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237B1 -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 Google Patents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237B1
KR100553237B1 KR1020040010187A KR20040010187A KR100553237B1 KR 100553237 B1 KR100553237 B1 KR 100553237B1 KR 1020040010187 A KR1020040010187 A KR 1020040010187A KR 20040010187 A KR20040010187 A KR 20040010187A KR 100553237 B1 KR100553237 B1 KR 10055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ransfer
writing instrument
reel
transf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596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04001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2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5/00Cooling
    • G12B15/06Cooling by contact with heat-absorbing or radiating masses, e.g. heat-s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가 동일 케이스 내에 구성되고 오락도 가능한 필기구 겸비 오락성 테이프 전사구가 제공된다. 테이프 전사구는 전사테이프, 송출릴과 권취릴, 전사헤드부, 상기 릴들 간의 연동회전기구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테이프가 상기 전사헤드부의 선단에 의해 피전사면에 도포층이 전사된 후 필름이 권취되는 방향의 케이스 벽과 평행한 여분의 장소에 필기구가 구성되며, 상기 릴의 어느 한쪽편에는 날개 판이 부착되어 문자 및 그림 등이 그려지고 그 일부분이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Amusement Tape Dispenser with Pen}
도 1은 테이프 전사구 헤드부와 필기구 헤드부가 동일방향에 구성된 실시 예로서 상측 케이스가 분리된 정면도이고,
도 2는 테이프 전사구 헤드부와 필기구 헤드부가 상방향이 되게 구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상측 케이스가 분리된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헤드부를 A 방향에서 본 확대도로서, 전사구 헤드부와 필기구 헤드부를 일체화한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의 설면〉
1. 21. 하부 케이스
2a. 22. 테이프 전사구용 헤드부 2b. 필기구용 헤드부
3. 23. 테이프 전사구 헤드부의 선단
4. 24. 펜촉
5. 25. 헤드부 보호용 캡 설치구
6. 26. 펜의 심
7. 27. 펜 분리대
8. 스프링
9. 10. 펜 전·후퇴용 돌기
11. 노크부
12. 32. 송출휠
13. 권취휠
14. 송출릴에 구성된 회전 날개 판
15. 전사테이프 리필 판
16. 송출 측 전사테이프
17. 권취 측 (전사)테이프
18. 19. 테이프 가이드 겸 리필 판 고정축
20. 권취릴
28. 29. 테이프 가이드
30. 권취릴에 구성된 회전 날개 판
33. 펜촉 구금
36. 전사테이프
40. 송출릴
50. 상부 케이스
51. 전사테이프 입구
52. (전사)테이프 출구
본 발명은 필기구인 펜과 테이프 전사구를 동일한 케이스 내에 일체화함으로서 테이프 전사구와 펜을 각각 휴대하고 보관함에 발생되는 거추장스러운 문제점을 개선하고, 케이스 등의 구성요소의 공유화를 통하여 경제성을 높이며, 또한 테이프전사구를 사용함으로서 오락도 가능하게 되는, 필기구가 겸비된 오락성 테이프 전사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볼펜 등의 필기구와 수정테이프 전사구, 형광 체크테이프 전사구, 점착성 양면테이프 전사구, 페인팅테이프 전사구 등과 같은 테이프 전사구가 동일한 케이스 내에 구성되며, 구성된 테이프 전사구는 또한 오락용으로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일본 특표2003-511265, 동 실용신안등록 제3094439호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들은 테이프 전사구의 일부인 독립된 수정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를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정테이프 전사구와 상기 필기구의 각 후부에는 나사 등을 구성하여, 상기 수정테이프 전사구와 상기 필기구가 상면되게 단지 연결시키고 있는 구조에 지나지 않고 있다.
