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03Y1 - 하기용 멀칭 필름 - Google Patents

하기용 멀칭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03Y1
KR880000003Y1 KR2019820002585U KR820002585U KR880000003Y1 KR 880000003 Y1 KR880000003 Y1 KR 880000003Y1 KR 2019820002585 U KR2019820002585 U KR 2019820002585U KR 820002585 U KR820002585 U KR 820002585U KR 880000003 Y1 KR880000003 Y1 KR 880000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black
light
aph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34U (ko
Inventor
구니히꼬 가꾸다
Original Assignee
미까도 가꼬오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모도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까도 가꼬오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모도 쇼오이찌 filed Critical 미까도 가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64Insect repell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기용 멀칭 필름
제1도는 종래 필름의 1예를 표시한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필름의 1실시예를 표시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집성 곤충비래 방지용 필름층 2 : 유백색 반사 필름층
3 : 흑색 필름층
본 고안은 주로 하기에 있어서의 야채류, 밭작물류의 재배에 사용되는 지온(地溫)상승방지, 잡초발생방지 및 유시(有翅)진디증의 흡집성(吸什性)곤충비래방지에 유효한 광반사성의 하기용 멀칭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에 있어서의 멀칭에는 토중(土中)수분보지, 비료의 유출방지등을 주목적으로 하며 투명 또는 잡초방지 효과도 부여하기 위하여 흑색이나 녹색으로 착색한 두께 10-30μ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필름은 하기에 사용하였을 경우 지온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작물재배상 적당치 못한 환경조건에 있는 경우가 많았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므로써 지온의 상승을 방지하고 더우기 투과 광량을 10%이하정도까지 내려서 잡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멀칭필름이 하기의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게 되었다.
이 반사 필름을 사용하므로써 고온시에 있어서도 고원양상치(lettuce)의 평지재배, 하추(夏秋) 오이, 억제 토마토, 강남콩, 무우, 배추, 시금치등의 재배에 퍽 알맞는 조건을 조성할 수가 있어 하기에 있어서의 각종 작물의 생산이 퍽 안정화 되게 되었다.
반사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필름에 알루미늄을 증착한것(a), 알루미늄박(箔)과 폴리에틸렌 필름을 붙여 합친것(b)및 알루미늄 분말을 이겨넣은 것(c)등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중(a),(b)의 필름은 지온 상승 방지, 잡초발생방지에는 우수하나 알루미늄 증착층이나 알루미늄막은 풍우(風雨)및 태양광에 방치되면 쉽게 박리되며 또 특히 알루미늄박을 붙여 합친필름은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약해서 찢어지기 쉬운 결점이 있다.
더우기(c)의 알루미늄 분말을 이겨넣은 필름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분말을 2%이상 함유하는 두께 30μ전후의 폴리 에틸렌필름으로써 광선 투과율도 5%이하이기 때문에 잡초 발생방지 효과는 (a),(b)의 필름과 동등이지만 분말이기 때문에 경면(鏡面)반사로 되지 않고 입사 태양광의 상단한 부분을 흡수하여 필름을 승온시킨다. 이때문에 지온을 내리는 효과가(a),(b)의 필름에 비하면 퍽 떨어진다.
더우기 이들 3종류의 필름의 최대의 문제점은 종래의 멀치필름 자재에 비하여 매우 고가인 점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에는 성능적으로는 이들 필름과 동등이상이며 더우기 가격은 훨씬 싸고 종래의 멀치필름에 가까운 반사멀치 필름으로서 유백색의 반사필름층과 반사층을 투과한 광을 흡수하는 흑색필름층으로 이루어진 적층필름(소위 백흑 멀치 필름 이하동일)이 많은 재배 장소에서 사용되게 되었다.
이 적층필름은 제1도시와 같이 산화티탄 분말을 열가소성수지에 균일하게 분산한 반사필름층(2)과 카아본흑을 열가소성수지에 균일하게 분산한 흑색필름층(3)을 용착적층하고 또한 이 적층필름은 가시광선의 전광(全光)평균반사율이 30%이상, 투과율이 5%이하로서 적층필름의 전체의 두께는 10 ∼40μ, 반사필름층과 흑색필름층의 두께비가 3/7∼9/1의 것이다. 현실적으로는 성능, 가격의 점에서 열가소성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되며 두께는 20 ∼30μ 가 일반적이다. 이 백흑 멀치필름을 사용하면 잡초의 발생도 없으며 또 산화티탄 분말은 알루미늄분말과 같이 입사 태양광을 흡수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지온의 상승은 충분히 방지 할 수 있다. 더우기 산화티탄, 카아본 흑 모두 범용안료로서 값이 싸므로 상기(a),(b),(c)의 필름에 비하여 훨씬 가격적으로도 유리한 필름이다.
