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33B1 -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33B1
KR890000233B1 KR8202612A KR820002612A KR890000233B1 KR 890000233 B1 KR890000233 B1 KR 890000233B1 KR 8202612 A KR8202612 A KR 8202612A KR 820002612 A KR820002612 A KR 820002612A KR 890000233 B1 KR890000233 B1 KR 89000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mold
guide
passag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358A (ko
Inventor
빌렘 쟌 르루이 아놀더스
Original Assignee
바르너 쟌 드 푸터
바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8102869A external-priority patent/NL8102869A/nl
Priority claimed from NL8103254A external-priority patent/NL8103254A/nl
Application filed by 바르너 쟌 드 푸터, 바빈 비.브이 filed Critical 바르너 쟌 드 푸터
Publication of KR84000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15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corrugated tubes
    • B29C49/0021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corrugated tubes using moulds or mould parts movable in a closed path, e.g. mounted on movable endles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제1도는 주형에 대한 2개의 구동체인 링크(1, 2)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II-II를 따른 체인 링크세트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제2도에 따라 체인 링크가 협력하기 쉬운 주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주형과 함께 있는 체인의 진행과정을 총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주형에 대한 가이드를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체인에 대한 가이드를 같은 방법으로 나타낸 개략도.
제7도는 제4도의 화살표 VII-VII를 따른 본 장치에 사용된 구동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VIII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제9도는 제8도의 화살표 IX-IX를 따른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두개의 마주보는 순환 체인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순환 체인은 압출기에서 나오는 튜브와 함께 다수의 주형절반부(mould halves)를 움직이게 하며, 이러한, 주형 절반부는 함께 상기 체인통로의 직선 부분에서 튜브가 성형이 되도록하는 주형공동(mould cavity)을 구성한다.
생산 속도가 계속 증가될때가지는, 주형절반부를 지지하는 구동체인에 대하여 보다 더 심한 요구조건이 따른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통로의 효과적인 부분상에서 일련의 인접한 주형절반부들의 완벽하게 규칙적인 진행이 필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구동체인 링크의 역활 및 불규칙성, 특히 각 주형의 크기 차이에 따른 불규칙성 때문에 상기 과정에서 얼마간의 소수의 불규칙성이 야기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주형의 원통 공동, 보통, 튜브가 계속하여 방해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통로의 직선부분을 만들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점은 상기 공동의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통로의 처음과 끝부분, 즉 입구와 출구 말단부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바람직한데, 주형절반부가 원통형 공동이 닫힐 때 서로 인접되어 변위 작동되는 튜브의 변위 또는 축방향을 부드럽게 연결시켜주는 움직임을 수행하며, 끕부분이 열릴때 주형절반부들은, 주형이 작동되는 튜브와 함께 움직인다는 사실을 항상 고려하면서, 형성된 파형판들이 완전히 이탈될때까지 측면 방향으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데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다.
주형은 체인 링크에 관하여 링크의 이동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기계프레임(machine frame)은 주형에 대해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는데 통로의 직선부분있는 가이드는 체인 링크(chain link)에 대하여 안쪽에 위치하며 통로의 곡선부분에 있는 가이드들은 체인 링크에 대하여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사실은 강제적인 제어를 통해 체인에 대해 주형에 측면이동성을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성취될 수 있음을 함축한다.
체인 링크에 대한 주형의 상대적인 이동력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실현되는데 체인 링크는 포오크형(fork-shaped)이며, 주형은 포오크의 수평내면과 협력하는 가이드로울과 주형에 대한 가이드와 협력하는 가이드로울을 구비한다.
