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605Y1 -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 Google Patents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605Y1
KR880003605Y1 KR2019850014475U KR850014475U KR880003605Y1 KR 880003605 Y1 KR880003605 Y1 KR 880003605Y1 KR 2019850014475 U KR2019850014475 U KR 2019850014475U KR 850014475 U KR850014475 U KR 850014475U KR 880003605 Y1 KR880003605 Y1 KR 880003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flop
gate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4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063U (ko
Inventor
박희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4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605Y1/ko
Publication of KR870009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605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80컬럼시 시스템클럭 파형도(Dot Clock).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132컬럼시 시스템클럭 파형도(Dot Clock).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각 컬럼의 시스템클럭 파형도(CCLK).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80컬럼에서 132컬럼으로 변환시 파형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132컬럼에 80컬럼으로 변환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F1-DF2: 디 플립플롭 LG1-LG2: 논리부
CONT : 카운터 N11-N15: 반전 게이트
CPU : 중앙처리장치
본 고안은 컴퓨터 시디스플레이 장치나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 시킬 문자수에 따른 주파수 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주파에서 고주파, 즉 80컬럼에서 132컬럼으로 변환시 시스템클릭 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는 가로 80 세로 25문자와 가로 132 × 세로 25문자의 두가지 형태로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목적상 가로문자 80컬럼에서 132컬럼으로 전환시켜 사용할때에는 시스템클럭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상에 그에 따른 문자를 표시시킨다.
제1도는 종래 회로도로서 제1도중 AN1-AN2는 앤드(AND)게이트 OR1-OR3는 오아(OR)게이트, N1-N2는 반전게이트(NOT), CNT1-CNT2는 카운터(Counter),DF1-DF2는 디플립플롭이며, A 단자로 28.412MHZ가 B단자에는 17.1988MHZ가 인가되며, 단자는컬럼의 선택에 따른 제어단자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80컬럼에서 132컬럼으로 변환시켜 사용하고자 할때 이에 대한 반대레벨의 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 신호가 앤드게이트(AN2)에 반대레벨의 신호로 입력되므로 17.1988MHZ에 대한 시스템클럭은 입력도지 못하며, 한편 반전게이트(N1)를 지나 앤드게이트(AN1)가 동작하며 28.412MHZ가 인가되어 오아게이트(OR2)를 통해 도트클럭(Dot Clock)이 발생되며, 오아게이트(OR1)를 통해 카운터(CNT1-CNT2)와 디플립플롭(DF2)의 클럭으로 인가되어 132컬럼에 따른 카원터와 디플립플롭(DF4)출력에 의해 CCLK 신호가 발생되는데 여기서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즉 80컬럼→132컬럼)으로 변환시 중앙처리장치(CPU)와CRTC(Cathode Ray Tube Controller)의 타이밍을 일치시켜야 안정된 화면을 얻을 수 있는데 그 임제치(Critical)가 적어서 주파수를 바꾸는 과정에서 화면의 불안정상태를 가져오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클럭의 선택에서 주파수 선택회로에 안정화회로를 부가하여 변환시 화면이 안정화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중 LG1-LG2는 논리부 (TTL 74 S51), DF1-DF2는 디플립플롭, N1-N15는 반전게이트, CPU는 중앙처리장치, CONT 는 카운터 OR11는 오아(OR)게이트, D 는 17.19688MHZ시스템클럭 입력단이고, E 는 28.412MHZ시스템클럭 입력단이고, F는컬럼변환 선택신호 입력단이다.
디 플립플롭(DF2)의 출력신호는 논리부(LG1)로 입력되어 시스템 클럭 입력단(D, E)중의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논리부(LG1)의 출력 신호는 카운터(CONT)의 클럭단으로 입력되며이 신호가 도트 클럭이다.
