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79B1 - 동시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동시 압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79B1
KR880001779B1 KR1019810003973A KR810003973A KR880001779B1 KR 880001779 B1 KR880001779 B1 KR 880001779B1 KR 1019810003973 A KR1019810003973 A KR 1019810003973A KR 810003973 A KR810003973 A KR 810003973A KR 880001779 B1 KR880001779 B1 KR 88000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outlet
inlet
block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272A (ko
Inventor
에드워드 코흐 폴
제임스 본드 토마스
케일 아담스 리챠드
Original Assignee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래리 윌리엄 에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7328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17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래리 윌리엄 에반스 filed Critical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07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29C48/495Feed-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2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with means connecting the layers, e.g. tie layers or underc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시 압출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와 통상의 세 압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의 부분적으로 절개한 측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선4-4를 따라 절개한 매니폴드의 종 단면도.
제 5 도는 세 입구를 도시하는, 제 3 도의 선5-5를 따라 절개한 이송블록의 종 단면도.
제 5a도 내지 제 5c도는 서로 분리된 압출 이송 물질들의 세 분리 통로를 도시하는, 제 5 도의 부분도.
제 6 도는 제 3 도의 선6-6을 따라 절개한 이송블록의 종 단면도.
제 6a도는 이송블록으로 부터 압출되는 세 압출 물질의 형상을 도시하는, 제 6 도의 부분도.
제 7 도는 제 3 도의 선7-7을 따라 절개한 어댑터의 종 단면도.
제 7a도는 제 3 도의 선7-7을 따라 절개한 어댑터의 단면도.
제 8 도는 입구를 도시하는, 이송블록의 사시도.
제 9 도는 서로 분리된 세 통로를 도시하는 이송블록의 절개 사시도.
제10도는 동시 압출 시스템의 도식적인 평면도.
제11도 내지 13도는 각각 변형된 이송블록 출구와 그로부터 압출되는 압출 이송 물질을 도시하는, 제 6a도와 유사한 부분도.
제14도는 점선으로 표시된 본 발명의 장치와, 그와 함께 사용되는 제 4 요소 및 전환기를 도시하는, 제 3 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15도는 세 입구를 도시하는, 제14도의 선15-15를 따라 절개한 전환기의 종 단면도.
제16도는 서로 분리된 세 채널을 도시하는, 전환기의 횡단면도.
제17도는 혼합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개조된 이송블록의 측면도.
제18도는 개조된 이송블록의 후면상에 있는 출구들을 도시하는, 제17도의 화살표 18-18방향에서 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매티폴드 51, 61, 71 : 이송블록의 출구
23 : 어댑터 82 : 어댑터의 제 1 면
52 : 이송블록의 제 2 면 84 : 어댑터의 출구
40, 41, 42 : 이송블록의 입구 86 : 변화영역
50, 60, 70 : 이송블록의 채널 83 : 어댑터의 입구
22 : 이송블록 85 : 어댑터의 제 2 면
43 : 이송블록의 제 1 면
본 발명은 다수의 용융층들을 동시에 압출시켜 필름, 시이트, 튜브 및 다른 형상을 갖는 다양한 제품을 형성시키게 해주는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시 압출 중에 혼합현상(perturbation)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동시 압출된 시이트는 개스 차단성, 습기에 대한 저항, 개선된 외관, 제조비용의 절감등을 다양화시키도록 서로 다른 플라스틱들이 조합되어 있는 포장재로서 사용된다. 동시 압출에 의해, 값비싼 고성능 중합체를 그 보다 값싼 중합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약하면서도 값비싼 고성능 중합체의 특성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충전층이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길게 연장된 두 층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른 특성들을 갖는 시이트를 제공하도록 서로 다른 중합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동시 압출 장치 및 동시 압출 시스템들은 균일한 두께의 층들로 구성된 필름 또는 시이트와 같은 제품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특정의 제품에서의 층의 수 및 두께들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이트 및 필름의 제조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압출기와 결속된 매니폴드 다이를 사용하여 제조되게 된다. 다중-매니폴드 시스템은 제작비용이 아주 많이 들뿐만 아니라 작동시키기가 어려워 복잡하고 시간을 낭비하는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비록 그러한 장치는 점성비가 10 : 1이 되는 융용층들까지도 압출을 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두개 내지 세개의 층밖에는 압출시킬 수 없다.
