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4092Y1 -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4092Y1
KR870004092Y1 KR2019860009589U KR860009589U KR870004092Y1 KR 870004092 Y1 KR870004092 Y1 KR 870004092Y1 KR 2019860009589 U KR2019860009589 U KR 2019860009589U KR 860009589 U KR860009589 U KR 860009589U KR 870004092 Y1 KR870004092 Y1 KR 870004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garment
fastener
slide
lowes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566U (ko
Inventor
유키오 다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4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52Securing the interlocking members to stringer tapes while making the latt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33Punching, piercing or reaming part by surface of second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26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randomly actuated stopping or disabling means
    • Y10T29/53035Responsive to operative [e.g., safety devic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3Means to drive self-piercing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구체화 한 파스너 조립장치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가아드에 대한 확대 사시도.
제3도는 개선된 가아드에 대한 제2도와 유사한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다수의 의복용 파스너가 본 장치에 의해 부착되는 의복의 도식도로서, 제5도에 나타나며,
제5도는 의복용 파스너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제1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6도는 안전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제1도와 유사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1파스너 엘레멘트 B : 제2파스너 엘레멘트
C : 의복용천 1 : 장치
2 : 상부유니트 3 : 하부유니트
4 : 지지부 5 : 펀치
6 : 파지부재 7,7' : 안전확인부재
8 : 제 1플랜지 9,9' : 슬라이드
10,10' : 압압기 10a : 슬릿
11 : 푸셔(pusher) 12 : 리미트스위치
12a : 작동기 13 : 제1압축스프링
14,14' : 덮개 14a : 제2플랜지
15 : 핀 16 : 제2압축 스프링
17 : 다이 18,18' : 구멍
19 : 정지구 20 : 플런저
21 : 수직기부
본 고안은, 스냅(snap) 파스너, 단추, 및 장신구등과 같은 의복용 파스너의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사이에 의복용 천을 놓고 그 파스너 엘레멘트들을 조립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종래 파스너 조립장치에 있어서, 의복용 파스너의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들은 하부 혹은 다이유니트와 상부 혹은 펀치 유니트에 각각 지지된다. 상부 유니트의 펀치는 하부 유니트의 다이를 향해 이동되어 2개의 파스너 엘레멘트들을 결합시켜 의복용 천이 2개의 파스너 엘레멘트 사이에 끼이게 된다. 그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작업자의 손 혹은 공구가 다이와 펀치 사이에 부주의로 끼이게되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전확인 부재가 펀치 주위에 배치되어 다이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최고 위치와, 다이 근처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 때 안전확인 부재가 다이 주위에 배치되는 최저 위치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안전확인 부재를 갖는 개선된 파스너 부착 장치가 제안되었다. 안전확인 부재가 최저위치에 도달할때, 탐지수단은 지시신호를 발생시켜 펀치를 다이쪽으로 하향시키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종래의 장치도 결점이 있는데 이는 안전확인 부재가 펀치보다 빨리 하향되어, 의복용 파스너의 고속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복용 파스너의 부착속도를 감소시키지 않고도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주는 안전장치로 구성되는 파스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스너 조립장치는 안전확인 부재와 다이 사이의 간격이 의복용 천의 두께와 거의 같은 최저 위치에 정상시 배치되는 수직가동 안전확인 부재로 구성된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최저 위치에서 안전확인 부재는 리미트 스위치를 폐쇄상태로 유지하여 펀치의 구동장치에 계속해서 전력을 공급한다. 작업자의 손 혹은 공구가 안전확인 부재와 다이 사이의 간격에 부주의로 끼이게 되면, 안전확인 부재는 들려져서 리미트 스위치는 개방되고 펀치에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한 쌍의 제1 및 제2파스너 엘레멘트(A)(B)(가상선으로 도시함)를 의복용 천(C)(가상선으로 도시함)에 함께 결합시키는 장치(1)를 도시한다. 장치(1)는 대략 상부 혹은 펀치 유니트(2)와 하부 혹은 다이 유니트(3)로 구성되며, 상부 및 하부 유니트(2)(3)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서로 대향되게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파스너 엘레멘트(A)(B)는 각각 버튼(button)과 택(tack)을 포함한다. 버튼(A)은 헤드와 그로부터 동심으로 돌출된 단부를 포함하며, 택(B)은 헤드와 그로부터 동심으로 돌출된 침부(針部)를 포함한다.
