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727Y1 -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 Google Patents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727Y1
KR870002727Y1 KR2019860006706U KR860006706U KR870002727Y1 KR 870002727 Y1 KR870002727 Y1 KR 870002727Y1 KR 2019860006706 U KR2019860006706 U KR 2019860006706U KR 860006706 U KR860006706 U KR 860006706U KR 870002727 Y1 KR870002727 Y1 KR 870002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rotating body
peeling
rotating
pee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 사또오
다다오 가시와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요오 사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요오 사또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15Labels being adhered to a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06Removing back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01/00Portable tools for labelling or tagging, associated with holders when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B65C2210/0075Apply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B65C2210/0078Peeling devic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제1도는 레이블 대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휴대식 케이블 인자첨부기에 적용된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일부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요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작동상황을 보여주는 종단측면도.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고안 제1실시예의 회전체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9도는 프린터에 적용된 본 고안 제2실시예의 일부 종단측면도.
제10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회전체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작동상황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블대 2 : 대지(紙)
3 : 레이블 22,51 : 공급부
73,60 : 레이블 박리장치 24,62 : 이송부
30,61 : 박리부 33,41,43,45,47,63 : 회전체
본 고안은, 대상대지(帶狀紙)에 복수의 레이블이 연속적으로 가착(假着)되어서 이루어진 레이블대를 레이블 박리부에서 전향시키므로서, 대지로부터 레이블을 박리하기 위한 레이블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별히 레이블의 박리를 더욱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케이블 박리장치는, 레이블 인자첨부기(印字付機), 개량 프린터, 또는 기타의 레이블 발행기에 있어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이블대 전체를 염가로 제조하기 위해, 값싸고 지질이 거칠은 종이로 된 레이블이나 대지를 사용하든지, 아니면 대지로부터 레이블을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대지의 레이블 가착면에 입히는 이형제(離型劑)를 얇게 또는 조잡하게 입히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레이블 자체는 강성(剛性)이 적고, 또한 대지가 거칠기 때문에 이 형제가 대지속으로 침투하여서 더욱 엷어지고, 따라서 입혀진 이 형제는 불균일하게 되어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레이블 박리부에서 대지가 전향하더라도 레이블은 대지로부터 완전히 박리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와같이 대지로부터 레이블이 박리되지 않는 경우, 단순히 레이블이 발행되지 않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 레이블이 대지의 이송통로등에 달라붙어서 기계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아니면 고장의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렴하게 제조되고 대지와 레이블간의 가착강도가 불균형한 레이블대 일지라도 확실하게 대지로부터 레이블을 박리하는 것이 가능한 레이블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 박리부의 대지와 레이블이 분리되는 위치가까이에, 그리고 레이블의 진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제를 배설하여, 대지의 전향만으로는 박리되지 않는 레이블일지라도 이 회전체와 서로 접촉하여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진행하므로써 저항없이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레이블대(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대상의 대지(2)와 이 대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가착되어 있는 복수의 레이블(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지(2)의 레이블(3)이 가착되는 쪽의 면에는 레이블(3)이 박리되기 쉽게 실리콘수지등으로 된 이형제(4)가 입혀져 있다. 또한 각 레이블(3)의 이면에는 접착제(5)가 입혀져 있어서, 이 접촉제(5)에 의해서 각 레이블(3)은 대지(2)에 가착되어 있다.
또한 레이블대 (1)에는, 레이블(3)의 간격마다 대지(2) 및 레이블(3)을 관통하는 이송용구멍(6)이 형상되어 있다.
제2도에서, 본체(11)의 후방에는 그립(12)이 일체로 연장성형되고, 그 밑에는 핸드레버(13)가 추측(14)에 의해서 본체(11)의 양측판(11a, 11b)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드레버(13)의 앞 부분에는, 두 갈래로 갈라진 형태의 작동레버(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작동레버(15)의 전단에는 인자기(16)가 붙어 있다.
인자기(16)에는, 외주면에 활자(17a)가 자각 형성된 복수의 활자륜(17)이 병설되어 있고, 각활자륜(17)을 회전시키므로써 인자하려고 하는 요망활자(17a)가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각 활자륜(17)을 회전시키므로서 인자하려고 하는 요망활자(17a)가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각 활자륜(17)의 선택된 활자(17a)에는, 인자시에 잉크로울러(18)에 의해서 잉크가 묻혀 진다.
