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80B1 -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80B1
KR870002180B1 KR1019860001309A KR860001309A KR870002180B1 KR 870002180 B1 KR870002180 B1 KR 870002180B1 KR 1019860001309 A KR1019860001309 A KR 1019860001309A KR 860001309 A KR860001309 A KR 860001309A KR 870002180 B1 KR870002180 B1 KR 87000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henylpropylamine
methylphenoxy
mixture
reac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433A (ko
Inventor
웨인 미스너 제리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리 앤 터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메리 앤 터커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5/00Racemisation; Complete or partial inver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I)의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토목세틴(Tomoxetin), 즉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은 우울증에 빠진 사람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화합물이다[유럽특허 명세서 제52492호 참조]. 토목세틴의 제조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합성 방법으로는 적절한 (-)이성체로 분할해야 하는 라세미 혼합물이 생성된다.
라세미(±)-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을 분할하면 원치않는 (+)이성체가 상당량 생성된다. 이 (+)이성체는 일반적으로, (+)이성체를 목적하는 (-)이성체로 전환시키는 경비가 저렴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버려져 왔다. 본 발명은 (+)이성체를 그의 라세미체 형태로 에피머화한 다음, 이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목적하는 (-)이성체, 즉 토목세틴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을 불활성 조건하에서 용매로서 1,2-디메톡시에탄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음이온 생성화합물인(C1내지 C6) 알킬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금속(C1내지 C6) 알킬아미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I)의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2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C1내지 C6)알킬"은 탄소원자 1 내지 6개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을 말한다. 대표적인 (C1내지 C6)알킬 그룹으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급-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n-헥실, 이소헥실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알칼리 금속"은 리튬 및 나트륨을 말한다.
음이온 생성 화합물은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으로부터 아민수소원자가 제거되어 상응하는 음이온을 제공하도록 충분히 염기성이어야 하며 반응 매질에 가용성이어야 한다. 음 이온 생성 화합물은 에난티오머 및 라세미화합물 자체를 분해시키거나 붕해시킬 만큼 너무 강해서는 안된다.
대표적인 (C1내지 C6)알킬 알칼리 금속 유도체로는 메틸리튬, 2급-부틸리튬 및 n-부틸리튬과 같은 알칼리튬 시약이 있다. 주로 경제적인 이유때문에, n-부틸리튬이 음이온 생성화합물로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C1내지 C6)알킬아미드의 예로는 리튬 디에틸아미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이온 생성 화합물의 양은 출발(+) 에난티오머의 순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화합물은 라세미체 혼합물을 분할함에 따라 모액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성체에 불순물이 존재한다. 분리 방법은 대표적으로 감압하에, 목적하는 (-)이성체의 분리에 따라 모액의 휘발성 성분을 간단히 증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물질 1몰 당량 각각에 대해 음이온 생성 화합물 약 0.5몰 당량 내지 약 1.5몰 당량이 사용되는데, 불순물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양의 음이온 생성 화합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과량의 음이온 생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음이온 생성을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이는 반응 공정에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는다. 화합물의 음이온이 생성될 때 전형적인 것으로, 반응 혼합물은 예를 들어 핑크 빛 또는 붉은 색조를 띄게 되고, 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공정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방법은 1,2-디에톡시에탄 또는,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중에서 이루어진다. THF를 사용하는 경우에 반응은 실질적으로, 약 15℃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25℃에서 수행되면 약 1 내지 약 5시간 후,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4시간 후에 완결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공정에 덜 바람직한 음이온 생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 1,2-디메톡시에탄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반응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이 1,2-디메톡시에탄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경우에 반응은 대표적으로 약 -50℃ 내지 반응화합물의 환류온도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때 약 1 내지 약 40시간 후에 완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불활성 조건"은 화학적 작용을 나타내지 않거나, 완전히 비반응성인 반응매질의 사용을 의미한다. 음이온 생성 화합물은 수분과 공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모든 장치는 사용 전에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은 불활성 대기하에, 예를 들어 아르곤 또는, 바람직하게는 질소의 존재하에 수행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모든 용매는 사용 전에 완전히 건조시켜야 한다.
