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138Y1 -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138Y1
KR870001138Y1 KR2019840013554U KR840013554U KR870001138Y1 KR 870001138 Y1 KR870001138 Y1 KR 870001138Y1 KR 2019840013554 U KR2019840013554 U KR 2019840013554U KR 840013554 U KR840013554 U KR 840013554U KR 870001138 Y1 KR870001138 Y1 KR 870001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ty
doors
hal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849U (ko
Inventor
고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3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138Y1/ko
Publication of KR860007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중 승강체도어 외측에 장치된 부품의 사시도.
제 3a도는 제 1 도중 안전 도어 내측에 장치된 부품의 사시도.
제 3b도는 제 3a도중 잠금 장치와 해정봉의 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 도어와 홀도어 사이에 안전도어를 살치하되 안전도어는 항상 승강체 도어에만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하여 홀도어가 고장일때 승강로 내로의 추락위험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안전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체 도어에 홀도어가 맛물려서 작동하게 되어있으나. 홀도어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승강체가 홀도어와 맛물리지 않고도 홀도어가열리게 되어 승강로에 추락하는 위험이 있게 된다. 특히 고층아파트에서 아이들이 홀도어를 열고자 장난이 심하며, 이 때 홀도어가 고장으로 열릴 때에는 매우 위험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하도록 승강체 도어에만 연동하는 안전도어를 홀도어에 설치하여 홀도어의 고장으로 홀도어가 열리더라도 안전도어는 열리지 않도록 한 안전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홀도어 내측에 홀도어보다 작은 안전도어 (1, 2)를 별개로 설치하고 안전도어(1, 2)의 내측 표면사이에는 잠금장치(3, 3')를 설치하여 승강체(가) 도어(5, 5')의 외측표면에 형성된 작동돌기(5)와 잠금장치(3, 3')의 해정봉(4)이 맛물렸을때 해정되도록 하고, 안전도어(1, 2)의 내측표면중간부에는 걸림돌출부(7, 8)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승강체 도어(5, 5')의 외측표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구동돌출부(7', 7", 8', 8")에 끼워져서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9 : 잠금장치(3')에 설치된 걸림봉, 10 : 걸림봉(9)의 탄지 스프링, 12 : 해정봉(4)의 축, 13 : 해정봉(4)용 인장 스프링, 14 : 승강체 도어(5')의 외측표면에 형성된 홀도어(17) 구동용 롤러, 15, 15' : 안전도어(1, 2)의 이동용 롤러, 16 : 홀도어(17)에 형성된 구동용 돌출판, 17 : 홀도어이다.
이러한 구성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체(가)가 홀에 도착하지 않았을 때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안전도어(1, 2)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장치(3, 3')의 걸림봉(9)이 해정봉(4)에 걸려있으므로 안전도어(1, 2)가 열리지 않는 것이다. 즉 홀도어(17)가 고장으로 열리더라도 별개로 설치된 안전도어(1, 2)는 열리지 않으므로 홀에서 승강체를 기다리던 승객들이 승강로로 추락할 위험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홀도어(17)는 어느 한쪽이 열리더라도 다른 한쪽이 동시에 열리게 된 공지의 것이다.
그리고 승강체(가)가 해당층 위치로 진입될 때에는 승강체 도어(5, 5')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구동돌출부(7', 7", 8', 8") 사이에 안전도어(1, 2)의 걸림돌출부(7, 8)가 삽입됨과 동시에 승강체도어(5')에 형성된 삼각형 작동 돌기(6)가 제 3a도, 제 3b도에서와 같이 안전도어(1, 2)를 잠그고 있던 잠금장치(3, 3')의 해정봉(4)의 일단의 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므로 해정봉(4)의 타단이 걸림봉(9)에서 벗겨진다.
