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715Y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715Y1
KR860003715Y1 KR2019830009721U KR830009721U KR860003715Y1 KR 860003715 Y1 KR860003715 Y1 KR 860003715Y1 KR 2019830009721 U KR2019830009721 U KR 2019830009721U KR 830009721 U KR830009721 U KR 830009721U KR 860003715 Y1 KR860003715 Y1 KR 860003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ain body
drive car
driv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55U (ko
Inventor
히로시 가마이게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351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027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044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2768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지로우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제1도 내지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승강로 종단면도.
제2도는 권상기의 측면도.
제3도는 권상기의 전면도.
제4도는 측면도.
제5도는 요부 상세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의 단면도.
제8도는 제어 회로도.
제9도는 주삭을 2회 감은 구동차를 표시한 측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도면.
제11도는 주삭을 3회 감은 구동차를 표시한 측면도.
본 고안은 주삭(主索)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본체를 강승시키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卷上機)에 관한 것이다. 주삭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본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의 구동차(鋼車)와 주삭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본체를 구동 시킨다. 이 때문에, 구동차를 구동시키는 전동기의 구동력 및 구동차를 제지시키는 제동기의 제동력은 모터 주삭과 구동차가 미끄러지지 않는 범위내에 제한 된다.
그래서, 큰 구동력 및 제동력을 필요로 할때는 외경의 큰 구동차를 사용하여 주삭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소요의 마찰력을 얻고 있었다.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특히 기어 없는(gear less) 엘리베이터용으로서 공지된 권상기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승강로, (2)는 이 승강로(1)을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본체(이하, 본체라 한다), (3)은 일단 이 본체(2)에 접속된 주삭, (4)는 이 주삭(3)의 타단에 접속된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 (5)는 승강로 (1)의 정부(頂部)에 부설된 기계실, (6)은 기계실, (5)의 바닥에 설치된 지지틀(梁), (7)은 이 지지틀(6)과 기계실(5)의 벽에 과설(誇設)된 기계대(機械臺), (11)은 지지각(12)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 (13)은 회전축(11)의 중앙부에 부설되고 주삭(3)이 감겨진 구동차, (14)는 이 구동차(13)에 인접하며 회전축(11)에 부된설 브레이크 휠(BRAKE wheel), (15)은 이 브레이크 휠(14)을 파지(把持)하여 구동차(13)를 정지시키는 일대(一對)의 제동자(즉則動子), (16)은 축(16a)에 축지(軸支)된 제동자(15)에 의한 브레이크 휠(15)의 파지 및 해방(解放)을 행하는 일대의 브레이크 암(arm), (17)은 이 브레이크 암(16)을 눌러서 브레이크 휠(14)을 파지시키도록 제동자(15)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용수철, (18)은 전기적으로 부세(付勢)되어 브레이크 용수철(17)에 대향하여 브레이크 암(16)을 이동시켜, 브레이크 휠(14)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동자(15)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코일, 상기 브레이크 휠(14), 제동자(15), 브레이크 암(16), 브레이크 용수철(17) 및 브레이크 코일(18)는 제동기(18a)을 구성하는 것이다. (19)는 구동차(13)을 사이에 두고 브레이크 휠(14)의 반대축에 부설되어 회전축(11)을 구동하는 전동기, (20)은 기계대(7)에 부설되고, 구동차(13)에 감겨진 주삭(3)의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4)의 직상(直上)의 위치까지 안내하는 방향을 바꾸는 차(車)이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전동기(19) 및 브레이크 코일(18)이 함께 소세(消勢)됨으로 인하여 제동자(15)는 브레이크 휠(14)를 파지해서 구동차(13)을 제지시키고, 본체(2)를 정지 시킨다. 또, 브레이크 코일(18) 및 전동기(19)가 함께 부세되므로 인하여 브레이크 휠(14)가 해방되어, 구동차(13)이 전동기(19)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주삭(3)이 이동하고 본체(2)를 승강 시킨다.