목적하는 라세미체 생성물은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존재하는 과량의 음이온 생성 화합물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한다. 수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적절한 수-불혼화성 유기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에 유기상을 전형적으로 진공하에 농축시켜 목적하는 (-)에난티오머로 분할시키기에 적절한 라세미 생성물의 잔사를 수득한다. 이 잔사는 경우에 따라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 등의 고체 지지체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하거나 통상의 용매로부터 결정화시키는 통상적 기술에 의해 더 정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라세미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은 광학 이성체를 생성 시키는데 사용된 공지 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에난티오머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라세미체를 L-(+)-만델산과 반응시켜 (-)이성체의 염을 수득하는데, 이는 용이하게 결정화된다. 대표적으로, L-(+)-만델산 0.5몰당량을 상호 용매중에서 라세미 화합물 1.0몰당량과 혼합한다. 상호 용매의 예로는 디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 헥산, 펜탄 등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기타 양자성 및 비양자성 용매이다. 이 반응은 실질적으로 약 0℃ 내지 반응 혼합물의 환류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때 약 1 내지 약 24시간 후에 완결된다. 이렇게 제조된 생성물은 표준 방법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화합물은 약학적 제제로 사용되기 전에 염산염으로 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대표적으로, 만델산염은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적절한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유리 아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유리 아민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기체 형태, 또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형태의 염산과 합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토목세틴 염산염은 통상의 용매로부터 결정화시키는 방법과 같은 표준 방법에 따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는 라세미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의 분할시에 생성된, 이미 폐기한 (+)이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연속공정의 형태로 수행하는 제조에 특히 유용하며, 이것에 의해 분할 공정 중에 생성된 (+)이성체를 라세미 혼합물로 전환시키고, 이 화합물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세미 혼합물과 합할 수 있다. 또한, 라세미 혼합물의 후속 분할공정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연속방법으로 라세미체 혼합물로 라세미화시킬 수 있는 (+)이성체가 추가로 생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이성체를 라세미체 혼합물로 완전히 전환시키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에피머화 공정에 의해 제조된 라세미체 물질을 분할하고, 경우에 따라 유리 염기를 임의로 염화시켜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토목세틴 및 이의 염은 각종 인체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공지의 약학제제이다. 기술된 화합물의 향정신성 제제로서의 용도 및 특히 우울증 치료제로서의 용도를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314,081호, 제4,018,895호 및 제4,194,009호를 참고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르는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의 합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관점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그렇게 간주되어서도 안된다.
알다시피, 에난티오머 동량부의 혼합물이 라세미체 혼합물이다. 라세미체 혼합물은, 한 이성체의 분자에 의해 일어나는 회전이 그의 에난티오머 분자에 의해 일어나는 동일한 반대방향의 회전에 의해 정확히 상쇄되므로 광학적으로 불활성이다. 그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세미체 혼합물의 생성은 그의 비선광도로 측정된다. 비선광도가 0에 가까운 값은 라세미 혼합물을 지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1]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개스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부착된 50m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에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을 함유하는 잔사 1.51g및 무수 THF 20ml를 넣는다.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표면 밑으로 질소개스를 통해 준다. 외부 냉수욕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약 17℃ 내지 22℃로 유지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핵산중의 2.3M n-부틸리튬(Aldrich Chemical Company, Milwaukee, Wisconsin)의 용액 2.3ml(5.25밀리몰)를 약 5분에 걸쳐 적가한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Figure kpo00003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혼합물에 물 25ml를 가하여 희석한다. 수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 25ml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키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이 1.24g이 오일로 수득된다. 수율 : 97%
Figure kpo00004
[실시예 2]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개스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부착된 1ℓ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를 외부 빙/수욕에 넣고, 질소 대기하에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51.0g(0.2몰)을 함유하는 잔사 56.74g 및 무수 THF 350ml를 가한다. 이 용액에 헥산중의 2.3M n-부틸리튬의 용액 91.3ml(0.21몰)를 대략 45분에 걸쳐 적가하는데, 이동안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약 15℃ 내지 20℃로 유지시킨다. 빙/수욕을 치우고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대략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외부 빙/수욕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대략 15℃로 냉각시키고 혼합물에 물 3ml를 가한다. 발열되면 물 350ml를 혼합물에 가한다. 다음에, 혼합물에 메틸렌클로라이드 350ml를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시킨다. 플라스크를 메틸렌클로라이드 100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을 합하여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여과한 후 감압하에 용매를 증발시키면 라세미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47.85g이 수득된다. 수율 : 94%, GLC결과 92.5% 순도의 생성물임이 확인된다.