하부 유니트(3)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의해 고정지지된 기부(도시되지 않음)와, 기부에 지지되고 침부가 위로 향해있는 제2파스너 엘레멘트(B)의 헤드를 그 상부 단부면에 지지하는 다이(17)로 구성된다.
상부 유니트(2)는 도시안된 프레임 및 수직구멍(21)과 일체인지지부(4), 및 적당한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작동적으로 연계되고 지지부(4)의 수직 구멍(21)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원형 단면의 플런저(20)를 포함한다. 상부 유니트(2)는 또한, 플런저(20)의 하부 단부에 이르고 단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제1파스너 엘레멘트(A)를 고정시키는 한쌍의 파지부재(6)(6)와 플런저(20)의 하부 단부에 고정되고 플런저(20)의 왕복운동에 따라 다이(17)로부터 떨어지거나 혹은 가까와지도록 이동되어 제1파스너 엘레멘트(A)를 제2파스너 엘레멘트(B)로 압입시키는 펀치(5)를 포함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 장치(1)는 안전확인 부재(7 : 제1도,2도,5도 및 6도)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갖는데, 안전확인 부재(7)는 지지부(4)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정상시 제1압축스프링(13)에 의해서 그 최저위치(제1도 및 제5도)로 밀린다.
안전확인 부재(7)는 상부 단부에 플랜지(8)를 갖는 슬라이드(9)와, 슬라이드 (9)에 부착된 천 압압기(1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9)는 수직 접동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4)에 지지되며 정상시 제1압축 스프링(13)에 의해서 하측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슬라이드(9)의 하향운동은 정지구 (19)에 의해서 슬라이드(9)의 하부 단부와 하부 유니트(3)의 상부 단부면 사이의 간격정도로 제한되며, 정지구(19)는 지지부(4)에 고정된다. 나사모양의 푸셔(11)는 상부 단부면 사이의 간격정도로 제한되며, 정지구(19)는 지지부(4)에 고정된다. 나사모양의 푸셔(11)는 슬라이드(9)의 제1플랜저(8)에 조정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슬라이드(9)가 그 최저위치(제1도 및 제5도)에 있을 때 리미트스위치(12)의 작동기(12A)를 누른다. 작동기(12A)가 눌려지면, 리미트스위치(12)는 폐쇄되어 플런저(20)를 하향시키는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계속 동력이 공급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판(도시되지 않음)은 밟아 플런저(20)의 구동을 작동시키면, 펀치(5)는 낮아져 제1 및 제2파스너 엘레멘트(A)(B)를 연결시키며 의복용 천(C)는 그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천 압압기(10)는, 슬라이드(9)가 그 최저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9)의 하부 단부와 수평으로 일직선 정렬되어 의복용 천(C)을 하부 유니트(3)의 상부 단부면을 향해 누르는 하부 단부면을 갖는다. 천 압압기(10)는 펀치(5)와 파지부재(6)(6)가 수직 운동되도록 중공부를 한정하는 대략 C-형 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천 압압기(10)의 최소한 한 정면벽을 투명하게 만들어, 작업자는 의복용 파스너가 의복용 천(C)에 부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 대신에, 천 압압기(10)의 정면벽은 불투명하여도, 제2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슬릿(10a)을 갖으면 된다.
