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984Y1 -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 Google Patents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984Y1
KR860002984Y1 KR2019850005141U KR850005141U KR860002984Y1 KR 860002984 Y1 KR860002984 Y1 KR 860002984Y1 KR 2019850005141 U KR2019850005141 U KR 2019850005141U KR 850005141 U KR850005141 U KR 850005141U KR 860002984 Y1 KR860002984 Y1 KR 860002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er
guide
guide portion
fastener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611U (ko
Inventor
카즈키 쿠세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10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01Slide fastener or slide fastener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91Slide fastener
    • Y10T29/53296Means to assemble stop onto string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어 조합장치를 채택한 파스너 제작시스템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스트립어 조합가이드부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시스템에서 사출성형 위치에 있는 하부 다이의 투시도이다.
제5도는 스페이스 부에서 파스너 스트링어의 평면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링어 4 : 운반장치
6 :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 11 : 내측 가이드부재
12 : 외측 가이드부재 13 :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
14 : 파스너 엘레멘트열 21,25 : 스트링어 가이드장치
35 : 스페이스부 41,42 : 정지장치
65 : 정지장치 66 : 압축스프링
본 고안은 파스너 스트링어가 그 길이방향으로 운반되는 도중 각각으로 분리되는 상태의 과정을 거친, 한 쌍의 연속된 길이를 갖는 각 파스너 스트링어들을 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홈을 통해 각 파스너 엘레멘트열을 통과시킴으로써 파스너 스트링어를 서로 조합할때, 정지구와 같은 파스너 엘레멘트 외의 부재들이 이미 스트링어상에 형성되어 있다면, 이 정지구는 파스너 엘레멘트가 가이드홈을 따라 통과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가이드 홈의 접점에 있는 외측 가이드 부재가 외측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정지구가 통과할때 외측 가이드 부재는 외향으로 움직이도록 정지구에 의해 밀리고, 그래서 정지구가 통과할 수 있는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0762/1982, 공고일 1982년 8.30)그러나 앞에서 말한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의 경우, 가이드부가 후방으로 즉, 앞에서와는 반대방향으로 정지구가 통과하는 것을 불편하게 방해한다. 그래서 스트링어를 스트링어 진행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때 이러한 장치를 채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스트링어를 조합하지 않고 제작공정중의 다음 단계로 스트링어를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이러한 결점이라는 측면에서, 스트링어가 후방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는 단계에서라도 스트링어를 자동적으로 서로 조합할 수 있는 스트링어 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본적인 목적이다.
이것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가이드부가 전체적으로 스트링어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따라서 가이드 단면의 하류측에 있는 스트링어 부분이 스트링어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스트링어가 정지구 같은 파스너 엘레멘트 외의 부재가 있더라도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후방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는 공정에서 스트링어들이 자동적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말한 것 외의 여타 본 고안의 목적, 특징, 장점 등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어 조합장치는 분리가능한 단부 정지구를 구성하는 상부 정지구 및 핀이 연속된 길이를 갖는 파스너 스트링어에 붙어있는 유리가능한 단부(정지구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작하는 시스템에 본 고안이 적용된 일실시예에 관련하여 앞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어 조합장치를 채택한 파스너 제작시스템의 평면도인 제1도를 참조하면(이 도면은 설명을 위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도시되었는데), 한 쌍의 스트링어(1)는 스트링어(1)가 그 각 파스너 엘레멘트열(14) 사이의 계합에 의해 서로 조합되는 상태에서 한쌍의 가이드로울러(2) 및 장력로울러(3)(제2도)를 통해 로울형 공급원(도시 안됨)으로부터 공급된다. 스트링어(1)는 함께 조합하여 운반장치(4)를 구성하는 두 로울러에 의해 간헐적으로 진행된다.
