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924B1 - 콘크리이트 블록 - Google Patents

콘크리이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924B1
KR860001924B1 KR8205504A KR820005504A KR860001924B1 KR 860001924 B1 KR860001924 B1 KR 860001924B1 KR 8205504 A KR8205504 A KR 8205504A KR 820005504 A KR820005504 A KR 820005504A KR 860001924 B1 KR860001924 B1 KR 86000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pair
concrete block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942A (ko
Inventor
마사미쓰 마자끼
노리하루 타께오까
Original Assignee
기무라 마사아끼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무라 마사아끼,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무라 마사아끼
Publication of KR84000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이트 블록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크리이트 블록의 1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저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6도 내지 제11도는 상기 콘크리이트 블록을 사용한 블록조립구조물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6도 내지 제9도는 각 실시예의 평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각 실시예의 측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상기 블록의 유수중에 있어서의 배치예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단 2 : 하단
3 : 돌기
본 발명은 피복공, 밀다지기공, 법복공(法覆工), 돌제공, 도류제공, 바닥다지기공, 호상공, 연제공(
Figure kpo00001
提工) 등에 사용되는 콘크리이트 블록에 관한것으로서, 서로 평행한 한쌍의 상단 및 하단을 상단의 상반부가 하단에서 위쪽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하단의 하단부가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결합하고, 상기 상하양단의 교차부에 있어서의 하단의 하면에 돌기를 수직으로 설치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목적하는 바는, 집합체로서 구조물을 구성한 경우, 수많은 배열방법이 가능하고, 구조물로서 요구되는 기능에 합치한 배열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개량된 콘크리이트 블록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이트 블록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좌, 우 한쌍의 상단(1)(1)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전후 한쌍의 하단(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1)과 하단(2)은 각 상단(1)의 상반부가 하단(2)에서 위쪽으로 돌출하고, 하단(2)의 하반부가 상단(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우물정자 모양으로 서로 결합되고, 상하 양단(1)(2)의 교차부에서 하단(2)의 하면에는 각추대형(角錐대形)의 돌기(3)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한쌍의 상단(1)(1)과 하단(2)(2) 사이에는 돌기(3)에 대응하는 각추대형의 오목굴(4)가 형성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11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이트블록(A)를 조립해서 구조물을 구성한 경우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6도는 1층 구조로 블록상호간의 맞물림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피복공, 밀다지공, 법복공, 바닥다지기공, 호상공에 적용된 경우를 보이고, 서로 접하는 각 블록(A)의 상단(1)(1)의 자유단면끼리 및 하단(2)(2)의 자유단면끼리가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은 콘크리이트 블록을 물이 흐르는 곳에 적용하는 경우, 그 블록조립 구조물의 표면조도가 구조물의 기능의 커다란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블록과 같이 상단(1)의 일부가 위쪽으로 돌출한 블록을 유수중(流水中)에 배열하여 블록조립 구조체를 시공한 경우, 구조물의 표면조도는 돌출부의 높이, 갯수 및 유수방향에 대한 돌출부의 면적으로(결정되고, 블록의 유수방향에 대한 돌출부의 면적이 클수록 조도는 크게되고, 면적이 작을 수록 조도는 작아진다.
그리고 본 블록을, 제12도에 보이는 것처럼 상단(1)의 길이 방향과 유수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열한 경우 유수방향에 대한 블록의 돌출부의 면적은 사선(斜線)으로 나타낸 것처럼 된다. 또 제13도에 나타낸것럼 그 블록을 90°회전하여 하단(2)의 길이 방향과 유수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열한 경우, 유수방향에 대한 블록의 돌출부의 면적은 사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된다.
따라서 유수방향에 대하여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블록을 배설한 경우에 조도는 크게되고, 제13도에 보이는 것처럼 배열한 경우에는 조도는 작아진다. 따라서 예컨대 제7도에 보이는 것처럼 블록을 가로세로 번갈아 가며 배치하여, 즉 블록(A')를 90°회동해서, 그 각블록(A')의 상단(1) 및 하단(2)의 각 자유단면을 서로 인접한 블록(A)의 하단(2) 및 상단(1)의 각자유단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표면조도를 변화시킬 수가 있고, 이와 같이 블록의 방향을 적당한 수만큼 바꿈으로써, 블록조립 구조체의 표면조도를 조정할 수가 있고, 종래의 이런 종류의 콘크리이트 블록과 같이 변형형(變形型) 블록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변형형을 제작하는데 수반되는 시공의 번잡을 생략하고, 또 돌출부를 절단하든가 변형형을 사용한 경우와 같이 블록자중이 가볍게되고, 같은 외벽에 대하여 불안정하게 되는 따위의 결함을 초래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 본 블록에 의하면 표면조도를 조정하는데 있어, 블록배열 방법을 크게바꿀 필요가 없고, 따라서 종래의 이런 종류의 방법에 있어서와 같이, 평면내의 블록 갯수를 감소시키는 배열로 바군 경우에 구조물의 