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459Y1 -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 Google Patents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459Y1
KR870003459Y1 KR2019850011968U KR850011968U KR870003459Y1 KR 870003459 Y1 KR870003459 Y1 KR 870003459Y1 KR 2019850011968 U KR2019850011968 U KR 2019850011968U KR 850011968 U KR850011968 U KR 850011968U KR 870003459 Y1 KR870003459 Y1 KR 870003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ill
slider
vertica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980U (ko
Inventor
조명철
Original Assignee
조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철 filed Critical 조명철
Priority to KR2019850011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459Y1/ko
Publication of KR870004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459Y1/ko

Links

Landscapes

  • Tur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해 공작물에 수직홈을 절삭하는 상태도.
제5a도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핸들로서 조절하는 상태도.
제5b도는 핸들의 후진 이동으로 풀리체에 의해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상태도.
제6a, b도는 공구대의 확대 반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이트 3a, 4a, 8, 35, 35', 36 : 베벨기어
4 : 구동축 4' : 연동축
5 : 풀리체 6, 9 : 치차
7 : 접동축 10 : 실린더
10a : 가이드공 14 : 리이드축
15 : 리프트간 20 : 슬라이더
21 : 공구대 22 : 유도간
23 : 피스톤대 30 : 핸들간
본 고안은 밀링기에서 절삭되는 가공물을 수직 상태로 절삭할 수 있도록 하는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밀링기는 주로 평면 절삭 작업만을 할 수 있어 공작물을 수직으로 절삭하고자 할 때에는 슬로터(Slotter)를 이용해야만 했던 것으로 공작물을 옮겨야하는 번거러움과 고정시키기 위한 소요시간의 낭비로 생산성이 효율적이지 못하였고 고정 조건의 변위에 따라서 가공 상태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폐단이 있으므로 결국 생산성과 제품의 정밀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풀리체의 회동을 슬라이더에서 변위시켜 바이트가 수평선상으로 회동되게 구성하며 그 상태에서 핸들간의 조작으로 슬라이더에 상하 이송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되 핸들간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가 수동 및 자동으로 슬라이드 되게 하여 평면 절삭하는 밀링기에서 공작물을 가공한 상태에서 키홈, 치차, 수직면등의 수직 절삭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생산성 및 공작물의 정밀도를 향상 시키도록 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로 통상의 밀링기 후두부의 공간에 부착시키는 본 고안은 장치의 구성을 형성시키기 위해 판상의 물체로 연결판(13)을 구성하며 장치의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하단 위치에 형성시킨 고정대(12)로서 실린더(10)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추었다.
실린더(10)의 상부에는 주연에 치차(6)를 형성하고 벨트홈을 구비한 풀리체(5)가 베어링(B)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되는 구성을 갖추며 실린더(10)의 하단으로는 피스톤대(23)와 유도간(22) 및 공구대(21)로서 구성되는 슬라이더(20)를 형성하되 이들에 형성시킨 나사부(24)(24a)에 의해 서로 분리 결합되는 구성을 갖추게 하고 피스톤대(23)를 실린더(10)의 내경으로 삽입시키어 리이드축(14)과 연결되게 구성한다.
리이드축(14)과의 연결구성은 리이드축(14)에 나사식으로 결합시킨 리프트간(15)의 일측이 피스톤대(23)에 고정되게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10)에는 리프트간(15)이 끼워지게 하고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공(10a)이 수직상태로 절개된 구성을 갖춘다.
리이드축(14)은 실린더(10) 상하에 구성시킨 괘지간(11) 사이에서 유설되게 구성하되 축단에는 베벨기어(35)가 고정되도록 한 구성을 갖추었고 접동축(7)은 리이드축(14) 상부에 설치하여서 상단에는 풀리체(5)의 치차(6)와 맞물리게한 치차(9)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베벨기어(8)가 축 고정된 구성을 갖추되 베벨기어(8)의 직경은 근접한 베벨기어보다 작게하고 리이드축(14)의 중심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한다.
접동축(7)과 리이드축(14)의 베벨기어(8)(36) 사이에 핸들간(30)의 베벨기어(35)(36')를 구성시키되 제5도에서와 같은 상태로 설치하되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축(34)에 고정되게 구성한다.
핸들축(34)은 안내구(32)를 통하여 파지간(31a)이 구성된 핸들(31)에 고정되게 구성하여서 전후 이동되는 상태에서 좌우 회동되도록 한다.
슬라이더(20)의 유도간(22)은 절삭 상황에 따라 굵기에 따른 교체를 할 수 있도록 나사부(24)가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구동축(4)과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연동축(4')이 선단에 베벨기어(4a)를 구성한채 베어링(B)으로 괘지되게 하여서 공구대(21)의 베벨기어(3a)와 치합되게 구성한다.