파스너 제조시스템에는 그 상류측에 스트링어 분리장치(5)가 있고 그 하류측에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가 있다. 시스템에는 또한 장치(5)와 가이드부(6) 사이에 놓인 사출성형위치(7)가 있다. 스트링어 분리장치(5)에는 한 쌍의 스트링어(1)가 진행됨에 따라 그것이 웨지(wedge)부재(9)에 의해 둘로 분리되도록 배치된 웨지부재(9)가 있다.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가 상세히 도시된 제3도를 참조하면, 가이드부(6)는 내측 가이드부재(11), 고정된 외측 가이드부재(12) 및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13)를 포함한다. 내측 가이드부재(11)에는 테이퍼(taper)진 말단부가 있고 반면, 고정된 외측 가이드부재(12)는 그것이 내측 가이드부재(11) 테이퍼진 말단부를 따라 파스너 엘레멘트열(14)를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13)는 고정된 외측 가이드부재(12)들중 하나와 접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들은 함께 Y형 가이드홈(10)을 형성하고, 따라서 스트링어(1)의 각 파스너 엘레멘트열(14)이 가이드홈(10)을 통해 통과될때, 파스너 엘레멘트열(14)이 서로 계합한다.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13)는 함께 Y형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홈 부분의 접점에 위치하는데, 이것은 스프링(도시 안됨)의 작용에 의해 파스너 엘레멘트열(14)이 서로 계합되도록 파스너 엘레멘트 쪽으로 눌려진다.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13)는 뒤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은 단계에서 성형되는 상부 정지구(5)에 의해 제3도에서와 같이 밀려짐으로써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13)는 상부 정지구(15)가 통과할 수 있게 해 준다.
스트링어 분리장치(5)는 공기실린더(17)(제2도)의 작용에 의해 스트링어(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6)는 유사하게 공기실린더(18)(제1도)의 작용에 의해 스트링어(1)의(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는 스트링어 분리장치(5)와 사출 성형위치(7)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는 서로 분리되는 스트링어(1)의 각 파스너 엘레멘트열(14)을 안내한다. 그 외에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상부 운반위치 및 하부 사출 성형위치를 취할 수 있다. 하부 위치에서,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는 사출 성형위치(7)에서 하부 다이(26)에 대해 스트링어(1)을 누른다.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5)는 유사하게 사출 성형위치(7)와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5)는 서로 분리되는 스트링어(1)의 각 파스너 엘레멘트열(14)을 안내하고,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여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사출 성형위치(7)는 고정된 하부 다이(26)와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부 다이(27)를 포함한다. 제4도에 상세히 나타나 있듯이, 하부 다이(26)에는 공동(28,29,31) 및 탕도(runner)(32)가 있다. 공동(28,29)은 분리가능한 단부 정지구를 구성하는 핀(16a),(16b)을 성형하기 위해 제공되었고, 반면 공동(31)은 각각 상부 정지구(15)를 성형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탕도(32)는 용융수지를 이 공동으로 공급한다. 하부 다이(26)에는 또한 뒤에 설명하겠지만 각각 스트링어벤팅(bending)아암(47)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3)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공동(28,29,31)에는 그 각 외측 단부에서 밀접하게 형성된 정지장치(41,42)가 있다. 정지장치(41,42)는, 스트링어(1)의 각 부분이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스페이스부(35)에서 굽어졌을때, 정지장치(41,42)가 각각 스페이스부(35)의 대향 단부에서 단부 파스너 엘레멘트(36,37,38,39)와 계합하여서 이 엘레멘트가 사출 성형위치(7)의 중심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트링어(1)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고, 그럼으로 스트링어(1)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상부 다이(27)에는 또한 핀과 상부 정지구를 형성하기 위한 공동 및 탕도가 제공되어 있어서, 공동 및 탕도가 각각 하부 다이(26)의 공동 및 탕도에 대응하게 한다. 또한 상부 다이(27)에는 이 탕도와 통하게 형성된 탕구(sprue)(44)가 있다. 탕구(44)는 사출 형성기계의 노즐(45)와 통할 수 있다.
