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222B1 - 스킨케어(skin care)용 화장품 - Google Patents

스킨케어(skin care)용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222B1
KR880002222B1 KR8205188A KR820005188A KR880002222B1 KR 880002222 B1 KR880002222 B1 KR 880002222B1 KR 8205188 A KR8205188 A KR 8205188A KR 820005188 A KR820005188 A KR 820005188A KR 880002222 B1 KR880002222 B1 KR 88000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skin
peptone
skin care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237A (ko
Inventor
히로시 엔도오
히로미 야마다
도시로오 소네
마사유끼 기무라
가스꼬 도도로기
Original Assignee
마쓰 소노 히사미
가부시기가이샤 야구루도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 소노 히사미, 가부시기가이샤 야구루도 혼샤 filed Critical 마쓰 소노 히사미
Publication of KR84000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킨케어(skin care)용 화장품
본 발명은 보습제에 의하여 보습성을 부여한 화장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의 각질층(角質層)에는 표피세포가 산생한 미량의 대사산물이 존재하고, 이것이 적당한 정도의 보습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는 지나치게 건조하는 것이 방지되어 유연성을 보전하고 있다.
그런데, 노화던 피부혹은 세제로서 세정한 직후의 피부에는 상기한 대사산물이 적으며, 따라서 충분한 보습작용이 행하여 지지않기 때문에 피부는 건조하여져서 거치른 감촉으로 된다.
이와같이 자연의 보습작용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습성을 보유하는 물질을 인위적으로 피부에 보급하여 피부의 과도한 건조를 방지하는 것을 일찍부터 행하여지고 있으며, 보통은 화장수, 유액, 크림, 헤어린스등의 화장품에 소위 보습제를 배합하여 놓는것에 의하여 이것을 행한다.
화장품에 배합하는 보습제는 공기중의 습도가 낮을때는 수분을 증발시키지 않고 보전하며, 한편 습도가 높을 때에도 일정량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그것에 의하여 피부상의 수분량을 항상 바람직한 범위로 보전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통 사용되는 보습제는 흡습성(吸濕性)은 있어도 이 수분조절작용의 점에서 충분한 것은 아니며, 또 대다수의 것은 피부의 각질층표면 및 그 최상층에 그치기 때문에 습도가 높을때는 피부표면의 수분 과잉을 초래하여 끈적근적 달라붙는 감촉이 생긴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는 보습제를 화장품에 첨가한다고 하여도 높은 습도하에서 끈적근적 달라붙는 감촉이 생기지않는 정도만 첨가되어 있으므로 그 양은 공기가 건조할때에 충분한 보습을 행함에는 불충분한 일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보습제함유 화장품의 문제점을 보습제와 아울러 프로테오제 펩톤을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해결한 것이다.
즉, 프로테오제 펩톤을 함유시킨 보습제 함유 화장품은 높은 습도하에 사용하여도 끈적끈적 달라붙는 감촉이 없어서 극히 사용감이 좋다.
이 이유는 프로레오제 펩톤이 피부상에 엷은 피막을 형성하는것, 그리고 이 피막이 높은 습도하에 있어서도 평형수분율이 낮고, 또한 피부표면으로부터의 수분증산은 저해하지 않는 성질의 것인 것등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에 사용하는 프로테오제 펩톤이라함은 우유중에 약 0.1%존재하는 유장(乳漿, whey) 단백질의 일종으로서 주지의 것이다. 열에 안정되고, pH4.6에서 침전되지 않으므로 우유를 100℃로 30분간 가열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부 청정부분에 염산을 가하여서 pH를 4.6으로하고, 재차 원심분리하면 상부 청정부분중에서 얻어진다.
유안(硫安)분해구획에 의하여 다음의 3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알려지고 있는바, 본 발명의 화장품에 사용하는 것은 이들의 단일품, 혹은 이것들의 1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프로레오제 펩톤 성분 3(분자량 약 20000) 프로테오제 펩톤 성분5(분자량 약 14000)프로테오제 펩톤 성분8(분자량 약 4000 및 9000) 로테오제 펩톤의 바람직한 첨가율은 화장품중의 보습제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농도, 혹은 화장품 그 자체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나, 보통 화장품의 중량당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중량%이다.
프로테오제 펩톤은 거의 모든 수성화장품(수중유적형 화장품을 포함함)에 잘 용해하여 화장품중에서의 안정성도 양호하므로,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에는 특히 곤란한 점은 없으며, 프로테오제 펩톤은 보습제와 동시에, 또는 따로따로 제조공정의 임의의 단계에서 다른 원료와 혼합하면 좋다.
프로테오제 펩톤의 상술한 바와같은 수분조절작용은 보습제의 종류와는 관계없이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乳)산 나트륨, 피롤리딘 카본산나트륨, 글리세린, 요소,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등 보통 사용되는 보습제를 함유하는 모든 화장품에 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흡습성이 지나치게 강하기때문에(다른 성질은 우수하더라도) 종래는 보습제로서 사용될 수 없었던 물질과 프로레오제 펩톤을 병용하는 형태로서 실시하는 것도 될 수 있다.
보습제와 프로테오제 펩톤을 병용하는 것에 기인한 전기한 효과는 다른 화장품 구성성분의 종류나 그 화장품의 사용법에 관계없이 발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품이라함은 화장수, 유액, 크림 등 보통 화장품이라고 불리우는 것 이외에 헤어린스 등의 각종 피부적용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보습제함유 화장품의 사용감의 향상에 성공한 것 뿐만 아니라, 충분한 양의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하여 화장품의 보습성능의 개선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의미가 있는점은 화장품의 보습성 이외의 효용이나 사용감, 혹은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습습성이 지나치게 강하여 종래는 보습제로서 사용할 수 없었던 물질도 보습제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에 따라 보습성과는 무관계한 화장품 성능의 향상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표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모이스춰 로션 A
프로테오제 펩톤 0.2% 및 보습제로서 피롤리딘카본사 나트륨 5.0%을 함유하는 것.
[실시예 2]
모이스춰 로션 B
프로테오제 펩톤 0.5% 및 보습제로서 유산나트륨 4.0% 및 1,3-부틸렌글리콜 1.0%를 함유하는 것.
[실시예 3]
에모리엔트 밀크
프로테오제 펩톤 0.2% 및 보습제로서 유산나트륨 25.0% 및 글리세린 2.0%를 함유하는 것.
[실시예 4]
에모리엔트 그림
프로테오제 펩톤 0.1% 및 보습제로서 소르비롤(65%) 5.0%를 함유하는 것.
비교 실험
상기한 각 실시예 및 프로테오제 펩톤을 함유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한 조성의 대조품에 대하여 18세-50세의 여성패널 50명에 의한 사용감의 평가테스트(블라인드 테스트 : 시험조건 : 25℃.70% RH)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품은 대조품에 비하면 촉촉한 감촉은 동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의(有意)한 끈적끈적 달라붙는 감촉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Figure kpo00001