일체성이 상해지든가, 피복면하부의 하상(河床)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면에서 나쁜 영향을 받게되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의 방법은 이하 기술 하는 맞물림을 갖는 블록조립구조물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제8도는 1층 구조로 블록상호간의 맞물림을 필요로 하는 피복공 1층 구조의 밀다지기공, 법복공, 바닥다지기공, 호상공등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각 열마다 인접하는 블록(A)를 그 상단(1)의 자유다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하고, 그 각 블록(A)에 있어서의 상단(1)과 이에직교하는 한쌍의 하단(2)(2)의 돌출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요부(a)를 이용하여 각열의 블록(A)의 그 요부(a)에 인접하는 열의 블록(A')의 한쪽의 하단(2)의 돌출단부를 끼워넣어, 그 블록(A')의 한쌍의 하단(2)(2)의 돌출단부와 상기 블록(A)의 한쌍의 하단(2)(2)의 돌출단부와의 각측면을 맞물리게 한 것이다.
제9도는 1층구조로, 블록상호간의 맞물림이 특히 중시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콘크리이트 블록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상단(1)과 이에 직교하는 한쌍의 하단(2)(2)의 돌출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요부(a)외에, 하단(2)와 이에 직교하는 한쌍의 상단(1)(1)의 돌출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요부(b)를 이용하여 각블록(A)의 한쪽의 상단(1)의 돌출단부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블록(A)의 요부 (b)에 끼워넣고, 한쪽의 하단(2)의 돌출단부를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블록(A)의 요부(a)에 끼워 넣어, 각 블록(A)를 전후방향 및 좌, 우 방향의 두 방향으로 맞물게 한 것이다.
제10도는 다층구조로 상하층 사이에서 한쪽방향으로 맞물림이 필요하게 되는 밀다지기공, 바닥다지기공, 연제공등의 구조물에 본 발명의 콘크리이트 블록을 적용한 경우를 보이고, 상단(1)의 상반부가 하단(2)에서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음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상단(1)(1)과 하단(2)의 상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요부(c) 및 하단(2)(2)의 돌출단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된 이웃하는 블록의 같은 각하단(2)(2)의 돌출단부 상면과, 상대하는 상단(1)(1)과의 사이에 형성된 요부(d)를 이용하여, 각층의 블록(A)을 각기 상대하는 하단(2)(2)의 돌출단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하는 동시에 상층의 블록(A)의 돌기(3)(3)이 각각 상기 요부(c)(d)에 얹어 놓도록 블록(A)를 쌓아올리는 것이다.
또한 제11도는 다층구조로 상하층 사이에서 두방향으로 맞물림이 필요하게 되는 돌제공, 유도제공, 연제공등의 구조물에 본발명의 콘크리이트블록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각 한쌍의 상단(1)(1) 및 하단(2)(2) 사이에 형성된 오목굴(4) 및 인접하는 블록(A)의 각 한상의 하단(2)(2),(2)(2) 사이에 형성된 요부(e)를 이용한 것으로서, 제1단위 블록(A)를 인접블록의 각 하단(2)(2)의 단면이 대향하도록 배열하고, 그 상단의 블록(A')을 90°회동하여 그 돌기(3)이 각각 하단의 블록(A)의 상기 오목굴(4) 및 요부(e)에 끼워들어 가도록 배열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단(2)의 하반부가 상단(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블록(A')를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상단(1)의 돌출부가 블록(A)의 상단(1)에 방해되는일 없이 블록(A')를 쌓아 올리는데 지장없이 행해지고, 그위에블록(A')의 하단(2)의 하반부가 블록(A)의 상반부에 맞물리게 되어, 상하의 블록(A)(A')가 보다 확실하게 맞물리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크리이트블록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는 각각 한쌍의 상단 및 하단을 우물정자 모양으로 결합하였으므로, 상단과 한쌍의 하단 돌출단부와의 사이 및 하단과 한쌍의 상단돌 출단부와의 사이에, 각각 인접하는 콘크리이트 블록의 하단 돌출단부 및 상단돌출단부의 맞물림 요부가 형성되므로, 이들의 요부를 이용하여 1방향 또는 2방향으로 맞물리는 콘크리이트블록 조립 구조물이 구성된다.
또 본발명에 관계되는 콘크리이트 블록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우물정자 모양으로 결합된 상단의 상반부가 하단에서 위쪽으로, 하단의 하반부가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한쌍의 상단과 하단의 상면과의 사이 및 상대하는 각 한쌍의 하단의 돌출부 단면이 대향하도록 조합된 두 블록의 상기 각하단 및 상대하는 각 상단과의 사이에 상층블록의 돌기의 맞물림공간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각 한쌍의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상층 블록의 맞물림 오목굴이 형성되므로, 이들 오목굴 및 맞물림공간을 이용하여, 상하층의 각 블록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써, 그 각 블록이 1방향 또는 2방향으로 맞물리는 다층블록 조립구조물이 구성되고, 동시에 쌓아올리는 높이도 조절할 수가 있다.
또 본발명의 콘크리이트 블록의 일부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블록조립구조물의 조도를 변형블록을 사용한다든가 배열방법을 바꾸지 안고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크리이트 블록에 의하면 종래의 이런종류의 콘크리이트 블록과 비교해서 유일한 종류의 블록으로서 구조물로서 요구되는 기능에 적합한 단층 및 다층 배열구조가 될 수 있고, 또 변형블록을 사용한다든가, 배열방법을 바꾼다든가 하지 안고 단순히 블록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구조물로서의 표면조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또한 다층구조로 할 경우, 상하층의 블록의 방향을 바꾸므로써, 상하층간에 1방향 또는 2방향의 맞물림을 유지할 수가 있고, 또 동시에 쌓아올리는 높이도 조절할 수 있는 등, 많은 잇점을 지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물론 이와 같은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형설계 할 수 있다.