상기 그립(12)외 내부 후방과 핸들레버(13)의 전단 상부에는, 각각 스프링 길이부재(19,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길이부재(19, 20)사이에는 복귀스프링(21)이 장착되어서, 핸들레버(13)와 작동레버(15)를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한다.
본체(11)의 상방에는 레이블(1)의 공급부(22)가 일체적으로 제공되어서, 이 공급부(22)는 제1도와 같은 레이블대 (1)를 감고 있다.
공급부(22)에 감겨져 있는 레이불대(1)는, 본 고안의 레이블 박리장치(23)에 공급된다.
이 레이블 박리장치(23)는, 레이블대(1)를 적절히 이송하는 이송부(24)와, 본체(11)의 전방 하단부근에서 레이블대(1)의 대지(2)만을 전향하므로서 레이블 자신의 강성에 의해서 대지(2)로부터 레이블(3)을 박리하는 박리부(30)와, 이 박리부(30)의 대지(2)와 레이블(3)이 분리되는 위치 가까이에 배설된 본 고안의 요지가 되는 회전체(33)를 갖추고 있다.
상기 이송부(24)는 본체(11)의 양측판(11a, 11b) 사이에 가설된 측(25)에 의해서 회전자재로 지지되는 이송드럼(26)과, 후크(27)를 갖고 있다.
이송드럼(26)의 외주면에는, 레이블대(1)의 각 구멍(6)에 계합되는 이송핀(26a)이 일정간격마다 제공되고, 또한 일측면에는 후크(27)가 계합되는 계합핀(26b)이 이송핀(26a)과 동일한 수로 제공되어 있다. 후크(27)는 추착핀(28)에 의해서 일단이 작동레버(15)에 추착되고, 다른쪽 단은 계합핀(26b)에 계합되므로서 작동레버(15)의 왕복회전에 따라 이송드럼(26)을 적전히 회전시켜, 레이블대(1)를 이송한다. 부재번호 "29"는 후크(27)에 계합핀(26b)쪽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이다.
본체(11)는, 제2도.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부(35a, 35b)와 이들 양측 가장자리부(35a, 35b)를 연결하는 연결부(35c)로 구성되는 아래 덮개(35)는 추측(34)에 의해서 본체(11)의 양측판(11a, 11b)에 대해서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박리부(30)는 본체(11)의 양측판(11a, 11b)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상부 규제부재(31)와 아래덮개(35)의 연결부(35c)에 일체적으로 제공된 하부 규제부재(32)를 갖고 있다.
상부 규제부재(31)와 하부규제부재(32)는 서로 작은 간격을 두고서 배설되어 있고, 이들 양 규제부재(31, 232) 사이에서 레이블대(1)의 대지(2)만 전향되므로서, 각 레이블(3)은 자신의 강성에 의해서 대지 (2)로부터 박리된다.
아래덮개(35)의 양측 가장자리부(35a,35b) 사이에는 바리부(30) 부근에 위치하는 핀(36)이 고정적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 핀(36)에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부재로된 상기 회전체(33)가 감겨져 있다.
나선상 부재로 된 회전체(33)는 대지(2)와 레이블(3)이 분리되는 위치에 가까우면서도 레이블(3)의 진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핀(36)에 제공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전체(33)에는 레이블(3)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수지등을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서 부재번호 "37" 및 "38"은 레이블대 (1) 전체의 구멍(6) 및 대지(2)만의 구멍(6)을 각각 이송드럼(26)의 이송핀(26a)에 계합시키기 위한 안내부재이고, "39"는 인자기(16)의 인자압(印字壓)을 받는 플래튼이다. 또한 "40"은 아래덮개(35)에 형성되어 있는 레이블 송출창(35d)으로부터 송출되는 레이블(3)을 물품등에 첨부하기 위한 로울러로서 추측(34)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레이블대(1)를 삽입할때는 아래덮개(35)를 열고 하부 규제부(32), 재회전체 (33), 및 안내부재 (38)를 레이블대(1)의 통로로부터 벌어지게 하고, 상기 삽입이 용이하도록 된 상태에서 한다.
그런다음, 아래덮개(35)를 닫고 핸드레버(13)를 꼭 쥐면, 핸드레버(13) 및 작동레버 (15)는 복귀스프링(21)의 힘에 저항하면서 반시계방향(제2도)으로 회전한다.
작동레버(15)의 회전에 따라서 인자기(16)가 내려와서, 각 활자륜(17)의 선택된 활자(17a)는 잉크로울러(18)에 의해서 잉크가 묻혀진 다음 플래튼(38)상의 레이블(3)에 인자를 한다.