Claims (1)

  1. 보습제를 유효성분의 하나로서 함유하는 화장품에 프로테오제 펩톤을 0.01∼10중량% 첨가하여서 이루어진 스킨케어용 화장품.
KR8205188A 1982-05-14 1982-11-17 스킨케어(skin care)용 화장품 KR880002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81286 1982-05-14
JP57081286A JPS58198408A (ja) 1982-05-14 1982-05-14 化粧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237A KR840002237A (ko) 1984-06-25
KR880002222B1 true KR880002222B1 (ko) 1988-10-20

Family

ID=1374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188A KR880002222B1 (ko) 1982-05-14 1982-11-17 스킨케어(skin care)용 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98408A (ko)
KR (1) KR880002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7306A (ja) * 1985-03-11 1986-09-13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4A (en) * 1861-11-12 Improved fan-blower
CA807629A (en) * 1966-06-30 1969-03-04 Eigen Edward Lotion and detergent compositions
BG27574A1 (en) * 1977-12-06 1979-12-12 Baltadzhieva Enzime opening up lyophilisate and method of its obt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198408A (ja) 1983-11-18
KR840002237A (ko) 1984-06-25
JPH0149123B2 (ko) 198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3230A (en) Topical skin cream composition
US4829092A (en) Glycerol and diglycerol mixtures for skin moisturizing
RU2764769C2 (ru) Продукты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 двухфазной системой
US3235457A (en) Humectant
US4518614A (en) Cosmetic preparation
JPH0587482B2 (ko)
US5660838A (en) Skin preparations for external use
JPH0330566B2 (ko)
FR2561915A1 (fr) Produit hydratant
US4153726A (en) Skin protection agents containing polyethercarboxylic acids
JP3513872B2 (ja) 皮膚外用剤
JPH05221821A (ja) 皮膚化粧料
JPS615005A (ja) 保湿剤
EP0927554A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omprising urea
KR880002222B1 (ko) 스킨케어(skin care)용 화장품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4272519A (en) Cosmetic lotion formulation
JPS5869806A (ja) 安定なコラ−ゲン含有化粧用ロ−シヨン
JPH04360820A (ja) 化粧料
JPS60116618A (ja) 化粧料
USRE28781E (en) Carbohydrate agent of high water retention power, process of making sam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H0521085B2 (ko)
US4143160A (en) Process for moisturing the skin
JP3101090B2 (ja) 皮膚外用剤
JPH0713027B2 (ja) 保湿性皮膚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