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06B1 -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06B1
KR880002106B1 KR1019840001441A KR840001441A KR880002106B1 KR 880002106 B1 KR880002106 B1 KR 880002106B1 KR 1019840001441 A KR1019840001441 A KR 1019840001441A KR 840001441 A KR840001441 A KR 840001441A KR 880002106 B1 KR880002106 B1 KR 88000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control device
transmitter
operato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273A (ko
Inventor
뮬러 발터
Original Assignee
더 클레이톤 파운데이션 포리서치
클라이드 윌리암 웰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클레이톤 파운데이션 포리서치, 클라이드 윌리암 웰렌 filed Critical 더 클레이톤 파운데이션 포리서치
Publication of KR84000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2Controll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on by other parts of the human body than hand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bo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rosthes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Toy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제1도는 조작자에 의해서 직접 작동되는 장치부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제2도는 조작자에 의해서 직접 작동되는 장치부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4도는 상이한 형태의 위치 송신기를 구비한 제1도에 도시된 마우스피이스 및 관련 구성요소의 확대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방향 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마우스피이스가 그외의 부분에 비해 상향이동되고, 상이한 형태의 두 위치 송신기를 갖는 제4도의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평가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축 12 : 구동모터
14 : 회전간 15 : 지지체
16 : 안내레일 17 : 활주캐리지
20 : 프레임 27 : 마우스피이스
28 : 충격압변환기 36,37 : 개공
38,39 : 챔버 44,45 : 충격압변환기
53 : 광원 55 : 감광소자
57 : 황주접촉자 58 : 슬립링편
59 : 각 부호기 67 :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발명은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장치는 신체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들을 위한 보조기기로 알려져 있다(일예로 스위스 연방 4055 베슬시 소재의 스위스 대마비(對痲痺)재단의 공식기구, "대마비", 제7년, 제25호, 1983년 3월, 제16페이지, 하단예시 및 첨부 설명문 참조).
공지된 형태의 장치들은 일예로 릴레이 형태의 스위칭 소자들을 통하여 단순히 신호등을 작동시키거나 방아쇠를 잡아당기는 기능에 의해서 간호원들을 호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단지 간단한 원격제어방식의 "In-Out"스위치, 또는 기껏해야 전환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고작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류의 기기로서 조작자의 입을 통한 간단한 작동에 의하여 스위치류에 비해 상당히 복잡한 전기 조작식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관련한 상기 장치의 조작자로서는 신체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으로서 예를 들면 팔이 없거나 대마비자 또는 수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손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을 들 수 있다. 조종을 요하는 전기 기기는 다음과 같은 바, 이들은 단순히 예시에 불과할 뿐이다 : 휠체어를 비롯한 전기적으로 조작 및 운전되는 차량 ; 전기 구동식 인조다리 ; 산업용 로보트, 타이프라이터, 전자식 컴퓨터 및 대화식(對話式)전자 데이타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계산장치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과 연결되어 사람의 공기 취입 및/또는 흡입에 대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작동소자로 구성되는 바, 이 작동소자는 평가회로를 통하여 조종하여야 할 기기에 접속됨과 아우러 두개의 위치송신기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평가회로의 입력부에 접속되며, 마우스피이스(monthpiece)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각 송신기는 좌표계내의 마우스피이스 위치에 대한 좌표신호 특성을 발생시키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충격압변환기 형태의 작동소자로 부터 발생되는 신호뿐만 아니라 기기용 조종데이타를 발생시키는 위치송신기로 부터 발생되는 좌표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 좌표계는 조작자의 입운동 방향과 평행한 축을 갖는 직교좌표계로서, 이들 방향은 머리의 좌우회전 운동 방향 및 상하 끄덕임 운동방향과 일치한다. 