핸드레버(13)가 풀려나면, 복귀스프링(21)에 의해서 핸드레버(13) 및 작동레버 (15)는 제2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인자기(16)는 올라간다. 이 동작과 연동해서 이송부(24)의 이송드럼(2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이송드럼(26)은 그것의 상부에서 레이블대를 이송하며, 또한 하부에서 전향된 대지(2)를 이송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24)에 의해서 이송되는 레이블대(1)는 박리부(30)에서 대지(2)만이 전향된다. 그결과, 인자된 레이블(3)은 자신의 강성에 의해서 대지(2)로부터 박리되어, 첨부로울러(40)에서 물품등에 첨부될때까지 회전체(33)에서 잠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박리부(30)에서 대지(2)가 전향할때에 반드시 모든 레이블(3)이 대지(2)로부터 박리된다고 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하면, 레이블(3)의 재질에 따라서는 강성이 약한 것이 있고, 또한 대지 (2), 레이블(3)에 각각 칠하여진 이형제(4), 점착제(5)의 품질이나 그것이 입혀진 상태에 따라서는 대지(2)에 레이블(3)이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가착(假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 있는 레이블대(1)의 레이블(2)은 대지(2)로부터 완전히 박리되지 않고, 대지(2)와 함께 전향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지(2)와 레이블(3)이 분리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회전체(33)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대지(2)로부터 완전히 박리되지 않고, 대지와 함께 전향하는 상태에 있는 레이블(3)도 제4도에서와 같이, 선단부근이 회전체(33)에 서로 접촉하고 또한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확실히 박리된다. 박리되는 중에, 레이블(3)은 회전체(33)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진행하지만, 회전체(33)가 레이블(3)의 진행에 따라서 그 진행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기 때문에, 회전체 (33)에 대한 레이블(3)의 접촉저항은 매우 작고, 레이블(3)은 더욱 원활하게 박리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지(2)를 전향시켜서 레으블(3)을 박리시키는 박리부(30)가 상부 규제부재(31)와 하부규제부재(32)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령 플래튼(39)의 선단을 박리부(30)로 하고, 대지(2)를 플래튼(39)의 선단에 걸고 둘려서 전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송드럼(26)은 전향된 대지(2)를 당기는 것만으로도 레이블(1)의 이송 및 레이불(3)의 박리가 가능하다.
또한 회전체(33)는 아래덮개(35)에 부착되어서, 레이블대(1)의 삽입시에 아래덮개(35)준 열고 회전체(33)를 레이블대(1)의 통로로부터 벌어지게 한 다음에 상기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레이블대(1)의 삽입시에 본체(11)의 전면 또는 측면 등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회전체(33)를 이들 개폐부분에 부착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수단으로서 레이블대(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 회전체(33)를 본체(11)의 개폐되지 않는 부분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핀(3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감겨있는 나선상부재로서 회전체(33)를 구성할 것을 예시하였으나, 가령 제5도 내지 8도에 각각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하여도 된다.
즉, 제5도에 나타낸 회전체(41)의 예는, 아래덮개(35) 양측 가장자리부(35a, 35b)에 고정적으로 가설된 핀(4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필요한 수의 굴대로 이루어지며, 이들 굴대는 레이블(3)과외 접촉면적을 작게하기 위해서 외주가 뾰죽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6도에 도시한 회전체(43)의 예는 아래덮개(35)의 양측 가장자리부(35a, 35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촉(44)과 일체로 형성된 로울러 로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제7도에 도시된 회전체(45)는, 제6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한 측(46)과 일체로 형성된 로울러로 되어 있는 인데, 레이블(3)과의 접촉면적을 작게하기 위해서 외주면에 복수의 환상(環狀) 둘기(45a)가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회전체(47)는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한 촉(48)과 일체로 형성된 로울러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7도의 예와 같은 목적으로 외주면에 많은 둘기(47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레이블 박리장치가 개량 프린터 등의 프린터에 적용된 예를 보여준다.
제9도에 있어서, 부재번호 "51"은 프린터의 본체(50)에 부착된 공급부로서, 이 공급부(51)는 제1도에서 도시된 레이블대(1)를 감고 있다.