공구대(21)는 나사부(24a)에 의해 유도간(22)에서 결합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통공(21a)을 관통시켜 양단에 베어링(B)이 구성되는 베벨기어(3a)의 베벨기어축(3)을 설치하고 베벨기어 선단에서 통상의 바이트(1)가 나사산(1a)에 의해서 결합 분리되는 구성을 갖추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통상의 밀링기 후두부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부착된 상태에서 밀링기에는 수평절삭 기능과 수직기능이 부여되어 다양한 작업을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상태 즉, 수직홈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그 과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것이고 가공물에 따라 적절한 절삭 상태가 제공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중의 연결판(13)을 밀링기의 후두부에 볼트로서 고정되게한 후 상단의 풀리체(5)에 모터의 긴장 벨트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인가시키면 회전하는 풀리체(5)의 구동축(4)에서는 수직 회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구동은 평면절삭 후 밀링의 두부를 회전시켜 공작물에 후두부가 위치한 상태인 것으로 모터에 의한 수직 회전력은 공작물의 평면이외의 면 즉, 공작물의 측면이나 내공 및 내경의 수직면을 절삭할 수 없는 것으로 수평 회전력을 얻기 위하여 연동축(4')과 바이트(1) 사이에는 베벨기어(3a)(4a)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동축(4)의 동력은 공구대(21)의 베벨기어(3a)를 통하여 바이트(1)를 회전시킨다.
이때 바이트(1)는 수평선상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수평으로 회동하는 바이트(1)에 의해 공작물의 수직면 또는 수직선상의 절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수직 왕복 운동을 전달받아야만 하므로 파지간(31)을 잡고서 핸들간(30)을 조작하여 주면 베벨기어(35)(36)를 통하여 리이드축(14)이 회전하게 되며 이러므로 리프트간(15)은 리이드축(14)에서 이송되고 리프트간(15)의 이송력은 슬라이더(20)로 전달되는 것으로 이때 핸들(31)을 회전시켜주면 실린더(10)내의 피스톤대(23)가 하향 슬라이딩 되는 것이어서 결국 슬라이더(20)는 실린더(10)에서의 수직이동 상태를 발휘함과 동시에 공구대(21)의 바이트(1)는 수평회전하게 되어 공작물의 측면이나 또는 내공을 수직으로 절삭하는 기능이 밀링에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에서 슬라이더(20)의 상하 왕복 이송은 핸들간(30)이 제5a도와 같은 상태일 경우에는 슬라이더(20)의 이송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5b도와 같은 상태일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핸들간(30)이 제5b도와 같은 상태로 이동되면 후측의 베벨기어(35')가 리이드축(14)의 베벨기어(36)에 치합됨과 동시에 접동축(7)의 베벨기어(8)와 치합되어서 풀리체(5)의 구동력은 접동축(7)을 통하여 리이드축(14)으로 전달되므로 리프트간(15)이 이송에 따라 슬라이더(20)는 하향슬라이딩 되어 수평 회동되는 바이트(1)로 공작물의 가공면을 적살하고 모터의 역 구동으로 다시 상향 슬라이딩 되는 것이어서 자동 절삭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핸들간(30)의 상태를 제5a도와 같이 하게 되면 슬라이더(20)의 상하향 슬라이딩을 인위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어 공작물의 대상에 따라 여러 조건의 바이트 이송을 제공할 수 있어 키이홈, 사각홈, 수직면 및 치차 등의 가공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수평이동만 하는 밀링기에서 절삭 운동을 수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서 공작물의 고정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수평 절삭후 수직 절삭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어서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고 상기의 효과로 가공된 상태에서 공작물의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수평 절삭후 수직 절삭 작업이외에 단독으로 수직 절삭 작업을 수행함이 가능하여 기존의 밀링에서 슬라이더의 바이트를 교체해줌에 따라 생산 품목을 다양화시킬 수 있어서 전술한 생산성의 증대뿐만 아리라 수평 절삭 기능외에 수직 절삭 기능이 본 고안에 의해 추가적으로 보유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때문에 특별한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자라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평면 절삭 구동하는 밀링기에 있어서, 치차(6)가 형성되어 밀링기의 후두부에 고정시킨 실린더(10)의 상부에서 회동되게 구성하는 풀리체(5)의 구동축(4)이 피스톤대(23)와 유도간(22) 및 공구대(21)로 형성되어 실린더(10)의 내경에서 슬라이드 되게 구성하는 슬라이더(20)의 연동축(4')과 연결되게하여 공구대(21)의 베벨기어(3a)(4a)를 통하여 바이트(1)가 공구대(21)에서 수평회동 되게 구성하고 그 전방에 유설하는 접동축(7)과 리이드축(14) 사이로 베벨기어(35)(35')를 대향되게 축 고정시켜 전후 이동하는 핸들간(30)을 설치하되 리이드축(14)의 리프트간(15)이 실린더(10)의 가이드공(10a)을 통하여 피스톤대(23)에 고정되게 하여서 슬라이더(20)가 밀링기의 후두부에서 상하 이동되게 구성한 밀링기의 수직 절삭장치.
KR2019850011968U 1985-09-16 1985-09-16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KR870003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968U KR870003459Y1 (ko) 1985-09-16 1985-09-16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968U KR870003459Y1 (ko) 1985-09-16 1985-09-16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980U KR870004980U (ko) 1987-04-21
KR870003459Y1 true KR870003459Y1 (ko) 1987-10-15