또 다른 시스템에는 다수의 물질들을 서로 조합시켜 특수한 압출 다이로 통과시키게 하는 복잡한 다이 또는 어댑터가 사용한다. 비록 복잡한 다이 시스템이 소정의 다중-매니폴드 시스템보다 비용이 적게들고 대부분 요구되는 갯수의 층을 동시 압출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물질의 흐름이 유선형을 이루게 하지 못하며, 그럼으로써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폭넓게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 최대 점성비는 단4 : 1밖에는 안된다. 이와같이, 비록 그러한 시스템들이 양질의 필름 및 시이트를 제조할 수는 있다하더라도, 기계가공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들 뿐만 아니라, 보수하기가 어렵고, 또는 물질의 흐름을 유선형으로 하지 못한다는 단점들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공지된 한 동시 압출 시스템은 적어도 한 압출물을 이송되는 다른 압출물상에 또는 압출물내에 분사시킨뒤에 두압출물을 적합한 시이트 성형 압출 다이로 통과시키게끔 구성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59,43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러한 장치는 로드 압출기, 측방향 이송 튜브를 갖는 어댑터, 그리고 시이트 압출다이를 구비하고 있다. 어댑터는 중앙에서 정점부를 형성하는 유입장치를 가지고 있다. 압출된 로드는 어댑터를 통해 이송되어, 유입장치의 정점부를 통과할때 내부가 분할되게 된다. 유입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제 2 압출물이 상기 분할 지점에서 제 1 압출물의 중앙에 분사되게 된다. 제 2 압출물이 제 1 압출물의 흐름경로를 교차하여 연장시킬 수 있게끔 유입장치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입장치를 여러개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압출물들이 서로 조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를 통한 물질의 동시 압출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압출 시이트를 교차하여 흐름이 균형되게 되지도 않는다. 또한 선두의 중합체가 유입장치를 통과하여 분할된 후에 경계선을 형성함이 없이 재접합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점성이 다른 중합체가 사용될때, 이러한 재접합은 어렵게 된다는 점에서, 장치의 사용도가 제한되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959,432호에는 한 폴리스틸렌층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층으로 구성된 복합시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용융 폴리스틸렌을 압출시켜 로드를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가 사용된다. 용융 폴리카보네이트의 부 흐름(minor stream)을 폴리스틸렌과의 상부 근처에서 폴리스틸렌 관내로 이송시키고, 그후에 두 중합체층을 통상의 시이트 형성 다이로 통과시킨다. 상기 관의 상부 근처에서의 주입공정은 미합중국 특허 제3, 959, 43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은 융용 온도 및 점성이 서로 다른 물질들을 동시 압출하는데는 사용하지 못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833,704호에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얇은 압출물층을 로드형의 제 2 압출물의 둘레 일부상에 압출시키는 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어댑터들을 보조로 사용하여 이미 압출된 층들은 물론이고 로드형의 제 2 압출물상에 또 다른 압출물들을 압출시킴으로써 다수의 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융용 온도와 점성이 서로 다른 물질들을 동시 압출하는데는 사용하지 못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479,425호의 발명은 압출물을 흐름체적이 더 큰 다른 압출물내로 유입시키는 직사각형 오리피스를 갖는 슬롯 다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미합중국 특허 제3,959,431호와 다소 유사하나 부가되는 층들에 대해 다수의 슬롯 다이를 부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큰 체적의 압출물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심층을 형성시키도록 워형 오리피스를 갖는 다이를 대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유선형의 흐름을 형성시키지 못하고 압출 시이트를 교차하여 흐름이 균형되지 못하고, 재접합이 필요한 등등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동시 압출시켜 다층 제품을 형성시키게 하는 다른 공지의 시스템은 서로 인접하는 다수의 물질을 교대로 접촉시키게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557,2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이러한 시스템은 팽창되지 않은 수지성 물질 및 팽창 가능한 수지성 물질과 같은 두 물질의 흐름을 서로 교대로 접촉하는 약 5 내지 1000개의 층으로 분할시키며 간단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분배블록을 구비한 매니폴드를 사용한다. 층들은 분배블록 및 매니폴드로부터 변화 부재로 압출되어, 그곳에서 시이트 형상으로 납작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매우 값비싼 매니폴드를 사용해야하며 그의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압출 개구로의 물질의 흐름이 유선형을 이루게 하지 못한다. 유선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정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정체현상에 의해 시간이 과도하게 걸리고 온도가 과도하게 됨으로써 열에 민감한 중합체들은 저질화되게 된다. 또한, 염소를 함유하는 부식성 중합체의 경우에 저질화 될때는, 매티폴드, 분배블록, 변화부재의 비보호된 금속면들이 손상되게 된다. 비부식성 중합체에 정체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상업상 용인할 수 없는 제품이 제조되게 되며, 색이 항상 되색하게 되는 저질화된 중합체가 저질화되지 않은 융용 물질내로 서서히 용해되게 되어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켜 버린다. 또한, 장치의 통로가 복잡하여 세척 및 다른 보수가 어렵다. 이러한 시스템의 또다른 단점은 폭이 다른 시이트를 압출할때마다 값비싼 다른 변화부재를 대치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비록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들이 소정의 중합체 물질을 동시 압출하는데 유용한 시스템을 제공해 준다하더라도, 두 물질층의 병치는 물론이고 체적비를 쉽게 변화시킬 수는 없다. 층의 수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그에 따라 비용이 부가되는 요소들이 대치되어야만 한다. 또한, 만약 중합체가 개스를 발생한다면, 시스템의 공정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어, 설비 및 작업자에게 손상을 끼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물질로부터 납작한 층으로 형성된 시이트 및 필름은 물론이고 소정형상의 제품을 형성하도록 개조되지 않은 상법상 유용한 단일 압출 다이와 통상의 압출기와 함께 사용되는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 또는 적어도 2개 내지 12개의 층을 갖는 시이트 및 필름을 제공하도록 상기한 바와 같은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 또는 시이트의 두께의 1%정도까지 얇게할 수 있으며 비틀려지거나 작은 구멍등이 형성되지 않는 균일한 층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및 사용이 비교적 용이하며 현존 시스템보다 비용이 작게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비용을 요구함이 없이 층의 수 및 두께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해주는 신규의 동시 압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출 다이로 이송되는 물질의 흐름을 유선형으로 장치내에서 정체현상, 즉 속도가 0으로 되는 경우를 제거시키게 해주는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적의 전단평형을 제공해 주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요소가 부가되어 스택의 지향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해주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신규의 동시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적비 또는 점성이 또는 그 모두가 서로 다른 물질들인 적어도 하나의 제 1 물질과 하나의 제 2 물질로부터 층으로 된 제품을 동시 압출시키는 중에 혼합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 및 다른 목적을 그리고 공지된 장치들과 비교했을때의 그의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 청구의 범위를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는 통상의 압출기 및 압출 다이와 함께 사용되어 적어도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 된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압출 시스템에 사용되어 필름 및 시이트 그리고 소정의 형상을 갖는 평평한 제품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본 장치는 다수의 압출 이송 물질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된 입구들과, 제 1 면과 제 2 면사이에서 이송 블록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이송 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장치로 이송시키는 채널과, 제 2 면상에 채널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이송 물질에 제 1 형상을 부여하는 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이송블록으로부터 제 1 형상을 갖는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어댑터가 제공된다. 어댑터는 제 1 , 제 2 면과, 제 1 면상에 형성되어 제 1 형상을 갖는 물질을 수용하는 입구와,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게끔 제 2 면상에 형성된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형상을 갖는 물질들을 서로 접촉시켜, 서로 접촉된 그 물질의 전체 형상을 압출 다이에 수용될 수 있게 형성시키는 변화영역을 포함한다. 이송블록의 출구 및 어댑터의 출입구들을 개조함으로써, 여러 형상의 물질이 압출될 수 있다.