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는 레이블대(1)는 안내로울러(52)에 의해서 안내된 후, 투과형의 광전검출기(S), 인자부(53), 및 스탬프부(54)의 각 위치를 통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전검출기(S)는, 이송제어를 위해서 레이블대(1)의 구멍(6)을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플래튼(55)과 마주보는 인자부(53)는 가령 열인자방식(熱印字方式)의 인자헤드(56)를 갖고 있고, 도시되지 않은 계량기 또는 키이보오드등으로부터의 인자 데이타를 레이블(3)상에 인자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대 (57)(印)와 마주하는 스탬프부(54)는 솔레노이드(M)에 의해서 구동되는 스탬프(59)로서 레이블(3)상에 고정 데이타를 인자한다.
스탬프부(54)를 통과한 테이블대(1)는, 박리부(61), 이송부(62), 및 본 고안의 요지인 회전체(63)로 구성되는 케이블 박리장치(60)에 도달한다.
박리부(61)는, 인대(57) 선단의 가장자리를 이용한 구성으로, 이 박리부(61)에서 레이블대(1)의 대지(2)만이 전향되게 하므로서 대지(2)로부터 레이블(3)이 박리된다.
이송부(62)는, 전향된 대지(2)를 사이에 끼워서 당기는 구동로울러(64) 및 종동로울러(65)와, 구동로울러(64)를 회전 구동하는 펄스모우터(PM)를 갖고 있다.
이 이송부(62)는 인자 완료신호 또는 광전검출기(S)로부터의 출력신호등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지는 이송신호에 의해서 구동제어 되고, 대지(2)를 당기는 것으로서 레이블대(1) 전체를 이송한다.
부재번호 "66"은 이송된 대지(2)를 적절히 감는 권취부(卷取部)이다.
회전체(63)는,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자형의 핀(67)에 감겨있는 나선상부재로서 구성되고, 레이블(3)의 이송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핀(67)은, 추측(68)에 의해서 본체(50)에 추착된 회전판(69) 상단에 박혀 있다. 회전판(69)에는, 중앙하부에 형성된 절결(69a)내에 스프링걸이부재 (70)가 고정되고, 이 스프링걸이부재(70)와 본체(50)의 스프링걸이부재(72)의 사이에는 스프링 (71)이 장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69)은 본체(50)에 고정된 한쌍의 스토퍼(73, 74) 사이를 요동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71)의 힘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스토퍼(73, 74)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안정된다.
또한 회전체(63)는 회전판(69)이 스토퍼(73)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는 박리부(61)의 대지(2)와 레이블(3)이 분리하는 위치에 근접하고, 회전판(69)이 스토퍼(74)와 서로 접측한 상태에서는 박리부(61)로부터 충분한 사이가 벌어진다.
다음은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레이블대(1)를 장전하는 경우에 회전판(69)을 스토퍼(74)와 서로 접촉하게 하므로써 장전작업을 용이하게 만든후에 장전을 한다. 레이블대(1)의 장전이 완료되면, 회전판(69)을 스토퍼(73)와 서로 접촉하게 하므로서 회전체(63)를 대지(2)와 레이블(3)이 서로 분리되는 위치로 근접시킨다.
이상태에서 이하의 인자, 이송 및 레이블 박리동작을 개시한다.
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는 레이블대(1)는, 이송부(62)에 의해서 적절하게 간헐적인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인자부(53) 및 스탬프부(54)는 상기 간헐이송과 정중에, 각 레이블(3)상의 소정위치에 각각 가변데이타 및 고정데이타를 인자한다.
또한 이송부(62)에 의해서 잡아당겨지는 대지(2)가 박리부(61)에서 전향되기 때문에, 인자된 레이블(3) 자신은 강성에 의해서 대지(2)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나 대지(2)가 전향하는 것만으로는 박리되지 않는 레이블(3)은 대지(2)와 함께 전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완전히 박리되지 않고, 대지(2)와 함께 회전상태에 있는 레이블(3)은, 그 선단 부근이 회전체(63)와 서로 접촉하며, 또한 회전체(63)를 회전시키면서 진행하게 되므로서 확실히 박리된다.