더우기 완벽하게 규칙적인 진행을 얻는다는 점에 비추어볼때, 주형들이 세로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아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주형 절반부들이 서로에 대햐여 어떠한 조그만 움직임도 주지않고 맞대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모든 주형은 공칭 크기를 갖는 각각의 체인 링크와 정확하게 동일하고 균등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점은, 체인들은 각각 상기 작동통로의 직선부분의 입구 가까이에서 작동하는 구동장치와, 출구 가까이에서 작용하는 브레이크(제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성취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체인 링크간의 어떠한 헐거움이라도 제거되며, 이러한 헐거움이 주형의 상대적 변위에 대한 지금까지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란 체인 링크 및 주형의 통로의 직선 부분에서 작동하는 주형에 대한 구동체인 또는 주형 압력을 가하는 장치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브레이크 작용을 유리하게 얻기 위하여 제동력을 내는데 힘을 소모하지 않는 장치가 선택된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로 실현되는데, 이 장치에서 브레이크장치는 여러개의 보조기어 휘일 세트를 포함하는데, 하나는 입구끝에 있는 구동기어 휠 스핀들위에 장착되어 있고, 나머지 출구 끝 가까이에 있는 구동체인에 대한 가이드 휘일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자의 보조휘일은 주된 구동 휘일에 대하여 고정 장치되었고 후자의 보조휘일은 연합된 주요휘일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거리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그 둘 휘일사이에 여러개의 스프링세트가 있으며, 체인은 보조기어 휘일 세트위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구동장치 전체의 회전과는 무관한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전적으로 생기는 체인의 장력조건이 생긴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1도에는 2개의 링크(1)과 (2)가 나타나 있는데 이들 링크는 핀(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체인 부재들을 구성한다. 튜브들을 처리하기 위한 기계 전체는 2개의 순환체인 또는 체인 링크를 포함는데 이들 체인은 주형들을 운반한다(제4도를 비교).
제1도와 2도에서는 인접한 링크들과 연결되는 구경(4)와 (5)만이 나타나 있다.
제2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인접한 링크들의 주요 평면들은 다른 높이로 위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링크(1)은 외부 링크로 불리워지고 링크 (2)는 내부 링크라고 불리워진다.
서로에 대한 링크들의 이동력은 링크(1)은 핀(3)에 대하여 부시에 의해 주축을 중심으로 들 수 있으며, 링크(2)는 상기 핀에 고정 배열된다.
제1도의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링크들은 포오크형인데, 즉 요부(오목하게 들어간 부분)를 구비하고 있는데 한쪽면은 열려져 있으며 내면이 곡선모양부분(9)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평행면(7) 및 (8)을 구성한다. 외부링크(1)에서 (7) 내지 (9)면으로 한덩괸 요부는 물질의 주요면에 간단히 위치한다. 그러나 내부 링크에 대하여, (10)으로 가리킨 포오크형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주요 링크평면에 대하여 높게 위치하였다.
상기에 나타난 바와같이, 내부 링크는 외부 링크에서의 포오크디자인과 같은데, 즉, 곡선모양부분(13)으로 연결된 2개의 평행면(11)과 (12)로 구성된다. 가이드로울(14)는 외부 링크(1) 바깥쪽인 핀(3)의 끝에 장착되어 있으며 비슷한 가이드로울(15)는 내부 링크(2) 안쪽에 있는 핀(3)에 장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로울들의 기능은 앞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포오크형 맞은편 쪽에서 링크(1)과 (2)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이들 링크는 기어이(gear teeth)(16), (17)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1)의 내부 링크(2)에 있는 이러한 기어이는 링크 자체의 주요 평면에 위치하므로, 서로 다른 두개의 축 높이에 위치하며, 기어이(16), (17)와 협력하기 위해 충분한 축방향 차원을 가져야 하는 구동기어(40)(제4도와 비교)에 의해 체인 자체의 구동을 위해 적용된다. 통로의 곡선 모양부분에서 기어이(16), (17)는 서로에 대하여 자리를 바꾼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핀(3)의 하단부에서 가이드로울(14'), (15')와 연결된(1'), (2')로 나타낸 것처럼 대칭적으로 배열된 유사한 링크 세트가 제공된다.
명시된 포오크-형 체인 링크는 제3도에 나타난 것 같은 주형과 협력하도록 적용(응용)되어 있다.
주형(18)은 도시된 바와같이, 공지 방법으로 실시되며 반순환 요부(19)를 갖는다. 공지의 방법에서는 순환체인상에 있는 주형 기계의 다른 순환 체인에 부착되어 있는 대칭 주형과 함께 튜브를 성형하기 위한 원통형 주형 공동을 구성한다. 주형 내부의 파형은 파단선(20)으로 지칭되어 있다.
모든 협력하는 부재들의 차원을 선택할 때 두개의 인접한 주형들을 통로의 작동부분에서 서로 접촉시키지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점은 마주보는 면들사이의 미소한 틈(너무 작기때문에 도면에는 나타내지 못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것은 발생되는 미미한 진동과 방해를 막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나타났다.
