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518Y1 -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518Y1
KR880003518Y1 KR2019850010662U KR850010662U KR880003518Y1 KR 880003518 Y1 KR880003518 Y1 KR 880003518Y1 KR 2019850010662 U KR2019850010662 U KR 2019850010662U KR 850010662 U KR850010662 U KR 850010662U KR 880003518 Y1 KR880003518 Y1 KR 880003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mp
irradiation
sideo
veh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770U (ko
Inventor
신형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정세영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0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518Y1/ko
Publication of KR870003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照射燈)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램프 스위치 2 : 릴레이
3 : 방향지시램프 스위치 7, 7 : 측방향 조사등
본 고안은 야간 주행시 커브 방향의 시계(視界)를 확보하기 위한 자동차용 측방향 조사등(照射燈)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브 주행시 헤드램프(Head Lamp)로 조사 되지 않는 범위를 측면에서 밝혀 주기 위한 장치로서 방향 지시 램프(TURN Signal Lamp)와 함께 동작 되도록 한 것이다.
차량의 야간 주행에 대한 시계(視界)는 전적으로 헤드 램프에 의존된다.
그러나, 직진시에는 양호한 가시거리를 확보할수 있지만 급커브시에는 조사범위가 회전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중대한 결함을 갖고 있다.
그 이유는, 헤드 램프의 조사 각도(또는 조사폭)를 넓힐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조사 각도가 넓을 경우에는 직진 주행시 교행 차량의 운전자 시선을 교란시키기 때문에 헤드 램프는 바람직한 조사 각도(통상 26°-28°)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이 정확히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 도면 제2도와 같이 현재의 차량에서 전조(前照)되는 각도가 26°-28°의 범위였고 이를 Q1이라고 한다면 실제, 운전자에 요구되는 시계범위는 Q1+(Q2,Q'2)대략 60°-80°범위에 이르고 있었다.
즉, Q,2또는 Q' 2시각지대이며 이 범위로 차량을 커브 시킨다면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더우기, 고속 주행시의 커브 길이나 험로에서는 급커브는 주의력이 더욱 높아지게 되므로 반드시 서행 운전하면서 시야를 확보해야 될 필요성이 있으나 이를 무시 하므로서 사각 지대를 확인 못하고 사고를 유발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 방향의 조사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측 방향조사등을 제공하여 야간 주행의 안전성을 도모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 램프가 점등되고 방향지시 스위치 레바를 조작할 때만 방향지시 램프와 함께 점등되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점등 조작이 없이 현재의 차량과 동일한 운전 조작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케하려는 것이다.
그 회로 구성은 제1도와 같이 축전지의 직류전원(B-1)에서 부터 휴즈 링크(4)와 점화스위치(6)를 헤드 램프 스위치(1)에 차례로 연결하고 헤드 램프 스위치(1)의 로우(Low) 단자에서 연결되는 릴레이(2)를 방향지시 램프 스위치(3)에 연결시켜 측방향 조사등(7, 7')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점등 되도록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5는 교류발전기이고 8은 스위치레바이다.
이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기에서 측방향 조사등(7, 7')은 전면헤드램프(HL)와 서브램프(SL) 하단에 각각 신설하고 헤드램프 스위치(1)를 로우 접점 또는 하이접점으로 하였을 경우에 작동한다.
즉 헤드램프 스위치(1)가 로우접점 위치로 접속된 상태에서는 스멜램프(SMALL LAMP)와 차폭등(TALL LAMP)이 점등되고 또한 하이 접점위치에서는 헤드램프(HL)가 점등되는데 헤드 램프 스위치(1)가 어느 위치에 접속되더라도 측방향 조사등(7, 7')은 연동되는 방향 지시 스위치(3)의 스위치 레바(8)에 의해 선택되어져 점등가능하게 설계되어졌다.