이와 같이 박리되는 중에, 레이블(3)은 회전체(63)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진행하지만,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체(63)가 레이블(3)의 진행과 함께 그 진행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회전체(63)에 대한 레이블(3)의 접촉저항이 극히 적고, 레이블(3)은 더 원활하게 박리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회전체(63)가 회전판(69)에 박혀있는 핀(6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감겨있는 나선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회전체(63)를 제1실시예의 제5도 내지 제8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굴대(41) 또는 로울러 (43, 45, 47)로 구성하고, 이들을 회전판(69)에 적절한 구조로 부착시켜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체(6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67)은 회전판(69)에 꽂아서 설치하지 않고, 회전체(63)가 대지(2)와 레이블(3)의 분리위치에 근접한 상태로 본체(50)에 직접 고정되는 구성일지라도 본 고안 목적은 충분히 달성된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이블 박리장치는, 박리부의 레이블과 대지가 분리되는 위치에 회전체가 배설되고, 대지의 전향만으로는 박리되지 않는 레이블도 이 회전체와 서로 접촉하고 또한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진행하므로서, 저항없이 확실히 박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악조건에서 대지에 가착된 레이블 일지라도 확실히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블의 발행착오나 레이블이 막혀서 기계가 고장을 이르키는 일이 없다.

Claims (5)

  1. 대상대지(帶狀紙)에 복수의 레이블이 연속적으로 가착(假着)되어 있는 레이블대(帶)가 공급부로부터 공급됨과 동시에 이송부에 의해서 적절히 이송되며, 또한 상기 이송부에 의해서 이송되는 레이블대의 대지를 박리부에서 전향시키므로써 레이블의 강성에 의해서 대지로부터 레이블을 박리시키도록 구성된 레이블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의 대지와 레이블이 분리되는 위치 가까이에 접하고, 그리고 레이블의 진행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가 배설되고 대지의 전향만으로는 박리될 수 없는 레이블도 상기 회전체와 서로 접촉하게 하여 그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진행하므로서 박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블 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상기 박리부 부근에 배설된 핀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진 나선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상기 박리부 부근에 배설된 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소요수(所要數)의 로울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박리부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는 로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레이블과의 접촉면적이 작은 외주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860006706U 1982-02-03 1986-05-14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KR8700027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14995A JPS58134846A (ja) 1982-02-03 1982-02-03 ラベル剥離装置
JP14995 1982-02-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118A Division KR840003199A (ko) 1982-02-03 1983-01-14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27Y1 true KR870002727Y1 (ko) 1987-08-17

Family

ID=118765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118A KR840003199A (ko) 1982-02-03 1983-01-14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KR2019860006706U KR870002727Y1 (ko) 1982-02-03 1986-05-14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118A KR840003199A (ko) 1982-02-03 1983-01-14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S58134846A (ko)
KR (2) KR840003199A (ko)
AU (1) AU554091B2 (ko)
BR (1) BR8300606A (ko)
CA (1) CA1190192A (ko)
ES (1) ES8406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3013B2 (en) * 1987-11-25 1990-11-01 Keith Bray Pty. Ltd. A machine to apply self adhesive labels
NZ234442A (en) * 1990-07-10 1993-10-26 New Zealand Meat Ind Res Inst Self-adhesive label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9120U (ko) * 1976-08-19 1978-03-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54091B2 (en) 1986-08-07
ES519472A0 (es) 1984-08-01
KR840003199A (ko) 1984-08-20
ES8406348A1 (es) 1984-08-01
JPS58134846A (ja) 1983-08-11
BR8300606A (pt) 1983-11-08
AU1073983A (en) 1983-08-11
JPH0422779B2 (ko) 1992-04-20
CA1190192A (en) 198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613Y1 (ko) 레이블 첩부기용 권취카세트
WO2011013183A1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台紙なし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US4712114A (en) Label feeding apparatus for a thermal label printer
KR870002727Y1 (ko) 레이블 박리장치(剝離裝置)
JPS596776B2 (ja) 感圧式ラベルのプリント貼付装置
KR900005033B1 (ko) 전자식 핸드 라벨러
KR870000269B1 (ko) 휴대식 레이블 첩부장치
JPS624299B2 (ko)
JP3805898B2 (ja) ラベルプリンタ
KR870002340Y1 (ko) 프린터의 레이블 자동권취 장착장치
JPH049291Y2 (ko)
JP3753460B2 (ja) 台紙なしラベルの印字切断装置
JP3414877B2 (ja) ハンドラベラーのラベル装填機構
JPS621891B2 (ko)
KR850001852B1 (ko) 레이블 박리(剝離)장치
JP2000211785A (ja) プリンタ
JP3932718B2 (ja) ラベルライター用テープ、ラベルライター用テープカセット及びラベルライター
JP4167327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2583622Y2 (ja) テープ作成装置
JP4040153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S58109906U (ja) 携帯式ラベル貼付装置
JPH07246759A (ja) テープカセット
JPS60174676A (ja) カ−ドプリンタ装置
JP2904142B2 (ja) レタリングペン
JPH04323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