전술된 수정테이프 전사구 등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테이프 전사구는, 송출릴에 장착된 전사테이프가 전사헤드부에 의해 피 전사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풀려 나오며 도포된 전사층은 피 전사면에 박리 전사되고 쓰고 남은 필름은 상기 송출릴과 동력전달장치인 기어 및 벨트기구 등이 개입된 권취릴에 자동으로 감겨 지게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그 외관상의 볼륨은 일반적인 필기구에 비해 대단히 비대하게 구성된다고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전사구에 필기구가 상면되게 연결시키는 전술된 종래의 제안은, 구조상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의 볼륨 밸런스 유지가 대단히 어렵게 되어 필기구에 장착되는 펜의 길이를 극단이 짧게 구성한다거나 전사테이프의 용량을 대단히 적게 구성하지 않을 수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이들 구조마저도 각각 독립되고 있기 때문에 제조상의 이점도 기대하기가 미흡하여 경제성에 있어서도 문제가 된다고 아니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를 일체화함에 있어서, 여기에 장착되는 전사테이프 및 펜의 용량·용적을 저감시키지 않는 구조제공과, 구성요소의 일부 또한 상호 공용되게 함으로서 부품 수를 줄여 경제성을 추구하고, 나아가 테이프 전사구를 사용함으로서 오락도 즐기게 되는, 필기구 겸비 오락성 테이프 전사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 테이프 전사구에 있어서 전술한 여분의 공간을 적절히 이용하고 필기구가 부착되어도 사용상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필기구인 펜의 축을 테이프 전사구 헤드부의 후부 쪽, 즉 전사 사용이 끝난 필름이 배출되어 권취릴에 감기게 테이프 경로가 구성되는 곳의 케이스 벽과 평행이 되게 그 일부 또는 전면에 걸쳐 구성하고, 상기 테이프 전사구의 구성요소인 송출릴 또는 권취릴의 어느 한편에는 날개 판을 형성하여 문자 또는 그림 등을 그 려 넣고 그 일부분이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게 상부 케이스 측에는 적절한 노출구멍을 형성한다든지 인쇄물 등을 부착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일 예를 나타내는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에 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 전사구 헤드부의 후부 쪽 케이스 측면에 배치 구성되는 필기구인 펜은, 그 헤드부의 위치 구성에 따라 도 1과 같이 테이프 전사구의 헤드부(2a)와 동일한 방향으로 필기구용 헤드부(2b)가 설정이 되기도 하고,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에 독립된 헤드부로서 예를 들어 펜촉 구금(33)형으로서 구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테이프 전사구의 헤드부(2a)와 필기구용 펜의 헤드부(2b)의 방향이 동일 되게 구성하고자 할 경우는, 필기구인 펜촉(4) 부분은 항시 테이프 전사구 헤드부의 선단(3)보다 후퇴된 상태 유지의 필요성과 함께, 사용 시에는 돌출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또한 퇴출시키기 위한 스트로크 발생 유지 기구가 특히 필요하게 된다. 동 도에 있어서는 스트로크 발생 유지 기구로서 노크기구의 설치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노크부(11)를 노크함으로서 상부 케이스 측에 설치된 홈에 상기 노크부(11)하고 일체화 성형된 돌기(10)가 걸리게 되고, 또 다른 돌기(9)가 노크되게 되면 상기 걸린 돌기(10)가 해제되게 된다(도시 생략). 물론, 종래 볼펜 등에 사용되고 있는 그 외의 다양한 스트로크 발생 유지 기구의 도입도 가능하게 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이, 테이프 전사구의 헤드부(2a)와 필기구용 펜의 헤드부(2b)의 방향 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서는, 구조가 서로 다른 테이프 전사구의 헤드부(2a)와 필기구용 펜의 헤드부(2b)의 일체화도 가능하게 되어(상세, 도 3), 금형제작, 사출과 조립 등에 있어서의 메리트가 크게 되고, 각 헤드부를 보호하기 위한 캡도 별도 구성하지 않고서도 단일화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겸비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오락을 즐기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테이프 전사구의 송출릴과 권취릴에 설치되는 날개 판은, 도 1에서는 송출릴에 구성된 회전 날개판(14)의 예를, 그리고 도 2에서는 권취릴에 구성된 회전 날개판(30)의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또한 각 날개 판의 외주부에는 오락이 가능한 수단으로서 숫자와 윷이 예가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1숫자 또는 윷의 1문자가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불투명한 뚜껑 케이스에는 노출창을 설치하던지 투명한 뚜껑 케이스의 경우에는 인쇄 또는 테이프 실 등을 부착하여 1숫자, 1문자만이 노출되도록 실링 하고, 피 전사면에 전사함으로서 상기 날개 판이 회전되어 상기 설치된 노출창을 통하여 나타나는 숫자와 문자 등을 확인함으로서, 예를 들어 럭키넘버, 운세판단, 놀이 등을 가능케 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한다.