머리의 회전에 따라 입이 20cm 길이의 원호를 그릴 수 있고, 머리의 끄덕임에 따라 7cm 길이의 원호를 그릴 수 있으며, 더우기 위치송출기는 각 경우에 0.5cm의 원호분리기능을 보임과 더불어 충격압변환기가 공기의 취입에 대한 단 하나의 신호와 흡입에 대한 단 하나의 신호발생에 유용하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장치는 1000 가지 이상의 불연속 신호의 조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일 마우스피이스에 조작자의 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두개의 인접하는 통공(각기 전술한 바의 충격압변환기 전방에 형성됨)이 구비되고, 위치 송신기가 앞서 가정한 바의 분리능을 나타내는 경우 가능한 신호조합수는 3배로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우스피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에는 레일과 슬라이딩 캐리자가 구비되며, 이 슬라이딩 캐리지는 그와 연결된 마우스피이스와 더불어 레일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체는 마우스피이스를 지지하고, 평면내에서 서로 직각으로 선회가능함과 아울러 사람의 신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평행사변형 바프레임을 포함한다. 위치송신기로는 광송·수신소자, 각 부호기(angle encoder), 스트레인게이지 및 전위차계등의 여러가지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첨부도면 및 이후의 설명에 의해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적용대상의 예로서 단지 신체장애자를 들어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마우스피이스를 통한 공기의 취입 및 흡입만으로 사람이 전기적으로 조종가능한 다른 분야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우스피이스(전술한 바의)는 우선 그 마우스피이스를 조작하는 사람의 입의 운동 및 머리의 운동에 일치되어야 함에 주목해야 된다. 이후, 조작자 머리의 회전운동(좌우로의 수평운동)은 X 방향운동으로 표시되며, 이 방향에서의 순간머리 위치는 X 좌표로 정의되고, 반면에 끄덕임운동(상하로의 운동)은 X 방향운동으로 표시되며, 이 방향에서의 순간머리 위치는 Y좌표로 정의된다.
제1도에는 위에서본 사람의 머리(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이 이루는 평면과 수직을 이룸과 아울러 그 주위로 머리(10)가 회전가능한 축은 11로 표시되어 있다. 구동모터(12)는 고착된 위치내의 수직축상에 착설되며 회전방향의 변환에 이용 가능한 스위치(13)에 의해서 온-오프가 가능하다. 구동모터(12)는 수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원호상안내레일(16)을 갖는 지지체(15)가 고정된 회전간(14)을 이동시키게 된다. 활주캐리지(17)는 화살표(1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활주캐리지(17)의 내부, 혹은 그 상부에는 조작자가 그의 입으로 안내레일(16)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마우스피이스를 뱉은 다음 스위치(13)를 작동시키는 경우(예를 들면 볼이나 턱을 사용하여)모터(12)로 구동되는 회전간(14)은 활주캐리지(17)가 착설된 지지체(15)를 시계방향(화살표 19) 즉,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비조작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조작자의 안면으로 부터 벗어나게 된다. 스위치(13)의 제2조작에 따라 활주캐리지(17)를 갖는 지지체(15)는 실선으로 도시된 조작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된 장치, 예를 들면 조작자가 위치하고 있는 의자등에 착설될 필요없이 조작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체(15)는 조작자의 몸통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부합하여야 한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실제로 조작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조작자의 몸통과 일체로 움직이는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때, 조작자의 목과 어깨를 감싸면서 착용자의 몸에 꼭 맞는 프레임(20)이 구비된다. 이 프레임(20)은 가죽끈(도시되지 않음)으로 착용자의 몸통에 적절이 부차고정된다. 어깨위에 부착되는 프레임(20)상에는 제1평행사변형 바프레임(25)에 고정되어 각각의 볼조인트(21)(22) 주위로 각기 선회가능한 단부부재(23)(24)와, 중앙부재(26)에 고정된 마우스피이스(27)를 갖는 평행사변형의 중앙부재가 형성된다.
제1예에서 개략적으로 도신된 충격압변환기(28)는 마우스피이스(27)내에 설치된다. 단부부재(24)의 수직 회전축은 동시에 수평면내에서 평행사변형 바프레임(25)의 회전각에 부합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위차계나 각부호기의 각 송신기(29)축으로 된다.
평행사변형 바프레임(25)의 어느 한 단부부재, 예컨대 단부부재(23)는 제3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 바프레임이 수직평면상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부 바(bar)가 각 송신기(30)를 작동시킴으로써 각 송신기(30)는 수직평면내에서 단부부재(23)의 회전각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바프레임(25) 및 단부부재(23)의 바프레임 길이는 바이트접촉자(bite contact)(31)와 적절히 결합 가능한 마우스피이스(27)가 조작자의 입을 통해서 축(11)과 축(32)(머리(10)의 끄덕임 운동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선택되어 진다.