또한, 이송블록의 적어도 한 채널에 휜을 설치하여 혼합현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완전한 동시 압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체적비 또는 점성이 다른 또는 그 모두가 다른 물질들인 적어도 하나의 제 1 물질과 제 2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동시 압출시키는 중에 혼합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매니폴드, 이송블록 그리고 어댑터를 포함하는 동시 압출 장치로 제 1 , 제 2 이송 물질을 이송하여, 이송블록내에서 제 1 , 제 2 이송 물질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며, 이송블록내에서 제1, 제 2 물질을 제 2 물질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형상을 부여하며, 제 2 물질의 반이상의 체적을 갖는 주부분과 반미만의 체적을 갖는 부부분인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부부분을 제 1 물질과 주부분 사이로 이송시키며 각각의 부분들을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연속적으로 본 방법은 제 1 물질과 제 2 물질의 부물질과 주물질을 어댑터내에서 서로 조합시키며, 통상의 압출 다이를 통해 층으로된 제품을 동시 압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는 폴리오레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라이덴 클로로이드, 나이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과 같은 물질, 그리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SAN), 그리고 바렉스(Barex)와 같은 혼성중합체로 부터 다양한 필름, 시이트 그리고 다른 형상의 제품을 제조하는데는 이용할 수 없었다. 바렉스는 비스트론 코포레이션에서 제조한 베리어수지의 상품명이다. 바렉스 210인 아크릴로-니트릴-메틸라크릴레이트-고무 혼성중합체는 투명하고 파쇄저항이 크기 때문에 특히 시이트 및 필름 형태의 음식물 포장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냄새가 없고 음식물의 기름 및 용매가 흡수되지 않고 또한 개스를 차단하고 산화를 방지하여 음식물의 맛 또는 향기를 거의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것은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에 의해 사이에 적합한 접착제가 분포되게 되는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폴리오레핀과 같은 플라스틱을 동시 압출 시킴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수지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다른 모든 수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가 소정의 특정 플라스틱에 대해서만 사용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름, 시이트, 다른 형상의 제품을 형성하도록 다이를 통해 다양한 플라스틱을 압출시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문에 기재되는 동시 압출 장치는 현존하는 압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는 지금까지는 불가능했던 혼성중합체의 동시 압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존하는 압출 시스템의 이용도를 증가시켜 준다. 비록 이러한 중합체가 압출 가능하다하더라도, 그들이 전단되기 쉽게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흐름속도가 갑작스럽게 변화하거나, 정체현상과 같은 흐름속도가 0이 되는 경우가 발생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지 않게 하도록, 그러한 중합체가 용융 상태에 있는 중에 보유시간을 최소로 해주는 유선형의 흐름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정 중합체들로는 열에 변형 가능한 베릭스, 사란, PVC, ABS그리고 SAN등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동시 압출될 수 있었던 폴리오레핀,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등과 같은 다른 중합체들은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를 시스템에 사용했을때 더욱 양질의 제품으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주로, 압출제품을 형성시키는 압출층들을 더욱 정확하게 성형시켜주는 장치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복잡한 압출 다이 또는 다중-매니포드를 변화시키지 않고 층의 갯수 및 두께의 비를 쉽게 변화시키게 해준다. 또한, 압출제품의 폭을 변화시킬때는, 단지 통상의 압출 다이만을 대치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금까지는 비용이 많이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스택의 방향전환을 비교적 쉽게 해준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로 10%층에 인접한 60%의 층과 같이 서로 다른 점성 및/또는 큰 체적차를 갖는 물질들을 압출시킬때 발생하게되는 혼합현상을 최소화시켜 동시 압출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시 압출 장치(20)는 매니폴드(21), 이송블록(22), 그리고 어댑터판(23)을 포함한다. 제 1 도에는 세개의 통상의 압출기(24, 25, 26)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압출기들은 압출물질을 매니폴드(21)로 이송하기 위한 적합한 관(28. 29. 30)을 각각 갖는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본문에서 설명되는 압출 장치(20)는 세 물질을 이송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동일한 색갈 또는 서로 다른 색갈을 가질 수 있는 동일한 두 중합체가 압출기(24, 26)를 통해 압출되고 분리된 다른 중합체가 압출기(25)를 통해 압출되게 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세 중합체가 각각의 압출기로부터 압출되거나, 압출기(24, 25)를 통해서는 서로 다른 두 중합체가 압출되고 압출기(26)를 통해서는 적합한 접착물질 또는 아교물질의 압출되게 된다. 단지 2개 내지 12개까지의 압출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각 경우에 각각의 압출기는 압출장치(20)의 매니폴드(21)로 연결되게 될 것이다.
제 2 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21)는 점선(35)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수단에 의해 매니폴드 면(34)에 각각 연결된 관(28 내지 30)을 통해 공급되는 이송 물질의 수와 동일한 서로 분리된 다수의 통로(31, 32, 33)를 갖는 금속요소이다. 제 4 도는 서로 분리된 세 이송 물질 A, B, C가 매니폴드(21)의 후면(36)으로 부터 배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명백히 되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 통로는 모두 이송 물질의 흐름에 최대의 유선형을 형성시키며, 비교적 길이가 짧아 쉽게 세척을 할 수 있다. 통로(32)는 후술될 바와 같이, 요구되는 역압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과는 달리 최소의 저항으로 직접적으로 이송블록(22)과 어댑터(23)를 통과하게 되는 물질을 직선 이송시킨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특히 열변형에 민감한 중합체를 장치(20)를 통해 이송시킬 수 있다. 현존하는 많은 장치들에 있어서, 통로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중합체가 저질화됨으로써 발생되는 개스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다이 또는 다른 장치를 파괴시키게 할 수 있게된다.
