에게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 주파수를 분주하여 조합한후 이를 PCM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용 하이웨이선으로 출력시키는 톤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의 구성은 통화로부, 제어부, 전원부로 되어있으며 각종 톤 신호를 발생하는 톤제너레이터는 통화로부의 한 구성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톤 제너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다이얼톤, 비지톤, 링백톤 등의 톤신호를 고정 채널로 출력시키도록 되어있는 톤 발생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복합주파수 방식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가입자에게 이중 복합주파수 정보인 DTMF 및 시그날링 톤을 출력시키기 위한 톤제너레이터는 상기 고정채널 톤 발생부이외에 별도의 가변형 톤 발생부로 설치한 회로 구성으로 되어있었다.
따라서 톤기능에 따른 여러개의 회로가 필요하였으므로 회로 구성이 복잡하였으며, 톤신호의 제어가 불편하다는 결점이 있었고, 톤 선택기능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또 다른 선택기능이 요구되는 교환기에 있어서는 별도의 회로구성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톤 제너레이터에 있었던 결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회로구성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모든 종류의 톤을 발생시킬 수 있고, 톤 기능이 가변형이냐, 고정형이냐에 따라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분하여서 톤주기 및 종류를 지정하면서 가입자에게 다양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탈식 전자 교환기의 새로운 톤 제너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톤이 하나의 회로로 구성된 톤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톤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호 선택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다른 선택기능이 요구되는 곳에서도 별도의 톤 발생회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는 톤 제너레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되는 톤 주기/종류 지정부(H/W)(100)와 톤 주파수 발생부(200), 그리고 소프트 웨어적으로 제어되는 톤 주기/종류 지정부(S/W)(300) 및 톤신호 전송부(400)등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들 각 부분은 다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먼저 하드웨어 적으로 제어되는 톤 주기/종류 지정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카운터(10)와 이러한 카운터(10)에 연결되어 있으며 톤 주기를 내장하고 있는 PROM(11)과 상기 PROM(11)의 출력단자(O0-O6)에 연결된 래치회로(12), 그리고 래치회로(12)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서 선택에 따라 ON/OFF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멀티플렉서(13)등으로 되어있고, 이러한 멀티플렉서(13)의 선택단자(S)에 선택신호를 공급하며, 톤 종류지정 데이타가 내장되어있는 PROM(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PROM(16)의 입, 출력단자에는 카운터(15) 및 멀티플렉서(17)가 각각 연결되어서 구성되어있다.
다음, 톤주파수 데이타를 발생시키는 톤 주파수 발생부(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여러종류의 톤 주파수 데이타를 형성하는 PROM(19)과 데이타를 저장하는 램(18)과, 그리고 이러한 램(18) 및 PROM(19)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주는 카운터(20)와 상기 PROM(19)의 출력과 타이밍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타이밍 신호를 받아서 상기 카운터(20)의 클리어단자(CLR)에 클리어 신호를 공급하는 인버터(21)(23) 및 NAND 게이트(22)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한편 디지탈식 전자 교환기의 또다른 구성부인 제어부의 CPU로 부터 지시를 받아 DTMF 신호와 가변신호등의 주기 및 종류를 소프트 웨어적으로 제어하는 톤 주기/종류 지정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않은 CPU의 어드레스 신호를 받는 멀티플렉서(24)와 이러한 멀티플렉서(24)의 출력단자(Y0-Y4)에 연결되어 있고, 기록 인에블 단자
Figure kpo00002
에 NAND게이트(26)가 연결되어 있으며, CPU로부터 데이타신호를 받는 램(25)과 상기 램(25)의 출력단자(O0-O9)에 데이타단자(D0-D7)가 각각 연결되어있는 래치회로(27)(27') 및 이러한 래치회로중의 하나인 래치회로(27')의 출력단자(O0-O5)에 데이타단자(Y0-O5)가 연결되어 있고, 그 출력단자(D0-D5)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톤주기/종류지정신호를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28)등을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각 구성부로 부터 ON/OFF 제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타신호를 받아 송신용 하이웨이선(TX. HW)
