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59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59B1
KR870001559B1 KR8200187A KR820001087A KR870001559B1 KR 870001559 B1 KR870001559 B1 KR 870001559B1 KR 8200187 A KR8200187 A KR 8200187A KR 820001087 A KR820001087 A KR 820001087A KR 870001559 B1 KR870001559 B1 KR 87000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ect
electric
inclination
rice transplanter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469A (ko
Inventor
히로요시 후지끼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677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71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1961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9431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1962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94315U/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오
Publication of KR83000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앙기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1도는 탑승용 이앙기의 측면도.
제2도는 모심는 장치 연결구조의 측면도.
제3도는 동 정민도.
제4도는 전동모우터 장착부의 일부 절결측면도.
제5도는 전기회로도.
제6(a)도 및 제6(b)는 모의 수납유지를 부착구조의 측면도.
제7도는 동절결 정면도.
제8도는 다른 형태예를 표시한 조작계통도.
제9도는 그 형태예에 있어서의 전기회로도.
제10도는 모 계지구의 측면도.
제11도는 그 모 계지구의 측면도.
제12도는 제한스윗치와 슬라이드 조작구의 연계도.
제13도는 그 제한 스윗치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모심는 장치 16 : 나선축
18 : 통상부재 19 : 전동모우터
21 : 경사검출장치 34 : 전동클러치
본 발명은 모심는 장치의 차체에 대하여 로울링(rolling) 조작하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전기한 모심는 장치가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 경사된 자세를 검출하는 경사 검출장치를 설치하고, 전기한 모심는 장치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 경사자세를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시키도록 전기한 경사검출장치의 정보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기한 구동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기구를 설치한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이앙기는 차체가 접지하는 지상의 표면 요철때문에 좌우로 경사하는 것과 같은 일이 있어도 모심는 장치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 경사자세를 자동적으로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심는 자세의 일정화를 도모하도록 하며, 또한 차체의 옆쪽폭 방향으로 여러줄로 모를 심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여러줄 심는 깊이의 일정화를 도모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바, 종래 구조의 것은 다음에 말하는 불편이 있었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모심는 장치를 차체에 대하여 좌우 경사를 교정조작하는 구동기구로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유압실린더는 사용하는 기름의 점성이 온도변화에 따라서 변동하는 등에 기인하여 그 신축작동 속도가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 적정한 속도로서 좌우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을 행할수가 없으며, 예컨대, 좌우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속도가 과속으로 되어서, 예기치 않은 진동(hunting)이 발생하거나, 이것과는 반대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속도가 너무 저속으로 되어서 심은 모의 자세가 소망한 자세에서 크게 벗어나버리는 등의 불편을 초래할 염려가 있었다.
또, 종래에 있어서는 경사 검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포장면에 따라서 추송하면서 이동하는 각각의 좌우1쌍 접지센서(SENSOR)를 모심는 장치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상하동하는 상태를 설치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좌우접지 센서의 모심는 장치에 대한 높이의 차에 따라서 지상에 대하여 좌우경사자세를 검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양 접지센서가 포장면 요철때문에 상하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잘못된 검출을 일으킬 염려가 있어서, 그 결과 불필요한 좌우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을 행해버리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질적인 상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합리적인 개조에 의하여 상기한 두가지의 