카운터(CONT)의 출력신호는 문자클럭(CCLK)로서 인가됨과 동시에 디 플립플롭(DF1)의 클럭단으로 인가되고, 디 플립플롭(DF1)의 반전출력신호()는 다시 자신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한편 상기 디 플립플롭(DF2)의 출력신호는 논리부(LG2)로 인가되어 F 단자의 입력신호 인가 상태에 따라 상기 디 플립플롭(DF1)의 반전 출력신호(와 문자클럭(CCLK)신호중의 하나를 중앙처리장치(CPU)로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 플립플롭(DF1)와 반전 출신호()와 반전문자 클럭()는 오아게이트(OR11)를 통하여 D 플립플롭(DF2)의 클럭단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D 단자와 E 단자로 입력되는 두가지 도트 클럭 중에서 하나를 F단자의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터(CONT)의 입력으로 인가하고 카운터(CONT)의 분주된 출력신호를 문자 클럭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디 플립플롭(DF1)과 논리부 게이트(LG2)의 구성목적은 문자 클럭(CCLK)을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CPU)의 클럭으로 사용할 경우 F 단자의선택신호에 따라 문자 클럭(CCLK)을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2분주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전 문자 클럭() 과 2분주된 문자클럭(DF1출력)을 오아게이트(OR11)를 통하여 디 플립플롭(DF2)의 클럭단자로 인가하는 것은의 선택이 문자클럭과 동기가 이루어져 수행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클럭의 변환 과정을 살펴보면,선 택문자F신호에 의해 디 플립플롭(DF2)의 출력이 정해지면, 이 신호에 의해 논리부(LG1)를 통하여 D 단자신호(17. 19688MHZ)와 E 단자신호 (28. 412MHZ)중의 하나가 선택되어 카운터(CONT)로 인가됨으로서 문자 클럭(CLOK)이 발생한다.
제3(a)도-제3(h)도는 80컬럼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클럭 파형도로 도트클럭(Dot Clock)을 비교해서 보인예이며, 제4(a)도-제4(h)도는 132컬럼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클럭 파형도로 도트클럭을 비교해서 보인 예이다.
제5(a)도-제5(f)도는 카운터를 통과한 후 CCLK신호에 대한 80컬럼시 시스템클럭 파형도이고, 클럭 파형도이고, 제5(b)도의 (a)-(h)는 카운터를 통과한후의 CCLK 신호에 대한 132컬럼시 시스템 클러 파형도이며, 제6(k)도-제6(q)도의 파형은 80컬럼에서 132컬럼으로 변환시 파형도이고, 제7(k)도의-제7(q)도의 파형은 132컬럼에서 80컬럼으로 변환시 파형도이다. 따라서 제2도의 본 고안 회로도를 제3도 - 제7도의 파형도와 결부시켜 설명하면 먼저 132컬럼의 동작은컬럼 변환 선택신호 입력단(F)단자를 통해 "하이"가 입력되면 클럭신호에 따라 디플립플롭(DF2)의 Q로 "하이"가 출력되어 논리부(LG1)의 반전케이트(N11)와 앤드게이트(AN2)에 인가되는데 반전게이트(N11)에서 "로우" 로 바뀌어 앤드케이트(AN2)에 인가되므로 입력단자(D)의 주파수는 인가되지 못하고, E단자를 통한 28. 412MHZ주파수가 앤드게이트(AN12)를 통해 노아게이트(NO1)를 지나 28. 412MHZ의 도트(DOT)클럭신호가 제4도의 파형처럼 발생되고 이 신호가 카운터(CONT)클럭에 입력되어 출력 QC 로, 제5(b)도의 파형처럼 문자클럭신호(CCLK)가 3. 226MHZ(310n sec)정도 발생되며 80컬럼시의 동작은의 선택변환 F 단자에 "로우"가 인가되어 입력클럭에 의해 디플립플롭(DF2)출력 Q 로 "로우"가 출력된다. 이때 이 신호가 앤드게이트(AN12)와 반전게이트(N11)에 인가되면 앤드게이트(AN12)는 동작하지 못하고 이어서 단자 E 로 28. 412MHZ주파수가 입력되지 못하므로 반전게이트(N11)에 의해 반전된 "하이"신호 때문에 단자 D로 17. 19688MHZ의 주파수가 논리부(LG1)의 노아게이트(NO1)를 통해 제3도의 파형처럼 도트클럭이 출력된다.
한편 이 신호는 카운터(CONT)클럭(CLK)에 인가되어 제5(a)도의 파형처럼 QC로 문자 클럭신호(CCLK)의 1. 923MHZ의 주파수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F 단자에 의한 주파수 변환시 카운터(CONT)에서 출력된 CCLK호가 앤드게이트(AN13)과 디플립플롭(DF1)의 클럭단에 입력되어, 이 신호가 디플립플롭(DF1)의로 출력되어 앤드게이트(AN14)와 CCLK 신호와 F 신호가 인가된 앤드게이트(AN13)의 출력이 노아게이트(NO2)를 통해 중앙처리 장치 2 1이 클럭을 발생시키며, 한편 디 플립플롭(DF1)의 출력과의 신호에 의해 오아게이트(OR11)에 인가되어 디 플립플롭(DF2)에 인가되므로, 상기 발생된 CPU 의 1, 2의 클럭신호와 시스템 주파수가 동시에 변하게 되므로 CPU 와 CRTC가 일치하게 된다. 즉, 제2도의 F 단자 입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변화할시 시스템 클럭은 17. 19688MHZ에서 28. 412MHZ로 바뀌게 되며 도트클럭(Dot Clock), CCLK 도 1. 923MHZ에서 3. 226MHZ로 제6도의 80컬럼에서 132컬럼으로 변환시 파형처럼 되며, 또한 제2도의 F 단자 입력이 "하이"에서 "로우"로 변환시 파형처럼 나타난다.