Figure kpo00003
을 통해서 가입자에게 상태 정보를 최종적으로 전송하는 톤신호 전송부(400)의 구성을 설명해보면, 톤 주파수 데이타를 기록하는 램(29)(34)과, 이러한 램(29)(34)의 출력단자(O0-O7)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래치회로(30)(35)와 상기 래치회로(30)(35)를 통해서 받은 병렬 형태의 톤 주파수 데이타를 직렬형태로 변형시키는 시프트레지스터(31)(36) 및 이러한 각각의 시프트 레지스터(31)(36)에 NAND게이트(32)와 인버터(33)(37)가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제1도에 따라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톤주기/종류 지정부(100)(300)에서 본 톤신호의 주기와 종류를 설정하고, 톤주파수 발생부(200)에서 필요한 톤 주파수 데이타를 톤 신호전송부(400)의 램(29)(34)에 각각 보내면 톤 전송부(400)에서는 입력된 톤 주파수 데이타를 조합하여 직렬 형태의 PCM신호를 하이웨이선(TX. HW)
Figure kpo00004
으로 전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체적인 동작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동작과정은 크게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되는 경우와 소프트 웨어적으로 제어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하드웨어 적으로 제어되는 경우, 다시 말하면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다이얼톤, 비지톤, 링 백톤등을 발생하여 하이웨이선(TX. HW)으로 보내는 경우를 살펴보면, 톤주기/종류 지정부(H/W)(100)의 카운터(10)와 래치회로(12)의 클럭펄스단자에 공지의 타이밍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타이밍신호(K1)(예 K1=5ms)가 인가되면 카운터(10)는 톤 주기데이타가 내장된 PROM의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지정하면서 톤 주기 데이타를 출력단자(O0-O6)를 통하여 래치회로(12)에 보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래치회로(12)를 통해서 래칭된 톤 주기설정 데이타는 멀티플렉서(13)에 보내지게 된다.
한편 또 다른 타이밍신호(K2)(예, K2=250ms)가 카운터(15)에 인가되고, 공지의 클럭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클럭신호(F3-F7)가 톤 종류를 지정하는 PROM(16)에 인가되면, 카운터(15)는 PROM(16)의 어드레스단자(A5-A12)를 통해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지정해 나가게 되고 PROM(16)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톤 종류 데이타를 멀티플렉서(17)에 그리고 주기 선택데이타를 멀티플렉서(13)에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PROM(16)의 데이타는 10비트로 되어 있으며 이중 여섯개의 비트(O0-O5)는 실제로 톤 종류(64가지)에 대한 출력데이타이고, 세개의 비트(O7-O9)는 전술한 톤 주기/종류 지정부(100)의 멀티플렉서(13)에 들어오는 톤 주기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데이타인데 이러한 제어데이타(O7-O9)는 제어상태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13)로 하여금 ON/OFF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동작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톤 주파수 발생부(200)의 램(18)은 톤의 블럭을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인 클럭신호(F2-F7)를 공지의 클럭네저레이터로 부터 받는 동시에, 톤 주파수 데이타를 발생하는 PROM(19)은 어드레스 단자(A9-A14)를 통해서 상기 클럭신호(F2-F7)를 받게되고, 그 나머지 어드레스 단자(A0-A8)를 통해서는 카운터(20)의 순차 어드레스 지정을 받게된다.
이대 PROM(19)에는 톤 주파수별로 각각 최대 512샘플이 한 블럭이 되도록 하여 최대 64가지의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다.
PROM(19)안의 PCM 톤 데이타는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톤 주파수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므로 서로 다른 주기를 갖는다.
각 PCM 데이타가 만들어져 PROM(19)에 저장될때, PCM데이타를 기록하고 난 나머지 어드레스 부분에는“FF”로 채워진다.
따라서 PROM(19)의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순차적으로 읽어가다가 출력이 “FF”가 되면, NAND 게이트(22) 및 인버터(21)(23)를 거쳐 카운터(20)의 클리어단자(CLR)에 클리어 신호를 공급하여 다시 PROM(19)의 처음부터 읽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각 톤주파수 별로 시분할되어 PCM 의 8KHz 샘플링원리에 의하여 126 us마다 읽는 주파수와 그때의 어드레스는 각 주파수별 주기성의 차이로 인하여 각각 다른 어드레스를 가지므로 이 어드레스를 램(18)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음 주기에서 PCM 데이타를 읽어내기 위해서 램(18)에 저장된 값을 카운터(20)에 로드하여 하나 증가시키고난 후 이 값은 PROM(19)의 어드레스값이 된다.
그리하여 PROM(19)은 PCM 데이타값을 적절한 톤주파수 선택 및 주기 선택을 위하여 출력단자(O0-O7)를 통해서 톤신호 전송부(400)의 램(29)으로 출력하게되며, 다시 그 어드레스 값은 램(18)으로 들어가 반복적으로 읽어낸다.