그런데, 상기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휠(14), 구동차(13) 및 전동기(19)는 종렬로 배치되어 회전축(11)에 설치하기 위하여 회전축(11)은 긴것으로 된다. 또, 구동차(13)은 회전축(11)의 중앙에 위치하여, 본체(2) 및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4)의 중량을 지지하기 때문에, 회전축(11)이 두꺼워지고, 권상기는 고가인 것으로 되었다.
또, 전동기(19)의 구동 토크(Torque)는 승차인의 기분을 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체(2)를 가감속 할수 있는 수치로 제한 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동력은 안전의 관점에서 결정되는 것이므로 승차인의 기분을 상하여도 급정지 할 수 있는 수치가 필요하게 된다. 주삭(3)과 구동차(13)의 마찰력에 의하여, 본체(2)을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제동자(15)를 브레이크 휠(14)에 강압(强壓)시켜, 구동차(13)를 급정지시켰다고 하여도, 주삭(3)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본체(2)를 급정지시킬 수가 없다.
그래서, 주삭(3)과 구동차(13)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종래는 구동차(13)의 직경을 크게 하여 주삭(3)과의 접속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채용되었었다. 구동차(13)의 직경이 크게 되면 본체(2)을 운전할때의 회전수가 낮아진다. 이 때문에 진동기(19)가 대형화되고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없이하기 위하여 구동차에 본체를 늘어뜨리는 주삭을 감고, 이 구동차를 전동기로 구동하여 본체를 승강시켜 주삭에 제동기를 접찰(摺擦)시켜 제동력을 발생시켜 이 제동력으로 본체를 제지되도록 하여 구동차의 직경이 적은 것이라도 소요의 제동력을 발생시켜 회전력을 높이어 전동기의 소형화를 도모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고정자 철심의 외측에 회전자 철심을 자기적으로 걸어 맞춤하여 프레임으로 지지하고, 이 프레임에 홈을 형성하여 구동차를 구성하고, 이 구동차에 주삭을 3회 이상 감아서, 권상기의 외형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마찰력을 증대시켜 소요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우선,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도면 중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20a)은 주삭(3)을 구동차(13)에 감아 안내하는 제1방향 바꾸는 차, (20b)는 이 제1방향 바꾸는 차(20a)에서의 주삭(3)의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4)에 안내하는 제2방향 바꾸는 차, (30)은 구동차(13)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회전을 제지함과 동시에, 주삭(3)에도 구동차(13)에 감기어진 부분에서 접하여 직접 제지시키는 일체의 제동자, (31)은지지각(12)가 고정된 기본체(基本體)(32)에 축(31a)을 거쳐 축지 되어서 회동(回動) 하고, 제동자(30)에 의한 구동차(30)의 파지 및 해방을 행하는 1대의 브레이크 암이다.
제동자(30)을 제5도에 의하여 좀더 자세히 나타내면(40)은 구동차(13)에 맞추어서 호상(弧狀)에 완곡한 보지금(保持金), (41)은 이 보지금(40)의면이 접착되어 구동차(13)의 외주면에 서로 맞닿는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 (41a)은 이 브레이크 라이닝(41)의면에 형성된장소로 주삭(3)과 마찰 접촉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도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종래에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으로 제동자(30)이 구동자(13) 및 주삭(3)을 파지함으로 인하여, 본체(2)가 제지된다. 또, 제동자(30)이 구동차(13) 및 주삭(3)을 해방함으로 인하여 본체(2)가 승강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제동자(30)은 구동차(13)을 파지하도록 한것으로 브레이크 휠을 생략할 수 있어 그 분량만큼 회전축(11)이 단축된다. 또, 제동자(30)은 주삭(3)을 직접 제지시키므로 구동차(13)과 주삭(3)과의 마찰력의 충분한 수치가 아니더라도,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어, 본체(2)을 급정지 시킬수가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축이 회전하는 방식의 권상기는 하중이 중앙에 쏠리기 때문에 축이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축을 고정하여 고정자 철심을 부설하고, 이 고정자 철심의 의주에 회전자 철심을 마련하여 구동차를 구동하는 방식, 즉 아우트로터(out rotor) 방식의 권상기가 실용신안 공개공보소 52-32870호 공보에 나타나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상기 아우트로터 방식의 