그러나 이 백흑필름의 최대의 결점은 유시진디 등 비루스 병매개에 관여하는 흡집성곤충의 비래를 방지할 수 없다는 점이다.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비루스병의 피해는 경시할수없다. 이 식물 비루스병을 매개시키는 것은 진디, 멸구, 파랑강충이 등 흡집구를 가진 흡집성곤충인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퇴적진디, 무우진디, 의사무우진디의 유시충은 비루스 병매개의 대표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진디의 방제(防除)는 식물체에 착생(着生)하여 흡집구를 식물체에 찔러 넣은 후에는 의미가 없다. 요컨데 식물체에 비래 착생하는 것을 방지하지 않고서는 이충매(蟲媒)전염을 미연에 방지할수는 없다. 그런데 이들의 진디류는 노랑, 초록의 색체에 강하게 유인되기 때문에 유시형진디의 발생 예찰에 황색 수반(水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이들 황색대(帶)의 주변에 알루미늄박 등의 강한 광반사대를 설치하면 이들 유시진디의 비래수를 감소시켜서 비루스병 피해를 최소한도로 방지 할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a),(b),(c),의 3종류의 필름은 반사재로서 알루미늄박, 알루미늄증착막 및 알루미늄분말을 이용하고 있으며 멀칭에 의해 진디의 비래를 방지하여 비루스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다대한 평가를 얻고 있다.
한편 백흑 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진디에 대한 비래방지효과는 거의 없다고 말할수 있다. 그 이유는 산화티탄은 가시광, 근(近)적외광선의 반사성은 높으나 그 반면 자외광선의 흡수가 강하고 유백색필름막면 반사광속에 자외광선의 함량이 극히 낮은것에 기인한다는 것이 이번 조사에서 명확하게 되었다. 따라서 진디의 광 기피요소중 자외광선의 반사가 극히 중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고안자는 이와같은 지견(知見)을 바탕으로 진디 비래 방지 가능한 반사능을 구하여 각종 필름을 시작(試作)하여 진디의 비래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생각되고 있었든 반사막보다도 극히 낮은 반사능 즉 육안적으로는 식별의 곤란한 정도의 반사제의 혼입에 의해서 재래의 강(强) 반사막과 같은 정도 이상의 기피효과를 얻을 수 있는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이 경우 반사제의 조건으로서 자외광선(파장 0.4μ 이하)를 가시광선(파장 0.4∼0.7μ)과 동등하게 반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이 진디 비래방지반사막과 상기 백흑필름을 조합시킴으로써 지온 상승방지, 잡초발생방지 및 진디등 흡집성 곤충비래방지등의 효과에 퍽 우수한 더우기 값이 싼 하기용 멀치필름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필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필름의 적층구조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집성곤충 비래방지용 필름층(1)과 유백색의 광반사 필름층(2)및 흑색필름층(3)이 1,2,3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멀칭할때는 1을 외면으로 3을 토면(土面)측으로 하여 멀칭한다. 흡집성곤충 비래방지용 필름층(1)은 열가소성 필름기재에 광반사성 물질로서 금속 분말, 또는 무기분말을 필름 1㎡당 10∼100㎎의 범위로 함유 시켜서 가시광, 근적외광선의 투과율을 50%이상으로 한 것이다.
반사제가 필름 1㎡ 당 10㎎ 이하에서는 광반사능이 지나치게 낮아서 비래방지효과가 없으며 또 100㎎ 이상에서는 가시광, 근적외광선의 투과율이 50%이하로 되어 이 층의 밑에 있는 유백색반사 필름층(2)의 우수한 광반사특성이 살릴수 없게 되어 버린다. 특히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반사제로서 양호한 알루미늄 분말을 사용하면 이층(1)에서의 태양광 흡수가 꽤 생겨서 지온 상승방지효과가 불충분하게 되어 버린다.
반사제로서는 자외광, 가시광을 동등하게 반사하는 것이 중요하며 알루미늄, 동(銅)등의 금속박분말류가 양호하며 특히 알루미늄 박말(箔末)이 반사능에 우수하고 가격도 싸서 실용상 최적이다. 또 연백(鉛白),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등의 무기분말류도 사용가능하다.
유백색반사필름층(2)과 흑색필름층(3)에 대해서는 상술한 백흑필름의 구성내용이며 유백색 반사필름층에는 산화티탄올, 흑색필름층에는 카아본혹을 열가소성수지에 균일하게 분산하여 용융적층 한것이며, 또한 가시광선의 전 광평균반사율이 30%이상, 투과율이 5%이하로 한 것이다.
반사율이 30%이하에서는 태양광의 반사가 불충분하고 지온 상승방지효과가 떨어지며 또 투과율이 5%이상으로되면 잡초발생방지가 불완전하게 된다. 즉, 산화티탄분말은 10-30중량%, 카아본 혹은 2-10중량%의 범위로 함유시키면 된다.