불편한 점을 한꺼번에 해소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제1의 발명은 당초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전기한 구동기구가 전동모우터, 전기한 경사검출장치가 전기한 모심는 장치의 수평자세에 대하여 좌우경사를 전기신호의 변동에 따라 검출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의 발명은 당초에 기재한 이앙기에 있어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용 나선축을 그 한쪽끝이 모심는 장치쪽 또는 전기한 차체쪽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슬라이드 불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서 또한 다른쪽 끝이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 또는 차체 쪽으로 부착된 통상부재에 나합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전기한 전동모우터가 전기한 나선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도록 전기한 나선축에 대하여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계지연결시킨 전동모우터이며 전기한 경사검출장치가 전기한 모심는 장치의 수평자세에 대하는 좌우 경사를 전기신호의 변동으로서 검출하는 장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항상 설정된 속도로서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전동모우터에 의하여 모심는 장치를 차체에 대하여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을 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속도가 예기치 않게 변화하여 버리는 것에 기인하는 당초에 기재한 불편을 해소하여서, 항상 적정한 속도로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을 시킬수가 있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차체의 좌우 경사에 기인하는 모심는 장치의 좌우 경사만을 검출할 수 있는 모심는 장치의 수평자세에 대하여 좌우 경사를 전기신호의 변동으로서 검출하는 장치에 의하여 모심는 장치의 지상에 대한 좌우 경사자세를 검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접지센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모심는 장소면의 요철때문에 불필요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이 행해버리는 당초에 기재한 불편을 해소하여, 항상 적정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을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방향을 변경 조작가능한 좌우 추진용 앞바퀴(1)(1), 좌우 추진용 뒷바퀴(2)(2), 조향핸들(S), 엔진(E), 메인 밋숀케이스(M) 및 운전석(3) 등을 갖춘 차체의 뒷부분에, 위쪽링크(4a) 및 좌우 1쌍의 아래쪽 링크(4b), (4b)를 상하요동 자재하게 추지 (樞支)하고, 링크(4a), (4b)의 뒷쪽끝 부분에 일정한 스트로오크로서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모의 재치대(5), 상하로 순환작동하면서 모의 재치대(5)에 재치(
Figure kpo00001
置)되어 있는 매트(MAT) 형상의 모의 아래쪽부분열(列)에 따라서 순차로 한포기씩 모를 심는 손톱(6)이 4개, 그리고 좌우 1쌍의 정지용 플로우트(7)를 갖춘 모심는 장치(8)를 부착하고, 모심는 장치(8)를 승강조작하도록 상하링크(4a)(4b)를 요동조작하는 유압실린더(9)를 윗쪽링크(4a)에 작융시키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또한 유압실린더(9)와 윗쪽링크(4a) 사이에 완충용 스프링(10)을 설치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기체(機體) 진행에 수반하여 순차로 4조(條)로 모심는 작업을 행하며 또한, 심는 깊이의 조절을 위해서 또 일부가 돌출된 지형의 주행이나 도로상을 주행할때에 있어서, 지면과의 당접을 회피시키기 위하여, 모심는 장치(8)를 승강조작가능한 승용형 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기한 모심는 장치(8)를 위한 프레임을 겸하고 있는 옆으로 긴형상의 구동케이스(11)는, 전후방향축심(X)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전기한 상하링크(4a)(4b)의 후단부에 연결된 틀체(12)에 핀(13)에 의해서 부착된다.
또한 전기한 틀체(12)에 우측쪽에 부라케트(14)를 연장설치하고 있고 이부라케트(14)에 통상몸체(15)가 전후방향 축심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통상몸체(15)의 상부(윗쪽부)에는 기어 감속기구를 일체적으로 결합한 정역전 가능한 전동모우터(19)가 그 출력축(19a)을 아래로 향하게 볼트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모우터 출력축(19a)은 각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모우터 출력축(19a)의 각축부에 모심는 장치를 로올링 조작하기 위한 나선축(16)의 상단(윗끝부)이 계입 접속되고 있다.
전기한 나선축(16)은 그 상단영역에 있어서 베어링을 개재하여 전기한 통상몸체(15)에 지지되어 있다.
즉 이 베어링의 인나레이스는 전기한 나선축(16)에 그리고 그 아우터레이스는 전기한 통상몸체(15)에 부착되어 있으며, 빠져나감 방지링과 나선축에 설치된 단차부에 의해서 전기한 나선축(16)은 베어링 축방향의 변위를 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서 모우터 출력축(19a)과 나선축(16)이 일체 회전한다. 전기한 나선축(16)은 전기한 상단영역보다 아래쪽에서 나사절단되어 있으며, 나선축(16)은 이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구멍을 그 상단부에 설치하고 있는 통상부재(18)내에 나사구멍을 통해서 들어가 있다.