Figure kpo00005
[실시예 3]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질소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부착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를 드라이 아이스/아세톤욕에 넣고, 질소 대기하에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 및 무수 THF 25ml를 도입시킨다. 생성된 용액을 -72℃로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대략 -65℃이하로 유지시키면서 대략 15분에 걸쳐 헥산중의 2.3M n-부틸리튬 2.5ml(5.4밀리몰)를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대략 20℃로 가온시키고 이 온도에서 약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 혼합물에 물 25m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를 가한다. 유기 상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을 통해 여과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라세미 생성물 1.14g을 오일로 수득한다. 수율 : 90%
Figure kpo00006
[실시예 4]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개스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부착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에, 질소대기 하에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을 함유하는 잔사 1.51g 및 무수 1.2-디메톡시에탄 20ml를 넣는다. 이 혼합물에 헥산중의 2.3M n-부틸리튬 2.3ml(5.25밀리몰)를 대략 6분에 걸쳐 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여기에 물 25ml를 가하다. 생성물을 클로로포름 25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에 통과시켜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건고시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을 오일로 수득한다. 수율 : 100%.
Figure kpo00007
[실시예 5]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개스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장치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에, 질소대기하 실온에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 및 무수 THF 25ml를 도입시킨다. 이 혼합물에 사이클로헥산중의 1.1M 2급-부틸리튬의 용액 5.0ml(5.5밀리몰)를 대략 15분에 걸쳐 가한다. 이 기간 동안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21°에서 26℃로 상승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대략 2시간 교반하고, 이 혼합물에 물 25ml를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로 추출하여 생성물을 분리시킨다. 분리시킨 다음에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에 통과시켜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키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17g이 수득된다. 수율 : 92%.
Figure kpo00008
[실시예 6]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온도계 및 개스 주입관이 장치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에 들어있는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 및 무수 THF 25ml의 용액을 질소대기하에 -72℃로 냉각한다. 이 혼합물에 사이클로헥산중의 2급-부틸리튬의 용액 5.0ml(5.5밀리몰)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대략 19℃의 온도로 가온시킨다. 2급-부틸리튬을 가하고 4시간이 경과하면 몰 1ml를 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다. 발열됨에 따라 반응 혼합물에 물 25ml와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를 더 가한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을 통해 여과한 후 감압하에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키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17g이 수득된다. 수율 : 92%.
Figure kpo00009
[실시예 7]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0.56g(5.5 밀리몰)을 개스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장치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중, 질소하에 THF 15ml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약 -70℃로 냉각시키고 반응혼합물의 온도를 약 -6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대략 5분에 걸쳐 헥산중의 2.3M n-부틸리튬의 용액 2.4ml(5.5밀리몰)를 가한다. 혼합물을 5분간 교반시킨다. 이 혼합물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대략 -65℃이하로 유지시키면서 대략 10분에 걸쳐 무수 THF 5ml중의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의 용액을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약 5분간 교반시키고 혼합물을 약
Figure kpo00010
시간에 걸쳐 실온, 대략 20℃로 가온시킨다. 이 반응 혼합물을 물 20ml로 냉각시키고,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로 추출한다. 유기 상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을 통해 여과하고 생성된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 건조시키면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18g이 수득된다. 수율 : 93%.
