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262Y1 - 클록신호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클록신호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262Y1
KR880003262Y1 KR2019850016576U KR850016576U KR880003262Y1 KR 880003262 Y1 KR880003262 Y1 KR 880003262Y1 KR 2019850016576 U KR2019850016576 U KR 2019850016576U KR 850016576 U KR850016576 U KR 850016576U KR 880003262 Y1 KR880003262 Y1 KR 880003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d gate
flip
flop
outpu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461U (ko
Inventor
박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6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262Y1/ko
Publication of KR870011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1Digitally control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록신호 발생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타이밍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록 발진기 2,3,4 : 플립플롭
5 : 카운터 ND1-ND7: 낸드게이트
IV1,IV2: 인버터 S1,S2: 선택신호입력단
OUT : 출력단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의 출력을 CRT표시장치에 표시함에 있어서 CRT화면의 해상도에 따른 클록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클록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CRT표시장치에는 컴퓨터 본체의 출력을 CRT의 화면에다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클록신호의 발진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즉 일반 가정용이나 교육용 컴퓨터에 대한 CRT표시장치는 통상 예를들얼 256×192돗트의 저해상도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저해상도용의 발진회로를 내장하고 있고, 업무용이나 산업용 컴퓨터에 대한 CRT표시장치에는 예를들어 640×400돗트의 고해상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해상도용의 발진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CRT표시제어 장치는 사용되는 컴퓨터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해상도가 미리 결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클록신호 발생기도 일정한 클록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1개의 CRT표시장치로 한가지의 해상도만을 표시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사용되는 컴퓨터의 종류도 제한을 받고 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실정에 비추어 고안된 것으로서, 1개의 클록신호 발진기로부터의 클록신호를 여러가지로 분주시키고 각 해상도에 따른 클록신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선택하여 사용되게 하므로써 CRT표시장치를 해상도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JK플립플롭과 낸드게이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시킨 클록신호 발생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클록발진기(1)의 출력단에다 인버터(IV1)를 매개하여 JK플립플롭(2)(3)(4)의 클록단(CK)을 연결함과 더불어 낸드게이트(ND1)(ND2)의 한쪽 입력단을 연결하고, JK플립플롭(2)의 입력단(J)과 출력단(Q)에는 JK 플립플롭(3)의 출력단()과 입력단(J)을 각각 연결하며, JK플립플롭(3)의 출력단(Q)에는 상기 낸드게이트(ND1)의 한쪽 입력단을 연결하고, 선택신호 입력단(S1)에는 낸드게이트(ND1-ND3)의 한쪽 입력단을 연결하며, JK플립플롭(2)의 출력단()과 상기 낸드게이트(ND1)의 출력단에는 낸드게이트(ND4)를 매개하여 인버터(IV2)가 결합된 선택신호 입력단(S2)과 더불어 낸드게이트(ND5)의 입력단을 연결하고, 낸드게이트(ND6)의 입력측에는 상기 낸드게이트(ND2)(ND3)의 출력단이 클리어단(CL)과 프리셋트단(P)에 각각 연결된 JK플립플롭(4)의 출력단()과 상기 선택신호 입력단(S2)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낸드게이트(ND5)(ND6)의 출력단에는 낸드게이트(ND7)를 연결하여서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는 카운터 OUT는 클록신호 출력단을 나타낸다.
제1도는 위와같은 구조로 되어있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컴퓨터 본체의 출력을 CRT의 화면상에다 표시하고자 할 때 저해상도로 표시할 것인가 고해상도로 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선택신호 입력단(S1)(S2)에 선택신호를 공급하면, 본 고안은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클록신호를 출력단(OUT)으로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동작을 제2도의 타이밍 챠트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록발진기(1)는 통상의 것으로, 고주파를 발진하게 되는데, 그의 출력신호가 인버터(IV1)를 통하게 되면 제2도의 (2-1)과 같은 파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클록신호는 JK플립플롭(2)(3)(4)의 클록단(CK)에 인가됨과 동시에 낸드게이트(ND1)(ND2)에도 인가되게 된다. 그런데 JK플립플롭(2)의 출력단(Q)은 JK플립플롭(3)의 입력단(J)에 연결되고 JK플립플롭(2)의 입력단(J)은 JK플립플롭(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JK플립플롭(3)의 출력단(Q)에는 제2도의 (2-3)과 같은 파형이 출력되고, JK플립플롭(2)의 출력단()에는 (2-4)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한편 JK플립플롭(4)의 출력단()에서는 클록발진기(1)로부터의 클록신호와 선택신호 입력단(S1)의 상태에 따라 다른 신호가 출력되는데, 선택신호 입력단(S1)이 로우레벨일 때는 낸드게이트(ND2)(ND3)의 출력신호가 모두 하이레벨이 되므로 JK플립플롭(4)는 입력 클록신호를 2분주하여 제2도의 (2-7)과 같은 신호를 출력시키고, 선택신호 입력단(S1)이 하이레벨일 때는 클록신호에 의하여 JK플립플롭(4)이 클리어와 프리셋트를 반복하게 되므로 제2도의 (2-8)과 같은 파형의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컴퓨터 본체의 출력을 저해상도로 표시할 것인가 고해상도로 표시할 것인가에 따른 선택신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선택신호 입력단(S1)(S2)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 신호에 따라 출력단(OUT)에 나타나는 클록신호는 4가지로 구분되게 된다. 즉 CRT화면상의 행과 열을 각각 저해상도와 고해상도로 표시하도록 클록신호를 공급하게 됨에 따라 컴퓨터 본체의 출력신호가 저해상도로 표시되어야 하든 고해상도로 표시되어야 하든 본 고안의 클록발생신호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행과 열을 모두 저해상도로 표시할 때는 선택신호 입력단(S1)(S2)이 모두 로우레벨이 되고, 그에 따라 JK플립플롭(2)와 출력단(Q)의 출력신호가 낸드게이트(ND4)(ND5)(ND7)를 차례로 통하여 제2도의 (2-2)와 같은 신호로써 출력단(OUT)이 출력되게 된다.
