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88B1 - 수중축수(軸受)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축수(軸受)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88B1
KR870000388B1 KR1019840001115A KR840001115A KR870000388B1 KR 870000388 B1 KR870000388 B1 KR 870000388B1 KR 1019840001115 A KR1019840001115 A KR 1019840001115A KR 840001115 A KR840001115 A KR 840001115A KR 870000388 B1 KR870000388 B1 KR 87000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sealing member
bush
fram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481A (ko
Inventor
마사아기 나가지마
Original Assignee
마사아기 나가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5776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5222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1283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9015U/ja
Priority claimed from JP5822226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1696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아기 나가지마 filed Critical 마사아기 나가지마
Publication of KR84000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 F16C17/1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characterised by features not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load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중축수(軸受)보호장치
제1도는, 종래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수중축수보호장치의 단면도.
제3도의 (a), (b)는, 제2도의 봉인부재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봉인부재인 테이프의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축 2 : 축커플링
2a : 나사 3 : 슬리이브
4 : 부쉬 4a, 4b : 돌기
5 : 나사 6 : 허부
6a : 단턱부 6c : 허브단턱부
7 : 플랜지 8 : 테
8a : 테의 내측단 8b : 테의 외측단
8c : 단턱부 9 : "O"링
10 : 환상공 11 : 경사통수공
12 : 중심통수공 13 : 급수관
14 : 봉인부재 14a : 받침부
14b : 립 15 : 통수공
16 :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 17 : 보강판
19 : 간격 20 : 간격
21 : 테이프 21a : 탄성심
21b : 립 22 : 본체
23 : 나사 24 : 허브
25 : 부쉬 26 : 나사
27 : 테 27a : 원통부
27b : 외측단 27c : 단턱부
28 : "O"링 29 : 쓰러스트 니이들 베어링
30 : 봉인부재 30a : 받침부
30b : 립 31 : 회전축
32 : 급수관 33 : 환상공
34 : 간격 35 : 종통수공
36 : 청시압력이 모이는 곳 37 :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
38 : 경사통수공 39 : 횡통수공
본 발명은, 상수도 처리장에서 모래를 배제하던가, 또는 하수처리나 오수처리 또는 제지관계 산업의 침전지(沈澱池)등의 모래나 오물등의 이물질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측수에 있어서, 조기 마모를 방지하는 수중 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수도 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서 사용하는 흙탕을 긁어 모으는 기계, 또는 침사(沈砂)를 긁어 올리는 기계, 또는 교반 장치 및 펌프등의 수증에서 회전하는 축수는, 외부의 모래나 흙탕등의 침입에 의하여 마모가 심하였다.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위인은 전에 고정측에 끼워 맞추어서 고정붙임된 슬리이브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쉬가 고정되고, 이 부쉬의 외측에 허브가 고정붙임되고, 슬리이브에 내단이 고정붙임된 테의 외측단에 의하여, 허브의 양단을 싸고, 또한 테의 외측단과 허브의 양단 사이에 "O"링이 형성되고 허브에 체인 휘일의 플랜지가 고정붙임되어, 허브 및 부쉬가 회전하는 수중축수 보호장치를 제안하였다. (일본국 특공소57-54653호 참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출원인이 전에 제안한 수중 축수 보호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 고정축(1)은 점선으로 나타낸 축커플링(2)에 나사(2a)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축(1)에 슬리이브(3)가 끼워 맞추어 고정붙임되고, 슬리이브(3)에 부쉬(4)가 회전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이 부쉬(4)는 2개로 분할되어 있고, 허브(6)는 부쉬(4)의 외측의 돌기(4a), (4b)사이에 끼워져서, 나사(5)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허브(6)의 외면에, 체인 휘일의 플랜지(7)가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붙임되어 있다.