권상기로서 도면중, 제3도 및 제4도와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51)은 기본체, (52)은 이 기본체(51)에 입설 고정된 일대의 지지각, (53)은 이 지지각(52)에 양단이 고정되어 지지된 고정축, (54)는 이 고정축(53)의 중앙부에 고정된 고정자 철심, (55)는 이 고정자 철심(54)에 감겨지고 삼상 교류의 인가되는 일차권선, (56)은 고정축(53)의 단부에 베아링(56a)을 거쳐 회동자재 하게 설치된 일대의 원반상(圓盤狀)의 브레킷(bracket), (57)은 이 브래킷(56)의 양단에 걸림되어, 외주면에 복수의 홈(56a)가 파여지고, 이 홈(57a)에 주삭(3)이 거의 반주(半周) 감겨진 원통상(圓徵狀)의 프레임(frame)으로 되는 구동차, (58)은 이 구동차(57)의 한쪽의 단부의 전주(全周)에 걸쳐 돌설된 브레이크 휠, (59)는 구동차(57)의 내면에 고설되고, 고정자 철심(54)가 삽입된 원통상의 회전자 철심으로 고정자 철심(54)와 자기적으로 걸어 맞춤하여 삼상유도 전동기(100)을 구성하는 것이다. (60)은 구동차(57)에 감겨진 부분의 주삭(3)과 브레이크 휠(58)을 파지 또는 해방하는 일대의 제동자, (61)은 이 제동자(60)을 구성하고, 호상에 완곡한면을 구동차(57)에 대향 시킨 일대의 보지금, (61a)는 마찬가지로 제동자(60)을 구성하고, 보지금(61)의면에 장착된 제1의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구동차(57)에 감겨진 주삭(3)을 파지 또는 해방을 행하는 것이다. (61b)은 마찬가지로 제동자(60)을 구성하고 보지금(61)의면에 장착된 제2의 브레이크 라이닝으로 브레이크 휠(57a)을 파지 또는 해방을 행하는 것이다. (62)는 축(62a)을 거쳐 기본체(51)에 축지되어 회동하는 일대의 브레이크 암, (63)은 브레크이 용수철(64)는 팔(64a)을 거쳐 지지각(52)에 설치된 브레이크 코일이다. 또, 브레이크 휠(58), 제동자(60), 보지금(61), 제1의 브레이크 라이닝(61a), 제2의 브레이크 라이닝(61b), 브레이크 암(62), 브레이크 용수철(63) 및 브레이크 코일(64)는 제동기(64a)을 구성하고, 제3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65)는 기계대(7)에 회전자재하게 부설한 방향을 바꾸는 차로 구동차(57)과의 사이에 주삭(3)을 복수회 왕복한 후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4)에 주삭(3)을 안내하는 것이다.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권상기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면 중, 제6도 및 제7도와 같은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표시하고, (71)은 삼상교류 전원(72)는 싸이 리스터로 구성되며, 삼상교류전원(71)에 접속되어 교류를 전파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는 역행용(力行用) 콘버-터이고, (73)은 마찬가지로 싸이 리스터로 구성 되어, 역행용 콘버-터(72)에 대해 역병렬로 접속되어 직류를 교류로 변화하는 회생용 콘버-터, (74)는 역행용 콘버-터(72)의 정극과 부극과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 (75)는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의 병렬회로로 되는 공지의 PWM 방식의 인버-터로, 콘덴서(74)의 양단에 접속되어 직류를 가변전압, 가변 주파수의 교류에 변환하여 고정자 철심(54)의 일차권선(55)에 공급함과 동시에 일차권선(55)가 회생전력을 발생하였을때,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것이다. (76)은 구동차(57)의 회전수에서 본체(2)의 속도를 검지하는 회전계, (77)은 본체(2)를 운전하는 속도 곡선을 발생하는 속도 패턴(pattern) 발생 장치(78)을 회전계(76)의 실속 도신호(實速度信號)와 속도 패턴 발생 장치(77)의 속도 패턴신호와를 비교하는 비교수단(79)는 이 비교수단(78)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역행용 콘버-터(72) 및 회생용 콘버-터(73)을 택일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인버-터(75)도 같이 제어하는 제어수단, (80)은 기동 지령 신호(起動指令信號) 및 정지 지령 신호를 발하여 브레이크 코일(64) 및 속도 패턴 발생 장치를 부세하는 운전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에는 제동기(60)에 의하여 주삭(3) 및 구동차(57이 제지되어 있다. 운전수단(80)에서 기동 지령 신호가 나오면, 브레이크 코일(64)가 부세되어, 구동차(57)이 해방됨과 동시에 속도 패턴 발생 장치(77)이 속도 패턴 신호를 발생한다. 회전계(76)의 실속도신호와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어수단(79)가 역행용 콘버-터(72) 또는 회생용 콘버-터(73)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인버-터(75)를 작동시켜 가변전압, 가변 주파수의 교류를 발생시켜, 일차권선(55)를 부세한다. 회전자 철심(59는 일차권선(55)의 부세에 의하여, 회전하고 구동차(57)은 구동한다. 주삭(3)은 구동차(57)과의 마찰에 의하여 구동되어 본체(2)를 승강시킨다. 