한편, 행과 열을 모두 고해상도로 표시하고자할 때는 선택신호 입력단(S1)(S2)이 모두 하이레벨이 되고, 그에 따라 제2도의 (2-8)과 같은 JK플립플롭(4)의 출력신호가 낸드게이트(ND6)(ND7)를 차례로 통하여 출력단(OUT)에 나타나게 된다.
또 행을 저해상도로 하고, 열을 고해상도로할 경우에는 제2도의 (2-6)과 같이 클록신호와 JK플립플롭(2)의 출력단()신호 및 JK플립플롭(Q)의 출력단(Q)신호가 조합된 신호가 출력단(OUT)에 나타나게 되는 한편 행을 고해상도로 열을 저해상도로 할 경우에는 클록신호를 2분주시킨 제2도의 (2-7)과 같은 JK플립플롭(4)의 출력단()신호가 출력단(OUT)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각 해상도에 따라 위와같이 클록신호를 공급받게 되면, 여러단계의 카운터(5)는 돗트클록과 캐랙터클록 및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여 CRT측에 공급하게 되므로 CRT의 화면에는 선택된 해상도에 따른 표시가 실시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의 출력신호를 CRT표시장치에 표시함에 있어서 각 해상도에 따라 각기 다른 클록신호를 발생시켜서 CRT측에 제공하게 되므로, 컴퓨터 본체에서 요구하는 해상도에 따라 CRT표시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클록발진기(1)의 출력단에다 인버터(IV1)를 매개하여 JK플립플롭(2)(3)(4)의 클록단(CK)을 연결함과 더불어 낸드게이트(ND1)(ND2)의 한쪽 입력단을 연결하고, JK플립플롭(2)의 입력단(J)과 출력단(Q)에는 JK플립플롭(3)의 출력단()과 입력단(J)을 각각 연결하며, JK플립플롭(3)의 출력단(Q)에는 상기 낸드게이트(ND1)의 한쪽 입력단을 연결하고, 선택신호 입력단(S1)에는 낸드 게이트(ND1-ND3)의 한쪽 입력단을 연결하며, JK플립플롭(2)의 출력단()과 상기 낸드게이트(ND1)의 출력단에는 낸드게이트(ND4)를 매개하여 인버터(IV2)가 접속된 선택신호 입력단(S2)과 더불어 낸드게이트(ND5)의 입력단을 연결하고, 낸드게이트(ND6)의 입력측에는 상기 낸드게이트(ND2)(ND3)의 출력단이 클리어단(CL)과 프리셋트단(P)에 각각 연결된 JK플립플롭(4)의 출력단()과 상기 선택신호 입력단(S2)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낸드게이트(ND5)(ND6)의 출력단에는 낸드게이트(ND7)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각 해상도에 따른 별개의 클록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록신호 발생회로.
KR2019850016576U 1985-12-11 1985-12-11 클록신호 발생회로 KR880003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576U KR880003262Y1 (ko) 1985-12-11 1985-12-11 클록신호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576U KR880003262Y1 (ko) 1985-12-11 1985-12-11 클록신호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461U KR870011461U (ko) 1987-07-18
KR880003262Y1 true KR880003262Y1 (ko) 1988-09-15

Family

ID=1924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576U KR880003262Y1 (ko) 1985-12-11 1985-12-11 클록신호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2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461U (ko) 198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3262Y1 (ko) 클록신호 발생회로
US4281393A (en) Programmable computer terminal system
US4818982A (en) Brightness control for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900006778Y1 (ko) Crt콘트롤러용 분주회로
KR890001097Y1 (ko) 점선 속성신호 발생회로
KR890002298Y1 (ko) 문자표시 장치의 문자간격 신호 발생장치
KR900004875Y1 (ko) Pip의 수평 윈도우 신호발생 회로
JP2619650B2 (ja) クロック信号発生装置
JPH042958B2 (ko)
KR880003605Y1 (ko)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KR820001854B1 (ko) Crt 단말장치의 표시 문자 정형회로
KR900005588B1 (ko) 중앙처리장치 클럭과 캐릭터 클럭 분리회로
KR920004991Y1 (ko) 평판 표시기용 수평 동기신호 제어회로
KR930000457Y1 (ko) 모니터의 커서 2배 확대회로
KR920002108Y1 (ko) 음극선관 단말기용 라이트펜의 화면상 좌표 래치 장치
KR900003619Y1 (ko) Lcd 콘트롤러의 프레임동기신호 및 문자스캔펄스 발생회로
KR900001529Y1 (ko) 단말기 표시장치에서의 두배 크기 글자 발생회로
KR900000021Y1 (ko) 모니터의 특정 문자 처리회로
KR900006290B1 (ko) Crt 표시제어장치
KR890006508Y1 (ko) 듀얼디스플레이용 램억세스회로
JPS54139426A (en) Crt display unit
KR900002793B1 (ko) Crt디스플레이의 그림과 문자비데오패턴 선택회로
KR880001442B1 (ko) 비데오 주파수 감소회로
KR900000852Y1 (ko) 2배 확대 표시 제어회로
KR88000099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글자간격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