이 허브(6)의 양측에 테(8)가 씌워지고, 이 테(8)의 내측단(8a)은 슬리이브에 고정붙임되고, 테(8)의 외측단(8b)은 허브(6)의 양측외면을 덮고, 이외측단(8b)과 허브(6)의 외면 사이에 "O"링(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로 분할된 부쉬(4)의 사이 및 허브(6)의 일부를 움푹 들어가게 하여서, 환상공(10)이 형성되고, 이 환상공(10)에서 허브(6)의 내측을 경사져서 통하여, 테(8)의 외측단(8b)의 면으로 빠지는 경사통수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1)의 중심에 중심통수공(12)이 형성되고, 이 중심통수공(12)은 환상공(10)에 연결되어 통하여져 있다.
또한, 고정축(1)의 중심 통수공(12)은, 고정축(1)의 외면에 형성된 급수관(13)에 연결되어 통하는 통수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수중 축수 보호장치는, 플랜지(7)가 회전할 때에, 흙탕이나 모래가 테(8)의 외측단(8b)과 허브(6)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서 "O"링(9)의 사이를 통하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관(13)에서 청수(淸水)를 송수하면, 고정축(1)의 중심 통수공(12)과, 환상공(10)과, 경사 통수공(11)을 통하여, 테(8)의 의측단(8b)의 면으로 내뿜게 되어, 이 외측단(8b)의 근방에 가까이 오는 흙탕이나 모래를 불어날려 보내어서, 허브(6)의 외주면과 테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간격에, 흙탕이나 모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사 통수공(11)은 허브(6)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뚫어서 형성한 것이므로, 떠다니는 모래나 흙탕이 많은 경우에는 봉인 효과가 충분하지 아니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축과 이 고정축에 끼워 맞춘 슬리이브와, 이 슬리이브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형성된 부쉬와, 이 부쉬의 외주에 고정붙임된 허브와 내측단이 상기 슬리이브에 고정붙임되고 외측단이 상기 허브에 대향하여서 배치된 테와, 상기허브의 외면 또는 상기 테의 외측면에 받침부가 고정붙임되고 립(lip)이 상기 테의 외측단 또는 허브의 외면에 접촉되는 봉함부재와로서 되어있고, 상기 고정축에 형성된 급수관에서 고정축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통수관을 통하고 상기 슬리이브를 통하여, 상기 부쉬 및 상기 허브에 형성된 환상공에서 상기 허브에 형성된 통수공 또는 상기 슬리이브와 상기 부쉬와의 간격을 통하여, 청수를 상기 봉인 부재와 상기 허브의 외면 및 상기 테의 외측단과의 사이의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에 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
제2도는, 본 발명 구성중의 테의 바깝둘레부에 봉인 부재를 장착한 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1)은, 고정축이고, (2)는, 축 커플링이고, (2a)는 나사이고, (3)은, 슬리이브이고, (4)는, 부쉬이고, (5)는, 나사이고, (6)은, 허브이고, (7)은, 플랜지이고, (8)은, 테이고, (9)는 "O"링이고 (10)은, 환상공이고, (12)는, 중심 통수공이고, (13)은, 급수관으로서 이와같은 구성은 상기에서 발명한 종래의 예와 동일한 것이어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8)의 바깝면에 받침부(14a)가 붙임고정되고 립(14b)이 허브(6)의 바깥끝단에 접촉하는 봉인부재(14)가 형성되어, 환상공(10)에서 봉인부재(14)로 둘러싸인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16)에 통수공(15)에서 청수가 송수되어 오는 것이다.
또한, 테(8)는, 나사로서 슬리이브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수중축수 보호장치에서는, 봉인부재(14)와 테(8)의 외면 및 허브(6)의 외측단의 사이에 환상으로된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16)을 형성한 것이어서, 청수가 급수관(13)에서 중심 통수공(12)과, 환상공(10)과, 통수공(15)의 순으로 송수되면, 봉인 부재(14)의 립(14b)이 열리고,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16)에서 허브(6)의 외측단주위에 청수가 내뿜어 허브(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어서, 봉인부재(14) 및 허브(6)의 외측단근방의 모래나 흙탕 등은, 이 내뿜은 청수에 의하여 불어 날려버려서, 모래나 흙탕등이 축수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청수를 급수하는 펌프가 고장나던가, 정지하는 것에 의하여 압력이 소정의 압력 보다 저하한 경우에는 침전지의 처리수의 수압이 봉인부재(14)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작용하여, 봉인 부재(14)의 립(14b)이 허브(6)의 외측단에 대하여 눌려 붙여지게 되는 것이어서, 모래나 흙탕등의 침입이 저지되는 것이다.
