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42Y1 -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 Google Patents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42Y1
KR880001742Y1 KR2019840014447U KR840014447U KR880001742Y1 KR 880001742 Y1 KR880001742 Y1 KR 880001742Y1 KR 2019840014447 U KR2019840014447 U KR 2019840014447U KR 840014447 U KR840014447 U KR 840014447U KR 880001742 Y1 KR880001742 Y1 KR 880001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input
output
counter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465U (ko
Inventor
권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4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742Y1/ko
Publication of KR860008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각부 타이밍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커서확장부 CT : 카운터
FF : 플립플롭 I : 인버터
N : 낸드게이트 CP : 커서입력
본 고안은 화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커서(Cursor)의 크기를 수평축으로 임의배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CRT 터미날 등 화면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표시된 인자를 지우거나 추적하는 커서기능이 있으며, 이는 단말기 제어기가 제공하는 커서를 직접 화면에 쫓아 다니면서 추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서기능은 그 크기가 일률적인 것이므로 사용자는 한가지폭의 커서로서 사용해야 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커서기능에 만족되기 어려운 것이고,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불편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인데, 이는 기존의 커서정보 출력라인에 카운터와 플립플롭을 구비하여 소망하는 크기의 커서를 얻도록 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CRT 터미날 제어계의 커서입력(CP)라인에 커서확장부(가)를 두고 이의 출력이 모니터 출력으로 제공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커서확장부(가)는 제2도와 같이 카운터(CT)의 로드(Load)단(LD)에 인버터(I)를 거쳐 커서입력(CP) 라인을 연결하고, 카운터(CT) 출력(RC)이 낸드게이트(N)의 한 입력으로 제공되며, 상기 인버터(I) 출력이 낸드게이트(N)의 또 다른 입력으로 제공되며 그 출력이 플립플롭(FF)의 클럭단(CLK)단에 제공된다.
또 상기 플립플롭(FF)의 클럭단(CLK)은 커서입력(CP) 라인에 직접 연결하고, 이플립플롭(FF) 출력(Q)이 모니터 제어단에 가해지는 구성을 가진다.
미설명부호는 카운터(CT) 구동용 클럭펄스, A, B, C, D는 커서폭 결정용 입력단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일예로 커서폭을 16배 확장할 때는 커서확장부(가)의 카운터(CT)의 커서폭 결정용 입력단(A, B, C, D)에 논리 "H"의 정보를 인가한다.
그러면, 커서입력(CP)이 이 카운터(CT)의 로드신호로 제공되는 한편, 카운터의 16번째 클럭에서 출력단(RC)으로 발생시키고 이는 낸드게이트(N) 입력일단에 가해진다.
또, 이 낸드게이트(N) 타단은 커서입력(CP)이 반전되어 가해지므로 플립플롭(FF) 출력(Q)은 수평측으로 16배 확장된 형태로 제어전압이 모니터 제어단에 가해지는 것이다.
즉, 커서의 모니터 제어 전압은 펄스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시작하여 카운터(CT)출력의 라이징 에지에서 끝이 나므로 16배 폭이 확장된 커서가 출력되고, 이 출력은 모니터 제어단의 화면표시 정보에 합하여 수평측으로 16배 확장된 커서표시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제3도에서는 커서폭을 3배로 확장시킬 경우의 타이밍 챠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서폭을 3배로 확장시킬 경우를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카운터(CT)의 커서폭 결정용 입력단(A, B, C, D)에 3배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øø11)을 입력시키고, 커서입력(CP)이 인가되면 이때부터 카운터(CT)는 클럭펄스()를 카운팅을 시작하여 3까지를 카운팅한 다음에 카운터(CT)의 출력(RC)에서는 하이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러므로 낸드게이트(N)를 통해서 플립플롭(FF)을 클리어 시켜서 플립플롭(FF)의 출력인 최종 출력은 로우가 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에서 3배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øø11)을 인가시킨 상태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커서입력(CP)이 인가된 후 카운터(CT)에서는 3까지를 카운팅 하이 출력(RC)에서 하이신호를 한주기 동안 발생시켜서 낸드게이트(N)를 통해 플립플롭(FF)의 클리어 단자(CLR)에 반전된 신호를 인가시키므로서 플립플롭(FF)의 출력(Q)인 커서 최종 출력(CP')은 제3도의 CP와 같이 출력되므로서 3배로 확장된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커서입력(CP)이 입력된 후 카운터(CT)에 설정한 커서 결정용 입력(A, B, C, D)에 따라서 카운팅 하고 최종출력(CP')에서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카운터(CT)에서 카운팅이 끝난 후에 로우상태로 되게 하므로서 커서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의 제2도에서는 4비트 2진 카운터(CT)를 사용하였으므로서, 카운팅 할 수 있는 숫자 24=16까지 되어 커서입력(CP)의 최종출력(CP')은 16배까지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CRT 터미날 등의 화면표시장치에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크기를 수평축으로 임의배 확장시킬 수 있어서 이러한 기기의 활용가치를 크게 증대시킨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커서의 크기에 대한 결정정보와 지존크기의 커서입력(CP) 라인 및 카운터 클럭펄스(CCLK)가 제공되는 커서확장부(가)를 모니터 제어단에 연결시키고, 상기 커서확장부(가)는 커서 크기 결정 입력단(A, B, C, D)과 카운터 클럭단() 및 커서입력(CP) 라인에 인버터(I)를 거친 출력을 각기 카운터(CT), 낸드케이트(N), 플립플롭(FF)으로 연결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KR2019840014447U 1984-12-29 1984-12-29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KR880001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447U KR880001742Y1 (ko) 1984-12-29 1984-12-29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447U KR880001742Y1 (ko) 1984-12-29 1984-12-29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465U KR860008465U (ko) 1986-07-24
KR880001742Y1 true KR880001742Y1 (ko) 1988-05-06

Family

ID=1923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447U KR880001742Y1 (ko) 1984-12-29 1984-12-29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7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465U (ko) 198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742Y1 (ko) 화면표시장치의 커서폭 확장회로
US5248904A (en) Switching regulator soft start circuit
EP0251528A2 (en) Digital peak-hold circuit
US3272971A (en) Electronic count accumulator
GB1323162A (en) Mean-rate indicating apparatus
US4554536A (en) Logic timing diagram display apparatus
KR900004875Y1 (ko) Pip의 수평 윈도우 신호발생 회로
JPH0456318B2 (ko)
SU119850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чисел с допусками
SU1172008A1 (ru)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счетчик
KR920006931Y1 (ko) 홀수분주회로
KR880003262Y1 (ko) 클록신호 발생회로
SU8054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гра-ф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HA эКРАНЕ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KR910003755Y1 (ko) 프로그램 가능한 주파수 분주회로
SU993297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KR880003605Y1 (ko) 시스템클럭 변환회로
JPS6233394Y2 (ko)
JP2871787B2 (ja) 積算カウンタ
SU16007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сих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JPS5836787B2 (ja) 表示アドレス発生装置
JPS6336516B2 (ko)
SU392507A1 (ru) ^Мп::,^ГОН14ЕОКАЙ -•:'i.'/iHOTEKA
JPS6148716B2 (ko)
KR940017150A (ko) 타이머 명령 처리기
JPH03162121A (ja) パルス幅変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