안전확인 부재(7)가 최저위치(제1도 및 제5도)에 있을 때, 예를들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확인 부재(7)와 하부 유니트(3) 사이의 간격속으로 부주의로 삽입되면, 천 압압기(10)와 함께 슬라이드(9)는 제1압축스프링(13)의 편향에 대해 상승되어, 푸셔(11)를 리미트 스위치(12)의 작동기(12A)로부터 이탈시킨다. 결과적으로, 리미트 스위치(12)는 개방되어 플런저(20)의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원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조건에서 발판(도시되지 않음)을 밟는다해도, 플런저(20)의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펀치(5)의 하향운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천 압압기(10)의 개방측면(슬라이드(9)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측면)은 정상시에 덮개(14)(제1도,2도,5도 및 제6도)로 덮혀있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천압압기 (10)의 중공부에 부주의로 삽입되지 못하게 하며 또한 펀치(5)에 의해 부딪치지 못하게 된다. 덮개(14)는 그 상부 단부부분에 핀(15)에 의해 지지부(4)에 피봇연결되며, 정상시 제2압축스프링(16)의 작용으로 핀(15)의 중심에 반시계방향으로 덮개(14)를 피봇운동시키는 제2플랜지(14A)를 그 상부 단부에 갖는다. 제2압축스프링(16)은 비교적 약해서, 의복용 파스너가 의복용 천(C)에 고정된 후 의복용 천(C)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당겨지면, 덮개(14)는 제2압축스프링(16)의 편향에 대해서 핀(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봇운동한다. 따라서, 덮개(14)는 다수의 파스너 엘레멘트가 의복용 천(C)에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복의 제작 속도에 손상을 끼치지 않는다.
제3도는 슬라이드(9'), 천 압압기(10') 및 덮개(14')가 서로 일체로 되어있는 개선된 안전확인 부재(7')를 도시하며 덮개(14')는 제1파스너 엘레멘트(A)가 통과는 구멍(18')을 그 하부단부에 갖는다.
작동시, 의복용 천(C)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확인 부재(7)와 하부 유니트(3) 사이에 놓이게 되며, 그때 천 압압기(10)와 함께 슬라이드(9)는 제1압축스프링(13)의 편향하에 그 최저위치로 유지된다. 슬라이드(9)가 그렇게 최저 위치로 유지되는 동안, 슬라이드(9)의 제1플랜지(8)에 장착된 푸셔(11)는 리미트 스위치(12)의 작동기(12a)를 눌러서 플런저(20)의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판(도시되지 않음)을 밟아 플런저(20)의 구동장치(도시되지않음)를 작동시키면, 펀치(5)는 하향되어 제1 및 제2파스너 엘레멘트(A)(B)를 서로 결합시키게되어 그 사이에 의복용 천(C)이 끼이게 된다.
의복용 파스너가 그와같이 의복용 천(C)에 부착된 후 의복용 천(C)을 좌측으로잡아당기면, 덮개(14)의 하부단부는 부착된 제1파스너 엘레멘트(A)의 헤드에 의해 밀려지기 때문에, 덮개(14)는 제2압축 스프링(16)의 편향에 대해서 핀(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봇운동 한다. 덮개(14)는 제1파스너 엘레멘트(A)가 그와 같이 통과하도록 하기 때문에, 본 장치(1)는, 다수의 의복용 파스너가 연속적으로 의복용 천(C)에 부착되어야 하는 데님(denim)과 같은 의복(제4도)을 제작할 때 적당한 생산 속도를 제공한다.
안전확인 부재(7)가 그 최저위치(제1도 및 제5도)에 있을 때, 만약 예를들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확인 부재(7)와 하부 유니트(3) 사이의 간격에 부주의로 삽입되면, 천 압압기(10)와 함께 슬라이드(9)는 제1압축스프링 (13)의 편향에 대항하여 수용되며, 리미트 스위치(12)의 작동기(12a)로부터 푸셔 (11)를 분리시킨다. 따라서, 리미트 스위치(12)는 개방되고 플런저(20)의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력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판(도시되지 않음)을 밟아도, 플런저(20)의 구동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즉, 펀치(5)의 하향운동이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부주의로 삽입된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가 펀치(5)에 의해 부딪치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의복용 천(C)을 한 쌍의 파스너 엘레멘트(A)(B) 사이에 배치시켜 의복용 파스너의 상기 한 쌍의 파스너 엘레멘트(A)(B)를 조립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a) 프레임, (b)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파스너 엘레멘트들 중 한 엘레멘트(B)를 지지하는 다이(17), (c)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다이(17)에 대향하여 다른 파스너 엘레멘트(A)를 지지하는 펀치(5)를 운반시키는 수직 가동 플런저(20), (d) 상기 2개의 파스너 엘레멘트(A)(B)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플런저(20)와 상기 펀치(5)를 상기 다이(17)로 부터 멀어지도록 또는 