이 통상부재(18)의 전기한 상단부와 전기한 통상몸체(15)의 하부와의 사이는 신축카버(39)에 의해서 피복되고, 먼지등이 나사결합부나 베어링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기한 통상부재(18)의 하단부는 전기한 구동케이스에 연결설치된 부라케트(17)와 전후방향축심을 가진핀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전기한 통상부재(18)는 전기한 부라케트(17)에 대해서 전후방향 축심주위, 즉 수평축주위에는 회전변위가 가능하지만 수직축, 즉, 전나한 나선축 주위에는 회전변위가 불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동모우터(19)가 회전하면 나선축(16)도 일체 회전한다.
통상부재(18)는 전기한 부라케트(17)와 수평핀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한 나사구멍축 주위에는 회동할 수 없으므로 통상부재(18)는 나선축(16)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통상몸체(15)를 기준으로 해서 상승하던가 하강하던가 한다.
예컨대, 통상부재가 상승하면 이것과 부라케트(17)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있는 구동케이스(11)가 전기한 X축 주위에 회동하고, 그 결과로서 전기한 모심는장치(8)가 차체에 대해서 로울링 한다.
또한 참고도 A, B와 구동케이스(11)에서는 전동촉(36)과 연결된 차체 전후방향에 위치하는 입력촉에 입력 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입력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베벨기어가 차체 횡단 방향에 위치하는 중간축에 설치되어 있다.
이 중간축에서 기어진동에 의해서 모반송대를 구동하는 반송나사에 그리고 체인전동에 의해서 식부조(6)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촉에 동력이 전하여진다.
전기한 구동케이스(11)에서 세워서 설치한 역 U자형상의 모의 재치대지지를(20)에 모심는 장치(8)의 수평자세에 대한 좌우 경사를 전기신호의 변동으로서 검출하는 장치(2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장치(21)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케이스(22) 내부에 자체중량으로 하강 요동하는 추(錘)(23)를 전후방향축심(Y) 중심으로 요동자재하게 현수하여 지지한 상태로서 설치하고, 전기한 모심는 장치(8)가 수평자세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경사하면, 전기한 추(23)에 의하여 조작되는 리이드 스위치(24a)(24b)를 설치하고 있다.
제5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기한 각각의 양 리이드 스윗치(24a)(24b)를 전기한 전동모우터(19)에 대한 정회전구동용 조작회로(25a) 및 역회전구동용 조작회로(25b)에 각각 별개로 접속하여서 이렇게 하므로써, 모심는 장치(8)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경사하면, 전동모우터(19)를 정회전작동시켜서 모심는 장치(8)를 수평자세쪽으로 좌우 경사를 교정하는 조작을 시키며, 이것과는 반대로 모심는 장치(8)가 설정된 범위이상으로 오른쪽으로 경사하면, 전동모우터(19)를 역회전 작동시켜서 모심는 장치를 수평자세쪽으로 좌우 경사를 교정조작하는 제어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차체가 그것이 접지하는 지면의 요철때문에 좌우로 경사하는 것과 같은 일이 있어도 모심는 장치(8)의 좌우 경사자세를 수평자세에 근접한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심어놓은 모의 자세의 일정화를 도모하고, 또한 각각의 4조로 심어놓은 모의 깊이의 일정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26)은 주스윗치이다.