봉인부재(14)는 전체를 고무 또는 합성 수지의 탄성부재로 형성하고, 또한 제3도의 (a)에 나타낸 바와같이 립(14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금속등의 보강판(17)을 봉인부재(14)의 내부에 매설하던가, 또는 제3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강판(17)을 봉일부재(14)의 한쪽면에 접착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제4도는 본 발명중에 있어, 허브(6)의 바깥둘레면에 봉인부재(14)를 설치한 실시예의 수중 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1)은, 고정축이고, (2)는, 축커플링이고, (2a)는, 나사이고 (3)은, 슬리이브이고, (4)는, 부쉬이고, (5)는 나사이고, (6)은, 허브이고, (7)은, 플랜지이고, (8)은, 테이고, (9)는, "O"링이고, (10)은, 환상공이고, (12)는 중심통수공이고, (13)은, 급수관이고, (14)는, 봉인부재이고, (15)는, 통수공이고, (16)은,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으로서, 이와같은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어서 설명은 생략하는 것이나,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슬리이브(3)와 부쉬(4)와의 사이에 간격(19)이 형성되고, 또한 테(8)와 부쉬(4)의 측면 및 허브(6)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격(20)이 형성되어, 청수가 환상공(10)에서 간격(19), (20)을 통하여 테의 외측단(8b)과 허브(6)의 외면의 "O"링(9)의 사이를 흐른다.
이 실시예에서는 허브(6)의 외측면의 받침부(14a)가 붙임고정되고 립(14b)이 테의 외측단(8b)에 접촉하는 봉인부재(14)가 형성되어 있고, 테(8)와 허브(6)의 측면 및 부쉬(4)의 측면과의 간격(20) 및 부쉬(4)와 슬리이브(3)의 간격(19)에 유체봉인을 형성하고, 또한 봉인부재(14)로서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1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모래 및 흙탕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도의 종래의 예에 비하여, 테(8)의 직경을 허브(6)의 직경보다 전체를 콤펙트(Compact)로 할 수가 있고, 또한 플랜지(7)는, 허브(6)의 외단 또는 그 부근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수중 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1)은 고정축이고, (2)는, 축 커플링이고, (2a)는, 나사이고, (3)은, 슬리이브이고, (4)는, 부쉬이고, (5)는, 나사이고, (6)은, 허브이고, (7)은, 플랜지이고, (8)은, 테이고, (10)은, 환상공이고, (12)는, 중심통수공이고, (13)은, 급수관이고, (14)는, 봉인부재이고, (15)는, 통수공이고, (16)은,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이고, (19), (20)은, 간격으로서 이의 구성은 상기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어서 설명은 생략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테(8)의 외경을 허브(6)의 외경 보다 작게하여 O링(9)을 생략하였다.
또한, 봉인부재(14)의 받침부(14a)를 양측테(8)의 단턱부(8c)에 각각 고정붙임하고, 봉인부재(14)의 립(14b)을 허브(6)의 바깥끝단부에 접촉하게 하였다.