상부에, 주형은 주형 내부에 대한 냉각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니플(21)과 캡너트(22)를 구비한다(이하 3도참조).
하부에는 (24), (25), (26)으로 지칭된 유사한 부재들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전반에 걸쳐, 블록(41)이 설치되어 있는데 주형과 함께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주형이 특별 레일(여기에 나타나 있지 않음)위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상부에는 두개의 가이드 로울(27), (28)이 있고, 하부에는 같은 종류의 가이드로울세트(29), (30)이 있다. 이 두가지 세트(27), (29)의 내부 로울은 실질적으로 링크(1), (2)와 (1'), (2')의 포오크에 있는 가이드 면으로서 서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다. 주형이 외부에서 체인 링크로 미끄러질때 로울(27)은 상부링크(1)에 있는 평행면(7), (8)을 지나 미끄러질 것이고, 로울(29)는 하부 링크(1')의 포오크 공동에 있는 면(11), (12)를 지나 미끄러질 것이다.
링크 세트(2), (2')에 있는 포오크 공동에서, 다음 주형이 상기 방법으로 배열된다. 상기 언급된 블록(41)의 지지물로서 정확한 수직위치가 유지된다.
명시된 방법에서 체인 링크에 대한 주형의 이동력은 소개되었는데, 포오크 면(7), (8)과 (11), (12)의 방향에 평행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이동력의 사용방법은 제4도 내지 제6도 까지를 참조하여 나타나 있다. 제4도에서는 주형이 부착된 체인이 나타나 있는데 통로는 점선과 대쉬선(31)로 지치된 주형을 따른다.
제5도와 6도에서는 주형과 체인에 대한 가이드들이 어떻게 배열되는지를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그림이 분리, 도해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서는 체인의 이동방향이 화살표 P로 표시되어 있다.
작동이 이루어지는 통로(31)과 직선부분(32)에서, 주형에 대한 가이드(33)(제5도 참조)는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실제로 이 가이드는 본 기술에서 알려진 동일 방법 즉, 기계 프레임 고정 배열된 레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직선 부분(34)에서는 동일한 레일(35)가 위치하고 있는데 링크의 내면에도 마찬가지이다. 통로와 곡선모양부분(36)에서도 또한 곡선 가이드(37)이 설치되지만 이러한 경우는 체인 링크의 외부에 있다.
이러한 가이드(33), (35), (37)은 제3도에 참조되어 명시되어 있듯이 주형의 가이드(28), (30)과 협력한다. 그러므로 실제적으로 가이드들이 2중 레일로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로울들에 대하여 적당한 높이로 배열될 것이라는 사실이 명백해질 것이다.
이동방향(P)로 표시된 말단부에서 가이드(37)은 전이부분(39)를 구비하고 있다. 주형이 통로(31)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면변위를 수행하도록 강요됨으로써 주형 공동들은 직선 가이드(33)의 출발점(39)에 대한 전이부분(38)의 적당한 위치와 형태로써 튜브를 감싸며 닫힐 것이다.
가이드의 전이부분(38)은 주형들이 따라가는 통로(31)에서 전이부분(41)에 대응한다. 이 부분(41)은 역전통로부분(36)을 부드럽게 연결한다. 전이부분(41)의 진행과정을 나타내는 부분은 역전통로(36)의 곡선 접선 방향으로 결합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전이부분(41)은 굽힘점(bending point)을 갖는 수학적 곡선으로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곡선들은 예를들면 3차 곡선 y=ax3또는 y=b(x-sinx)들이다. 바람직하게는, 굽힘점은 역전 이동의 말단부와 일치할 것인데,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 주형 공동은 주형의 주축이동의 끝부분에서 정확하게 닫힐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 길이는 최소가 될 것이다. 반면에, 통로의 전이부분(41)은 직선통로 부분(32)를 접선 방향으로 연결할 것이다.
설명된 통로와 함께 주형의 어떠한 강제적인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체인 가이드를 참조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곡선통로부분(36)에서의 이러한 체인 가이드 제6도에서 (42)로서 도해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는 밴드의 안쪽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제2도에 참조하여, 명시되어 있듯이, 가이드는 가이드로울(14), (14'), (15), (15')와 협력한다. 직선부분에서, 체인은 그 어떠한 가이드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제4도에 나타나 있고 제5도와 6도에는 나타나지 않은 출구 끝에서, 가이드들은 실제적으로 동일한 것들이다. 그러나, 첫째로 밴드(42)가 주형이 닫히는 직선 통로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체인이 직선 방향으로 계속 전진하는 동안 주형은 서로에 대하여 측면으로 분리될 것이고 주형은 할 수 없이 튜브의 주름을 풀게된다.