이와같이 해당 톤주파수 데이타를 받은 램(29)은 전술했던 톤주기/종류 지정부(H/W)(100)에서 하드웨어적으로 만들어진 톤주파수 선택 및 주기선택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톤주파수 선택 및 주기 선택은 각 램(29)(34)에 저장된 64가지의 데이타중 적절한 데이타를 가지고 있는 어드레스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앞의 64가지의 톤데이타중 마지막 64번째에 데이타는“00”이 저장되도록 하여 (PROM)(19)의 64번째의 마지막 블럭의 PCM데이타값은“0”으로 고정시켜둠)론 OFF시 이값을 선택하도록 한다.
다음에 래치회로(3)에 톤데이타를 보내면 래치회로(30)는 병렬형태의 톤신호를 시프트 레지스터(31)에 전송시킨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시프트 레지스터(31)는 병렬형태의 신호를 직렬형태의 PCM 신호로 변환하여 인버터(33)를 통해서 송신용 하이웨이선으로 각종 톤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톤제너레이터에 있어서 MFC 방식의 가입자에게 가변적인 DTMF 정보 및 가변 시그날링 정보를 송출할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서 톤 신호를 가변적으로 지정해야 되기때문에 소프트 웨어적으로 CPU의 데이타를받아서 톤 주기 및 종류를 할당하는 동작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톤 주기/종류 지정부(S/W)(300)의 램(25)은 CPU의 데이타신호를 받아서 어드레스(A5-A12)지정을 받게되는 한편, 멀티플렉서(24)의 출력단자(Y0-Y4)를 통해서는 채널지정 어드레스 신호(A0-A4)를 받아서 해당 채널에 지정된 톤 종류를 기록 인에이블 단자
Figure kpo00005
를 통하여 들어온 신호에 따라 기록하게되며, 이와같이 톤 종류가 기록된 후에 상기 램(25)은 출력단자(O0-O9)를 통해서 톤주기 및 종류 지정데이타를 래치회로(27)(27')에 각각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래치회로(27)의 출력은 CPU의 데이타버스를 통해서 CPU에 인가되어 지정된 채널에 맞게 할당되었는가에 대한 검색 과정을 거치게 되고, 래치회로(27')의 출력데이타중 출력단자(O)를 통해서 나가는 데이타는 톤신호 전송부(400)의 램(34)에 저장된 톤 주파수 데이타의 출력을 ON/OFF 제어하는 동작을 하게되며 출력단자(O0-O5)를 통해서 출력된 데이타는 멀티플렉서(28)에 인가되면, 이렇게 인가된 톤 주기 및 종류 지정 데이타는 공지의 틀럭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클럭신호(F2-F7)에 따라 순차 어드레스 지정되고 클럭신호(F1)의 선택제어에 따라 출력단자(Y0-Y5)를 통해서 톤신호전송부(400)의 램(34)의 어드레스 단자(A0-A5)에 인가되게 된다.
이와같이 톤신호 전송부(400)에 인가된 톤 주파수 데이타는 이미 설명한 바 있는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되는 경우의 전송가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즉 램(34)의 출력단자(O0-O7)를 거쳐 래치회로(35)의 데이타단자(D●D)달되어 래칭된 후에 병열형태인 톤데이타신호로 시프트레지스터(36)에 인가되면 직렬 형태의 PCM신호로 변형되어 최종적으로 인버터(37)를 거쳐서 송신용 하이웨이선
Figure kpo00006
으로 전송되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식 전자 교환기의 톤제너레이터는 종래의 톤 제너레이터와는 달리 하나의 회로 구성만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필요한 모든 톤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여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기능에 따른 톤의 주기 및 종류의 선택을 필요에 따라서 하드웨어적으로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폭 넓은 선택기능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어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새롭고도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카운터(10), 톤주기를 내장한 PROM(11), PROM(11)의 출력단자(O0-O6)에 그 데이타 단자(D0-D6)가 연결된 래치회로(12) 및 래치회로(12)의 출력단자(O0-O6)에 그 데이타단자(D0-D6)가 연결되고 온/오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3)로 구성된 톤주기 설정부와 카운터(15), 톤종류지정데이타를 내장하고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주기 선택데이타를 상기 멀티플렉서(13)의 선택단자(S)에 공급하고 톤종류 데이타를 멀티 플렉서(17)에 공급하는 PROM(16) 및 멀티플렉서(17)로 구성된 톤종류 지정부로 구성되어있는 톤주기/종류 지정부(100)와 : 카운터(20), 각 톤주파수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램(18), 주기가 다른 모든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고 램(18)의 데이타단(D0-D8)로 부터 공급받는 어드레스에 따라 해당 톤주파수를 출력단자(O0-O7)를 통해서 출력하는 PROM(19), NAND 게이트(22) 및 인버터(21)(23)로 구성되어 있는 톤주파수 발생부(200)와 : CPU의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는 멀티플렉서(24), 상기 멀티플렉서(24)의 출력단자(Y0-Y4)에 그 어드레스 단자의 일부(A0-A4)가 