이송 물질 A, B, C는 각각 이송블록(22)의 전면(43)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두 반쪽부(45, 46)로 구성된 금속 요소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계가공이 쉬울뿐만 아니라 사용시에 세척 및 다른보수가 쉬워지게 된다. 이송블록(22)은 모든 이송 물질 A, B, C들을 최종제품에 존재하는 스택의 지향방향과 유사한 스택 지향방향으로 인접하여 있는 분리된 제 1 이송 물질들내로 이송시키도록 작용한다. 그외에도, 이송블록은 각각의 물질의 흐름을 수정시켜 유선형 및 전단평형을 이루고 있는 다른 물질들의 흐름에 대해 유선형 및 전단평형을 이루게 한다. 이것은 이송블록에 형성된 각각의 통로들을 정해진 체적의 물질의 흐름에 따라 전면적이 감소되게끔 설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질 A, B, C는 이송블록(22)을 통과하는 중에는 서로 분리 유지된다는 것을 주지해야만 한다.
제 5 도는 제 5a도 내지 제 5c도, 제 6 도, 제 6a도, 제 8 도 및 제 9 도에는 이송 물질을 이송블록(22)으로 통과시키는 각각의 수단 또는 채널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송블록의 입구(41)로 유입되는 이송 물질 B는 채널(50)을 직접 통과 하게 된다. 채널(50)은 반쪽부(45, 46)에 제공되어, 물질 B를 이송블록(22)의 출구(51)로 압출시킨다. 제 6 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51)는 이송블록(22)의 후면(52)에 제공된다.
더욱 특수하게, 채널(50)은 변화영역(53)과 랜드(land)(54)로 구성된다. 변화영역(53)에서 이송 물질 B의 단면적은 감소하게 되고 그의 형상이 변형되게 되어 있다. 유선형 흐름을 유지시키기 위해, 단면적은 감소는 갑자기 또는 단계적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유사하게, 변화영역(53)에서의 유선형 형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속도변화도 최소화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면적의 감소는 이송 물질이 매니폴드로부터 압출될때 이송 물질의 단면적이 적어도 10%정도 감소하게끔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단면적의 감소는 이송블록 출구(51)로 부터 압출되어야할 이송 물질의 체적에 따라 이루어지게되며, 그러므로 이송블록내로의 변화영역의 깊이가 증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송블록의 체적중에 더 많은 부분을 변화영역(53)이 차지하게 된다.
변화영역(53)이 끝나는 곳에서, 랜드(54)가 시작되게 된다. 랜드(54)의 전길이를 통해서, 이송물질 B의 단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어, 출구(51)의 단면적은 변화영역(53)의 끝부분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된다. 랜드(54)는 이송 물질 흐름을 최장으로 안정되게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이송블록(22)의 두께의 약 50%의 길이로 연장되게 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록 면(43, 52)으로 부터 동일하게 이격되어 그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 α는 랜드(54)를 교차할 것이다. 한편, 변화영역(53)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평면 α의 왼쪽에 위치될 것이다.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랜드(54)의 직사각형 단면이 변화영역(53)의 직사각형이 아닌 단면과 매끄럽게 이어지게 되어, 물질 흐름을 유선형으로 할 수 있게 모든 코너가 곡선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54)의 단부에서 출구(51)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룬다. 압출되는 물질의 형상은 하벽(55), 측벽(56, 57)그리고 상벽을 형성하는 제 1 중간벽(58)으로 구성된 부분(54)의 벽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제 6 도 및 제 9 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중간벽(58)은 후면(52)상에 위치하는 뾰족한 연부(59)까지 테이퍼 되어 있다. 연부(59)는 이송 물질 B와 인접층 A간의 선 분리를 유지시켜 준다.
유사하게, 이송 물질 A는 입구(40)로 유입되어 채널(60)을 통해, 이송블록(22)의 후방측에 있는 출구(61)를 통해 압출된다. 제 9 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60)은 변화영역(62)과 랜드(63)로 구성된다. 변화영역(62)은 입구(41)의 측방향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약 1/4원을 통해 상향으로 연장되어 끝나게 되며, 그 끝난 위치로부터 랜드(63)가 시작하게 되어 출구(61)에서 끝나게 된다. 채널(50)과 마찬가지로 채널(60)도 두개의 반쪽부(45, 46)에 형성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랜드(63)는 평면 α에 의해 교차되며, 변화영역(62)은 평면 α의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는 물질 A의 압출형상은 바닥을 형성하는 제 1 중간벽(58), 측벽(64, 65), 그리고 제 2 중간벽(66)에 의해 정해지게 된다. 제 2 중간벽(66)도 제 1 중간벽(58)과 마찬가지로 뾰족한 연부(68)가지 테이퍼되어 있다. 연부(68)도 연부(59)와 마찬가지로 후면(52)상에 위치되어 이송 물질 A와 인접층 C간의 선 분리를 유지시켜 준다.
이송 물질 C는 입구(42)로 유입되어 채널(70)을 통해, 이송블록(22)의 후방에 위치한 출구(71)로 압출된다. 채널(70)은 변화영역(72)과 랜드(73)로 구성된다. 변화영역(72)은 입구(42)의 측방향 위치에서 시작하여 약 1/4원을 통해 상향으로 연장되어 끝나게 되며, 그 끝난 위치에서 랜드(73)가 시작되어 출구(71)에서 끝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는 이송 물질 C의 압출형상은 바닥을 형성하는 제 2 중간벽(66), 측벽(74, 75), 그리고 상벽(76)에 의해 정해지게된다. 다른 채널과 마찬가지로 채널(70)도 반쪽부(45, 46)에 의해 형성되며, 랜드(73)는 평면 α에 의해 교차되며, 변화영역(72)은 평면 α의 왼쪽에 있는 이송블록 부분에 위치된다.