충격압변환기(28)로 부터 발생된 신호외에 필요에 따라 바이트접촉자(31) 및 각 송신기(29)(30) 각각에 의해 X 또는 Y 방향을 특정짓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바, 이들 모든 신호는 도면상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선(33)을 통하여 송신된다. 이후, 마우스피이스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인바,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 하여, 특히 제1도의 활주캐리지(17)내에의 설치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며한다. 좁은 의미에서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마우스피이스(27)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마우스피이스와 유사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시된 마우스피이스는 인면마스크 형태를 갖는 두개의 측면돌출부(34)(35)로 구성되는데, 이는 조작자의 입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뺨상에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 돌출부(34)(35)사이의 중앙부에는 두개의 취입/흡입 개공(36)(37)이 형성되는데 이들 각각은 챔버(38) 또는 (39)에 연통되어 있다. 트로틀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조절가능한 배출능력을 갖는 배기공(40) 또는 (41)을 통해 챔버(38)(39)는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각 챔버(38)(39)내에는 접속구(42)(43)가 설치된다. 이 접속구(42)(43)는 각 챔버(38)(39)를 각각의 경우에 충격압변환기(44) 또는 (45)(예를 들면 마이크로스위치사의 제품 제140PC, D형)일측부로서 그 반대편에는 압력평형배기공(46) 또는 (47)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 부분과 연결된다. 각각의 충격압변환기(44) 및 (45)는 챔버(38)(39)와 외부간의 압력차이 값 및 그에 따른 산술신호에 의해서 특정된 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제5도 내지 제7도에서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이스(27)는 충접하여 부착되고 일예로 합성물질로 제조된 2조의 판 스프링(48) 및 (49)를 경유하여 원호상 안내레일(16)을 다라 위치이동이 가능한 활주캐리지(17)에 연결된다.
상부 및 하부 판스프링(48)(49)는 그 일단부가 활주캐리지(17)에 고정되며, 반대쪽 단부는 측면 돌출부(34)(35)의 외측단부에 고정됨으로써 마우스피이스(27)가 안내레일(16)의 트랙을 대하여 횡방방으로 그리고 판스프링의 효과에 대항하여, 즉, Y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편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의 검출방법은 이후의 설명에 나타나 있다.
활주캐리지(17)는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지게 형성된 두개의 플랜지(51)과 (52) 후방에 고정되고 안내레일(16)상에 형성된 T-형 단면의 원호상 연장부(50)로 구성된다. 실제에 있어서 일예로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점광원 형태인 광원(53)은 연장부에 고정된다. 광원(53)의 정 반대편에는 광트랜지스터와 같은 감광소자(55)가 지지구(54)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안내레일(16)에 대하여 고정된 지점상에 위치하므로 감광소자(55)들은 안내레일(16)의 원호와 동심원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광원(53)은 일련의 감광소자(55)와 더불어 X 방향에 대한 위치송신기를 형성하므로 어떤 주어진 시간에 광원(53)이 하나의 감광소자(55)를 작동시키는 경우 그 부분에 대해서 X 방향내의 활주캐리지(17)의 순간위치를 지시하게 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에 대한 위치송신기는 상기한 바와 다른 형태로서 안내레일(16)의 원호와 평행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연장부(50)상에 고정된 활주접촉자(57)가 그 표면상에서 접촉이동하는 저항층(5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활주접촉자(57)는 저항층(56)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그 저항층(56)과는 절연된 슬립링편(片)(58)상을 접촉이동하게 됨에 따라 저항층(56)의 일단부와 슬립링편(58)간의 저항값은 활주캐리지(17) 및 그에 따른 마우스피이스(27)의 X 방향 순간 위치에 좌우된다. 