여기서, 테이프 전사구의 송출릴과 권취릴에 설치된 날개 판은 릴과의 일체형 구조로 표시되고 있으나, 예를 들어 종래의 릴(40, 20)의 형상에 날개 판을 별도 구성하여 기계적 또는 화화적인 방법 등을 도입해 가며 부착시킴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릴 들 간의 연동회전기구로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고 있는 자석휠 구조(12, 13, 32)의 예가 도면상에 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일반적인 동력 전달장치, 즉 기어 및 벨트기구 등의 적용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오락을 즐기기 위한 날개 판의 설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프 전사구에 단독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이용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기술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테이프 전사구에 필기구인 펜이 겸비되고 또한 오락도 즐길 수 있는 본 발명은, 장착되는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의 용량·용적을 저감시키지 않는 구조로서,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를 각기 따로 휴대하고 보관함에 있어서 발생됐던 거추장스럽던 문제점 개선이 가능하게 되고, 내장되는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의 케이스 및 헤드부 등의 구성요소도 공유 사용되게 함으로서 부품수를 줄어 제조상 염가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성이 있도록 하고 있으며, 나아가 오락의 기능도 이용되게 함으로서 고립되기 쉬운 현대인에 있어서 좋은 문구의 벗이 됨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Claims (2)

  1. 테이프 전사구와 필기구가 동일 케이스 내에 구성되는 필기구 부착 테이프 전사구에 있어서, 필기구는 전사헤드부의 후부 측, 즉 송출릴에 감겨진 전사테이프가 전사헤드부에 의해 전사된 후 필름이 배출되어 권취릴에 감기는 테이프 경로를 따라 케이스 벽과 평행상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부착 테이프 전사구.
  2. 상기 테이프 전사구 구성요소인 송출릴 또는 권취릴에는 날개 판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 판에는 숫자, 문자가 그려지며, 케이스를 통하여 상기 그려진 숫자, 문자의 일부가 노출되게 구성되어 노출된 상기 숫자 및 문자를 오락에 이용하는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필기구 부착 테이프 전사구.
KR1020040010187A 2004-02-16 2004-02-16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KR10055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187A KR100553237B1 (ko) 2004-02-16 2004-02-16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187A KR100553237B1 (ko) 2004-02-16 2004-02-16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596A KR20040027596A (ko) 2004-04-01
KR100553237B1 true KR100553237B1 (ko) 2006-02-20

Family

ID=3732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187A KR100553237B1 (ko) 2004-02-16 2004-02-16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2311A2 (en) * 2006-01-13 2007-07-19 Samuelson Jacob B Container with integrally formed recoil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138Y1 (ko) * 1984-12-19 1987-03-25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JPH0539683U (ja) * 1991-11-05 1993-05-28 三菱鉛筆株式会社 流動体の塗布具
JPH0721398U (ja) * 1993-09-28 1995-04-18 三菱鉛筆株式会社 修正塗布具
KR200193028Y1 (ko) * 2000-04-04 2000-08-16 박일수 수정테이핑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0095667A (ko) * 2001-06-15 2002-12-28 세성실업주식회사 필기구가 구비된 수정테이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138Y1 (ko) * 1984-12-19 1987-03-25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안전 도어 장치
JPH0539683U (ja) * 1991-11-05 1993-05-28 三菱鉛筆株式会社 流動体の塗布具
JPH0721398U (ja) * 1993-09-28 1995-04-18 三菱鉛筆株式会社 修正塗布具
KR200193028Y1 (ko) * 2000-04-04 2000-08-16 박일수 수정테이핑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020095667A (ko) * 2001-06-15 2002-12-28 세성실업주식회사 필기구가 구비된 수정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596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505B2 (en) Temporary tattoo applicators
KR100553237B1 (ko) 오락이 가능한 필기구 겸비 테이프 전사구
US20100146731A1 (en) Removable eraser for a pencil
CN213028206U (zh) 一种泡泡儿童相机
US20040258455A1 (en)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and device for displaying entertainment content
KR200446627Y1 (ko) 영상출사기능을 갖는 필기구
KR101573831B1 (ko) 수정 기능을 갖는 필기구
CN107297980A (zh) 一种供卷带的功能薄膜转帖并将基带回收的卷绕式文具
JP2605695Y2 (ja) 両頭筆記具
KR200360015Y1 (ko) 필기구용 로또 번호 추첨기
CN201061951Y (zh) 带液晶显示的圆珠笔
KR100819086B1 (ko) 테이프 전사구
CN201062142Y (zh) 广告烟盒
JP4796342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387888Y1 (ko) 메모지꽂이
JPH10217671A (ja) ラインマーカ
KR0138304Y1 (ko) 다용도 필기구
JPH0840478A (ja) 液体芳香剤容器
JP3086549U (ja) 拡大用レンズ付き修正テープ転写具
JPH023901Y2 (ko)
JPS6144860Y2 (ko)
JP3067150U (ja) 複合筆記具
KR200190298Y1 (ko) 필기구용 받침대
JP2003038822A (ja) 遊技機の遊技盤被覆装置
KR200339618Y1 (ko) 게임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