[실시예 4]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제5도의 실시예와 거의 같은 것이나, 봉인부재(14)의 받침부(14a)를 허브(6)의 양측단턱(6a)에 고정붙임하고 립(14b)을 테의 외측단(8b)에 접촉되게 하였다.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테(8)의 외경을 허브(6)의 외경보다 작게한 것이어서, 전체를 콤펙트할 수가 있고, 또한 "O"링(9)을 사용하지 아니한 것이어서, "O"링(9)과 허브(6)의 외면과의 기계적 마찰을 방지할수가 있어, 이것에 의하여 플랜지(7)를 고속 회전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 "O"링(9)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것에 의하여, 축수의 봉인작용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으나, 간격(19), (20)에 압승하는 정수의 량을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해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 5]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1)은, 고정축이고, (2)는, 축커플링이고, (3)은, 슬리이브이고, (4)는, 부쉬이고, (5)는, 나사이고, (6)은, 허브이고, (7)은 플랜지이고, (8)은, 테이고, (10)은, 환상공이고, (12)는, 중심통수공이고, (13)은, 급수관이고, (14)는, 봉인부재이고, (16)은,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이고, (19), (20)은 간격으로서, 이와같은 구성은, 상기의 제5도의 실시예와 같은 것이어서 생략하는 것이나, 본 발명 제5실시예에서는, 제5도의 실시예의 통수공(15)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모든 정수를 환상공(10)에서 간격(19), (20)을 통하여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16)에 송수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통수공(15)을 설치하지 아니한 것이어서, 제5도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설계가 용이하고 전체의 청수가 간격(19)과 간격(20)을 통과하는 것이어서, 테(8)와 허브(6)와의 측면 및 부쉬(4)의 측면사이 및 슬리이브(3)와 부쉬(4)와의 사이이 좋은 윤활의 것이고, 봉인 효과도 큰 것이다.
다만, 본 발명 제5실시예에서, 청수는 간격(19, 20)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것이어서,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16)에 도달하기 까지의 유통 저항이 큰 것이나 청수를 압송하는 압력을 크게하는 것에 의하여 해결할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6]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수중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제5실시예는 거의 동일한 것이나, 본 실시예의 봉인 부재는 복수개의 테이프가 적층되어 고정붙임되고, 이 적층된 테이프의 일단이 허브(6)에 고정붙임되어 있다.
이 봉인 부재로서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받침부에 탄성심(21a)을 구성하고, 립(21b)에는 심(芯)을 구성하지 아니하게 한 테이프(21)를 여러개 중첩하여, 청수가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16)에서 분출하는 때에, 립(21b)이 용이하게 열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테이프(21)를 원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 테이프(21)를 허브 단턱부(6c)에 따라서 원형상으로 구부려, 테이프(21)의 끝단부를 중첩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봉인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특히 회전축이 중심을 통하는 평면을 따라 2기로 절단한 구조의, 소위 2개로 나눈 형상의 수중축수에 장착하면 편리하다.
[실시예 7]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수중 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와는 상이한 것으로, 축을 회전하게 한 것이다.
즉, 허브(24)는 본체(22)에 나사(23)로 고정붙임되고, 또한 부쉬(25)는 허브(24)의 내측에 나사(26)로 고정붙임되어 있다.
테(27)는 부쉬(25)내의 돌출하는 원통부(27a)와 허브(24)의 끝단부의 외면을 씌우다 외측단(27b)을 형성하고 있고, 허브(24)의 외면과 테(27)의 외측단(27b)의 내면에 "O"링(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27)와 부쉬(25)의 측면 사이에 쓰러스트나이들 베어링(29)이 형성되고, 허브(24)에 받침부(30a)가 고정붙임되고, 립(30b)이 테(27)의 외측 끝단에 접촉한 봉인부재(30)가 형성되어 있다.
테(27)의 원통부(27a)에 회전축(31)의 일측끝단이 끼워 넣어져 고정붙임되어 있다.