Figure kpo00011
[실시예 8]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개스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부착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에, 질소대기하에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27g(5.0밀리몰)을 함유하는 잔사 1.42g 및 무수 THF 20ml를 넣는다. 이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약 15℃ 내지 20℃로 유지시키면서 약 5분에 걸쳐 상기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중의 1.5M 메틸리튬 용액 3.7ml(5.5밀리몰)를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약
Figure kpo00012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25ml로 처리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로 추출하여 생성물을 분리시킨다. 유기 상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1.13g을 오일로 수득한다. 수율 : 89%.
Figure kpo00013
[실시예 9]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0.038g(5.25밀리몰)을 개스 주입관 및 온도계가 부착된 50ml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중, 질소대기하에 무수 THF 15ml에 용해시킨다. 생성된 황색 용액을 외부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욕에 의해 대략 -75℃로 냉각시킨다. 이 용액에,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약 -6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헥산중의 2.3M n-부틸리튬 용액 23ml(5.25밀리몰)를 적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약 5분간 교반시킨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약 -6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약 20분에 걸쳐 무수 THF 15ml중에 용해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 1.27g(5.0밀리몰)을 함유하는 잔사 1.42g의 용액을 적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Figure kpo00014
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여기에 물 25ml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로 추출하고 생성된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을 통해 여과한다. 유기 상을 감압하에 증발시킨 후 표제화합물 1.24g이 오일로 분리된다. 수율 : 98%.
Figure kpo00015
[실시예 10]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게스 주입관, 온도계 및 적가 깔때기가 부착된 1ℓ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를 빙/아세톤 욕에 넣고, 질소 대기하에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38.3g(0.15몰) 및 무수 THF 250ml를 도입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대략 -5℃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대략 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사이클로헥산중의 1.1M 2급-부틸리튬 용액 145ml(0.16몰)를 적가한다. 적가는 약 15분 내에 이루어진다. 음이온 생성 화합물의 적가에 이어 냉각욕을 치우고 반응 혼합물을 약 3시간 동안 약 20℃의 온도로 교반시킨다. 물 25ml를 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에 물 225m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250ml를 더 가한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을 통해 여과한다. 약 62℃, 진공하에 1시간 동안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34.4g을 오일로 수득한다. 수율 : 90%.
Figure kpo00016
다음 실시예는 상기에서 분리된 라세미 혼합물을 토목세핀으로 분할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만델산
디에틸에테르 50ml중의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33.69g(0.132몰)의 용액에 온 크실렌 20ml중의 L-(+)-만델산 9.89g(0.067몰)의 용액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5분간 온화하게 환류시키고, 여기에 디에틸에테르 30ml를 더 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키고 생성된 슬러리를 빙욕내에서 냉각시킨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생성된 고체는 디에틸에테르 50ml로 세척한다. 고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25ml 및 에틸 아세이트 50ml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 가열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진공에 의해 제거하고 잔사에 디에틸에테르 50ml를 가한다. 이 혼합물을 목적 생성물의 결정으로 씨딩하고, 생성된 혼합물은 빙욕에서 냉각하면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여 모으고 1:1(V:V) 에틸 아세테이트/디에틸에테르 용매용액 30ml로 행궈낸다. 생성된 고체를 진공 오븐중 55℃에서 밤새 건조시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만델산 15.7g을 회백색 고체로 수득한다. 융점=119 내지 122℃. 생성된 고체를 탈색탄 3g을 사용하여 메탄올 50ml로 재결정화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셀라이트에 통과시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이 고체를 가열하면서 에틸 아세테이트 50ml에 용해시킨 다음 용액을 냉각시킨다. 디에틸에테르 50ml를 더 가하고, 여과하여 침전된 고체를 모은 다음 1:1(V:V) 에틸 아세테이트/디에틸에테르 50ml로 세척한다. 고체를 진공 오븐중, 50℃에서 1시간동안 건조시켜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만델산 13.2g을 수득한다(수율 49%). 융점 : 122 내지 123℃.
