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45Y1 - 압력 조정기 - Google Patents

압력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45Y1
KR870002145Y1 KR2019830001545U KR830001545U KR870002145Y1 KR 870002145 Y1 KR870002145 Y1 KR 870002145Y1 KR 2019830001545 U KR2019830001545 U KR 2019830001545U KR 830001545 U KR830001545 U KR 830001545U KR 870002145 Y1 KR870002145 Y1 KR 870002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pring
screw
diaphragm
bac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423U (ko
Inventor
히로시 나이또오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력 조정기
제1도는 종래의 압력조정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정기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고압하에서의 제2도의 압력조정기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정기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7도는 고압하에서의 제5도의 압력조정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문에 대한의 부호의 설명
1 : 다이어프램 2 : 조압밸브
3 : 가스통로 4 : 스프링
5 : 배압조정장치 6 : 조압나사
7 : 스프링압판 8 : 회동저지부
9 : 아암 10 : 상하홈
11 : 본체 12 : 고정나사
15 : 상하이동 규제부재 16 : 하안정지 부재
본 고안은 압력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압에 의하여 변위하는 다이어 프램(A), 이 다이어프램(A)과 연동하여 가스통로(B)의 개구도를 변화시키는 조압밸브(C), 상기 다이어프램(A)의 배압용 스프링(D), 그리고 이 스프링(D)을 신축시켜서 배압을 조정하는 배압조정장치(E)등으로 구성되는 압력조정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55-43,442호등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조정기는 조정나사(H)나 (J)의 회전운동에 의해 스프링압판(F)를 상하이동시켜서 스프링(D)을 신축하는 것이다. 이 경우 나사(H)나 (J)의 회전운동으로 스프링 압판(F)이 다소 회전되어 스프링(D)에 비틀림이 생기므로 조압에 결함이 생긴다. 또, 상기와 같이 비틀리지 않도록 나사(J)의 선단을 가늘게하여 스프링 압판(F)과의 접촉면적을 작게하면, 이 압판(F)은 불안정해져서 스프링(D)에 경사가 발생하여 역시 조압에 결함이 생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결함을 해소한 압력조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부호(1)은 다이어프램인데, 이것은 가스압에 의해 변위하여 이것과 연동하는 조압밸브(2)가 가스통로(3)의 개구도를 변환시킨다. 부호(4)는 이 다이어프램(1)의 배압용 스프링이고, 부호(5)는 이 스프링(4)을 신축시켜서 배압을 조정하는 배압조정장치이다. 이 배압조정장치(5)는 조압나사(6)와, 이 조압나사(6)의 회전운동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스프링(4)을 신축시키는 스프링압판(7)과, 이 스프링압판(7)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부(8)를 가지고 있다.
부호(9)는 이 스프링압판(7)보다 외방으로 뻗어있는 아암으로서, 본체(11)의 상하홈(10)과 회동저지부(8)를 구성하고, 스프링압판(7)은 이것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저지되면서 조압나사(6)의 회전 운동으로 상하이동한다. 부호(12)는 고정나사로서, 조압나사(6)가 나사구멍(13)내에서 상하이동하여 조압한 후의 고정에 쓰인다.
여기에서, 조압나사(6)를 회전시키면, 이나사(6)는 나사구멍(13)내에서 상하이동하므로, 스프링압판(7)은 상하이동하여 스프링(4)을 신축시키고 다이어프램(1)의 배압을 조정하여 조압이 실시된다. 이때 스프링압판(7)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4)에 대하여 신축작용을 줄 뿐 회전운동은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따라서 회전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비틀림이 없고 그 반작용에 의한 조압이 결함도 없다.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제5도에 있어서는, 조압나사(6)가 스프링 압판(7)에 설치된 나사구멍(14)을 관통하고 있고, 상하이동 규제부재(15)에 의해서 이 나사(6) 자신은 상하이동 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면, 조압나사(6)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이 나사(6)는 상하이동하지 않으나, 스프링압판(7)은 상하이동하여 스프링(4)을 신축시키고 다이어프램(1)의 배압을 조정하여 조압이 실시된다. 이때에도 회동저지부(8)에 의하여 스프링압판(7)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스프링(4)에 대하여 비틀림이 발생되는 일은 없다. 이 예에서는 조압나사(6)가 상하이동하지 않으므로 스프링(4)이 신장된 배압조정시에 있어서도 이 나사(6)는 돌출되지 않고, 공간면에 있어서도 나사(6)를 위한 공간이 필요없어서 유리하다.
또, 본 예에서는 회동저지부(8)의 아암(9)이 상하홈(10)에서 돌출되고, 하한정지부재(16)에 맞닿아서 하한이 규제되도록 구성된다. 이 하한정지부재(16)는 예를들면 도시가스로부터 천연가스로의 가스 종류의 전환시에 스프링압판(7)의 위치결정에 유용하다. 부호(17)은 이 하한정지부재(16)의 고정나사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압력조정기는, 다이어프램(1)의 배압을 조정하는 배압조정장치(5)가 조압나사(6)와, 이 나사(6)의 회전운동으로 상하이동해서 스프링(4)을 신축시키는 스프링압판(7)과, 이 스프링압판(7)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부(8)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압시에 스프링(4)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조압이 양호하게 실시된다.