사출 성형위치(7)에는 또한 스트링어 벤딩아암(47)이 제공되어 있다. 아암(47)은 각각 공기실린더(48,49)에 연결되어서 아암(47)이 연관된 공기실린더(48,49)의 작용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앞에서 설명한 리세스(33)로 각각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장치(21)는 스페이스센서(51)가 있는 부분에 위치한다. 스페이스센서(51)는 센서레버(52)와 마이크로 스위치(53)를 포함한다. 센서레버(52)는 그 말단부가 각각 파스너 엘레멘트열(14)에 평상시 계합할 수 있고, 스트링어(1) 센서레버가 접근할때 스페이스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엇갈려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52)는 센서레버가 스트링어의 스페이스부에 들어갈때 발생하는 센서레버의 이동을 찾아내고, 이동이 감지되었을때 스페이스부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앞에서 설명한 장치를 채택한 분리가능한 단부 정지구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작하는 전체시스템의 작동에 대한 설명이다.
가이드 로울러(2)쌍과 장력로울러를 통해 이송된 계합된 파스너 스트링어(1) 쌍은 제5도에서와 같이 웨지부재(9)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다음에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에 의해 안내되면서 사출 성형위치(7)로 이송된다. 이 이송작동중에, 파스너 엘레멘트열(14)이 없는 스페이스부가 스페이스센서(51)에 도달하면, 센서레버(52)는 피봇하여 마이크로 스위치(53)가 스페이스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한다. 이 신호는 타이머 장치 또는 원하는 형태로 된 거리 측정장치(도시 안됨)를 작동시켜서 운반장치(4)가 스페이스부(35)가 감지된 때부터 예정된 시간이 지난 다음 또는 스트링어(1)가 예정된 거리를 이동한 다음 정지되게 한다. 그래서 스페이서부(35)는 사출 성형위치(7)의 중심에 위치된다.
다음, 스트링어 가이드장치(21,25)는 밑으로 내려와서 하부 다이(26)에 대해 스트링어(1)를 누른다. 운반장치(4)를 구성하는 로울러는 각각 그것이 거기에 걸리는 구동력이 해제되었을때 역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런 상태하에서 사출 성형위치(7)의 하류측에 있는 각 스트링어(1)의 부분은 사출 성형위치(7)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위치(7)의 상류측에 있는 스트링어(1)의 사분은 장력 로울러(3)의 상향 운동에 의해 사출 성형위치(7)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공기실린더(17,18)는 스트링어 분리장치(5)와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가 각각 사출 성형위치(7)쪽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고, 이에 따라 스트링어(1)가 사출 성형위치(7)쪽으로 끌려질 수 있다.
다음, 공기실린더(48,49)는 아암(47)을 각각 내리게 작동하여서 각 스트링어(1)의 부분이 독립적으로 굽어지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트링어(1)는 단부 파스너 엘레멘트(36,37,38,39)가 스페이스부(35)의 대향 단부에서 하부 다이(26)의 연관된 정지장치(41,42)에 의해 보유될 때까지 사출 성형위치(7)의 중심쪽으로 끌려진다. 각 공기실린더(48,49)의 행정은 스트링어(1)의 운동이 파스너 엘레멘트(36,37,38,39)가 연관된 정지장치(41,42)에 의해 적당히 보유될 때까지 끝나지 않는것을 보장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조정되어야 하고, 따라서 적당한 정도의 하향력이 상기 파스너 엘레멘트가 연관된 정지장치에 의해 보유된 후에도 아암(47)에 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다다음, 상사 다이(27)는 상부, 하부 다이(27,26)가 서로 압박하도록 내려져서 공지된 방법으로 각 스트링어(1)에 이미 부착된 보강테이프의 피스(piece)(55)에 있는 사출성형된 핀(16a,16b)이 분리가능한 단부 정지구를 구성하게 한다. 동시에, 비슷한 방법으로 상부 정지구(15)는 스페이스부(35)의 타측에 있는 각 스트링어(1) 위에서 사출 성형된다. 그래서, 핀과 상부 정지구는 그 위치가 상기 방법으로 위치 결정된 파스너 엘레멘트에 대해 정확히 조정되는 상태로 사출 성형되며, 스트링어(1)의 신장도의 변화나 스페이스부(35)의 칫수 변화와는 무관하게 된다. 그후 상부 다이(27)와 가이드장치(21,25)는 그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스트링어 분리장치(5)와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도 또한 그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그 다음 운반장치(4)에 의한 이송작동이 다시 시작된다. 핀과 상부 정지구를 성형할때 생긴 탕도는 스트링어(1)가 운반될때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거된다. 탕도가 제거된 후에, 스트링어(1)는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의 가이드홈(10)을 통해 이동하고, 이렇게 하는 동안 서로 계합된다. 이 경우 상부 정지구(15)의 통과는 이동가능한 외측 가이드부재(13)의 상향 운동에 의해 가능해진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함께 조합된 스트링어(1)는 운반장치(4)로부터 밖으로 이송되고 공지의 방법으로 슬라이더가 끼워진다. 조합된 스트링어(1)는 다음에 스페이스부(35)에서 절단되고, 핀(16a,16b)중 하나(박스핀)에 고정된 박스가 장치되고, 분리가능한 단부 정지구가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가 완성되게 된다.
