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521Y1 -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 Google Patents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521Y1
KR870002521Y1 KR2019850001702U KR850001702U KR870002521Y1 KR 870002521 Y1 KR870002521 Y1 KR 870002521Y1 KR 2019850001702 U KR2019850001702 U KR 2019850001702U KR 850001702 U KR850001702 U KR 850001702U KR 870002521 Y1 KR870002521 Y1 KR 870002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eck
switch
contact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050U (ko
Inventor
전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전
최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전, 최석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전
Priority to KR2019850001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521Y1/ko
Publication of KR860011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화로도.
제2도는 종전 더블 카셋트 화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 녹음재생화로(R/P EQ)
2 : 플레이 덱크 헤드(PLAY DECK HEAD)
3 : 녹음 덱크 헤드(R/P DECK HEAD) 4 : 3련 전환스위치
본 고안은 플레이 덱크 및 녹음덱크가 함께 내장된 기존의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 또는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녹음기에 있어서, 플레이 헤드의 입력신호와 마이크의 입력신호를 동시에 스테레오 녹음덱크의 A챤넬과 B챤넬에 분리하여 녹음이 가능하도록 한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나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녹음기는 카셋트 덱크를 두 개 내장시켜, 한개는 재생전용 덱크로 사용하고, 다른 한개는 녹음전용 덱크로 하여, 녹음시에는 재생전용 카셋트 덱크에서 나오는 음악을 들으며, 녹음전용 카셋트 덱크에 동시에 녹음이 되도록 하던가, 마이크의 입력신호만을 녹음시킬 수 있도록만 되어 있으며, 재생전용 카셋트 덱크에서 나오는 음악과 마이크로부터 들어오는 입력신호를 동시에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은 구비하고 있지 못하였다.
즉 기존의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 또는 녹음기는 재생전용 카셋트덱크에서 재생되는 녹음테이프가 A챤넬과 B챤넬에 모두 녹음이 되어 있는 스테레오 녹음상태이면, 녹음전용 카셋트 덱크를 통하여 녹음테이프에 녹음이 될 때에도 동시에 A챤넬과 B챤넬에 동일하게 녹음이 되는 기능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 또는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녹음기에 있어서는 대화식으로 영어회화 공부를 하거나, 또는 반주테이프를 이용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음악과 함께 녹음시키는 일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기존의 더블덱크 카셋트 회로에 사용되는 재생전용 덱크 및 마이크의 선택 전환스위치 부분을 개량하여 플레이 덱크의 카셋트에 녹음된 상태가 A, B챤넬 모두에 녹음이 되어있는 스테레오 녹음일 경우에도 이와같은 상태를 녹음전용 카셋트 덱크를 통하여 녹음테이프에 옮길 때에는 전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A챤넬 또는 B챤넬중 하나의 챤넬에만 테이프의 원음이 녹음되도록 하고 나머지 한 챤넬은 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녹음하도록 하여, 외국어화화공부를 할 때에는 사용자가 직접 외국인과 일대일로 회로를 하는 듯한 효과를 거둘수도 있고, 또한 반주테이프를 이용하여 음악에 맞추어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여러가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회로에 있어서, A챤넬 녹음 재생회로(A) 및 B챤넬 녹음 재생회로(B)와 플레이 덱크 헤드(play deck head) (2) 사이에 3련 전환스위치(4)를 설치하여 3련 전환스위치(4)의 1번 스위치(4a) 접점편(4a')은 녹음재생회로(A)와 그리고 3번 스위치(4c) 접점편(4c')은 녹음재생회로(B)와 각각 연결하고, 2번 스위치(4b) 접점편(4b')은 3번 스위치(4c)의 1번 접점과 연결하였다.
또한,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챤넬은 1번 스위치(4a)의 2번 접점에 연결하고, B챤넬은 3번 스위치(4c)의 2번 접점에 연결하였으며, 1번 스위치(4a)의 1번 접점과 3번 접점은 3번 스위치(4c)의 3번 접점에 연결하고 1번 스위치(4a)의 2번 접점과 2번 스위치(4b)의 1번 접점을 연결하였으며, 마이크(5)를 1번, 3번 스위치(4a), (4c)의 3번 접점과 1번 접점에 연결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C는 파워암프, D는 스피커, E는 볼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위치(4a), (4b), (4c)의 접점편(4a'), (4b'), (4c')가 모두 1번 접점에 연결되었을 때 재생전용 덱크 및 녹음전용 덱크를 동작시키면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챤넬은 스위치 (4b) 및 (4c)를 경유하여 녹음재생회로(B)와 연결되고, B챤넬은 스위치(4c)에 의하여 녹음재생회로(B)와 접속되므로,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 및 B챤넬을 통하여 나오는 스테레오옴은 스위치(4c)에서 합성되어 모노(mono)음화된 후, 녹음재생회로(B)에 의하여 재생되는 동시에 녹음덱크 헤드(3)의 B챤넬과 연결된 녹음재생회로(B)에 의하여 녹음된다.