Family

ID=1924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968U KR870003459Y1 (ko) 1985-09-16 1985-09-16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4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4093A1 (en) * 2000-10-23 2002-05-02 Baik Jae Soo A pillow for health
KR100450555B1 (ko) * 2002-05-13 2004-09-30 주식회사 비오투 방향제 탈부착형 향기나는 이불
KR100596162B1 (ko) * 2005-12-12 2006-07-04 매일유업주식회사 밀링 공작기계를 이용한 키 홈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4093A1 (en) * 2000-10-23 2002-05-02 Baik Jae Soo A pillow for health
KR100450555B1 (ko) * 2002-05-13 2004-09-30 주식회사 비오투 방향제 탈부착형 향기나는 이불
KR100596162B1 (ko) * 2005-12-12 2006-07-04 매일유업주식회사 밀링 공작기계를 이용한 키 홈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980U (ko) 198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811C (zh) 用于调整电动机床两个组件相对位置的装置
CN114953057B (zh) 一种家具板材加工用自动数控开料系统
KR870003459Y1 (ko) 밀링기 수직 절삭장치
GB1450020A (en) Mortising machine
US2074844A (en) Metalworking machine
CN2286446Y (zh) 组合多用木工机床
US5664917A (en) Cutter head with internal drive for machining workpieces
EP0235311B1 (en) Machine tool
CN87215088U (zh) 供多种机床使用的内孔键槽铣削装置
CN211565199U (zh) 一种机械加工装置
CN2209024Y (zh) 木工及金属切削组合机床
CN2088926U (zh) 小型木工机床的开榫槽装置
RU2026168C1 (ru) Фуговально-рейсмусовый станок
CN2267116Y (zh) 转塔台式钻床
CN114227263B (zh) 一种细长筒类零件内孔键槽加工用数控机床
CN219274607U (zh) 一种多工位刨槽机
CN215698286U (zh) 一种可转向铣削刀具
US2352227A (en) Thread milling assembly
CN217727883U (zh) 一种多功能车床用的夹紧装置
CN219093755U (zh) 一种双面开肩机
CN220295881U (zh) 一种双向转动的双轴镗孔机
CN220445744U (zh) 一种金属工件加工用铣床夹具
CN220660018U (zh) 床身加工用定位机构
CN215033915U (zh) 一种用于四叶螺旋桨式搅拌器加工的旋铣式平面铣床
CN213258086U (zh) 一种轴类端头打孔攻丝专用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