주름이 풀리고 나서야 비로소 주형은 축을 중심으로 들을 것이다. 또한 통로의 곡선부분(43)에 대한 전이부분(42)는 질량힘이 최소한으로 한정되도록 설치되었다.
더우기 두개의 인접한 주형절반부로 이루어진 원통형 공동을 튜브의 모양이 형성되는 통로의 직선부분(32)에서 완전히 닫혀지게 하기 위하여, 또한 주형이 진동이나 방해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체인 구동이 직선 통로의 입구 끝으로부터 아주 짧은 거리에서 발생하도록하여, 직선부분의 출구 끝 가까이에서 효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작용을 제공한다.
주형을 움직이는 폐쇄된 체인 각각에 대한 구동 휘일(40)은 출발점에 위치한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직선통로부분(32)에 도달한 첫번째 세트중의 하나인 주형을 효율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은 바로 구동 휘일(40)이다. 본 발명을 효율적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휘일, 예를들면, 서로 맞대어 놓여 있으며, 폐쇄된 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입구 끝에서 나온 주형의 두번째 또는 세번째 세트에 밀접하게 위치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주형 세트들이 방해방지를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동일한 생각으로, 구동 휘일의 또 다른 세트(44)는(제4도 참조) 통로의 직선부분의 출구 끝 가까이에 배열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장치가 부착되기 때문이다. 보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브레이크 장치가 드라이브와의 조합과 다를 때에도, 제4도에 나타나 있는 구동 휘일(44)의 위치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의 위치는, 여기에 설명되듯이, 브레이크 작용을 얻기 위한 에너지의 소비없이 어째튼 결정될 것이다.
제7도에서는, 두개의 구동 휘일(40, 44)을 지나가는 체인이 본 특성을 설명해줄 간소화된 그림으로 도해되었다.
직선통로의 출발에서 구동 휘일(40)은 확동 구동(positive drive)를 가진다. 이것은 제7도에 도해 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휘일(40)은 상기 구동과 짝을 이루기 위하여(여기에 표시되어 있지 않음) 스핀들(50)에 고정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휘일은 기계 프레임에서(51)에서 지지되어 아래쪽 방향(50')로 뻗어 있다.
다른 구동 휘일(44)도 또한 기계 프레임에서 천천히 회전할 수 있는, (53)에 있는 스핀들(52)상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체인이 두개의 휘일(40)과 (44)위를 통과하기 때문에 휘일(44)는 회전될 것이다.
구동휘일(40)의 스핀들(50)에는 보기에 휘일(54)이 배열되어 있는데, 이것은 스핀들(50)위에 고정 되어 있다. 두번째 보조기어휘일(55)는 스핀들(52)위에 같은 높이로 장치되어 있다.
상기의 두번째 보조휘일(55)와 스핀들(52) 사이의 연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8도와 제9도를 참조하면 된다. 보조 기어휘일(54)와 (55)는 주요기어휘일(40)과 (44)의 동일한 직경을 가진 필요가 없다. 엄격히 말하자면, 기어 휘일(40)과 (44)는 동일한 크기이어야할 필요조차 없는 것이다. 결국 단 한가지 명백히 해야할 조건은 직경(54)와 직경(40)의 직경비율과 직경(55)와 직경(44)의 비율을 같게함으로서 보조휘일(54)와 (55)위를 통과하는 체인(56)의 변위 속도가 주요 체인(46)의 변위속도와 같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조휘일(55)는, 그 자체가 스핀들(52)위에 고정배열되어 있는 허브(57)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이것의 말단부에 허브는 짧은 레이디얼 플랜지(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58)은 원주를 따라서 (60)과 같은 재료 부품들이 사이에 남아 있는 다수의 요부를 구비한다. 휘일(15)는 그 원주의 내벽을 따라(62)와 같은 재료 부품들의 사이에 있는(61)과 같은 요부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요부들과 돌출부재들은 제9도에 나타난 것처럼 안에서 서로 맞물려있고, 그러한 자리는 (63)과 같은 압축스프링 세트 존재할 여지가 있는데, 허브(57)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원판(55)에 계속하여 작용하는 힘 즉, 운동량을 갖는다. 허브(57)과 주요 기어휘일(44)는 둘다 스핀들(5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짝지음은 보조 기어휘일(55)와 주요기어휘일(44) 사이에서 계속하여 작동된다. 그것들의 정확한 기대치는 체인(46)과 (56)이 기어휘일 위를 지나는 순간에 조정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의 최종 결과로서 장력이 보조 체인(56)에 계속하여 퍼질 것이고 그로 인하여 주요 체인과 휘일(40), 휘일(44)의 부분에서 장력같은 크기로 감소될 것이다. 그러므로써 개개의 체인 링크간의 어떠한 헐거움도 없어질 것이다.