이때, 더블 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 또는 더블 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녹음기의 마이크(5)는 스위치(4a)를 경유하여 녹음덱크헤드(3)의 A챤넬과 접속된, 녹음재생회로(A)와 연결되므로, 마이크(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 역시 녹음덱크헤드(3)의 A챤넬을 통하여 녹음되므로,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 및 B챤넬을 통하여 재생되는 음과 마이크(5)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동시에 녹음덱크 헤드(3)의 B 및 A챤넬에 녹음이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스위치(4a), (4b) 및 (4c)가 모두 1번 접점에 연결되었을 시에는 재생전용 덱크에서 나오는 음과 마이크(5)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동시에 녹음되므로, 외국어회화 공부시에는 문답식이나 회화식으로 회화공부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화 테이프상의 원음과 자신의 발성음을 동시에 녹음하여 재생시키면서 비교 및 검토를 할 수가 있으므로 훨씬 흥미를 가지고 회화공부를 할 수가 있으며, 반주 테이프를 이용하여 자신이 부르는 노래를 녹음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반주테이프를 재생전용 덱크에 넣고 플레이 스위치를 누른후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면 자신의 목소리가 마이크(5)를 통하여 녹음되는 동시에 반주테이프상의 원음도 녹음덱크 헤드(3)를 통하여 녹음되므로 악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스위치(4a) (4b) 및 (4c)의 접점편(4a')(4b')(4c')가 모두 2번 접점에 연결되었을 때 재생전용 덱크 및 녹음전용 덱크를 동작시키면,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챤넬은 스위치(4a)를 통하여 녹음재생회로(A)와 연결되고, B챤넬은 스위치(4c)를 통하여 녹음재생회로(B)와 접속되고 마이크(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스위치(4a) 및 (4c)의 차단상태에 의하여 녹음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테레오로 녹음되어 있는 녹음테이프의 원음을 동일한 음질의 스테레오 음으로 녹음전용 덱크에 의하여 녹음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4a) (4b) 및 (4c)의 접점편(4a') (4b') 및 (4c')가 모두 3번 위치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 및 B챤넬은 모두 녹음재생회로(A) 및 (B)와 차단되어 있으므로 플레이 덱크 헤드(2)를 통하여서는 녹음을 할 수 없고, 마이크(5)가 스위치(4a) 및 (4c)를 통하여 녹음재생회로(A) 및 (B)와 접속되므로, 마이크(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스테레오음으로 분리되어 각기 녹음재생회로(A) 및 (B)에 의하여 녹음덱크 헤드(3)의 A 및 B챤넬을 통해 녹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더블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 또는 녹음기에서는 구비하지 못하였던 기능, 즉 플레이덱크 헤드(2)를 통하여 나오는 원음을 녹음하면서 동시에 마이크(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도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이 추가시키므로서, 종래의 더블 덱크 스테레오 카셋트 라디오 또는 녹음기로서는 불가능하였던 대화식 또는 문답식 회화공부나, 반주테이프에 자신의 목소리를 담는다던가 하는 것을 가능케 하므로서, 외국어회화 공부시에는 흥미를 더해줌과 아울러 자신의 발음과 외국인의 발음을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회도 주고, 반주테이프에 자신의 목소리를 담아 자신의 노래솜씨로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접점편(4a')(4b')(4c')을 각각 3번 접점에 고정시키면 마이크(5)의 입력신호만이 녹음덱크헤드(3)에 녹음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더블 카셋트 회로에 있어서, 녹음재생회로(A)(B)와 플레이 덱크 헤드(2) 사이에 3련 전환스위치(4)를 설치하여 접점편(4a')은 녹음재생회로(A)와 그리고, 접점편(4c')는 녹음재생회로(B)와 연결하고 접점편(4b')는 3번 스위치(4c)의 1번 접점과 연결하였으며, 플레이 덱크 헤드(2)의 A챤넬은 1번 스위치(4a)의 2번 접점과 2번 스위치(4b)의 1번 접점에 연결하고, B챤넬은 3번 스위치(4c)의 1,2번 접점과 연결하고 마이크(5)는 1번 스위치(4a)의 1,3번 접점과 3번 스위치(4c)의 3번 스위치에 각각 연결하여서 된, 더블카셋트 회로의 플레이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KR2019850001702U 1985-02-21 1985-02-21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KR870002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702U KR870002521Y1 (ko) 1985-02-21 1985-02-21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702U KR870002521Y1 (ko) 1985-02-21 1985-02-21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050U KR860011050U (ko) 1986-09-10
KR870002521Y1 true KR870002521Y1 (ko) 1987-07-29

Family

ID=1924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702U KR870002521Y1 (ko) 1985-02-21 1985-02-21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5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050U (ko)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624B1 (ko) 오디오장치
US5140637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vocal signals
JP2007114599A (ja) 外国語学習に用いる記憶媒体の録音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並びにこの記憶媒体の再生装置
KR870002521Y1 (ko) 더불 카셋트회로의 플레이 헤드 및 마이크 입력신호 동시녹음장치
JPS5832282A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
JPS6017052Y2 (ja) テ−プレコ−ダ
JPS6336400Y2 (ko)
JPH11150777A (ja) 出力信号分岐音量調整スイッチ付マイクロフォン付ヘッドフォン
KR200326942Y1 (ko) 더블데크 카세트
KR91000561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 선택회로
JP2687379B2 (ja) カラオケ装置
JPH0355181Y2 (ko)
KR100278811B1 (ko) 노래 연습 장치
JPS5847762B2 (ja) ロクオンサイセイホウシキ
JPH0282287A (ja) 音声学習装置
KR870000996Y1 (ko) 음성 다중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폰 및 스피커분리 수신장치
JPS6040969Y2 (ja) 携帯用テ−プ再生装置
JPH07105625A (ja) 音楽記録媒体と音楽再生装置
KR940002835Y1 (ko) 음성다중신호의 자동재생회로
JPS6014290Y2 (ja) 集団音楽教習装置
JP3079685B2 (ja) 音響ミキシング装置
JPH026551Y2 (ko)
JPH01166363A (ja) 情報記録媒体
JPH0366235A (ja) 音声再生装置
JP2000295130A (ja) 放送受信端末及び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9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