따라서 주간 주행을 위해 오프 접점 위치에 놓여 있던 헤드램프 스위치(1)를 야간 주행을 위하여 로우 또는 하이 접점위치에 놓게 되면 휴즈 링크(4)와 점화스위치(6)를 통해서 헤드 램프 스위치(1)의 일단에 전달되어진 축전지 전원(B+)이 선택 되어진 하이 또는 로우 접점을 거쳐 릴레이(2)에 인가 되어진다. 릴레이(2)에 축전지 전원(2)이 통전됨으로서 동작하여 그 접점을 턴온 시키게 된다. 그러면 릴레이(2)의 일단에 전달된 전원(B+)은 그 접점을 통하여 방향지시 스위치(3)의 일단에 전달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차량이 좌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또는 회전을 하기 위하여 운전사의 시계범위가 Q2의 사각 범위를 주시하게 될때 방향 지시 스위치(3)의 스위치 레바(8)를 좌측 접점(R)으로 접속시키면 그 스위치 레마(8)의 일단에 전달되어져 있던 축전지 전원(B+)접점(R)을 통해 측방향조사등(7')으로 인가되어진다.
그러므로 그 측방향조사등(7')이 점등되어져 Q3방향으로 조사각도가 넓혀지게 됨으로서 안전운행에 따른 조사 각도를 확보할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될때 방향 지시 스우치(3)의 스위치 레바(8)를 우측접점(L)으로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우측 측방향조사등(7)이 접등됨으로서 Q4방향으로 조사 각도가 넓혀지게 되어져 운전자의 사각 지대인 Q'2의 시야를 안전하게 주시할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선회방향을 분명히 획인 하면서 조향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위험성 높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의 주변에 새로이 신설된 측방향 주사등(7)(7')을 방향지시등과 격리하여 장착시키고, 이를 공지의 방향지시 램프 스위치(3)에 연결시키되, 헤드 램프 스위치(1) 및 릴레이(2)를 거친 전류가 스위치레버(8)에 의해 접점되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점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방향 조사등.
KR2019850010662U 1985-08-21 1985-08-21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KR880003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662U KR880003518Y1 (ko) 1985-08-21 1985-08-21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662U KR880003518Y1 (ko) 1985-08-21 1985-08-21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70U KR870003770U (ko) 1987-03-30
KR880003518Y1 true KR880003518Y1 (ko) 1988-10-12

Family

ID=1924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662U KR880003518Y1 (ko) 1985-08-21 1985-08-21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5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770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1736A (en) Daytime driving safety light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880003518Y1 (ko) 자동차용 측 방향 조사등 (照射燈)
KR101596322B1 (ko)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KR0142346B1 (ko) 자동차의 야간 조향시 시야를 확보하는 전조등 장치
KR200145162Y1 (ko) 헤드램프 표시등
KR100224215B1 (ko) 차량 검문용 스위치장치
US3014201A (en) Divided visual direction indicator for motor vehicles for an independent indication in front and at the rear
KR19980013498U (ko) 상,하향 전조등 자동 절환장치
JP2001146132A (ja) 自動車用前照灯
KR920002465Y1 (ko) 자동차의 비상램프(Lamp) 점등시 방향전환지시램프(Lamp)점등장치
KR970010186B1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소등장치
KR0119234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KR19980022653A (ko)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조향장치
KR19980039215U (ko) 자동차의 야간 측방향 시계 확보 장치
KR19980017412A (ko) 측방 보조 램프를 갖는 헤드 램프 장치
KR19980083893A (ko) 자동차의 u턴 표시장치
KR19980041577U (ko) 헤드램프 방향 자동 조절장치
KR19980022880U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표시장치
KR19990032137A (ko) 자동차의 전조등 점등 장치
JPS6112447A (ja) コ−ナリングランプ点灯回路
KR19980044554U (ko) 자동차의 실내등 조작스위치
KR19990028640U (ko) 차량용 도어 보호장치
KR19990026462U (ko) 차량에서 터닝 라이트 시스템
KR19990034886A (ko) 비상등 스위치 엘이디의 구동제어장치
KR19980055229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미점등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1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