따라서 저항층(56), 활주접촉자(57) 및 슬립링편(58)은 함께 X 방향에 대한 위치송출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X 위치를 특징짓는 아날로그 신호를 방생시킨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이스(27)는 활주캐리지(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되거나 편향가능한데, 이는 판스프링(48)(49)의 효과에 대향하여, 즉 안내레일(16)의 트랙에 대해서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운동의 방향은 Y 방향이다(제7도에서마우스피이스(27)는 최대로 상향변향되어 있다). 이와 같은 Y 방향으로의 이동이나 편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제5도에서와 같이 활주캐리지(17)상에 각 부호기(59)가 부착도니다. 이 각 부호기(59)는 마우스피이스(27)의 측면상에 고정된 핀(61)을 협지하는 포오크혀암(60)을 통하여 동작되어 진다. 따라서 각 부호기(59)는 Y 방향에 대한 위치송신기를 형성하게 된다.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Y 방향에 대한 위치 송신기는 경우에 따라서 활주캐리지(17)상에 형성된 저항층(62)과 마우스피이스(27)상에 부착되어 그 저항층(62)의 표면을 접촉 이동하는 활주접촉자(63)로 이루어진 전위차계로 형성될 수 있다. 저항층(62)과 활주접촉자(63)사이의 저항치, 또는 경우에 따라 소자들간의 전압강하치는 Y 방향에 대한 마우스피이스(27)의 순간위치를 특정짓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Y 방향에 대한 위치송출기의 또다른 형태가 제7도에 나타나 있다.(제1도에도 역시 나타나 있다) 마우스피이스(27)가 안내레일(16)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나 편향되는 경우 필스프링(48)(49)는 제7도에서와 같이 "S"자형으로 절곡된다.
이 절곡현상은 각 판스프링의 표면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연신(延伸)이 발생하게 되고 동일 표면중 그의 다른 부분에서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되는데, 결국 이 연신 및/또는 수축의 정도는 Y 방향에 대한 마우스피이스(27)의 편향치가 된다. 따라서 하부판스프링(49)에 부착된 두개의 스트레인게이지(65)(66)는 Y 방향에 대한 위치송신기로 작용하여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입근처에 위치하는 상술된 바의 소자들은 다음과 같이 신호를 출력한다 :
- 충격압변환기(28) 및/또는 (44),(45) : 하나 또는 두개로 분리된 챔버내부와 외부간의 압력차(개공(36) 및/또는 (37)을 통한 공기의 취입 및 흡입에 의해 생성).
- 각 송신기(29)(제2도) 또는 LED(53) 및 감광소자(55)(제4도) 또는 전위차계(56)(57)(58)(제7도) : X 방향에 대한 마우스피이스의 순간위치.
- 각 송신기(30)(제3도) 또는 각 부호기(59)(제5도) 또는 전위차계(62)(63)(제7도) 또는 스트레인게이지(65)(66),(제1도 및 제97도) : Y 방향에 대한 마우스피이스의 순간위치.
-바이트접촉자(31)(제3도 및 제6도) : 부가적인 스위칭신호 이들 다양한 신호는 조종을 요하는 기기의 동작수행에 적절한 데이타로 처리됨은 당연한 사실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목적하에 요구되는 평가회로는 충격압변환기나 압력측정셀(cell) 및 위치송신기의 형태뿐만 아니라, 조정을 요하는 기기의 형태 및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손상된 능력에도 적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8도에는 이와 같은 목적에 부합하는 평가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64로 표시된 이 회로는 단순히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평가회로(64)의 입력단계는 마이크로프로세서(67)(예를 들면, 모트롤라사의 제품 MC6805형 또는 인텔사 제품 8048형)로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중앙처리장치(CPU)외에 작업메모리(RAM), 고정식프로그램메모리(ROM)와 더불어 관련 입력부와 출력부를 갖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및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등이 집적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력측에는 다음과 같은 소자가 연결된다. 충격압변환기(44)(45)(또는 28), X,Y 방향에 대한 위치송신기(도면에서 X-Pox 및 Y-Pos로 표시됨), 및 바이트접촉자(31)(구비된 경우에 한해).
고정식프로그램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은 도시된 예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송출기로 부터 수신되는 디지탈신호 및 아날로그신호의 수신.
- 아날로그신호의 숫자화.
- 조종을 요하는 기기에 적합하도록 숫자화된 신호의 데이타 평가 및 처리, 데이타의 일련의 고도화된 형태로 출력.