통로의 직선부분에 있는 일련의 주형세트 전체가 출구 끝 방향에 따라 처음부터 계속적으로 구동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주형 절반부들은 서로 정확하게 놓이게 됨으로써 튜브를 성형하는 중공주형형태가 아주 정확히 결정되는데 이점은 전부분에 걸쳐서 중요하게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조휘일(55)가 허브의 플랜지(58)가 맞물리며 여기서 스프링이 부착된 요부는 링(64)로 커버될 것이다.
상기의 참조는 체인에 대한 것인데, 기어벨트는 본 발명과 관련된 것과 동일하다.

Claims (10)

  1. 2개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순환 체인을 포함하며, 각각의 순환 체인은 압출기에서 나오는 튜브와 함께 다수의 주형절반부(18)을 움직이며, 이들 주형절반부(18)이 상기 순환 체인의 통로(31)의 직선부분(32)에서 튜브가 성형되도록 하는 주형공동(mould cavity)을 구성하는 압출기를 사용한 성형 플라스틱 튜브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18)들은 링크의 이동 방향(P)에 수직 방향으로 체인 링크(1, 2)에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주형의 가이드(33, 35, 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중 적어도 통로(31)의 작동 가능한 직선부분(32)에 있는 가이드(33)은 체인 링크(1, 2)의 안쪽에 위치하며, 통로(31)의 곡선부분(36, 43)에 있는 가이드(37)은 체인 링크(1, 2)에 대해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플라스틱 튜브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체인 링크(1, 2)가 포오크형이며 주형(18)은 포오크형의 평행내면(7, 8, 11, 12)과 함께 작동하는 가이드로울(27, 28) 및 주형의 가이드(33, 35, 37)와 함께 작동하는 가이드로울(28, 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의 주형들이 지지블록(4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지지블록(41)은 레일에 받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체인 링크는 이중링크(1, 1', 2, 2')이며, 주형들은 포오크면과 작동하기 위한 두개의 일치하는 수준에 있는 가이드로울(27, 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주형의 가이드(37)가 입구 및 출구끝, 적어도 성형작동이 일어나는 통로(31)의 직선부분(32)으로 전이하는 위치(38, 42)에서는 상기 통로의 작동부분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한 가이드의 부분보다 더욱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끝에 있는 전이부분이 수학적으로 게산된 통로의 굽힙점(bending point)이며, 성형작동이 일어나는 직선통로가 상기 전위부분(41, 42)가 접선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체인 링크는 체인의 통로를 결정하는 가이드(33, 35, 37)과 작용하는 가이드로울(14, 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체인 링크(1, 2), 주형절반부(18)와 가이드(33, 35, 37)는 체인 통로의 성형작용하는 직선부분(32)에서 이웃하는 주형들이 미소한 틈을 갖도록 차원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체인(46)이 상기 성형 작용하는 통로의 직선 또는 곧은 부분(32)의 입구끝 가까이에서 작동하는 구동 휘일(40)과 출구끝 가까이에서 작동하는 브레이크 장치(44, 59-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가 보조기어휘일(54, 55) 세트를 포함하며 보조기어휘일중 하나(54)는 입구끝의 드라이브 기어휘일의 스핀들 상에 장착되어 있고 다른 하나(55)는 출구끝 가까이에 있는 드라이브체인에 대한 구동휘일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자의 보조휘일(54)는 주된 드라이브 휘일(40)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고 후자의 보조휘일(55)는 조합된 주된 후일(44)에 대하여 얼마간의 각도 거리에서 회전가능하며, 두개의 휘일(44, 45)과 보조기어휘일세트(54, 55)위를 통과하는 체인(56)사이의 스프링 세트(6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8202612A 1981-06-15 1982-06-11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890000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102869A NL8102869A (nl) 1981-06-15 1981-06-15 Inrichting voor het maken van geprofileerde kunststofbuis.