또한 승강체 도어(5')에 형성된 홀도어(17)용 구동롤러(14)에는 홀도어(17)의 내측상부에 형성된 구동용 돌출판(16)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승강체 도어(5, 5')가 열리면서 안전도어(1, 2)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만 열리더라도 양쪽이 동시에 열리는 홀도어(17)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전도어(1, 2)는 이동롤러(15, 15')에 의하여 레일에 매달려서 쉽게 이동된다.
역시 홀도어(17)도 안전도어(1,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 롤러에 의하여 레일에 매달려서 쉽게 이동되는 것이다.
승강체에 승객이 올라타고 나면 승강체 도어(5)가 닫히게 되어 안전도어(1, 2)와 홀도어(17)가 닫힌다.
이때에 안전도어(1, 2)에 장치된 잠금장치(3, 3')가 맛닿게 되어 잠금장치(3')에 형성된 걸림봉(9)이 잠금장치(3)내로 삽입되나 잠금장치(3)의 해정봉(4)의 승강체 도어(5)의 작동돌기(6)에 맞물려서 걸림봉(9)에 걸리지 않는다.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걸림봉(9)은 스프링(10)에 의하여 걸림위치에 탄지되어 있으므로 승강체(가)가 이동되어 작동돌기(6)가 해정봉(4)에서 벗어나면 해정봉(4)은 인장스프링(13)의 인장력에 의하여 걸림봉(9)에 걸리게 되어 안전도어(1, 2)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승강체의 작동돌기(6) 길이가 구동돌출부(7', 7", 8', 8")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안전도어(1, 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아 같이 승강체 도어(5')에 안전도어(1, 2)와 홀도어(17)는 동시 작동되나 안전도어(1, 2)와 홀도어(17)는 별개로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승강체도어(5)가 홀도어에 위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홀도어(17)가 고장나서 열리더라도 안전도어(1, 2)는 열리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홀에서 기다리던 승객이 승강로로 추락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홀도어 내측에 홀도어보다 작은 안전도어(1, 2)를 별개로 설치하고 안전도어(1, 2)의 내측 표면사이에는 잠금장치(3, 3')의 해정봉(4)을 돌출 설치하여 승강체(가)도어(5, 5') 중 일측도어(5')의 외측표면에 형성된 작동돌기(6)와 맞물렸을때 해정되도록 하고, 안전도어(1, 2)의 내측표면 중간부에는 걸림돌출부(7, 8)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승강체도어(5,5')의 외측 표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구동 돌출부(7', 7", 8', 8")에 끼워져서 열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도어장치.
KR2019840013554U 1984-12-19 1984-12-19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KR870001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554U KR870001138Y1 (ko) 1984-12-19 1984-12-19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554U KR870001138Y1 (ko) 1984-12-19 1984-12-19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849U KR860007849U (ko) 1986-07-16
KR870001138Y1 true KR870001138Y1 (ko) 1987-03-25

Family

ID=7016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554U KR870001138Y1 (ko) 1984-12-19 1984-12-19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1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237B1 (ko) * 2004-02-16 2006-02-20 김현수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237B1 (ko) * 2004-02-16 2006-02-20 김현수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849U (ko) 198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433B1 (ko) 엘리베이터 출입문 장치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200830300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KR870001138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KR10220041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H0532374U (ja) エレベータの敷居
US4618177A (en) Automatic latching mechanism for overhead doors
JPH0455014Y2 (ko)
JPH0429239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KR102421796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H028979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622001B2 (ja) エレベータ
KR970004190Y1 (ko) 엘리베이터 해치도어(Hatch Door) 인터록장치의 레버구조
JPH0680364A (ja) エレベータ
JPH0357022B2 (ko)
JPS6232220Y2 (ko)
JP2796458B2 (ja) エレベーター乗かごの出入口装置
JPH02193884A (ja) エレベータかごのドア装置
JPH0214759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ロック装置
JPH05201666A (ja) エレベータ
JPH0589379U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の手動解錠装置
JPS598630B2 (ja) エレベ−タかごのドア−装置
JPH09315742A (ja) エレベータ乗場戸全開防止器具
KR970004383Y1 (ko) 엘리베이터의 이중 승강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