출구(51, 61, 71)의 조합된 형상은 제 6 도 및 제 6a도에서 78번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정방형을 이루며, 후면(52)에서 층 A와 B는 연부(59)에 의해 분리되며, 층 A와 C는 연부(68)에 의해 분리된다. 최종 제품에서 각각의 층 A, B, C의 폭이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의 측벽(56-57, 64-65, 74-75)간의 칫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게끔 출구(51, 61, 71)의 형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테이퍼된 제 1 , 제 2 중간벽(58, 66)들은 이송 물질 B, A, C의 흐름을 유선형으로 이루게 하면서 점차로 서로 조여지게 해준다. 또한 유선형은 이송 물질들이 이송블록(22)으로 부터 압출되기 바로전에 단지 연부(59, 68)에 의해서만 분리되게 함으로써 제공되게 된다. 유사하게, 다른 갯수의 이송 물질층을 압출하는 이송블록은 유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도록 이송물질을 이송블록으로부터 압출시키기에 앞서 연부(59 또는 68)에 의해 각각의 층을 인접층으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한다.
시이트에서 각층의 상대적인 두께 및 체적은 각각의 출구(51, 61, 71)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이송물질 C, A, B의 체적비를 일정한 비율로 유지시킬 필요는 없지만, 제 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 10% 그리고 60%로 가정했을때, 압출된 시이트에서 아주 유사한 두께비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송 물질의 체적은 한층이 전층의 체적의 약1%보다 작지 않은 한은 각각의 압출기의 이송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약 ±10%가지 변화될 수 있다. 만약 동일한 세 이송 물질간의 체적비를 상당히 다르게 해야할 경우에는, 단지 세개의 채널과 서로 다른 크기의 출구를 갖는 다른 이송블록만을 교체시키면 된다.
비록 2개 내지 12개의 이송 물질이 각층의 두께비를 서로 다르게 하면서 동일한 갯수의 채널을 통과할 수 있다하더라도, 이송 물질이 통상의 압출 다이를 통과할때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하도록 모든 물질의 체적비를 적어도 5%로 해야만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점성을 갖는 중합체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그렇지만, 층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기 쉬워, 체적비를 1%정도까지 낮게 할 수 있다.
이송블록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정방량으로 압출되는 이송 물질들은 제 3 도에서 8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단면을 갖게끔 흐름이 변화되어, 그 형태대로 직접 통상의 압출 다이로 이송될 수 있다. 변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어댑터(23)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어댑터(23)는 이송블록(22)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압출 다이가 구멍(81)을 통해 나사 어댑터에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어댑터(23)의 전방 벽(82)은 이송블록(22)의 후방과 접하게 되며 나사(44)에 의해 서로 결속되게 된다. 어댑터(23)의 전방 벽(82)에는 제 7 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정방형 입구(83)가 제공되며, 후방 벽(85)에는 원형 출구(84)가 제공된다.
입구(83)와 출구(84)사이에는 최종 변화영역(86)이 제공되어 그곳에서 각각의 층들은 제 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들의 형상은 사용되는 압출 다이의 입구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어댑터는 특정의 압출 다이에 적합한 다른 단면을 갖게끔 기계가 공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압출 다이의 입구는 원형을 가질 것이다. 층들의 압출형상에 관계없이, 변화영역(86)의 제 1 반쪽 부분내에서 이송 물질에 원형과 같은 소정의 형태를 갖게하여 이송 물질이 변화영역 86의 제 2 반쪽 부분을 통과할때 그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시 압출 장치(20)는 달리 통상의 필름 또는 시이트 압출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데, 시이트 압출 시스템에 사용될 경우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24 내지 26), 압출 다이(90), 그리고 일반적으로 92번으로 표시된 시스템으로부터 제품(91)을 압출 및 냉각시키는 적합한 장치를 포함한다. 압출장치(20)는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장치를 통해 통상적으로 10밀(0.25mm)미만의 두께를 갖는 필름 및 시이트를 압출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소정 형상의 압출을 이룰 수 있도록, 장치(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을 제공하게끔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제 6 도 내지 제 6a도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상으로 서로 다른 물질들을 배열시킬 수 있게끔 소정의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이러한 모든 가능성들에 대해 예시는 하지 않았지만,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함으로써, 그러한 것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도면에는 각각 다른 이송블록에서의 물질 A, B, C에 대한 출구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제11도에는 물질층 C를 베이스 중합체층 B의 한 측부 또는 한 연부에 위치시키게끔 압출시키도록 개조된 이송블록(22)이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층 A가 의도적으로 존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100번으로 표시된 층의 압출형상의 정방형을 이룬다. 제12도에는 작은 물질층 C가 작은 플랜지로서 제공되게 되어 있는 다른 압출형상이라, 제 9 도의 변화영역(72)보다 작은 변화영역에서 형성되게 된다. 베이스와 양 플랜지를 갖는 채널 형상으로 압출시키도록,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구 형상(102)을 갖는 이송블록이 사용되어 연속적인 베이스 물질 B와, 불연속적인 제 2 층 C와 그들 사이에 위치되는 불연속적인 접착제층 A가 형성된다. 제12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층 C 및 A를 제공하도록 더 작은 변화영역이 사용되게 된다. 층 C 및 A에 불연속성을 제공하도록 서로 분리된 다섯개의 이송기가 사용되는데, 하나는 물질 B를 이송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두쌍은 각각 물질 C와 A를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이송 물질은 각각의 이들 이송블록들로부터 적합한 어댑터 판을 통과하여 통상의 압출 다이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댑터는 이송블록으로부터의 압출형상을 압출 다이로 유입시키는데 작합한 다른 형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비록, 동일한 물질이 이송되고 최종 체품에서 여러층들의 체적비가 서로 동일하게 유지될 경우라하더라도, 스택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거나 또는 적어도 바람직하다. 예로,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20)가 도시되어 있는 제 6a도 및 제10도를 참조할때, 가장 큰 체적을 갖는 층 B가 스택의 바닥에 위치되고 층 C는 상부에 위치되게끔 층 A, B, C의 형상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만약 60%를 차지하는 층 C가 스택의 바닥에 위치되고 약 30%의 체적을 차지하는 층 B가 스택의 상부에 위치되게끔 층의 지향방향을 전환시켜야 한다면, 압출기(25, 24)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거나 다른 이송블록을 대치시켜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절차를 없애기 위해, 제 4 분리 요소인 전환기(110)가 사용될 수 있다.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된 전환기(110)는 정면(111) 및 후면(112)를 갖는 금속요소로 구성되어, 매니폴드(21)와 이송블록(22)사이에 위치되어 나사(44)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게 된다. 전환기(110)에서는 세개의 입구(113, 114, 115)가 제공된다. 압출기(26)로 부터 제 1 입구(113)로 유입되는 물질 A는 직선 채널(116) 및 출구(118)를 거쳐 이송블록(22)의 입구(40)로 직접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압출기(25)로 부터 제 2 입구(114)로 유입되는 물질 B는 채널(120) 및 출구(121)를 거쳐 이송블록(22)의 입구(42)로 직접적으로 이송되게 되며, 물질 C는 통상적으로 매니폴드(21)로 부터 직접적으로 이송블록(22)으로 이송되게 된다. 채널(120)은 상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122)과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123)으로 구성되어 물질을 입구(42)로 이송시킨다. 매니폴드(21)의 통로(32)를 통한 이송이 채널(120)을 통한 이송의 경우보다 이송 단면의 직경이 더 크다는 것을 주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송 물질 B의 단면적은 채널(120)의 제 1 부분에서 감소하게 된다.