앞에서 말한대로,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어 조합장치의 가이드부(6)는 특히 공기실린더(19)의 작용에 의해 스트링어(1)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졌다. 그래서 제3도에 도시된 대로 만들어진 슬라이드 파스너의 길이때문에(그 길이는 스트링어의 두 인접 공간부 사이의 거리와 일치한다) 가이드부(6)의 스트링어 방출 측에서 상부 정지구(15)가 멈춘 경우에도 스트링어(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외측 가이드부재(12)의 각 외측 단부와 가이드부(6)의 이동가능한 외측 가이드부재(13)에 대해 상부 정지구(15)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지구(15)가 가이드부(6)로 복귀할 수 없다.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스트링어 조합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가 도시된 제6도를 참조하면, 제3도의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같은 기능을 가는 구성요소들이 같은 부호로 나타나 있으며, 그 설명은 생략되었다.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bracket)(61)가 슬라이드 파스너 제작시스템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61)에는 스트링어 운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활주하는 슬라이드로드(63)를 수용하는 슬라이드 보어(bore)(62)가 있다. 슬라이드로드(63)는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6)에 연결된 브래킷(64)과 함께 그단부에서 피봇된다. 슬라이드로드(63)의 타단부에 슬라이드로드(63)가 브래킷(61)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슬라이드로드(63)의 더 직경이 큰 부분으로 구성된 정지장치(65)가 제공되어 있다. 그 외에, 압축스프링(466)이 브래킷(61,64)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정지장치(65)가 압축스프링(66)의 압축력에 의해 브래킷(61)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부(6)는 정상 작동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파스너 스트링어(1)가 후방으로 이동할때 상부 정지구(16)는 외축 가이드부재(12)와 이동 가능한 외측 가이드부재(13)에 인접하고 그래서 가이드부(6)에 스트링어 운반 방향의 상류측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 힘이 예정된 값을 넘어서면, 가이드부(6)는 스프링(66)의 힘에 대해 이동되며 따라서 스트링어(1)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탄력적으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가이드홈 부분과의 접점에서 그것과 조합하여 Y형 가이드홈을 이루며, 따라서 스트링어에 부착된 파스너 엘레멘트외의 어떤 다른 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스트링어 조합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한쌍의 스트링어를 운반하는 운반장치를 포함한 스트링어 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링어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어 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스트링어의 운반방향에서 하류측을 향한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눌려지고, 상기 스트링의 압축력에 거슬러 정지장치에 의해 예정된 작동위치에서 유지되고, 예정된 크기의 힘이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스트링어의 운반방향에서 상류측으로 작용할때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에 대향하여 또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진 스트링어 조합장치.