RS232(제8도에서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대화식표준접속기(68)는 마이크로프로세서(67)에 접촉되거나, 데이타흐름의 각 방향에 대해서 각 구동모듈(69)(예를 들면, 모트롤라 MC1488)은 각 수신모듈(70)(예를 들면 모트롤라 MC1489)에 연결되며, 구동모듈(69)과 수신모듈(70)간의 연결은 도체 또는 무선접속중 어느 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마이트로컴퓨터(71)는 접속기(68) 또는 모듈(69)(70)에 연결되어 한편으로 조종을 요하는 기기를 조정(접속기(2)를 통하여)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일례로 VDU(74)와 같은 주변장치에 연결된다.
이 VDU(74)는 장치조작자의 시야내(직접 또는 영사기(projection system)이용)에 위치하여야 한다. VUD상에는 일예로기기(73)의 수행동작이 문자나 기호형태와 함께 X, Y 좌표계내에서 마우스피이스(27)의 순간위치를 구체화하는 커서(curosr)가 표시된다. 커서가 동작부호문안상에 겹쳐지게 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동작이 기기(73)로 부터 수행되며, 일예로 취임 및/또는 흡입에 의해 경우에 따라 동작의 종결 역시 VUD(74)에 나타나게 된다.
일예로 기기가 타이프라이터 또는 전자식 데이타처리설비인 경우, 정정을 필요로하는 때에는 대응하는 키입력이 이미 입력된 특정량의 데이타와 함께 VDU상에 나타난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평가회로(64)는 입력측에 사용되는 송신기의 종류와 부합되어야하며, 또한 조종을 요하는 기기의 특성에도 부합하여야하는데,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67)의 고정식프로그램과 필요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71)의 프로그램 역시 조작자의 능력에 따라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회로의 구성은 조종을 요하는 기기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변화를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바의 구성중 충격압변환기 및 마우스피이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위치송신기를 통해 복잡한 기기 조종용으로 필요적절한 데이터로 처리되는 무한한 수의 신호가 실제로 발생가능하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본 발명의 장치는 신체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사람의 완전한 재활 및 갱생에 유용한 보조기구 및/또는 복잡한 제어프로세스의 수행을 용이하게하고 또한 간단하게하는 유용한 장치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의 수행 및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고유한 작용효과를 달성하는데 극히 적합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서 상세한 구성 및 부품의 배열에 대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Claims (15)

  1. 조작자의 공기 취입 및/또는 흡입에 대응하여 그 내부로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마우스피이스와, 마우스피이스에 연결되고 마우스피이스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에 의해서 작동되어 공기유동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변환기와, 좌표계내에서 마우스피이스에 연결되어 그 위치를 측정하고 각기 좌표계내에서 마우스피이스 위치에 대한 좌표신호특성을 발생시키는 두개의 위치송신기와, 압력변환기와 위치송신기에 연결되어 그 출력을 수신하고, 압력 변환기 및 위치 송신기로부터 부터의 출력신호처리용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조종을 요하는 기기에 접속된 평가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이스에 연결됨과 아울러 조작자의 신체에 대하여 일정위치에로의 이동이 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이스가 각기 위치송신기에 의해 검출가능한 두 좌표방향내에서 지지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안내레일과 그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활주캐리지 및 활주캐리지에 연결되어 레일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마우스피이스가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안내레일을 따라 일열로 배열된 위치센서를 포함하고, 그 센서가 활주캐리지상에 형성된 광원과 더불어 위치 송신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다른 위치송신기가 마우스피이스의 안내레일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각 부호기나 전위차계의 형태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이스가 안내레일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통하여 활주캐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다른 위치송신기가 스프링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안내레일에 고정된 위치센서가 활주캐리지에 부착된 광원에 의해 동작되도록 배열된 감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호작용하여 하나의 위치송신기를 이루는 전위차계를 형성하는 레일상에 착설된 저항과 활주캐리지상에 형성된 활주접촉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제1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고 그 단부부재가 조작자의 신체에 부착가능한 제1평행사변형 바프레임과, 제1평행사변형 바프레임의 단부부재중의 적어도 하나로 형서되고 제1평면에 수직을 이루는 면내에서 선회가능한 제2평행사변형 바프레임과, 제1평행사변형 바프레임의 중앙부재에 고정된 마우스피이스와, 두평행사변형 바프레임 선회각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그 바프레임에 연결설치된 각 송신기인 위치 송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각 송신기가 각 부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이스가 평가회로에 결합된 바이트접촉자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안내레일이 작동위치와 그외의 위치사이에서 회전간에 의해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회전간은 모터에 의해서 작동위치로 부터 그외의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그 모터는 조작자의 안면에 위해 조작가능한 스위치를 통하여 온-오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가회로에 결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고, 조종을 요하는 기기의 동작에 관련하여 좌표계내에서 마우스피이스의 순간위치를 지시하는 커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이스에는 출력이 평가회로의 입력으로 되는 압력변환기에 연결된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개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KR1019840001441A 1983-04-12 1984-03-20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KR880002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956/83-6 1983-04-12