연결되고 다른 어드레스단자(A5-A12)는 CPU의 데이타신호를 받으며 톤주기 및 종류지정 데이타를 출력하는 램(25), 상기 램(25)의 출력단자(O0-O9)에 그 데이타 단자(D0-D7)가 연결되어 있는 래치회로(27)(27'), 상기 래치회로(27')의 일부 출력단자(O0-O5)에 연결된 멀티플렉서(28) 및 NAND게이트로 구성되어 DTMF 신호가 가변신호 등의 주기 및 종류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톤주기/종류 지정부(300)와 : 어드레스 단자(A0-A5)가 상기 멀티플렉서(17)의 출력단자(Y0-Y5)에 연결되고 데이타단자(D0-D7)가 상기 PROM(19)의 출력단자(O0-O7)에 연결되며 멀티플렉서(13)로 부터 톤주파수 데이타출력 온/오프 제어신호를 받는 램(29), 어드레스 단자(A0-A5)가 상기 멀티 플렉서(28)의 출력단자(Y0-Y5)에 연결되고 데이타단자(D0-D7)가 상기 PROM(19)의 출력단자(O0-O7)에 연결되며 래치회로(27')로 부터 톤주파수 데이타 출력 온/오프 제어신호를 받는 램(34), 램(29)의 출력단자(O0-O7)에 그 데이타 단자(D0-D7)가 연결되어 있는 래치회로(35), 래치회로(30)과 (35)에 각각 그 입력단자(O0-O7)가 연결된 시프트 레지스터(31)과 (36)및 시프트 레지스터(31)(36)의 출력단자(0)에 연결되어 PCM 형태의 신호를 송신용 하이웨이선(TX, HW)으로 내보내는 인버터(33)(37)로 구성된 톤신호 전송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환기의 톤제너레이터.
KR1019860005737A 1986-07-14 1986-07-14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KR89000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737A KR890005371B1 (ko) 1986-07-14 1986-07-14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737A KR890005371B1 (ko) 1986-07-14 1986-07-14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60A KR880002360A (ko) 1988-04-30
KR890005371B1 true KR890005371B1 (ko) 1989-12-23

Family

ID=1925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737A KR890005371B1 (ko) 1986-07-14 1986-07-14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334B1 (ko) * 1997-12-05 2001-04-02 김진찬 교환기에서의톤발생장치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360A (ko) 198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7411A (en) High capacity elastic store having continuously variable delay
KR940008295B1 (ko) 반도체메모리
JPH06188850A (ja) データ転送方式及びデータ転送装置
US4564926A (en) Information memory device with address multiplexing
GB2221368A (en) Frame converter using a dual-port random access memory
US4207435A (en) Channel translators for use in time division digital exchangers
KR890005371B1 (ko) 디지탈 식 전자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
US4845726A (en) Maximum length linearly recurring sequence generator control device
US4551583A (en) Control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key telephone system
US4071889A (en) Central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time division multiplex signals
US57103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ntrolling access to stored operation control data and tone forming data
CA2021348C (en) Elastic store memory circuit
US434760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ded information transmitted during cyclically successive time frames
JP2921286B2 (ja) デジタルトーン発生回路
KR890001202B1 (ko) 디지탈 교환기의 톤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KR950004159Y1 (ko) 디지탈식 전자교환기의 톤 발생기
KR0168795B1 (ko) 디지탈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이용한 톤발생회로
KR970024666A (ko) 피씨엠 데이타 지연회로
KR950002862Y1 (ko) 전자 교환기용 dtmf 발생장치
KR900005040B1 (ko) 자동 카덴스회로에 의한 디지탈 톤 공급회로
US4158108A (en) Digital data resynchronization device
JP2618876B2 (ja) サービストーン発生装置
JP2527994B2 (ja) 通話路導通試験方式
US4087640A (en) Data input control system
KR100315904B1 (ko) 톤 송신 로직의 오동작 방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