전기한 양모우터 조작회로(25a)(25b)를 수납하는 케이스(27)를 전기한 모의 재치대 지지를 (20)에 부착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도로상을 주행할때에 있어서, 차체에 대하여 완충용 스프링(10)을 사용하여 탄성지지되는 모심는 장치쪽에 전기한 케이스(27), 경사검출장치(21) 및 전동모우터(19)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모든 장치가 충격 때문에 손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28)은 전기한 모의 재치대(5)에 재치된 매트형상의 모를 부유상승(浮遊上昇)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수납유지하는 갈퀴형상의 모를 받는 틀이며, 제6(a)도, 제6(b)도 및 제7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모의재치대(5)에서 입설한 설편(舌片)(29)에 수납유지를 (28)을 상하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추지촉(30)을 일정한 범위에서 상하작동 가능하게 계업지지하는 장공(32a) 및 수납유지를(28)의 상하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핀(31)을 개입지지하는 원호상 장공(32b)이 전기한 장공(32a)의 위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상태로서 형성되며, 수납유지를(28)이 요동범위의 도중위치에서 아래쪽범위에 있으면, 아래쪽으로 부세하고, 또한 전기한 도중위치에서 윗쪽 범위에 있으면, 윗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렇게 하므로써 수납유지를 (28)은 윗쪽에서의 요동을 수반하여 그 전체가 윗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서 모의 보급을 위하여 모의 재치대(5) 사이를 크게 열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개량예로서, 제1도, 제2도 및 제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기한 모심는 장치(8)를 구동함에 있어서, 전기한 메인밋숀 케이스(M)내에 모심는 장치(8)의 구동을 달절 또는 계속하는 교합식 전동클러치(34)를 클러치를 넣은쪽에 탄성부세한 상태로서 설치하고, 전동클러치(34)로부터의 출력을 차체 뒷부분에 전동하는 축(35)을 설치하고, 전동축(35)의 출력을 전기한 구동케이스(11)에 전동하는 굴절 및 신축 자재한 전동축(36)을 설치하고, 조작레버(37)를 전기한 진동클러치(34)에 대한 조작아임(38)에 대하여 그 앞쪽 요동에 따라서 입력조작하고, 또한 뒤쪽 조작에 따라서 단절조작하도록 와이어(52)를 개재하여 연계된 상태로서 설치하고, 레버(37)를 앞쪽의 요동위치에서 계지지지하는 레버가이드(40)를 레버(37)의 옆쪽 요동에 따라서 계지를 해제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모심는 장치(8)를 그차체에 대하여 승강에 불구하고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또 모심는 장치(8)의 구동을 임의로 단절 또는 계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의 표시한 것과 같이, 전기한 조작레버(37)가 앞쪽으로 요동조작되면, 그것으로써 압압입력 조작되는 제한스윗치(41)를 설치하고, 이 제한스윗치(41)를 전기한 양 모우터 조작회로(25a)(25b)에 대하여 전기한 각각의 양 리이드 스윗치(24a)(24b)와 직렬상태로 접속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제어기구를 전동클러치(34)가 입력조작되면 작동상태로, 또한 단절조작되면 비작동상태로 변환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제어기구를 작동상태와 비작동상태로 변환하는 특별한 조작을 생략시키도록 하고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전기한 모의 재치대(5)에 재치된 4개의 매트형상의 모를 각 식재용 손톱(6)…의 작동궤적에서 벗어난 위쪽 위치에서 관통하여 개합지지하는 4개의 갈퀴형상 계지구(42)를, 모의 재치대(5)에 전후로 벌려서 부착한 1쌍의 핀(43a)(43b)의 한쪽(43b)에 상하요동 자재하게 개합시키는 상태로서, 또한 윗쪽 요동자세로서 고정할 수 있도록 다른쪽 핀(43a)에 개탈자재하게 개합시키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일부가 평탄하게 융기된 토지에서의 모심는 작업을 할 때 등에 있어서, 4조 보다도 적은 조수로서의 모심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엔진(E)의 출력이차륜(1)(2) 및 모심는 장치(8)에 전동되는 것을 단절 또는 계속하는 메인클러치폐달(44)을 밟아 넣어서 차단상태로 조작하는 상태로서, 또한 윗쪽으로 자동복귀하도록 탄성부세한 상태로서 설치하고, 매인 클러치폐달(44)을 밟아넣어 조작할때에 그것으로 압압입력 조작되는 상시개방형 제한스윗치(45)를 전기한 엔진(E)의 기동용 전동모우터(46)에 대하여 그 기동스윗치(47)와 직렬로 접속시키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그렇게 하므로써 엔진 시동을 안전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전기한 제한스윗치(45)를 압압입력조작하는 요동편(48)을 압압해제 하는 쪽으로 탄성부세한 상태로서 설치하고, 전기한 기동스윗치(47)에 대한 조작용 키기(49)의 옆쪽 부분에 설치한 슬라이드 조작구(50)를 전기한 요동편(48)에 대하여 잡아당기는 조작에 의하여 압압입력조작 상태쪽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51)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이렇게 하므로써 점검, 조절할때 등에 있어서, 차체밖으로 위치하면서도 엔진(E)을 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경사검출장치(21)로서는, 예컨대 실시예에서 설명한 추(23)로서 