가까와지도록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e) (1) 상기 프레임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안전확인 부재(7)로서, 상기 안전확인 부재(7)와 상기 다이(17) 사이의 간격이 의복용 천(C)의 두께와 거의 같은 최저위치에 정상시 배치되고, 상기 안전확인 부재(7)와 상기 다이(17) 사이의 간격속으로 장애물이 부주의로 삽입될 때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안전확인 부재(7)와, (2) 상기 안전확인 부재(7)가 상기 최저위치에 있을 때 정상시 폐쇄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전력을 계속 공급시키는 제한 스위치(12)로서, 상기 안전확인 부재(7)가 상기 최저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할 때 개방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전력공급을 중단시키는 리미트 스위치(12)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로 구성되는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고 제1압축스프링(13)에 의해 상기 최저 위치를 향해 하향으로 정상시 눌려지는 슬라이드(9)로서, 상기 슬라이드(9)가 상기 최저 위치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리미트 스위치(12)의 작동기(12a)를 누르는 푸셔(11)를 수행하는 슬라이드(9)와, 상기 펀치(5)가 통과하는 중공부를 한정하고 상기 슬라이드(9)의 하부단부에 수평 일직선으로 정렬된 하부 단부면을 갖는 천 압압기(10)로서, 상기 슬라이드(9)가 상기 최저위치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다이(17)에 대해 의복용 천(C)를 가압시키고 상기 슬라이드(9)와 함께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천 압압기(10)를 상기 안전확인 부재(7)가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 압압기(10)는, 의복용 파스너가 의복용 천(C)에 부착된 후 의복용 천(C)을 잡아 당길때 한 파스너 엘레멘트(A)가 통과하는 수직 측면 구멍을 포함하는 대략 C형 단면을 가지며 정상시 상기 수직 측면 구멍을 패쇄시키고 의복용 천(C)을 잡아당김으로써 한 파스너 엘레멘트(A)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상기 수직 측면 구멍을 개방시키는 덮개(14)를 상기 안전장치가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4)가 상기 프레임에 의해서 피봇 지지되고 제2압축스프링(16)에 의해서 상기 천 압압기(10)에 대해 정상시 눌려 있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 압압기(10)의 최소한 정면벽이 투명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 압압기(10)가 최소한 그 정면벽에 슬릿(10a)를 갖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9') 및 상기 천 압압기(10')가 서로 일체로 되어있고, 상기 천 압압기(10')가 상기 슬라이드(9')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덮개(14')의 하부단부에 구멍(18')을 갖는 장치.
KR2019860009589U 1985-07-10 1986-07-04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KR8700040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185 1985-07-10
JP1985105185U JPH0232650Y2 (ko) 1985-07-10 1985-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566U KR870001566U (ko) 1987-03-12
KR870004092Y1 true KR870004092Y1 (ko) 1987-12-21

Family

ID=1440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589U KR870004092Y1 (ko) 1985-07-10 1986-07-04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98905A (ko)
EP (1) EP0208317B1 (ko)
JP (1) JPH0232650Y2 (ko)
KR (1) KR870004092Y1 (ko)
AU (1) AU576967B2 (ko)
DE (1) DE3676572D1 (ko)
HK (1) HK57393A (ko)
MY (1) MY100997A (ko)
SG (1) SG420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11Y2 (ko) * 1986-08-05 1991-03-19
DE4211276C2 (de) 1992-04-03 1997-08-28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Haltevorrichtung zum Halten, Führen und Freigeben eines Fügeteils, wie z.B. einer Mutter
JP2537135B2 (ja) * 1994-02-10 1996-09-25 有限会社新城製作所 ピアスナット打込み装置
DE4447620C2 (de) * 1994-06-10 2003-01-23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Haltefinger und Setzkopf mit mehreren solchen Haltefingern
DE4431948A1 (de) * 1994-09-08 1996-03-14 Prym William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nsetzen von Nieten, Knöpfen oder dergleichen