CH1956/83-6 1983-04-12
CH1956/83A CH660554A5 (de) 1983-04-12 1983-04-12 Einrichtung zum ansteuern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appar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273A KR840008273A (ko) 1984-12-14
KR880002106B1 true KR880002106B1 (ko) 1988-10-15

Family

ID=422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441A KR880002106B1 (ko) 1983-04-12 1984-03-20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865610A (ko)
JP (1) JPS59205281A (ko)
KR (1) KR880002106B1 (ko)
AT (1) AT387714B (ko)
AU (1) AU565407B2 (ko)
BR (1) BR8401684A (ko)
CA (1) CA1219050A (ko)
CH (1) CH660554A5 (ko)
DD (1) DD222493A5 (ko)
DE (1) DE3408895A1 (ko)
DK (1) DK98984A (ko)
ES (1) ES8503885A1 (ko)
FR (1) FR2544526B1 (ko)
GB (1) GB2138545B (ko)
IT (1) IT1176032B (ko)
MX (1) MX156037A (ko)
NL (1) NL8401051A (ko)
SE (1) SE458501B (ko)
ZA (1) ZA8421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1872A (ja) * 1984-10-24 1986-05-20 Sony Corp 高速フ−リエ変換演算回路
GB8517832D0 (en) * 1985-07-15 1985-08-21 Mediscus Prod Ltd Control device
IL79736A0 (en) * 1986-08-15 1986-11-30 Kibbutz Ein Shemer Body motion controller for toy system
US4840634A (en) * 1987-06-10 1989-06-20 Clayton Foundation For Research Calibr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machines
DE3828487A1 (de) * 1988-08-22 1990-03-01 Siegfried Weber Kommunikations- und umweltkontrollgeraet
US5126731A (en) * 1990-06-15 1992-06-30 Cromer Jr Jerry E Pneumatically-controlled, user-operated switch interface
DE4037049A1 (de) * 1990-11-22 1992-05-27 Walter Dipl Ing Dr Schmitt Bedienungsvorrichtung
GB9107559D0 (en) * 1991-04-10 1991-05-29 Snape Timothy R Pressure activated apparatus for enabling a person to enter data into a system
US5239917A (en) * 1991-06-06 1993-08-31 Genie Tech, Inc. Oven
US5365026A (en) * 1993-04-23 1994-11-15 Cromer Jr Jerry E User interface control apparatus
DE9314892U1 (de) * 1993-10-01 1993-12-23 Kessler Gmbh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Maschinen
US5474295A (en) * 1994-08-24 1995-12-12 Demshuk; Thomas Game apparatus for the handicapped
EP0734704B1 (en) * 1995-03-31 2001-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raoral communication system
GB2303644A (en) * 1995-07-27 1997-02-26 Philip Shad Device for controlling sewing-machine
JPH09244793A (ja) * 1996-03-04 1997-09-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US5812978A (en) * 1996-12-09 1998-09-22 Tracer Round Associaties, Ltd. Wheelchair voice control apparatus
JP2000175972A (ja) * 1998-12-14 2000-06-27 Kansai Seisakusho:Kk 電動式寝台
US6118236A (en) * 1999-02-05 2000-09-12 Bed Handles, Inc. Hand-held, finger or mouth-actuated pneumatic unit for remote proportional control of sewing machine
US20110178613A9 (en) * 2000-02-14 2011-07-21 Pierre Bonnat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ignals For A MEMS Detector That Enables Control Of A Device Using Human Breath
US8502641B2 (en) * 2000-03-09 2013-08-06 Intelpro Llc Rate-of-change switches and controllable apparatus
US9594426B2 (en) * 1999-03-24 2017-03-14 Intellipro, LLC. Rate-of-change switches and controllable apparatus
US20130060355A9 (en) * 2000-02-14 2013-03-07 Pierre Bonnat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ignals For A MEMS Detector That Enables Control Of A Device Using Human Breath
US6360615B1 (en) * 2000-06-06 2002-03-26 Technoskin, Llc Wearable effect-emitting strain gauge device
AT412745B (de) * 2001-10-01 2005-06-27 Arc Seibersdorf Res Gmbh Steuereinheit
US6833786B1 (en) 2001-12-06 2004-12-21 The Board Of Governors For Higher Education, State Of Rhode Island And Providence Plantations Pneumatic demultiplexer for controlling multipl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ES2204320B1 (es) * 2002-09-30 2005-03-16 Universidad De Alcala Sistema de guiado de vehiculos basado en comandos de soplo.