본 고안 필름의 두께는 성능, 가격의 점에서 10-40μ의 범위가 적당하며 각층의 두께 구성은 흡집성곤충비래방지용 필름층은 반사제 함유량이 필름1㎡당 10-100㎎의 범위로 되도록 반사제농도 (중량%)로 맞추어서 적의 설정하면 되나 제조상 3-10μ가 적당하다.
또 유백색 반사필름층과 흑색필름층은 그 두께비가 3/7-9/1의 범위내에서 적의 설정하여 하면 된다.
또 본 고안에 사용하는 열가소성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이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염화비닐수지등이 사용가능하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각층의 수지는 동일하거나 달라도 된다.
본 고안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각층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배합된 열가소성 수지 배합물을 각각 별개의 3대의 압출기로 용융혼합하여 동일 다이스에 공급하여 다이(die)내 또는 다이밖에서 각 필름층을 용착 적층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성형하는 인플레이션, 또는 T-다이에서의 다이래미네이션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물론 이것 이외의 일반적 적층법인 압출래미네이션법, 드라이래미네이션법등이라도 좋으나 인플레이션법에 의한 다이내에서 래미네이트하는 방법이 층간의접착이 좋고 제조코스트도 싸므로 바람직하다. 또 처음에 백흑 필름을 제조하여 그 유백색면에 상기 반사제를 바인더로 하여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면서 안개상(미세한 점상)으로 부착시키는 등의 처리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 필름과 종래필름을 비교시험한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1) 공시 필름
① 종래필름 가
두께20μ, 폭95㎝의 시판의 투명 폴리에틸렌필름
② 종래 필름 B
두께30μ, 폭95㎝의 시판의 알루미늄분말 농도 4중량 %인 알루미늄분말 이겨넣은 폴리에틸렌필름
③ 종래 필름 C
두께20μ, 폭95㎝의 시판의 알루미늄증착 폴리에틸렌필름
④ 종래 필름 D
폴리에틸렌 산화 티탄분말을 20중량% 함유하는 두께 17μ의 유백색 반사필름과, 카아본혹을 3중량% 함유하는 두께 8μ의 흑색필름을 용융적층하여 이루어진 폭95㎝의 시판의 소위백흑필름
⑤ 본 고안 필름 가
상기 종래필름D의 유백색반사 필름층의 위에 폴리에틸렌에 알루미늄분말 1.5중량%를 함유하는 두께 5μ의 흡집성곤충 비래방지 반사필름층을 용융적층하여 이루어진 폭95㎝의 3층 적층필름(필름 1㎡ 당의 알루미늄분말 함유량은 69㎎)
⑥ 본 고안 필름 B
본 고안 필름 가에 있어서 알루미늄분말농도가 0.8중량%인 폭95㎝의 3층필름.(필름 1㎡ 당의 알루미늄 분말 함유량은 37㎎)
⑦ 본 고안 필름 C
본 고안 필름가에 있어서 알루미늄 분말농도가 0.4중량%인 폭95㎝의 3층필름. (필름 1㎡ 당의 알루미늄 분말 함유량18㎎)
본 고안 필름가-C의 성형은 통상의 3층 다이래미 인플에이션법에 의해 전체두께 30μ로 제막(膜)한 것이다.
(2) 시험결과
이상 7종류의 필름을 한 여름(盛夏)에 밭에 멀칭하였을 때의 시험결과를 표에 종합하였다.
표에 지온, 잡초 발생상황, 유시진디 비래상황, 필름의 전광평균반사율, 투과율 및 필름 1㎡당 알루미늄 분말(흡집성 곤충 비래방지 반사제)의 함유량을 표기 하였다.
또한 표중의 투과율, 반사율은 일본 히다찌제 분광광도계에 의해 측정한 치이며 또 지온은 1980년 7월20일∼7월 24일의 5일간 측정한 치로서 측정은 지하 3㎝의 곳의 지온을 최고 최저 온도계로 측정하여 최고, 최저 온도의 평균치의 상기 기간의 평균치를 표시한 것이다.
또 시험구역 설정조건 및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다.
출원인 농장(지바껜 이찌하라시 소재)에 상(床)폭50㎝, 높이12㎝, 길이10m의 밭이랑을 만들어서 이랑면에 각각의 필름을 밀착하도록 피복하였다.
60㎝의 이랑간격을 두고 5이랑을 가지고 1공시필름의 시험구역으로 하였다. 각 공시필름시험구역 사이에는 3m의 공간을 두어서 인접필름의 영향을 피하도록 하였다. 5이랑의 중앙이랑위에 내경22㎝, 깊이8㎝의 황색폴리에틸렌제통에 수심 5㎝ 로한 수반 3개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진디의 트랩(tr가p)으로 하였다. 매일 오전 9시에 수집하여 부유하는 벌레를 흡입채집하여 70%알코올액에 의해서 고정(固定), 점경 관찰에 의해서 동정(同定), 비래마리수의 조사를 하였다.