[토목세틴 염산염]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만델산(13.2g, 0.032몰)을 2N 수산화나트륨 50ml 및 디에틸에테르 50ml에 용해시킨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여과한 후 진공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액체 6.85g을 수득한다. 이 액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35ml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무수 염화수소 개스로 포화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빙욕내에서 30분간 교반시키고 여과하여 침전된 고체를 수거한다.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20ml로 세척하여 진공 오븐 중, 55℃에서 건조시켜 융점이 160내지 162℃인 토목세틴 염산염 8.17g을 수득한다. 수율 : 62.7%
Figure kpo00017

Claims (5)

  1.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을, 불활성 조건하에서 용매로서 1,2-디메톡시에탄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음이온 생성 화합물인(C1내지 C6) 알킬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금속(C1내지 C6) 알킬아미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구조식(1)의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8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이온 생성 화합물이(C1내지 C6) 알칼리튬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C1내지 C6) 알킬리튬 화합물이 n-부틸리튬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라세미 물질을 분할하고, 경우에 따라 유기 염기를 임의로 염화시켜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여,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60001309A 1985-02-27 1986-02-25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의 제조방법 KR870002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06,373 US4777291A (en) 1985-02-27 1985-02-27 Racemization process
US706373 1985-02-27
US706,373 1991-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433A KR860006433A (ko) 1986-09-11
KR870002180B1 true KR870002180B1 (ko) 1987-12-28

Family

ID=2483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309A KR870002180B1 (ko) 1985-02-27 1986-02-25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77291A (ko)
EP (1) EP0193405B1 (ko)
JP (1) JPS61210059A (ko)
KR (1) KR870002180B1 (ko)
AT (1) ATE41144T1 (ko)
CA (1) CA1269997A (ko)
DE (1) DE3662262D1 (ko)
HU (1) HU196586B (ko)
IL (1) IL77978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19683D0 (en) * 1984-08-02 1984-09-05 Erba Farmitalia 3-substituted derivatives of 1-amino-2-hydroxy-propane
US5320825A (en) * 1991-05-01 1994-06-14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for S.P.E.C.T. imaging
WO2000058262A1 (en) * 1999-03-29 2000-10-05 Eli Lilly And Company Stereospecific method for preparing tomoxetine and intermediates thereof
GB0229583D0 (en) * 2002-12-19 2003-01-22 Cipla Ltd A process for preparing duloxetine and intermediates for use therein
US20060100290A1 (en) * 2003-07-28 2006-05-11 Dunaway Leslie J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US20050152974A1 (en) * 2003-12-31 2005-07-14 Garth Boehm Atomoxetine formulations
US7439399B2 (en) * 2004-06-28 2008-10-21 Teva Pharmaceutical Fine Chemicals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atomoxetine hydrochloride
DK1761478T3 (da) * 2004-06-28 2008-12-15 Teva Pharm Fine Chemicals Srl En isoleret Atomoxetin urenhed,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Atomoxetin urenheder og deres anvendelse som referencestandarder
EP1768949A2 (en) 2004-07-22 2007-04-04 Teva Pharmaceutical Fine Chemicals S.R.L. Polymorphs of atomoxetiene hydrochloride
WO2006037055A1 (en) * 2004-09-27 2006-04-06 Dr. Reddy's Laboratories Ltd. Synthesis of atomoxetine hydrochloride