따라서, CPU 의 2가 문자변환에 따라 변환되도록 LG2와 디플립플롭(DF2)가 동작시켜 이 출력신호가 CPU의 2와 오아게이트(OR11)에 의해 디플립플롭(DF1)의 클럭에 인가되어 디 플립플롭은 클럭의 입력을 제어하여 여기서 순차적으로 지연된 신호를 출력되므로 CRTC 와 CPU 타이밍에 따라변환시 선택단자가(F)의 입력이 제어되어 시스템의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 회로는 주파수 변환에 의한 선택회로에서 호로를 간소화함과 디플립플롭 및 논리부로서 시스템 클럭의 전환을 안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두가지의 시스템 클럭을 사용하는 회로에 있어서, 두가지 시스템 클럭의 선택신호 발생을 위한 디 플립플롭(DF2)과, 상기 디 플립플롭(DF2)의 출력신호에 따라 두가지 시스템 클럭중의 하나를 카운터(CONT)로 입력하는 논리부(LG1)와, 상기 카운터(CONT)의 문자 클럭(CCLK)출력신호를 2분주하는 디 플립플롭(DF1)과, 상기디 플립플롭(DF1)의 출력과 상기 문자클럭(CCLK)신호중의 하나를 상기 디 플립플롭(DF2)출력신호 따라 중앙제어장치로 인가하는 논리부(LG2)와, 상기 카운터(CONT)문자 클럭의 반전신호()와 상기 디 플립플롭(DF1)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디 플립플롭(DF2)의 클럭신호로 인가하는 오아게이트(OR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클럭 변환회로.
KR2019850014475U 1985-11-01 1985-11-01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KR880003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4475U KR880003605Y1 (ko) 1985-11-01 1985-11-01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4475U KR880003605Y1 (ko) 1985-11-01 1985-11-01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063U KR870009063U (ko) 1987-06-15
KR880003605Y1 true KR880003605Y1 (ko) 1988-10-12

Family

ID=1924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4475U KR880003605Y1 (ko) 1985-11-01 1985-11-01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6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063U (ko) 198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290A (en) Clock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ingle chip microcomputer
US4468662A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s or graphics on a cathode ray tube
GB1486217A (en) Display system
KR880003605Y1 (ko)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US4546350A (en) Display apparatus
KR930000457Y1 (ko) 모니터의 커서 2배 확대회로
KR880003262Y1 (ko) 클록신호 발생회로
KR880001442B1 (ko) 비데오 주파수 감소회로
KR900001127B1 (ko) Crt콘트롤러용 어드레스카운터의 클록발생회로
KR940010480B1 (ko) 액정 모니터의 커서 발생회로
KR930006499Y1 (ko) Dfc 코드에 의한 색지정 래치 회로
KR900006290B1 (ko) Crt 표시제어장치
KR900005588B1 (ko) 중앙처리장치 클럭과 캐릭터 클럭 분리회로
KR940006668Y1 (ko) 영상문자 폭조절 시스템
JP2700650B2 (ja) ビデオ信号生成回路
KR890001097Y1 (ko) 점선 속성신호 발생회로
KR900003074Y1 (ko) 모노 모니터에 이용되는 어댑터회로
KR900001529Y1 (ko) 단말기 표시장치에서의 두배 크기 글자 발생회로
KR940004263Y1 (ko) Dfc 코드에 의한 브링크 어트리뷰트 구현 회로
JPS6183593A (ja) Lcdにおける表示修飾制御方式
KR900000021Y1 (ko) 모니터의 특정 문자 처리회로
KR950007608B1 (ko) 램을 이용한 오 에스 디 처리장치
KR940001842Y1 (ko) 외부 디스플레이 선택회로
KR900006778Y1 (ko) Crt콘트롤러용 분주회로
KR890007638Y1 (ko) Lcd 콘트롤러의 드라이브 선택신호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