압출기(24)로 부터 제 3 입구(115)로 유입되는 물질 C는 채널(125) 및 출구(126)를 통해 직접적으로 이송블록(22)의 입구(41)로 이송되게 되며, 통상적으로 물질 B는 직접 매니폴드(21)로 부터 이송블록(22)으로 이송되게 된다. 채널은 전환기(110)의 중앙에서 각도를 두고 전환하게 되어 있으며, 입구(41)에서 큰 직경의 이송단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입구(126)는 깔대기 형으로 확대되어 있다.
제17도 및 제18도에는 장치(2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는 개조된 이송블록 또는 전환 이송블록(130)이 사용된다. 전환 이송블록(130)은 이송블록(22)과 구조가 유사하며, 두 반쪽부(131, 132)와 전, 후면(133, 134)을 포함한다. 전면(133)에는 입구(135, 136, 137)가 제공되며, 후면(134)에는 출구(138, 139, 140)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입구 및 출구사이에는 서로 분리된 채널(141, 142, 143)이 제공되며, 이송블록(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화영역 및 랜드를 각각 포함하기 때문에, 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다.
또한, 세 채널중 채널(141)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채널(141)은 매니폴드(21)로 부터 유입되는 물질(도시되지 않음)을 직접적으로 통과시키는 변화영역(144) 및 랜드(145)를 포함한다. 채널(141)이 이송블록(22)의 채널(50)은 물론이고 다른 채널(142, 143)과 다른 것은 랜드(145)에 얇은 금속 휜(146)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휜(146)은 랜드(145)의 측벽(148 및 149)사이에 설치되며, 하벽(150) 및 상벽(151)의 전길이에 걸쳐 그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휜(146)은 물질의 흐름을 두층으로 분할시키도록 작용하는데, 서로 분할된 두층중 부층인 상층은 예로, 약 16%와 같이 대체로 50%미만의 체적을 가지며 주층인 하층은 예로 약 84%와 같이 대체로 50%이상의 체적을 갖게 된다. 압출 물질의 60%의 체적을 차지하는 층에서 60%중 10%는 부층이 차지하게 되고 나머지 50%는 주층이 차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출구(138)의 단면적은 감소되고, 그 출구는 부출구(152)와 주출구(153)로 분할된다. 더욱 특수하게, 휜(146)은 제 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질 A인 인접층과 하층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혼합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작용한다. 혼합현상은 A 및 B와 같은 층들의 체적비의 차가 10%내지 60내지 90%와같이 클 경우나 서로 인접하는 층들간의 점성차가 예로 3 : 1과 같이 높거나 그보다도 더 높을 경우에 또는 그 두 경우가 모두 해당될때 상기 층들 사이에서 혼합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혼합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최종 제품에서 층 A의 균일성이 손상되게 된다.
층들이 이송블록(130)으로 부터 압출되어 어댑터(23)로 유입될때, 출구(139)로 부터 압출되는 10% 층(A)은 출구(152)로 부터 압출되는 다른 10%층(B)과 접촉하게 된다. 이 10%층의 반대쪽 측부는 출구(153)로 부터 압출되는 더 큰 체적의 동일물질(B)과 접촉하게 되는데, 그 두층이 동일한 점성을 가지며 체적차가 너무 크지 않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서 혼합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휜(146)은 서로 다른 점성을 갖는 인접층들을 서로 조합시켜 준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휜은 요구되는 압출형상에 따라, 랜드내에서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휜은 그의 지향방향이 어느쪽으로 지향되던지 간에 완전히 랜드내에 위치되어야하며, 그의 주위를 통과하는 압출 물질의 흐름에 대해 지탱할 수 있을 정도까지 까지 가능한한 얇게하며 매끄럽게하여 유선형형성을 조장시켜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블록(130)은 이송블록(22)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두 물질 A, C가 통과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송블록(130)은 이송블록(22)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송블록(130)은 이송블록(22)대신에 장치(20)에 대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전환기(110)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적합하게 설계된 이송블록(130)에 적어도 2개 내지 12개까지의 갯수를 갖는 이송기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 이상의 휜을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시 압출 장치를 통상의 압출 시스템에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층을 갖는 제품이 쉽게 얻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복잡한 다이 이송 조립체가 사용되는 현존 시스템보다 제작비용이 적게 든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시 압출 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문에 설명된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명의 범위내에서 모든 변경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0)

  1. 통상의 압출기와 압출 다이와 함께 사용되어 적어도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는 동시 압출 장치에 있어서, 개개의 이송물질들이 그곳을 통과하는 각 흐름들로 향하게 되는 다수의 압출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 흐름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하는 이송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블록은 제 1 및 제 2 면, 공급물질의 상기 흐름들의 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면내의 입구, 각각의 독립적인 흐름의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각각의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형상으로 유도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들 사이에서 상기 이송블록을 통하과하는 채널, 상기 채널의 수에 대응하고 유도하는 각각의 이송 물질 흐름에 대한 제 1 형상을 성형하는 상기 제 2 면의 출구, 및 상기 이송블록으로부터 상기 제 1 형상을 수용하는 어댑터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는 제 1 및 제 2 면, 상기 제 1 형상을 수용하는 상기 제 1 면의 입구, 압출 다이의 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면의 출구, 및 상기 제 1 형상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접촉하는 상기 제 1 형상의 전체 외형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된 상기 입구 및 출구사이의 변화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 변화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의해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될때까지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의 형상을 상기 이송블록에 의해 형성된 상기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까지 연장하여 그곳을 통과하는 이송 물질들의 상기 흐름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흐름내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의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내에서 제 2 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제 1 ,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사익 제 1 이송 물질 흐르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시 압출 장치.