본체(2)와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3)과의 불평형에 의하여 회전계(76)의 실속도 신호가 속도 패턴 발생 장치(77)의 속도 패턴 신호보다 높아지면, 본체(2)와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3)과의 불평형 하중에 의하여 속도 패턴 발생 장치(77)의 속도 패턴 신호가 회전계(76)의 실속도신호 보다 높아질때는 제어수단(79)는 역행용 콘버-터(72) 및 인버-터(75)을 작동시켜 일차권선(55)에 교류전력을 공급하고, 삼상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철심(59)을 회전 시킨다. 또, 역으로 실속도 신호가 속도 패턴 신호보다 높을 때에는 일차권선(55)는 회생전력을 발생한다. 제어 수단(79)는 이 회생전력을 직류에 전환하도록 인버-터(75)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또 회생용 콘버-터(73)을 작동시켜서 회생전력을 삼상교류 전언(71)에 반환한다.
본체(2)가 목적층의 바로 앞의 소정의 길에에 도달하면, 인버-터(75)는 서서히 전압 주파수를 내려 회전자 철심(59)를 감속시킨다. 목적층에 도달하면, 브레이크 코일(64)가 소세되어 제동자(60)이 주삭(3) 및 브레이크 휠(58)을 파지한다. 주삭(3)과 제동자(60)에 의하여 직접, 브레이크 휠(58) 및 구동차(57)을 거쳐 제지되어 본체(2)를 정지시킨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동기(60)에 의하여 주삭(3)을 직접제 지시키므로, 큰 제동 토크(Torque)을 발생시켜서 본체(2)를 급정지 시킬수가 있다. 또, 회전자 철심(59)의 외주부에 구동차(57)을 겹치고, 또 제동자(60)을 구동차(57)에 감기워진 주삭(3)에 작용시키도록한 것으로, 전동기 구동차 및 브레이크 휠을 종열에 배치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고정축(53) 방향의 길이는 짧은 것으로 되어 기계실(5)의 면적을 적게할 수가 있다. 또, 구동차(57)은 회전자 철심(59)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필요한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축방향 길이는 통상 구동차(57)과 방향 바꾸는 차(65)와의 사이를 복수회 왕복시켜 주삭(3)을 감는데 충분한 길이다. 이와같이, 복수회를 감으므로 인하여, 접속면적을 증대시키고,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으로, 제동자(60)으로 브레이크 휠(58)을 강압하였다하더라도,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본체(2)를 급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구동차(57)의 직경을 적게하여도, 회전수를 높일수 있으므로 권상기를 소형화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자 철심(54) 및 회전자 철심(59)는 유도 전동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직류 전동기에 있어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제동자(60)는 구동차(57)에 감겨진 부분에서 주삭(3)에 접찰할 수 있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삭(3)에 직접 접찰하도록 하여도좋고, 특별히 장소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차에 본체를 늘어뜨리고 주삭을 감아, 이 구동차를 전동기로 구동하여, 본체를 승강시켜, 주삭에 제동기를 접찰시켜서 제동력을 발생시켜 본체를 지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제동력을 증대시 키었다고하여도, 주삭과 구동차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구동차의 직경을 적게하고, 회전수를 높혀 전동기를 소형화 할수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차(13)에 감겨진 주삭(3)의 직경 d와 구동차(13)에 있어서 주삭(3)의 간격 D의 관계를 구체적예에 따라 기술하면, 직경 d=12mm의 주삭(3)일때 간격 D=16mm이다. 주삭(3)은 통상 3∼6개의 줄이 병용된다. 지금, 6개줄이 사용된다고 하면, 구동차(13)의 축방향의 폭 W2
W2=6줄×2회×16+12=204mm …………①
로 된다. 한편, 전동기(19)의 축방향의 폭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어 없는(gear less) 엘리베이터에서는 약 1000mm이다. 따라서, 전동기(19)의 구동차(13)에서는 약 1200mm의 축방향의 길이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구동차(13)에 주삭(3)을 3회 감았다고 하면, 구동차(13)의 폭 W3
W3=6줄×3회×16+12=300mm …………②