US5802704A (en) * 1994-09-26 1998-09-08 Woody; D. Scott Hooping machine
US5592733A (en) * 1994-11-16 1997-01-14 Haeger, Inc. High production hardware insertion press incorporating operator and tool protection systems and apparatus
US5560466A (en) * 1995-03-31 1996-10-01 The Whitaker Corporation Safety guard system for machine having a ram
WO1996040470A1 (en) * 1995-06-07 1996-12-19 Multifastener Corporation Retaining device for assembly parts
US6631827B2 (en) * 2002-03-01 2003-10-14 Fabristeel Products, Inc. Fastener feed and installation head
US6912776B2 (en) * 2003-06-24 2005-07-05 Fabristeel Products, Inc. Pierce nut installation apparatus
US9265294B2 (en) * 2009-05-15 2016-02-23 Cohaesive Garment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ffixing hardware to garments
CN111227405B (zh) * 2020-03-24 2021-12-24 临沂边锋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往复运动保持等距且节约能源的自动钉扣装置
KR102664083B1 (ko) * 2024-02-21 2024-05-08 티피 주식회사 펀칭 및 조립 구조를 갖는 스냅 조립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157A (en) * 1974-11-15 1976-05-21 Yoshida Kogyo Kk Suraidofuasunaano tomegutoritsukeki niokeru tomegutoritsukepanchinosadoseigyohohotosono sochi
US4090652A (en) * 1977-01-24 1978-05-23 Rau Fasteners, A Division Of U.S. Industries, Inc. Snap fastener attaching system
US4391358A (en) * 1980-11-05 1983-07-05 Haeger Virgil J Hardware press and punch apparatus
DE3313351A1 (de) * 1983-04-13 1984-10-18 William Prym-Werke Kg, 5190 Stolberg Nietpresse zur befestigung eines hart-kurzwarenartikels, wie eines druckknopfs, an einer traegerbahn
JPS6089224U (ja) * 1983-11-22 1985-06-19 日本ノーシヨン工業株式会社 安全機構を設けた釦加工装置
US4586248A (en) * 1984-09-20 1986-05-06 Ho Kwang Liang Safety device for arbor of fasten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930186A (en) 1987-01-15
JPS6215525U (ko) 1987-01-30
US4698905A (en) 1987-10-13
HK57393A (en) 1993-06-18
EP0208317A2 (en) 1987-01-14
SG42093G (en) 1993-06-11
EP0208317A3 (en) 1987-09-09
DE3676572D1 (de) 1991-02-07
MY100997A (en) 1991-06-29
EP0208317B1 (en) 1990-12-27
KR870001566U (ko) 1987-03-12
JPH0232650Y2 (ko) 1990-09-04
AU576967B2 (en) 1988-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4092Y1 (ko) 한쌍의 파스너 엘레멘트 조립장치
KR880000596Y1 (ko) 의류 파스너 조립장치
CN207787551U (zh) 一种电动冲床误动作保护装置
ES8506434A1 (es) Mejoras en los aparatos de ensamblar elementos sujetadores para prendas y similares
CN214685114U (zh) 压装设备
CN217012923U (zh) 一种钉扣机的防护装置
US4644629A (en) Embroidery framing method
EP0137484B1 (en) Positioning device for button setting machines
CN214055597U (zh) 一种自动扎孔机
CN220557479U (zh) 一种安全型服装打扣机
JPH0484988A (ja) 縫製装置
JP2000343298A (ja) プレス機械のガード式安全装置
JPH0248360B2 (ko)
JPH0593695U (ja) プレスの操作盤
CN213585863U (zh) 一种家用电梯用紧急通话装置
EP0253387B1 (en) Automatic fastener assembling apparatus
US4757589A (en) Apparatus for removing fastener members from a garment fabric
CN216998790U (zh) 一种工服布料钉扣装置
JPH0240957Y2 (ko)
CN220631182U (zh) 一种具有布料张紧功能的全自动打扣机
CN211801684U (zh) 一种智能离心机
JPH08128593A (ja) プレス機の安全装置
KR20020032844A (ko) 리벳팅 프레스의 안전장치
JPH084272Y2 (ja) 操作ボックス
KR860001476Y1 (ko) 스냅 단추달이 프레스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