허브(24)의 외면에 급수관(32)이 형성되고, 이 급수관(32)은 허브(24)와 부쉬(25)와의 접촉부에 환상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공(33)에서 허브(24)의 부쉬(25)와의 사이의 간격(34)을 통하고, 또한 이 간격(34)에서 종통수공(35)을 통하여 봉인부재(30)에 둘러싸인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36)에 청수가 송수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이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봉인부재(3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부쉬(25)와 테(27)의 원통부(27a)의 사이에 모래나 흙탕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8]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수중 축수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22)는, 본체이고, (23)은, 나사이고, (24)는, 허브이고, (25)는, 부쉬이고, (26)은, 나사이고, (29)는, 쓰러스트 나이들 베어링이고, (31)은 회전축이고, (32)는, 급수관이고, (33)은, 환상공이고, (34)는, 간격으로서, 이와같은 구성은 제10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어서, 설명은 생략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테(27)의 외측단(27b)의 외경을 허브 (24)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하고, 봉인부재(30)의 받침부(30a)는 테(27)의 외측단(27b)의 단턱부(27c)에 고정붙임되어 있으며, 립(30b)은 허브(24)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봉인부재(30)에 둘러싸인 청수압력이 모이는 곳(37)에는, 환상공(33)에서 경사통수공(38)을 통하여 청수가 송수되는 것이다.
[실시예 9]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수중 축수 보호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제8실시예에 있어 봉인부재(30)의 받침부(30a)를 허브(24)의 외측끝단에 고정붙임하고, 립(30b)을 테(27)의 외측단(27b)에 접촉하였다.
또한 청수는 환상공(33)에서 허브(24)에 형성한 횡통수공(39)을 통하여 보내어지고, 또한 부쉬(25)와 테(27)의 원통부(27a)와의 간격과 테(27)의 외측단(27b)과 쓰러스트 니이들 베어링(29) 및 허브(24)와의 간격을 통하여, 봉인부재(30)로 둘러싸인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37)에 송수된다.
이와같이 고정된 축 및 회전하는 축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허브와 테와의 사이에 봉인부재를 형성하고, 이 봉인부재로 둘러 싸인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에 청수가 송수되어, 봉인부재의 립과 허브의 외면 또는 테의 외측단에서, 청수를 내뿜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축수의 조기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고정축(1)과, 이 고정축(1)에 끼워 붙임된 슬리이브(3)와, 이 슬리이브(30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한 부쉬(4)와, 이 부쉬(4)의 외주에 고정 붙임된 허브(6)와, 내측단이 상기 슬리이브(3)에 고정붙임되어 외측단이 상기 허브(6)에 대향하여 배치된 테(8)와 상기 고정축(1)에 설치된 급수관(13)에서 고정축(1)의 중심에 형성한 중심통수공(12)을 통하고 상기 슬리이브(3)를 통하여 상기 부쉬(4) 및 상기 허브(6)에 형성한 환상공(10)과를 형성하는 수중축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6)의 외면 또는 상기 테의 외측단(8b)에 받침부(14a)가 고정붙임되고, 립(14b)이 상기 테의 외측단(8b) 또는 허브(6)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는 봉인 부재(14)를 형성하여, 상기 환상공(10)에서 상기 허브(6)에 형성한 통수공(15) 또는 슬리이브(3)와 상기 부쉬(4)와의 간격(19)에서 테(8)와 부쉬(4)와의 간격(20)을 통하여, 청수를 상기 봉인부재(14)와 상기 허브(6)의 외면 및 상기 테의 외측단(8b)과의 사이의 청수 압력이 모이는 곳(16)에 송수하게 하는 수중 축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8)의 외경을 상기 허브(6)의 외경 이하로 한 수중 축수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재(14)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등의 탄성 부재로서 되는 수중 축수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재(14)의 받침부(14a)에 보강판(17)을 형성한 수중 축수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봉인부재로서 탄성심(21a)이 있는 테이프(21)를 중첩하여 사용하는 수중축수보호장치.