로 되어, 폭 W3는 폭 W2에 비하여 약 100mm의 증가로 된다. 따라서, 주삭(3)을 3회 감은 것에 있어서는 강도에 있어서 회전축(11)을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아니되며, 고가로 된다. 또, 권상기를 설치할때는 다른 기기 및 기계실(5)와의 간섭이 일어나기 쉽고, 기기의 배치에 있어서도 많은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구동차(13)에 주삭(3)을 감은 회수는 종래는 2회가 한도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우트로터형의 권상기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한도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하 3회 감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전동기의 프레임(57b)로 되는 구동차(57)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57a)가 파여지고, 이들의 홈(57a)에 주삭(3)이 거의 반주씩 3회 감겨져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차(57)은 전동기로서 기능을 하기 위한 필요한 치수를 가진 프레임(57b)의 일부에 마련된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프레임(57b)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어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약 1000mm이다. 한편, 주삭(3)을 3회 감겼을 때의 구동차(57)의 축방향의 폭 W3는 주삭(3)의 직경 d를 12mm로 하면 ②식에서, W3=300mm로 된다.
따라서, 구동차(57)의 폭 W3보다도 전동기의 프레임(57b)으로서의 폭이크므로, 권상기 전체의 축방향의 길이를 크게 하지 아니하고, 주삭(3)을 2회에서 3회 감아도 무방하다. 더욱이, ①식과 ②식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감은수를 1회 증가시키면, 구동차(57)의 폭은 약 100mm 증가하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기의 외형 치수를 증가시키 지아니하고, 주삭(3)을 8회 정도까지 감을 수가 있다. 적당히 감은수를 선택함으로 인하여 마찰력을 증감할수 있어 필요에 따라서 제동력을 작용시켜 본체(2)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차는 전동기의 프레임에 직접홈이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원통형 또는 원호상의 것으로 하고, 이것을 프레임의 외주에 접착시키도록 하여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자재하게 지지된 원통형의 프레임의 내특에 중공의 회전자 철심을 설치하고, 이 회전자 철심의 내측에 고정자 철십을 삽입하여 자기적으로 걸어 맞춤시켜, 외측의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구성하고, 프레임의 일부에 홈을 형성하여 구동차를 구성하고, 이 구동차에 대향하는 부위에 바향을 바꾸는 차를 마련하여 본체와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를 연결한 주삭을 감아서, 구동차에 감은수가 3회 이상 되도록 주삭을 장설하도록 하였으므로, 전동기의 외형 치수를 변하지 아니하고, 주삭과 구동차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고가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삭을 사용하여 본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으로서, 상기 본체를 늘어뜨리는 상기 주삭이 감겨지고, 상기 주삭을 마찰 구동하는 구동차와, 이 구동차에 연결되어 구동차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a). 상기 주삭과 상기 구동차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상기 주삭과 구동차에 제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제동기를 상기 구동차의 근방에 설치하고, (b). 제동기는 구동차의 외주면에 따르는 것과 같이 완곡면을 가진 브레이크 라이닝을 가지며, 이 브레이크 라이닝의 완곡면에는 주삭을 마찰 접촉하는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2. 제동기는 구동차에 감겨진 완곡부에서 주삭에 접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3. 전동기는, 고정축에 고정된 고정자 철심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고정자 철심의 외주 회전하는 회전자 철심으로 되고, 구동차는 상기 회전과 철심의 외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4. 주삭은 구동차에 적어도 3회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2019830009721U 1982-12-06 1983-11-17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8600037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51582A JPS59102786A (ja) 1982-12-06 1982-12-06 エレベ−タ用巻上機
JP213515 1982-12-06
JP100441 1983-06-06
JP10044183A JPS59227682A (ja) 1983-06-06 1983-06-06 エレベ−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55U KR840006155U (ko) 1984-11-30
KR860003715Y1 true KR860003715Y1 (ko) 1986-12-30