조작되는 포텐서미터(potentiometer)를 설치하여 모심는 장치(8)에 대한 좌우 경사를 전기신호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상태로서 검출시키도록 하는 등 각종 구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모심는 장치(8)를 차체에 대하여 로울링(Rolling) 조작하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전기한 모심는 장치(8)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경사자세를 검출하는 경사검출장치(21)를 설치하고, 전기한 모심는 장치(8)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 경사자세를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시키도록 전기한 경사검출장치(21)의 정보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기한 구동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기구를 설치한 이앙기에 있어서, 전기한 구동기구가 전동모우터(19)로서 구성되고, 전기한 경사검출장치가 전기한 모심는 장치(8)의 수평자세에 대한 좌우 경사를 전기신호의 변동으로서 검출하는 경사검출장치(21)로서 구성되며 전기한 제어기구는 진기한 경사검출장치(21)에 의한 검출신호에 따라서 전기한 전동모우터(19)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모심는 장치(8)에의 동력전달경로 중에 인위조작가능한 전동클러치(34)가 설치되며 전기한 제어기구는 전기한 전동클러치(34)가 입력 조작되어 잇는 경우에 작동상태로 되고, 전기한 클러치(34)가 단절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작동상태가 되도록 전기한 진동클러치(34)가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모심는 장치(8)를 차체에 대하여 로울링(rolling) 조작하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전기한 모심는 장치(8)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 경사된 자세를 검출하는 경사검출장치(21)를 설치하여 전기한 모심는 장치(8)의 지상에 대하여 좌우 경사자세를 설정된 범위내로 유지시키도록 전기한 경사검출장치(21)의 정보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기한 구동기구를 작동시키는 제어기구를 설치한 이앙기에 있어서, 로울링(rolling) 조작용 나선쪽(16)을 그 한쪽끝이 전기한 모심는 장치축 또는 전기한 차체쪽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슬라이드 불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서 또한 다른쪽끝이 전기한 모심는 장치쪽 또는 차체쪽으로 부착된 통상부재(18)에 나합하는 상태로서 설치하고 전기한 구동기구가 전기한 나선축(16)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도록 전기한 나선축(16)에 대하여 그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계지연결시킨 전동모우터(19)이며 전기한 경사검출장치가 전기한 모심는 장치(8)의 수평자세에 대한 좌우 경사를 전기신호의 변동으로 검출하는 경사검출장치(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8200187A 1981-12-21 1982-03-13 이앙기 KR870001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77681A JPS58107105A (ja) 1981-12-21 1981-12-21 田植機
JP?56-206776 1981-12-21
JP???56-206776 1981-12-21
JP19196181U JPS5894314U (ja) 1981-12-22 1981-12-22 田植機
JP19196281U JPS5894315U (ja) 1981-12-22 1981-12-22 田植機
JP?56-191962 1981-12-22
JP?56-191961 1981-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469A KR830008469A (ko) 1983-12-10
KR870001559B1 true KR870001559B1 (ko) 1987-09-04

Family

ID=2732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187A KR870001559B1 (ko) 1981-12-21 1982-03-13 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5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469A (ko) 198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59B1 (ko) 이앙기
JP4118179B2 (ja) 乗用田植機
JP2002096776A (ja) クローラ走行型作業車
JPS642574Y2 (ko)
JP2870092B2 (ja) 苗植機
JP2002096775A (ja) クローラ走行型作業車
JPS6112166Y2 (ko)
JPS646020Y2 (ko)
JPS642573Y2 (ko)
JPH0144009Y2 (ko)
JP2841787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の自動制御装置
JPH0157922B2 (ko)
JP3174433B2 (ja) 歩行型水田作業機
JPS6337779Y2 (ko)
JPH10295126A (ja) 乗用型田植機の昇降制御装置
JPS6335213B2 (ko)
JPH0233629Y2 (ko)
JPH0234563B2 (ja) Taueki
JPS6331533Y2 (ko)
JPS6041058Y2 (ja) 田植機の植付け装置昇降機構
JPH0233631Y2 (ko)
JPH0126646B2 (ko)
JPH0340094Y2 (ko)
JPS608649Y2 (ja) 乗用型田植機
JPS6387910A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