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31B1 - 보강재를 가진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재를 가진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31B1
KR880001731B1 KR8200404A KR820000404A KR880001731B1 KR 880001731 B1 KR880001731 B1 KR 880001731B1 KR 8200404 A KR8200404 A KR 8200404A KR 820000404 A KR820000404 A KR 820000404A KR 880001731 B1 KR880001731 B1 KR 880001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einforcement
casing
casing elemen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869A (ko
Inventor
까레 쟝자크
르브레 로랑
Original Assignee
루시엔부룬
소시에트 아노님 디.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시엔부룬, 소시에트 아노님 디.비.에이 filed Critical 루시엔부룬
Publication of KR83000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2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1Sizing mating parts during final positional assoc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Prosthes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강재를 가진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부우스터 케이싱 요소 12 : 조립 슬리이브
13 : 편평형 고정 베이스 14 : 웨브
16 : 내면
본 발명은 제동보조 부우스터 케이싱 요소, 특히 진공식 부우스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고정나사에 가해지는 비틀림힘을 받아서 분배시키도록 하기 위한, 케이싱 요소내의 내부 보강제 설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우스터는 케이싱 내부를 2개의 챔버로 분할하는 구동피스톤을 내장하는 2개의 케이싱요소 또는 쉘로서 대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챔버중의 하나는 차량내에서 이용가능한 진공원(예컨대, 엔진의 입구 매니폴드의 진공)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챔버는 제1챔버와 또는 대기와 교대로 연이어 통하게 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된 제어봉에 의해 작동되는 3방향 밸브를 형성하는 기구가 이 스위칭을 가능하게 한다. 제2챔버를 대기와 연이어 통하게하면 구동피스톤이 변위를 일으켜 제동 주실린더가 작동한다. 주실린더는 종래 부우스터 케이싱의 축끝의 한쪽에 설치되고 유닛은 부우스터의 다른쪽 축끝에 의해 차량의 고정벽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제동력이 제이봉에 의해 축방향으로 전달될 때, 반력은 부우스터 케이싱 유닛을 경유하여 차량의 고정벽에 전달된다. 현재 시행중인 기준은 브레이크를 최초로 걸 때부터 발생되는 케이싱의 어떠한 영구변형도 배제하고 있다.
각각의 케이싱 요소내부에 보강재를 개재시키고, 이 보강재에 나사머리가 놓이게 하며 나사부분은 각각의 주실린더 또는 부우스터를 장착시키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된 장착벽에 뿐만 아니라 주실린더에 고정나사를 장착시키는 것도 또한 알려져 있다. 상기 반력은 실제로 이들 나사를 통과하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보강재는 이들 힘을 케이싱의 각각의 측면의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시킴으로써 케이싱의 변형과 나사선의 마모를 회피할 수 있게 해준다. 보강재는 경량 구조물을 가진 최신 부우스터, 특히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싱요소를 사용하는 부우스터에서 특히 잇점이 있음이 입증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강재와 협동하는 케이싱의 벽에 대한 보강재의 불량한 위치로 말미암은 케이싱의 어떠한 후속 영구신장(특히 부우스터를 가동시킬때)도 제거할 목적으로, 특히 그와 같은 보강재의 장착에 있어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조립슬리이브와, 웨브에 연결된 편평형 고정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촉상태에 있는 상기 보강재 및 상기 베이스부분들 사이에 양호한 협동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보강재가 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내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케이싱요소의 외부를 향하는 힘을 상기 보강재에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조작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보조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정의된 방법은 관련 케이싱요소가 최적화된 형성(특히 사실상 포물선 형상)을 가진 웨브를 포함할때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웨브를 스탬핑으로 예비성형한 후 상기 웨브에 그 형상 및 형성치수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특징적 조작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시 목적만을 위해서 또한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주어진 하기 설명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이점들이 보다 더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에는 다음에 설명된 방법의 실시를 위한 정위치의 부우스터 케이싱요소(1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케이싱요소는 다른 유사 케이싱요소에 적합될 조립 슬리이브(12), 편평형 고정 베이스(13), 및 슬리이브(12)를 편평형베이스(13)에 연결하는 웨브(1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웨브(14)의 최종형상은 사실상 포물선이다. 그와 같은 웨브의 이점은 본 출원인의 명의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79-15413호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환형보강재(15)는 상기한 바와같은 제동시에 발생되는 반력의 영향하에 베이스(13)가 고정나사(17) 근방에서(나사선의 마모 지점에서) 변형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베이스(13)의 내면(16)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슬리이브(12)가 주변지지체(18)상에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내면(16)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케이싱요소(11)의 외부로 향하는 소정의 크기의 힘이 상기 내면(16)위의 정위치된 보강재(15)에 가해진다.
케이싱요소의 외부로서 정의된 것은 사실2개의 비슷한 요소(11)를 조립하여 형성했을 때의 케이싱 자체의 외부인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보강재(15)의 주변과 본질적으로 협동하도록 하기 위해 제1도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 일면의 중앙부가 중공된 원판형상 드라이브(19)를 경유하여 힘이 가해진다.