비래조사는 7월10일∼7월17일의 8일간의 결과이며, 또 잡초의 조사는 7월10일∼8월4일의 26일간의 결과이다.
제초효과를 표시한 기호는 ○는 극히 양호, △는 보통, ×는 효과없음, ××는 퍽불량을 뜻한다.
표에 표시된 조사결과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 필름은 종래 필름 B-D (하기용 반사필름)과 동등이상의 지온상승방지, 잡초발생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반사성이 좋기때문에 알루미늄분말 이겨넣은 필름(종래필름 B)과 같이 태양광 흡수에 의한 지온을 상승시키는 일이 적으며 소위 백흑필름(종래필름 D)과 동등하다.
이것은 흡집성곤충비래방지용 필름층에 함유되어 있는 반사제(알루미늄분말)가 극히 소량이기 때문에 유백색 필름층의 산화티탄의 강한 반사능이 살려져 있기 때문이다.
또 종래 필름 D(흑백필름)에서 문제였던 유시 진디등의 미래를 방지할 수 없다고 하는 큰 결정은 흡집성 곤충비래방지용 필름층의 적층에 의해 다른 반사필름(종래필름 B, C)과 동등하게 개량되었다는 것이 명확하다.

Claims (1)

  1.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반사필름층(2)과 카아본 흑을 함유하는 흑색필름층(3)을 용융적층하고 더우기 가시광선의 전광(全光)평균 반사율이 30%이상, 투과율이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 2층(層)필름에 자외선 반사능이 높은 광반사제를 필름 1㎡당 10-100㎎ 함유하는 유시(有翅)진디등, 비루스명 매개에 관여하는 흡집성곤충비래방지용필름층(1)을 1, 2, 3의 순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3층구조의 하기용 멀칭필름.
KR2019820002585U 1981-08-28 1982-04-03 하기용 멀칭 필름 KR8800000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28442 1981-08-28
JP1981128442U JPS5833226U (ja) 1981-08-28 1981-08-28 夏期用マルチングフイ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34U KR830003434U (ko) 1983-12-26
KR880000003Y1 true KR880000003Y1 (ko) 1988-03-08

Family

ID=299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585U KR880000003Y1 (ko) 1981-08-28 1982-04-03 하기용 멀칭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33226U (ko)
KR (1) KR8800000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7993B2 (ja) * 2005-06-10 2010-07-21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農園芸用覆土フィルム
JP6200131B2 (ja) * 2012-03-28 2017-09-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マーシート、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890807B2 (ja) * 2013-08-12 2016-03-22 みかど化工株式会社 農業用多層マルチフィルム
JP6060249B2 (ja) * 2015-12-17 2017-01-11 みかど化工株式会社 農業用多層マルチフィルム
JP6883411B2 (ja) * 2016-11-29 2021-06-09 岩谷マテリアル株式会社 育苗用被覆資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30927Y2 (ko) 1987-08-08
JPS5833226U (ja) 1983-03-04
KR830003434U (ko) 198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683B1 (ko) 해충 퇴치용 멀칭 필름
CN101910884A (zh) 具有太阳辐射防护性的聚合物覆盖物
IL34257A (en) Sheet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for use as a cover for greenhouses and the like
KR880000003Y1 (ko) 하기용 멀칭 필름
KR950003265B1 (ko) 방충용 필름 또는 시트
JPH0655462B2 (ja) 積層有孔フイルム
US5270102A (en) Plastic sheeting preventing water droplet formation on its surface
CN108094006B (zh) Pe地膜
JPS62122545A (ja) 害虫忌避フイルムまたはシ−ト
JPH0247014Y2 (ko)
US20090133325A1 (en) Cover for deflecting light and minimizing heat absorption by a body
JPS58146216A (ja) 農業用被覆材
JP6060249B2 (ja) 農業用多層マルチフィルム
JPH0626143Y2 (ja) マルチングフイルム
JPH09248069A (ja) 防虫マルチフィルム
JPH01269534A (ja) 積層体
JPS62265927A (ja) 害虫忌避マルチングフイルム
GB2240745A (en) Improved mulch film
JPH03262419A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JPH0551562B2 (ko)
KR850002674Y1 (ko) 농업용 플라스틱필름
JPS62272928A (ja) 農業用マルチフイルム
US20030172585A1 (en) Electromagnetic reflective plastic mulch film
JPH0693816B2 (ja) 農業用害虫防除フイルム
JPH01139257A (ja) 農業用マルチングフィル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