EP1751085A1 (en) * 2005-04-05 2007-02-14 Teva Pharmaceutical Fine Chemicals S.R.L. Stable atomoxetine hydrochlorid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n analytical control of its stability
US7485754B2 (en) * 2005-07-08 2009-02-03 Apotex Pharmachem Inc. Efficient method for preparing 3-aryloxy-3-arylpropylamines and their optical stereoisomers
US20080146675A1 (en) * 2006-04-05 2008-06-19 Eugenio Castelli Stable Atomoxetine Hydrochlorid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n analytical control of its stability
EP2364977A1 (en) 2010-01-26 2011-09-14 Reuter Chemische Apparatebau KG Process for the enantiomeric enrichment of 3-methyl-1-(2-piperidinophenyl)-1-butylamine
CN113336654B (zh) * 2020-02-18 2022-12-09 上海医药工业研究院 一种n-甲基-3-(2-甲基苯氧基)苯丙胺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8566A (en) * 1961-09-01 1965-02-02 Nopco Chem Co Process for racemizing alpha-phenyl and alpha-naphthyl ethylamines
DK148442C (da) * 1973-08-31 1985-11-25 Sumitomo Chemical Co Fremgangsmaade til racemisering af optisk aktive aminer
US4158016A (en) * 1973-08-31 1979-06-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racemization of optically active amines
DE2348801A1 (de) * 1973-09-28 1975-04-10 Dynamit Nobel Ag Verfahren zur racemisierung von optisch aktivem 1-phenylaethylamin
US4314081A (en) * 1974-01-10 1982-02-02 Eli Lilly And Company Arloxyphenylpropylamines
AU540707B2 (en) * 1980-11-14 1984-11-29 Eli Lilly And Company N-methyl-3-(2methyl phenoxy)-o-phenylpropyl am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433A (ko) 1986-09-11
EP0193405B1 (en) 1989-03-08
DE3662262D1 (en) 1989-04-13
HUT42055A (en) 1987-06-29
CA1269997A (en) 1990-06-05
US4777291A (en) 1988-10-11
IL77978A0 (en) 1986-08-31
ATE41144T1 (de) 1989-03-15
HU196586B (en) 1988-12-28
JPS61210059A (ja) 1986-09-18
EP0193405A1 (en) 1986-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180B1 (ko) (±)-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 아민의 제조방법
CA1128526A (en) 3,4-diarylisoxazol-5-acetic acids
HU193161B (en) Process for preparing new n-alkyl-norscopines
JPS5927350B2 (ja) シス−ヘキサヒドロジベンゾピラノン類の製法
CN112479967B (zh) 胆绿素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3910958A (en) Process for preparing arylacetic acids and esters thereof
US420187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3-benzoylphenyl)-propionic acid
JPS6148839B2 (ko)
US4533745A (en) Amino ketones and their preparation
US3892771A (en) Substituted dihydroisoindoles
JP4397990B2 (ja) 3−アルキルフラバノノール誘導体の精製法
EP1341762A1 (en) Process for resolving racemic mixtures of piperidine derivatives
AU1729697A (en) Racemisation of quaternary chiral centers
FR2600333A1 (fr) Procede pour la preparation de 4-alcoxy-3-pyrroline-2-ones
JPH0696564B2 (ja) α−(ω−ヒドロキシアルキル)フルフリルアルコ−ル及びその製造法
KR810000581B1 (ko) 직접 커플링 방식에 의한 2-아릴-프로피온산의 제조방법
JPH08245529A (ja) ラセミ性アミノアルコールの製法
JPS5839145B2 (ja) 2↓−〔n↓−(2↓−ヒドロキシエチル)↓−n↓−低級アルキルアミノメチル〕↓−ベンツヒドロ−ルの製造法
EP0101003B1 (en) Process for preparing 4-oxo-4,5,6,7-tetrahydrobenzofuran derivative
JPH07107041B2 (ja) オキシム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37304B2 (ja) キラルなフェロセン誘導体
JP4064645B2 (ja) 多置換シクロアルケン類の新規製造法
JPS6011690B2 (ja) 修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法
JPH0519545B2 (ko)
JPH04179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