KR2019850005141U 1984-05-10 1985-05-03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KR8600029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8178 1984-05-10
JP1984068178U JPS60180514U (ja) 1984-05-10 1984-05-10 フアスナストリンガの組合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611U KR850010611U (ko) 1985-12-30
KR860002984Y1 true KR860002984Y1 (ko) 1986-10-31

Family

ID=1336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141U KR860002984Y1 (ko) 1984-05-10 1985-05-03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640008A (ko)
EP (1) EP0160932B1 (ko)
JP (1) JPS60180514U (ko)
KR (1) KR860002984Y1 (ko)
AU (1) AU569788B2 (ko)
BR (1) BR8502317A (ko)
CA (1) CA1266763A (ko)
DE (1) DE3579251D1 (ko)
ES (1) ES8606993A1 (ko)
GB (1) GB2158876B (ko)
HK (1) HK93189A (ko)
MY (1) MY100595A (ko)
SG (1) SG56189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015Y2 (ko) * 1984-09-20 1989-05-25
JPH07111906A (ja) * 1993-10-20 1995-05-02 Ykk Kk 連続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止部材成形方法とチェーン割り装置
US8795241B2 (en) 2011-05-13 2014-08-05 Spiration, Inc. Deployment catheter
CN103976527B (zh) * 2014-05-23 2016-03-30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拉链工字码组装机
CN104875401B (zh) * 2015-06-01 2017-02-01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尼龙拉链素链同步收料与合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3433A (en) * 1948-12-27 1952-10-14 Fred H Rojahn Apparatus for interlockably assembling fastener stringers
US3093893A (en) * 1961-07-19 1963-06-18 Slide fastener tape joining device
JPS5483552A (en) * 1977-12-15 1979-07-03 Yoshida Kogyo Kk Device of combining slide fastener stringer
JPS54144242A (en) * 1978-04-28 1979-11-10 Yoshida Kogyo Kk Device for combining stringer chain
JPS5927137Y2 (ja) * 1979-02-20 1984-08-0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フアスナ−チエ−ンの組合せ装置
JPS582683B2 (ja) * 1979-12-18 1983-01-1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開離嵌插具付スライドフアスナ−の左右ストリンガ−仮組合せ方法とその装置
JPS5951810B2 (ja) * 1980-09-25 1984-12-1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ストリンガ−の組合せ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236602A (ja) * 1984-05-10 1985-11-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開離嵌挿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0595A (en) 1990-12-15
EP0160932B1 (en) 1990-08-22
GB2158876A (en) 1985-11-20
JPS60180514U (ja) 1985-11-30
HK93189A (en) 1989-12-01
DE3579251D1 (de) 1990-09-27
AU569788B2 (en) 1988-02-18
ES543583A0 (es) 1986-06-01
EP0160932A3 (en) 1987-09-23
JPH0114171Y2 (ko) 1989-04-25
KR850010611U (ko) 1985-12-30
CA1266763A (en) 1990-03-20
AU4122785A (en) 1985-11-14
ES8606993A1 (es) 1986-06-01
GB8511871D0 (en) 1985-06-19
US4640008A (en) 1987-02-03
SG56189G (en) 1989-12-08
BR8502317A (pt) 1986-01-21
EP0160932A2 (en) 1985-11-13
GB2158876B (en) 198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802B1 (ko) 분리형 하단 정지부재를 갖는 지퍼체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860002984Y1 (ko)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KR860001941B1 (ko) 분리가능한 단부 정지구가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 제작방법 및 장치
CN103692615B (zh) 拉链的制造装置
KR870000492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공간부 처리방법 및 장치
KR860001136B1 (ko)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14741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 위에 몰드된 단부 정지구들을 형성하는 방법과 그에 사용된 체인 분할 장치
TW552189B (en) Mould and injection moulding assembly having same
CN109986047B (zh) 压铸装置
US5207966A (en) Method for molding a strip of blind rivets
CA1125465A (en) Molds for injection molding of continuous slide fastener chain
EP0109662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tinuous slide fastener stringer
US5238377A (en) Apparatus for making blind rivets
GB2099072A (en) Space forming and stop fixing apparatus for slide fastener chains
CA11108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pace sections in a slide fastener
TWI764355B (zh) 拉鏈鏈條的定位系統
US5080229A (en) Blind riv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870001387B1 (ko) 플라스틱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 방법
JPH039869B2 (ko)
JPH0226657Y2 (ko)
JPH0321325B2 (ko)
KR820002237Y1 (ko)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사출 성형용 주형
CA1243823A (en) Device for positioning slide fastener stringers in fastener finishing apparatus
JPH06204274A (ja) フープ状リードフレームに対するモールド部成形装置
DE4442830A1 (de) Vorrichtung zum Schmelzformen von unteren Begrenzungsteilen einer Reißverschlußk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