  8. 통상의 압출기와 압출 다이와 함께 사용되어 적어도 다른 두물질로부터 층으로 된 제품을 형성시키는 동시 압출 장치에 있어서, 각 이송 물질들이 그곳을 통과하는 톡립적인 흐름속으로 향하게 되는 다수의 압출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 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다수의 상기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는 이송블록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제 1 면에는 상기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흐름의 다년적을 감소시켜 각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형상으로 하는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서 상기 이송블록을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채널들중 적어도 한 채널에 휜을 제공하여 상기 분리된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물질을 두개로 분할시키며, 상기 제 2 면에 출구를 상기 채널로부터 압출되는 상기 분리된 형상의 이송 물질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시켜 각각의 상기 분리된 이송 물질들에 대한 제 1 형상을 성형시키며, 상기 이송블록으로 부터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는 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면에는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변화영역이 형성되어, 변화영역에서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접촉된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의 전체 형상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시 압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 변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의 형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휜장치가 상기 랜드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이송 물질들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흐름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에서 제 2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으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16.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송 물질을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와 압출다이가 조합되고, 각각의 이송 물질이 그곳을 통과하는 독립적인 흐름속으로 향하게 되는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는 이송블록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제공되며 제 1 면에는 입구가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독립적인 흐름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각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형상으로 만드는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상기 이송블록을 통과하는 채널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상에는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으로부터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는 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제 1, 제 2 면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혀앙의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면에는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변화영역이 형성되어, 변화영역에서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접촉된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의 전체형상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 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변화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흐름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될때까지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품.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물질들의 흐름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제 1 흐름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에서 제 2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사익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으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3.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는장치에 있어서, 이송 물질을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와 압출 다이가 조합되고, 각각의 이송 물질이 그곳을 통과하는 각 흐름속으로 향하게 되는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다수의 상기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는 이송블록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제 1 면에는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제 1 면에는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서 상기 각 흐름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상기 이송블록을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형상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채널들중 적어도 한 채널에 휜을 제공하여 상기 분리된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물질을 두개로 분할시키며, 상기 제 2 면에 출구를 상기 채널로부터 압출되는 상기 분리된 형상의 이송 물질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시켜 각각의 상기 분리된 형상의 이송물질들에 대한 제 1 형상을 성형시키며, 상기 이송블록으로부터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는 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면에는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와 출구사이에는 변화영역이 형성되어, 변화영역에서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접촉된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의 전체 형상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 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수단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 변화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 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될때까지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물질의 형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휜장치가 상기 랜드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이송 물질들의 흐름들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제 1 흐름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에서 제 2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으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810003973A 1980-10-20 1981-10-20 동시 압출 장치 KR880001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98,312 US4336012A (en) 1980-10-20 1980-10-20 Coextrusion device
US198312 1980-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272A KR830007272A (ko) 1983-10-19
KR880001779B1 true KR880001779B1 (ko) 1988-09-17

Family

ID=2273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973A KR880001779B1 (ko) 1980-10-20 1981-10-20 동시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336012A (ko)
EP (1) EP0050476B1 (ko)
JP (1) JPS57159633A (ko)
KR (1) KR880001779B1 (ko)
AU (1) AU549649B2 (ko)
CA (1) CA1159619A (ko)
DE (1) DE3176400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76B1 (ko) * 2007-08-23 2009-07-06 유상원 복합노즐을 갖는 다색사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3669A (en) * 1982-08-16 1984-11-20 Cosden Technology, Inc. Multiple-layered sheeting apparatus
DE3325017C2 (de) * 1983-07-11 1985-11-28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Preßkopf zum Herstellen von flachen zusammenhängenden Profilsträngen aus plastischen Kautschuk- oder Kunststoffmischungen verschiedener Zusammensetzung
US4533510A (en) * 1983-09-19 1985-08-06 Nissel Frank 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extruding a sheet
JPH0673900B2 (ja) * 1985-04-18 1994-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JPH0673899B2 (ja) * 1985-04-18 1994-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JPS61283521A (ja) * 1985-06-10 1986-12-13 Idemitsu Petrochem Co Ltd 多層樹脂材料の製造方法
JPH066324B2 (ja) * 1986-04-30 1994-0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層押出成形機
JPH066325B2 (ja) * 1986-05-13 1994-01-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US5052160A (en) * 1986-09-11 1991-10-01 Trayco, Inc. Tile board
US4708615A (en) * 1986-10-29 1987-11-24 The Dow Chemical Company Low pressure drop, modular coextrusion feedblock
DE3821902A1 (de) * 1988-06-29 1990-01-04 Reifenhaeuser Masch Anlage zum extrudieren eines mehrschichtigen stranges aus thermoplastifizierten kunststoffen
US5094788A (en) * 1990-12-21 1992-03-10 The Dow Chemical Company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US5094793A (en) * 1990-12-21 1992-03-10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terfacial surfaces
US5589122A (en) * 1991-10-01 1996-12-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NL9201457A (nl) * 1992-08-14 1994-03-01 Rollepaal B V Maschf De Verdeelkop voor het uit één of meer stromen geëxtrudeerd thermoplastisch kunststofmateriaal vormen van een buisvormig profiel.