상기 힘의 적용은 접촉상태에 있는 보강재(15) 및 베이스(13)의 부분들 사이에 양호한 협동을 보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한 힘의 적용으로 축방향으로 10분의 수 mm의 케이싱요소의 영구변형이 생기지만, 이러한 케이싱의 제작단계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변형은 제동시 케이싱의 완전한 탄성변형을 나중에 보장하게 해주는 것이며 이것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기준에 합치하는 것이다. 케이싱요소의 슬리이브는 2개의 보조 케이싱 요소를 후에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주변지지체(18)의 굽혀진 테두리(20)를 지난 주변지지체(18)상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는 사실을 또한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의 실시중에 기왕에 존재하는 케이싱의 상세 구조가 케이싱을 위치시키는데에 유리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는 특별히 간단하다.
제2도와 3도에 관하여 설명된 방법에서, 동일 부재는 제1도에 있어서와 같이 동일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주변지지체(18)는 소정위치의 맞닿음부(21)에 의해 보완되어 있고(즉, 맞닿음 표면(21)은 지지체(18)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로 부터 소정거리 "d"에 있음)이 맞닿음부(21)위에서 베이스(13)는 상기와 같은 조건, 즉 드라이버(19)를 지나, 보강재(15)에 가해진 힘(F)의 작용하에 적용될 수 있다. 힘(F')은 제1도에서 설명된 방법에서 보다는 그 크기가 덜 제한적이나, 이 힘은 베이스(13)를 맞닿음부(21)와 효과적으로 접촉되게 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이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된 방법은, 케이싱요소(11)를 스탬핑에 의해 원하는 형상이 아직 덜된 정도로 대략 성형한 후 설명된 본 발명을 실시하여 베이스(13)를 맞닿음부(21)와 접촉되게하는 조작을 함과 동시에 상기 웨브가 그 형상과 일정치수를 갖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한 조건하에서는, 힘(F')의 제거가 제작중에 실질적으로 보다 더 양호하게 제어된 후에, 케이싱요소(11)의 최종축방향 범위(즉( 제3도에서 거리 "X")가 설정 되었다.
본 발명은 물론 상기 2가지 변형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드라이버(19)를 없애고 고정나사(17)를 경유하여, 즉 나사머리만을 누르거나 고정나사의 나삿니 부분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함으로써 힘(F')을 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나사머리와 보강재(15)사이에 보다 더 우수한 협동이 보장되기도 한다. 이는 본 발명이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드는 사용된 방식과 등가인 모든 기술을 망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6)

  1. 주변조립 슬리이브(12)와, 상기 슬리이브(12)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간격 유지된 내면(16)을 가진 편평형 환형 중앙고정 베이스(13)와, 상기 슬리이브(12) 및 상기 베이스(13)와 일체를 이루며 상호연결되어 있는 중간 웨브(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환형보강재(15)가 상기 베이스(13)의 상기 내면(16)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제동보조 부우스터 케이싱요소를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케이싱요소(11)를 요구되는 가로치수로 예비성형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요소(11)가 상기 주변 슬리이브(12)에 의해 정지 환형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요소(11)를 상기 프레임에 위치시키는 단계, 환형 보강재(15)를 상기 베이스(13)의 상기 내변(16)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웨브(14)를 요구되는 최종형상이 되도록 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3)에 수직한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12)에 대향하여 상기 베이스(13)위에 설치되는 상기 보강재(15)에 비균일 피제어 힘(F)을 가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웨브(14)의 상기 요구되는 최종형상으로 상기 베이스(13)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3)가 조정가능한 정지스톱에 대하여 맞닿게 될 때까지 상기 보강재(15)에 상기 힘(F)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드라이버(19)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19)는 상기 보강재(15)의 상기 대향쪽의 주변부분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케이싱요소(11)를 피결합 구조체에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나사(17)를 통하여 상기 힘이 보강재(15)에 가해지도록, 상기 보강재(15)위에 상기 고정나사(17)를 장착하는 예비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요소(11)는 상기 주변슬리이브(12)가 굽혀진 테두리(20)에 의해 상기 중간웨브(14)에 연결되도록 예비성형되며, 상기 케이싱요소(11)는 상기 굽혀진 테두리(20) 구역에 의해 상기 정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8200404A 1981-02-19 1982-02-01 보강재를 가진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 KR880001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271 1981-02-19
FR8103271A FR2499924A1 (fr) 1981-02-19 1981-02-19 Procede de conformage d'un element de servomoteur avec son renfort
FR81-03271 1981-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869A KR830008869A (ko) 1983-12-16
KR880001731B1 true KR880001731B1 (ko) 1988-09-10

Family

ID=925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404A KR880001731B1 (ko) 1981-02-19 1982-02-01 보강재를 가진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445263A (ko)