Claims (1)

  1. 가스압으로 변위하는 다이어프램(1)과, 이 다이어프램과 연동해서 가스통로(3)의 개구도를 변화시키는 조압밸브(2)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배압용 스프링(4)과, 이 스프링을 신축시켜서 배압을 조정하는 배압조정장치(5)로 구성되는 압력 조정기에 있어서, 상기 배압조정장치는 조압나사(6)와, 이 조압나사의 회전운동으로 상하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신축시키는 스프링 압판(7)과, 이 스프링 압판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부(8)로 구성되고, 더우기 상기 회동저지부는 상기 스프링 압판보다 외방으로 뻗어있는 아암(9)과, 본체(11)의 내벽에 형성된 상하홈(10)으로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정기.
KR2019830001545U 1982-02-22 1983-02-21 압력 조정기 KR8700021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24669U JPS58129512U (ja) 1982-02-22 1982-02-22 圧力調整器
JP57-24669 1982-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423U KR840004423U (ko) 1984-09-20
KR870002145Y1 true KR870002145Y1 (ko) 1987-06-18

Family

ID=3003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545U KR870002145Y1 (ko) 1982-02-22 1983-02-21 압력 조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29512U (ko)
KR (1) KR8700021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423U (ko) 1984-09-20
JPS58129512U (ja) 198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145Y1 (ko) 압력 조정기
JPS63180781A (ja) 方向制御弁ユニット
JP4456352B2 (ja) モータ駆動式比例弁
JPH1151217A (ja) 流量調節弁機構
US20040007270A1 (en) Fluid pressure regulator with stabilizer
JP2007154501A (ja) 扉閉鎖順位調整器
NO912318L (no) Stengeventil.
JPS581842Y2 (ja) エレベ−シヨン高さ調整付ト−ンア−ム
JPH0710146Y2 (ja) 制御器
JPH08330041A (ja) Icソケット
KR900002888Y1 (ko) 온도 조절 장치
JPS6231779A (ja) 燃料補給装置
JPS5332259A (en) Adjusting mechanism-loaded hinge
JPS60185934A (ja) ビデオカメラ用自動絞装置
JPH0416335Y2 (ko)
JP2872013B2 (ja) 水位センサ
JP2006053355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H04296274A (ja) 湯水混合栓
JPH1122278A (ja) ヒンジ装置
JPH04254362A (ja) Icのリード成形金型
JPS599000A (ja) アイロンの温度調節装置
KR910007639Y1 (ko) Vtr의 오오디오 헤드 위치 미세 조정 장치
JPH053353Y2 (ko)
JPS5852283B2 (ja) 圧力スイツチ
GB2221338A (en)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udio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