EP1555968B1 (en) 2002-10-17 2018-10-31 Rehab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or process with vibrations generated by tooth clicks
JP2004180817A (ja) * 2002-12-02 2004-07-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生体信号を利用した作業支援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CA2419655A1 (en) * 2003-02-21 2004-08-21 Kelvin Kwong Loun Mok A mouth activated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ally responsive device
US20040252103A1 (en) * 2003-03-28 2004-12-16 Pierre Bonnat Apparatus to support a device to control an electronic or computer system by means of a fluid flow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091875B2 (en) * 2004-10-06 2006-08-15 John Ondracek Wearable remote control
SE0403228D0 (sv) * 2004-12-31 2004-12-31 Abb Technology Ltd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tyrning av en industriell process eller produktionsenhet
US7207331B2 (en) * 2005-03-22 2007-04-24 The General Electric Compan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equipment
US20070283485A1 (en) * 2006-06-09 2007-12-13 Hsien-Hao Tseng Wiper device for safety helmet
JP5194213B2 (ja) * 2008-05-12 2013-05-08 学校法人 芝浦工業大学 肩甲骨鎖骨機構
US8579766B2 (en) * 2008-09-12 2013-11-12 Youhanna Al-Tawil Head set for lingual manipulation of an object, and method for moving a cursor on a display
US7942782B2 (en) * 2008-09-12 2011-05-17 Youhanna Al-Tawil Methods and systems for lingual movement to manipulate an object
US8961437B2 (en) 2009-09-09 2015-02-24 Youhanna Al-Tawil Mouth guard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bite pressures
US8047964B2 (en) * 2009-09-09 2011-11-01 Youhanna Al-Tawil Methods and systems for lingual movement to manipulate an object
US8292786B1 (en) 2011-12-09 2012-10-23 Youhanna Al-Tawil Wireless head set for lingual manipulation of an object, and method for moving a cursor on a display
US9468454B2 (en) * 2014-01-28 2016-10-18 Ethicon Endo-Surgery, Inc. Motor control and feedback in powered surgical devices
US9406218B1 (en) 2014-08-26 2016-08-02 Jamel L. Ray Chin-operated remote control
DE102016104880A1 (de) * 2016-03-16 2017-09-21 Otto Bock Healthcare Gmbh Orthopädietechnische Vorrichtung
WO2018202834A1 (en) * 2017-05-05 2018-11-08 Hannon Aaron A facial care headset device
US10048667B1 (en) * 2017-07-20 2018-08-14 Brandon Vinyard Knob for an electric mixer
WO2020018646A1 (en) * 2018-07-17 2020-01-23 Sanford Health Neck brace and mouth piece that permit a range of movement while maintaining an open airway
CN111958620B (zh) * 2020-07-30 2021-08-13 王世楷 头脑控制机械假肢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4200A (en) * 1946-07-19 1949-06-21 Lance T Mcbee Cervical splint
US2885686A (en) * 1954-03-23 1959-05-12 Lionel Corp Prosthetic devices
US2791999A (en) * 1954-09-27 1957-05-14 Bustamante Cesar Neck exercising device
US3374845A (en) * 1966-05-05 1968-03-26 Selwyn Donald Comm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GB1245922A (en) * 1967-09-21 1971-09-15 Saunders & Dudle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ntrol of wheel-chairs by physically disabled persons
FR2016716A1 (ko) * 1968-08-31 1970-05-08 Akad Medyczna
AU4149668A (en) * 1969-07-29 1971-02-04 Paraplegic Association Of Wa. Ging. ) Self propelled wheeled vehicle
US3769636A (en) * 1972-05-02 1973-11-06 Univ Iowa State Res Found End point control of upper extremity orthotic brace using head orientation
FR2310742A1 (fr) * 1975-05-13 1976-12-10 Biddle Eng Co Ltd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commandes de fauteuil roulant
DE2701206A1 (de) * 1977-01-13 1978-07-20 Streifeneder Kg F G Pneumatisches schaltgeraet fuer elektro-fahrstuehle
US4207959A (en) * 1978-06-02 1980-06-17 New York University Wheelchair mounted control apparatus
US4260035A (en) * 1979-07-26 1981-04-07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hin controller system for powered wheelchair
US4281734A (en) * 1979-10-29 1981-08-04 Johnston Gary D Multi-function control system
CH657468A5 (de) * 1981-02-25 1986-08-29 Clayton Found Res Bedienungsgeraet an einem mit wenigstens einem synthesizer versehenen elektronischen musikinstrument.