NL2869 1981-06-15
NL8103254A NL8103254A (nl) 1981-07-08 1981-07-08 Inrichting voor het maken van geprofileerde kunststofbuis.
NL3254 1981-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358A KR840000358A (ko) 1984-02-22
KR890000233B1 true KR890000233B1 (ko) 1989-03-11

Family

ID=2664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612A KR890000233B1 (ko) 1981-06-15 1982-06-11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449910A (ko)
EP (1) EP0067473B1 (ko)
KR (1) KR890000233B1 (ko)
AU (1) AU552465B2 (ko)
BR (1) BR8203486A (ko)
CA (1) CA1189667A (ko)
DE (1) DE3279862D1 (ko)
DK (1) DK154485C (ko)
MX (1) MX156260A (ko)
NO (1) NO1599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320A (en) * 1983-01-20 1986-01-07 Hummor, Inc. Making thermoplastic items
FI69591C (fi) * 1983-02-09 1986-03-10 Asko Sarja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komprimering av betong
US4543054A (en) * 1984-05-25 1985-09-24 Hitek Limited Thermoforming machine
US4774123A (en) * 1984-10-23 1988-09-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oplastic block shape and manufacturing method
US4768942A (en) * 1986-03-03 1988-09-06 Sola Manuel M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ttle carrying handle
US5171500A (en) * 1989-10-27 1992-12-15 Uponor N.V. Pipe manufacturing line
US5489201A (en) * 1993-04-15 1996-02-06 Cullom Machine Tool & Die, Inc. Plastic tile corrugator and mold blocks
DE9311140U1 (de) * 1993-07-26 1993-09-09 Drossbac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ellrohr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6805824B2 (en) * 2002-03-27 2004-10-19 Larry Yaw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orous drainage medium
AU2006316231B2 (en) * 2005-11-16 2012-07-12 Manufacturing System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rming apparatus
US8663513B2 (en) 2007-08-07 2014-03-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oam earplug extrusion
JP5622733B2 (ja) 2008-10-07 2014-11-12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成形方法
TWI631002B (zh) * 2014-07-30 2018-08-01 馮一鳴 連續塑膠成型之成型機
DE102015115828A1 (de) * 2015-09-18 2017-03-23 Unicor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rohren
US11559956B2 (en) * 2019-10-31 2023-01-24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continuous consolidation of thermoplastic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439A (en) * 1912-09-09 1912-10-15 Franklin J Dearborn Belt conveyer.
FR992659A (fr) * 1944-07-26 1951-10-22 Procédé de coulée continue, machine pour sa mise en oeuvre et produits en résultant
FR992759A (fr) * 1944-09-12 1951-10-23 Dispositif de coulée en continu de l'acier ou autre métal
US2514801A (en) * 1948-09-13 1950-07-11 Gerald G Sapp Paper crimper and stacker
FR61855E (fr) * 1949-12-21 1955-05-18 Pirelli Procédé et machine pour la fabrication de corps creux en matières plastiques
US2866230A (en) * 1956-02-24 1958-12-30 Pullman Vacuum Cleaner Corp Corrugated rubber tubing and its production
NL124750C (ko) * 1959-02-21 1900-01-01
AT253762B (de) * 1960-12-20 1967-04-25 Bonum Werk Ges M B H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Querrillen, Ausbuchtungen od. dgl. auf einem 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FR1322854A (fr) * 1961-01-28 1963-04-05 Sekisui Chemical Co Ltd Procédés et appareils pour le traitement en continu de feuilles de résine synthétique
DE1176347B (de) * 1962-05-11 1964-08-20 Frieseke & Hoepfner Gmbh Vorrichtung zum Foerdern und Formen von schlauchfoermigen Straengen aus thermo-plastischem Werkstoff
DE1479172A1 (de) * 1962-12-06 1970-02-26 Frieseke & Hoepfner Gmbh Vorrichtung zum Foerdern und Formen von profiliertem Strangmaterial aus thermoplastischem Werkstoff auf Schneckenstrangpressen
GB1055668A (en) * 1964-03-13 1967-01-18 Baker Perkins Granbull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tubing
US3286305A (en) * 1964-09-03 1966-11-22 Rexall Drug Chemical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hollow articles