CA2151958C (en) * 1992-12-18 2003-10-07 Timothy H. Ploog Extrusion die with changeable face plate
US5866265A (en) * 1996-03-08 1999-02-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 article having a surface design for high abrasion resistance
US7052568B2 (en) * 2002-10-28 2006-05-30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Tire retreading method
US6808780B2 (en) * 2002-12-23 2004-10-26 Eastman Kodak Company Low birefringence film
US20080009560A1 (en) * 2006-06-23 2008-01-10 Mckay Nicholas D Jr Articles for reducing atmospheric odors
US20080090050A1 (en) * 2006-10-13 2008-04-17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Dry top formed film
US20080099951A1 (en) * 2006-10-31 2008-05-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nular feedblock for coextruded film, and methods
CN101646544B (zh) * 2007-03-27 2012-09-12 株式会社普利司通 未硫化橡胶挤出装置及未硫化橡胶的制造方法
US20090029079A1 (en) * 2007-07-23 2009-01-29 Viskase Companies, Inc. Nylon Food Casing
US20090295028A1 (en) * 2008-05-30 2009-12-03 Rudisill Edgar 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multi-layered, multi-component filaments
US20100007043A1 (en) * 2008-07-14 2010-01-14 Viskase Companies, Inc. Multi-Tube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CN102039657B (zh) * 2009-10-26 2013-03-20 青岛科技大学 一种大型高分子制品挤出成型装置及工艺
EP2835246A1 (en) * 2013-08-05 2015-02-11 Ansa Termoplastici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xtruded plastic elements
DE102015108978A1 (de) * 2015-06-08 2016-12-08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für die Durchführung eines Materialwechsels bei einer Extrusionsvorrichtung
US11396121B2 (en) * 2018-08-20 2022-07-26 N.E.W. Plastics Corp. Extruded variegated plastic profil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779A (en) * 1937-12-16 1939-10-03 George Morrell Corp Apparatus for extruding varicolored plastics
US2456141A (en) * 1946-05-06 1948-12-14 Myerson Simon Apparatus for extrusion molding of plastic articles
US3461197A (en) * 1963-03-22 1969-08-12 Jerome H Lemelso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articles
US3464087A (en) * 1967-08-08 1969-09-02 St Regis Paper Co Multiple-channel extrusion die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thermoplastic sheet materials
US3639573A (en) * 1967-09-12 1972-02-01 Avisun Corp Method for making a multicolored split polyolefin yarn
US3559239A (en) * 1968-02-27 1971-02-02 American Can Co Multilayer extrusion die
DE1930987A1 (de) * 1969-06-19 1970-12-23 Barmag Barmer Maschf Extrusionswerkzeug zum Herstellen von Mehrschichtblasfolien
US3767338A (en) * 1971-09-03 1973-10-23 Kellog Co Apparatus for producing overland extrudates
US3876743A (en) * 1971-09-03 1975-04-08 Kellog Co Process for producing overlaid extrudates
CA1007015A (en) * 1971-09-27 1977-03-22 Walter J. Schrenk Coextrusion apparatus
US3985484A (en) * 1971-09-30 1976-10-12 Ikegai Tekko Kabushiki Kaisha Method of molding synthetic resins materials through high-pressure fluid cross-linking process and relevant apparatus
US3761211A (en) * 1972-01-17 1973-09-25 Crompton & Knowles Corp Multi-layer extrusion apparatus
US4074958A (en) * 1976-10-08 1978-02-21 Molenaar Lester V Apparatus for making a coil spring object
US4081232A (en) * 1977-02-08 1978-03-28 The Anaconda Company Fixed center tooling for an extruder that provides for concentric layers of coating material
US4144011A (en) * 1977-04-08 1979-03-13 Nrm Corporation Feedblock and die assembly
JPS547467A (en) * 1977-06-20 1979-01-20 Tokan Kogyo Co Ltd Manufacture of dual layer plastic articles
JPS5539361A (en) * 1978-09-14 1980-03-19 Tokan Kogyo Co Ltd Preparation of compound layer plastic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FR2437289A1 (fr) * 1978-09-27 1980-04-25 Ono Dispositif d'alimentation d'une filiere de fabrication de feuilles en matiere thermoplastique
DE3025564A1 (de) * 1980-07-05 1982-02-04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mehrschichtiger flachfoli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durch coextru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76B1 (ko) * 2007-08-23 2009-07-06 유상원 복합노즐을 갖는 다색사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272A (ko) 1983-10-19
EP0050476A2 (en) 1982-04-28
JPS57159633A (en) 1982-10-01
DE3176400D1 (en) 1987-10-08
EP0050476A3 (en) 1983-02-09
AU7481081A (en) 1982-04-29
AU549649B2 (en) 1986-02-06
US4336012A (en) 1982-06-22
CA1159619A (en) 1984-01-03
JPH0155088B2 (ko) 1989-11-22
EP0050476B1 (en) 1987-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779B1 (ko) 동시 압출 장치
US4405547A (en) Method of coextruding diverse materials
US45335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extruding a sheet
US3487505A (en) Laminates
US6837698B2 (en) Multilayer coextrusion die and method
US3397428A (en)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resinous composite articles
US4731004A (en) Side-by-side co-extrusion of film using multiple materials
US3559239A (en) Multilayer extrusion die
US6902385B2 (en) Blown-film extrusion die
JPH05237910A (ja) 多層管状製品の螺旋送りダイス装置
US5211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molten resin jet streams into T die
US5190711A (en) Methods for processing polymers
US5516474A (en) Thermally distinct layer coextrusion
CN102271893A (zh) 共挤出模头、使用该模头的挤出方法以及由其制成的挤出制品
US50452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xtruded plastic film with strips embedded therein of a second thermoplastic material
US5425911A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integral reclosable bag
EP03530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molten resin jet streams into T die
US3764245A (en) Apparatus for producing light structural board of thermoplastic resin
JPS63502016A (ja) モジュラー押出ヘッド
JPS6238132B2 (ko)
EP0345987B1 (en) Methods of making multiple layer sheet materials, methods of processing polymers, extrusion apparatus, polymeric sheet materials and packaging made therefrom
JPH11309770A (ja) 多層押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H06344414A (ja) 共押出多層成形方法
JPS6313730A (ja)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JPH08192452A (ja) 多層シート・フィルム成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