KR1019840001115A 1983-03-31 1984-03-06 수중축수(軸受)보호장치 KR870000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45776 1983-03-31
JP4577683U JPS59152220U (ja) 1983-03-31 1983-03-31 水中軸受保護装置
JP???45776 1983-03-31
JP???171283 1983-11-07
JP17128383U JPS6079015U (ja) 1983-11-07 1983-11-07 水中軸受保護装置
JP???222264 1983-11-28
JP58222264A JPS60116964A (ja) 1983-11-28 1983-11-28 シ−ル装置用テ−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81A KR840008481A (ko) 1984-12-15
KR870000388B1 true KR870000388B1 (ko) 1987-03-07

Family

ID=2729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15A KR870000388B1 (ko) 1983-03-31 1984-03-06 수중축수(軸受)보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870000388B1 (ko)
CA (1) CA1228105A (ko)
DE (1) DE3411312A1 (ko)
FR (1) FR2546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2427A1 (de) * 2007-11-02 2009-05-07 Schaeffler Kg Lageranordnung für ein Lager
DE102013215452B4 (de) 2013-08-06 2021-02-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auchlagerung
DE102013215468A1 (de) 2013-08-06 2015-02-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auchlag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Abdichtung derselben
DE102013215453B4 (de) 2013-08-06 2015-08-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auchlag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27817U (de) * 1972-10-12 F Hesser Maschinenfab Ag Schmutzgeschützte Lager an einer Schneckendosiermaschine
US1957054A (en) * 1929-06-03 1934-05-01 Timken Roller Bearing Co Packing for shaft bearings
US2541645A (en) * 1947-01-08 1951-02-13 Sandy Hill Iron & Brass Works Water seal for oil lubricated bearings
DE975981C (de) * 1952-02-20 1963-01-03 Siemens Ag Wellenabdichtung fuer Lager, insbesondere solche von elektrischen Maschinen
GB1206757A (en) * 1967-02-24 1970-09-30 Hugh John Fisher Improvements relating to boat trailers
GB1194131A (en) * 1967-04-14 1970-06-10 Sybron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Rotary Seal Construction.
US3848938A (en) * 1973-02-28 1974-11-19 Torrington Co Bearing and bearing seal
DE2355772A1 (de) * 1973-11-08 1975-05-22 Kugelfischer G Schaefer & Co Dichtung
US3934952A (en) * 1975-01-24 1976-01-27 Waukesha Bearings Corporation Leakproof seal for bearings
US4314705A (en) * 1979-05-23 1982-02-09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Oil seal device
DE2930462C2 (de) * 1979-07-27 1983-11-0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Schlammdichtung
JPS58217815A (ja) * 1983-01-13 1983-12-17 Masaaki Nagashima 水中軸受保護装置
GB2150232B (en) * 1983-03-31 1987-04-23 Masaaki Nagashima Underwater bearing pro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11312A1 (de) 1984-10-11
FR2546996A1 (fr) 1984-12-07
KR840008481A (ko) 1984-12-15
CA1228105A (en) 198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256A (en) Underwater pump
KR870000388B1 (ko) 수중축수(軸受)보호장치
US5979903A (en) Translucent slinger with centrifugal seal
US4502739A (en) Roller bearing seal
US6607196B2 (en) Sealing washer
US4524977A (en) Underwater bearing protection device
KR20160092271A (ko) 입형 원심펌프
AU674453B2 (en) A seal housing
JPS60175512A (ja) 回転スクリ−ン
JP3727686B2 (ja) 立軸ポンプにおける水中軸受の異物侵入防止装置
JPS6143569B2 (ko)
CN212225948U (zh) 一种船用防泥沙密封组件及齿轮箱
JPH09126232A (ja) 不純物の侵入防止を施した軸受の構造
SU681220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насос
SU1240449A1 (ru) Нижн опора спирального классификатора
JP2829359B2 (ja) 立軸ポンプの軸封装置
CN219840820U (zh) 一种防缠绕保护套、排水泵及泳池清洁机器人
JP3474963B2 (ja) 水中軸受のシール構造
US2189912A (en) Gear box for drilling apparatus
CN111503248A (zh) 一种船用防泥沙密封组件及齿轮箱
JPS6235910Y2 (ko)
US3358607A (en) Pump
JPH0882291A (ja) スクリューポンプの軸受構造
JPH0632840U (ja) 回転ドラム型固液分離装置用リップパッキン
JPH07109995A (ja) 立軸ポンプの軸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