CH475811A (de) * 1967-09-07 1969-07-31 Prolizenz Ag Maschine mit Raupenkokille für das Bandgiessen von Nichteisenmetallen, insbesondere von Aluminium und Aluminiumlegierungen
GB1193939A (en) * 1967-11-29 1970-06-03 Wilhelm Hegler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Producing Plastics Pipes
US3544665A (en) * 1969-01-24 1970-12-0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ductors
NO133262C (ko) * 1969-12-31 1976-04-07 Solvay
US3629990A (en) * 1970-04-24 1971-12-28 Mead Corp Mechanism for forming shrink film packages
FR2171844B1 (ko) * 1970-05-14 1974-05-24 Lefebvre Pierre
DE2061027C3 (de) * 1970-12-11 1982-03-04 Wilhelm 8730 Bad Kissingen Hegler 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r Querprofilierung an einem Roh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3792952A (en) * 1972-05-09 1974-02-19 M Hamon Sheet forming device
FR2229530A1 (en) * 1973-05-16 1974-12-13 Verges Paul Continuous blow-moulding machine - for plastic bottles, using two endless arrays of flexible half-moulds
NL157834B (nl) * 1973-09-11 1978-09-15 Wavin Bv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unststofbuis.
DE2501044B2 (de) * 1975-01-13 1980-01-10 Fraenkische Isolierrohr- & Metallwaren-Werke, Gebr. Kirchner, 8729 Koenigsber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ellrohr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2832350A1 (de) * 1978-07-22 1980-01-31 Wilhelm Hegle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hr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querprofilierung
DE3027045A1 (de) * 1980-07-17 1982-02-11 Hegler, Wilhelm, 8730 Bad Kissingen Flach-hohlkoerper, insbesondere lueftungs- und drainage- bzw. absorber-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68282A (da) 1982-12-16
EP0067473B1 (en) 1989-08-09
AU552465B2 (en) 1986-06-05
MX156260A (es) 1988-08-01
NO159983C (no) 1989-03-01
NO821975L (no) 1982-12-16
DK154485C (da) 1989-04-10
KR840000358A (ko) 1984-02-22
NO159983B (no) 1988-11-21
AU8436482A (en) 1982-12-23
EP0067473A2 (en) 1982-12-22
US4449910A (en) 1984-05-22
EP0067473A3 (en) 1986-09-17
CA1189667A (en) 1985-07-02
BR8203486A (pt) 1983-06-07
DK154485B (da) 1988-11-21
DE3279862D1 (en) 198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233B1 (ko) 성형된 플라스틱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US3981663A (en) Apparatus for making high speed corrugated plastic tubing
CA11872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double walled thermoplastic tube with integral bells
US3286305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hollow articles
US5522718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orrugated tubing from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EP0621120A2 (en) Plastic tube corrugator and mold blocks
JP5860041B2 (ja) 変形可能な材料および変形可能な管状断面の形状を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211521208U (zh) 一种光缆用拉线机
US3276071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the film in two axial directions simultaneously by using link mechanism
US4674969A (en) Apparatus for making plastic tubes
US47495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rofiled plastic products involving extrusion, roller shaping and cutting
US4614011A (en) Web stretching apparatus
US2325752A (en) Molding apparatus for making thin walled hollow articles
CN1335219A (zh) 吹瓶机的输送装置
JP2003154569A (ja) 波形プラスチックパイプの製造装置
US2303554A (en) Apparatus for making vulcanized rubber
JPS625780B2 (ko)
US3612374A (en) Pipe pulling device
SU8827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офрировани 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CN217752717U (zh) 一种双合模吹瓶机
CN216682956U (zh) 一种用于制作齿形胶套的鼓式硫化机
US2795384A (en) Apparatus for rolling a strip of sheet material into a regular roll
US3946462A (en) Improvements introduced into machines for breaking and stretching textile fibers
JPS57116617A (en) Production of corrugated hose having thicker wall part and thinner wall part
SU1560455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летки изделий торовой форм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