EP (1) EP0060161B1 (ko)
JP (1) JPS57164850A (ko)
KR (1) KR880001731B1 (ko)
AR (1) AR226142A1 (ko)
AU (1) AU542829B2 (ko)
BR (1) BR8200853A (ko)
CA (1) CA1180172A (ko)
DE (1) DE3263216D1 (ko)
ES (1) ES8301788A1 (ko)
FR (1) FR2499924A1 (ko)
MX (1) MX157167A (ko)
PL (1) PL129408B1 (ko)
PT (1) PT74420B (ko)
RO (1) RO82947B (ko)
SU (1) SU1326188A3 (ko)
TR (1) TR22302A (ko)
YU (1) YU45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4455A (en) * 1984-09-04 1986-03-11 Allied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shell with an integral reinforcing plate
AU571785B2 (en) * 1985-09-30 1988-04-21 Jidosha Kiki Co. Ltd. Brake boos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4927A (en) * 1938-03-16 1941-06-10 Thomas J Vanstone Wheel press
US2696240A (en) * 1949-10-28 1954-12-07 Crowder John Hardin Dent remover
FR2139613B1 (ko) * 1971-05-03 1974-04-05 Dunlop Sa
DE2129547B2 (de) * 1971-06-10 1980-05-29 Mannesmann Kronprinz Ag, 5650 Solinge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benen Anlageflaeche
US3756063A (en) * 1972-04-27 1973-09-04 Grotnes Machine Works Inc Shrink forming apparatus with axial run-out tooling
DE2224027A1 (de) * 1972-05-17 1973-11-22 Ford Werke Ag Verfahren zur rund- und planlaufkorrektur von stahlblechscheibenraedern,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FR2459166A1 (fr) * 1979-06-15 1981-01-09 Dba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JPS5766062A (en) * 1980-10-01 1982-04-22 Aisin Seiki Co Ltd Attaching method for reinforcing plate of brake boo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57167A (es) 1988-10-31
AR226142A1 (es) 1982-05-31
CA1180172A (en) 1985-01-02
SU1326188A3 (ru) 1987-07-23
JPS57164850A (en) 1982-10-09
EP0060161B1 (fr) 1985-04-24
PL235120A1 (ko) 1982-10-25
ES509718A0 (es) 1983-01-16
EP0060161A1 (fr) 1982-09-15
FR2499924B1 (ko) 1985-03-08
DE3263216D1 (en) 1985-05-30
KR830008869A (ko) 1983-12-16
US4445263A (en) 1984-05-01
YU26382A (en) 1990-04-30
BR8200853A (pt) 1982-12-28
PT74420A (en) 1982-03-01
FR2499924A1 (fr) 1982-08-20
AU542829B2 (en) 1985-03-14
TR22302A (tr) 1987-01-15
AU7987682A (en) 1982-08-26
ES8301788A1 (es) 1983-01-16
RO82947B (ro) 1984-01-30
YU45858B (sh) 1992-09-07
JPH032702B2 (ko) 1991-01-16
PL129408B1 (en) 1984-05-31
RO82947A (ro) 1984-01-14
PT74420B (en) 198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298A (en) Brake booster with sealed passage for mounting
US4400942A (en) Method of connecting a master brake cylinder to a brake booster and the assembly resulting from this method
KR880001731B1 (ko) 보강재를 가진 부우스터 케이싱요소 예비성형방법
US6170618B1 (en) Brake shoe with retaining spring locked against rotation
JPH032701B2 (ko)
SU1127527A3 (ru) Вакуумный усилитель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ы автомобил
JP2002517674A (ja) 取り付けが容易なダイアフラム
US7318370B2 (en) Tie rod for booster and booster comprising such a tie rod
KR880000445B1 (ko) 진공현수형 브레이크 부우스터
US4492081A (en) Low pressure casing for a brake booster
JP5129168B2 (ja) 空気圧ブレーキブースター
US4466246A (en) Brake booster and master cylinder with mounting
KR100215142B1 (ko) 두개 이상의 원통형 슬리브를 갖는 탄성 지지체와, 지지체슬리브및, 이슬리브를 이용하여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880002072B1 (ko) 피스톤과 출력부재 사이에 힘증폭 시스템을 갖는 제동보조 서어보 모우터
US4567812A (en) Brake boosters for automotive vehicles
US4583366A (en) Vacuum brake booster
US20030116390A1 (en) Air brake diaphragms which resist pull-out
US4817500A (en) Braking assistance vacuum servomotor and process for adjusting such a servomotor
SK153694A3 (en) Actuating unit for a hydraulic vehicle braking installation
US6053090A (en) Vacuum brake power booster
JPH0445980Y2 (ko)
US5454224A (en) Brake device with rigid mounting
GB2128696A (en) Brake-booster master cylinder arrangement
US7159953B2 (en) Brake servo unit comprising a reaction disc device
KR0149781B1 (ko) 항공기 조종날개 균형추의 설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