Claims (1)

  1. 서로 평행한 한상의 상단(1),(1) 및 하단(2),(2)을 상단(1)의 상반부가 하단(2)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하단(2)의 하반부가 상단(1)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우물정자 모양으로 결합하고, 상기 상하양단(1),(2)의 교차부에 있어서의 하단(2)의 하면에 돌기(3)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블록.
KR8205504A 1982-03-31 1982-12-08 콘크리이트 블록 KR860001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51005A JPS6054458B2 (ja) 1982-03-31 1982-03-31 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JP???57-51005 1982-03-31
JP82-51005 1982-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942A KR840002942A (ko) 1984-07-21
KR860001924B1 true KR860001924B1 (ko) 1986-10-25

Family

ID=1287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504A KR860001924B1 (ko) 1982-03-31 1982-12-08 콘크리이트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54458B2 (ko)
KR (1) KR860001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03B1 (ko) * 2006-07-06 2007-04-18 덕산콘크리트(주) 메가그린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3523U (ko) * 1985-04-18 1986-10-28
JPS6233915A (ja) * 1985-08-08 1987-02-13 Ryowa Concrete Kogyo Kk 護床工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ブロツク
JPS62295809A (ja) * 1986-06-12 1987-12-23 Ibaraki Service Eng:Kk 人工貯蔵施設
FR2813620B1 (fr) * 2000-09-01 2003-04-25 Joseph Golcheh Murs de soutenement ou merlons realises a partir d'elements prefabriques et superposes
JP5051434B2 (ja) * 2007-04-09 2012-10-17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魚礁用ブロック
JP2012072634A (ja) * 2010-09-30 2012-04-12 Yunison:Kk 目地キープ付きブロック
JP5023236B1 (ja) * 2011-10-27 2012-09-12 涌太郎 浅井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マ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ITRM20110692A1 (it) * 2011-12-29 2013-06-30 Agenzia Naz Per Le Nuove Tecn Ologie L Ener Pareti in blocchi ad incastro a secco, con funzione strutturale o di tamponatura o tramezzatura, e relativi elementi costitutiv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03B1 (ko) * 2006-07-06 2007-04-18 덕산콘크리트(주) 메가그린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54458B2 (ja) 1985-11-30
JPS58168726A (ja) 1983-10-05
KR840002942A (ko) 198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924B1 (ko) 콘크리이트 블록
JPH038952A (ja) 建造用モジュール
US5503498A (en) Paving stone with lateral spacers
WO1985000632A1 (en) Improved block
PT98338A (pt) Cartao de material ceramico para a construcao de estruturas permeaveis
KR102202567B1 (ko)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DE50101102D1 (de) Geordnete Kolonnenpackung mit einer Feinstrukturierung
GB2149874A (en) Building structure
JPH02300446A (ja) 自動嵌合建材
JPH07317082A (ja) アンカー枠
JPH05287783A (ja) 組立式貯水槽
JP2005016084A (ja) 雨水貯留/貯留浸透槽
JPH0439874Y2 (ko)
JPH047460A (ja) 床パネル
JP7128095B2 (ja) 建築板、および施工構造
JP2002294843A (ja) 地下貯水槽の構築材
JP3996889B2 (ja) デッキ板用足
JP2590043B2 (ja) 軽量ブロック体
JP3972364B2 (ja) 擁壁
KR200250240Y1 (ko) 조립식 직립해수교환 방파제
JPH06220906A (ja) コンクリート製組立式貯水槽
JP2913480B1 (ja) 護岸用ブロック
JPS6223876Y2 (ko)
KR200217579Y1 (ko) 옹벽용 블록
HRP20231080T1 (hr) Zidni skl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