Family

ID=2644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721U KR860003715Y1 (ko) 1982-12-06 1983-11-17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860003715Y1 (ko)
CA (1) CA1207676A (ko)
GB (1) GB2131381B (ko)
HK (1) HK22687A (ko)
MY (1) MY87002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248B1 (en) * 1998-12-14 2002-04-16 Inventio Ag Drive unit for elevators
EP1873111A4 (en) * 2005-04-20 2012-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ING DEVICE FOR ELEVATOR
CN102849581A (zh) * 2012-07-31 2013-01-02 吴江信谊精密五金有限公司 新型电梯曳引轮
CN107787300A (zh) * 2015-06-23 2018-03-09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系统皮带的增加的牵引力
US11685639B2 (en) * 2020-03-16 2023-06-27 Hall Labs Llc Capstan effec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4268A (en) * 1941-07-17 1948-07-01 Geoffrey Maynard Zabel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ing and paying out apparatus for lifting, lowering and hauling
GB562005A (en) * 1942-11-03 1944-06-14 Charles Alfred L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ch blocks
DE2904966C2 (de) * 1979-02-09 1981-02-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In einem Gerätegehäuse eingebaute Kabeltrommel mit einer Bremsanordnung für das aufwickelbare K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07676A (en) 1986-07-15
MY8700249A (en) 1987-12-31
HK22687A (en) 1987-03-20
GB8332501D0 (en) 1984-01-11
GB2131381A (en) 1984-06-20
KR840006155U (ko) 1984-11-30
GB2131381B (en) 1986-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790B2 (en) Method for braking a traction sheave elevator,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use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FI93631C (fi) Vastapainoon sijoitettu hissimoottori
KR92001041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018739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111659Y2 (ko)
JP2622398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860003715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CA2326503C (en) Method for braking a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traction sheave elevator
JP3495549B2 (ja) 永久磁石モータ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エレベーター
EP0733577B1 (en) Emergency drive unit for an elevator machinery
US2193683A (en) Drive mechanism
JP36374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S63160977A (ja) 糸条巻取機のコンタクトロ−ラ
JP3248270B2 (ja) 誘導電動機の制動方法
JPS59227682A (ja) エレベ−タ
EP39546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utomatic rescue operation of an elevator car
JPS59118686A (ja) エレベ−タの巻上機
JPS59102786A (ja) エレベ−タ用巻上機
JPH0319151B2 (ko)
JP452964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SU1483554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грузоподъемных механизмов
JPH032024Y2 (ko)
FR2314129A1 (fr) Commande d'ascenseur
KR20200066991A (ko) 와전류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2000309477A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