US4483405A (en) * 1981-08-05 1984-11-20 Koyu Enterprise, Inc. Omnidirectional motorized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98984D0 (da) 1984-02-24
BR8401684A (pt) 1984-11-20
FR2544526B1 (fr) 1987-08-21
ES530547A0 (es) 1985-03-01
GB2138545A (en) 1984-10-24
SE458501B (sv) 1989-04-10
CA1219050A (en) 1987-03-10
NL8401051A (nl) 1984-11-01
FR2544526A1 (fr) 1984-10-19
SE8401317D0 (sv) 1984-03-09
GB8316397D0 (en) 1983-07-20
IT1176032B (it) 1987-08-12
DE3408895A1 (de) 1984-10-18
ES8503885A1 (es) 1985-03-01
AT387714B (de) 1989-03-10
IT8420512A0 (it) 1984-04-12
CH660554A5 (de) 1987-05-15
AU565407B2 (en) 1987-09-17
JPS59205281A (ja) 1984-11-20
ZA842177B (en) 1984-10-31
AU2669984A (en) 1984-10-18
US4865610A (en) 1989-09-12
GB2138545B (en) 1986-08-20
DD222493A5 (de) 1985-05-22
JPH0580222B2 (ko) 1993-11-08
KR840008273A (ko) 1984-12-14
DK98984A (da) 1984-10-13
MX156037A (es) 1988-06-16
SE8401317L (sv) 1984-10-13
ATA97884A (de) 198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106B1 (ko) 전기조작식 기기의 조종장치
US6304840B1 (en) Fingerless glove for interacting with data processing system
US8497760B2 (en) Adaptive MIDI wind controller device
US5796354A (en) Hand-attachable controller with direction sensing
US4724715A (en) Control mechanism for computer keyboard and the like
US4840634A (en) Calibr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machines
CA1050670A (en) Cursor position control device for a display system
ES2234081T3 (es) Dispositivo controlador de mano de tipo anillo.
US6544124B2 (en) Handheld steering wheel game controller
US6781569B1 (en) Hand controller
US4607159A (en) Optical joystick controller with intersecting spring means
US20010040550A1 (en) Multiple pressure sensors per finger of glove for virtual full typing
US4445011A (en) Freestanding multidirectional electrical control device
WO1989004515A1 (en) Multifunction tactile manipulatable control
JPH03192423A (ja) 3次元コンピユータ入力装置
EP0348430A1 (en) Joystick apparatus having six degrees freedom of motion
JPH02159614A (ja) 指示および選択装置
JP2002528734A5 (ko)
ATE400018T1 (de) Trackball zur steuerung der cursorbewegung auf einem bildschirm
EP0374962A2 (en) push button box
WO2003013402A1 (en) A tongue and jaw operable control apparatus
JPH10320108A (ja) カーソル移動装置
JP3999195B2 (ja) 肩の動きを用いた脊椎損傷障害者用電動車椅子操縦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車椅子駆動制御装置
US6707445B1 (en) Input device
JPH07281816A (ja) フットポイ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