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407B1 - 복합 테이프 배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테이프 배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07B1
KR860001407B1 KR1019840006485A KR840006485A KR860001407B1 KR 860001407 B1 KR860001407 B1 KR 860001407B1 KR 1019840006485 A KR1019840006485 A KR 1019840006485A KR 840006485 A KR840006485 A KR 840006485A KR 860001407 B1 KR860001407 B1 KR 86000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upport
crimping
roll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932A (ko
Inventor
죠셉 그론 로버트
럿셀 슈넬 레오나드
웨인로이드비릴
Original Assignee
신시내티 밀라크론 인코포레이티드
잭 제이. 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시내티 밀라크론 인코포레이티드, 잭 제이. 얼 filed Critical 신시내티 밀라크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5000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5Perforating, cutting or machining during or afte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8Automated lay-up, e.g. using robots, laying filame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patterns
    • B29C70/386Automated tape laying [ATL]
    • B29C70/388Tape placement heads, e.g.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4Partial cutting [e.g., grooving or inc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2Partial cutting bonded sandwich [e.g., grooving or inc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4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of continuous or running length bonded web
    • Y10T156/1085One web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48Work traversing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10T156/1989Corner edge bending dela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Looms (AREA)
  • Unwinding Web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테이프 배치장치 및 방법
제1a도는 복잡한 형상의 주형에 테이프(예를 들어 3인치폭)를 배치하는데 적당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의 장치의 개략측면도로서, 테일부분이 압착되기전 정상의 테이프 배치를 위한 위치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고 또한 후면 지지체를 제외하고 테이프를 비스듬히 절단할 때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b도는 제1 압착수단의 앞의 비스듬한 절단부와 상기 제1 압착 수단으로 부터의 접촉선 또는 압착선(점선으로 표시됨)을 나타내는, 제1a도의 테이프의 개략평면도.
제2a도는 테이프의 비스듬한 절단부의 전연부가 제1 압착수단에 도달하였으나 아직도 후면 지지체상에 지탱되어 있을 때를 나타내는, 제1도 시스템의 도면.
제2b도는 제2a도에서의 테이프, 비스듬한 절단부, 및 압착수단 압착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3a도는 제2 압착수단이, 제2a도 동작후 그리고 테일부분의 전연부가 제2 압착수단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된 때의 제1a도 및 제2a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제3b도는 제3a도에서와 같이 배치된 장치에서의 테이프, 테일부분 및 제2 압착수단의 압착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4a도는 테일부분의 전연부와 후연부 사이의 제2 압착수단에 의한 테일부분의 압착시의 제1a도, 제1b, … 제3b도 시스템의 측면도.
제4b도는 제4a도에서의 테이프, 테일부분 및 압착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5a도는 테일부분의 후연부가 제2 압착수단 아래에 왔을때의 주요구성요소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2b도는 제5a도에서의 테이프, 주형연부 및 테일부분의 후연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겐트리 타입의 이동 수단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배치 헤드를 가진 테이프 배치시스템의 개략도.
제7도는 제1도-제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장치의 바람직한 예의 측면도.
제8도는 명료한 도시를 위해 절단판의 생략되어 도시된 제7도의 선제8도-제8도에서 본 도면.
제9도 및 제10도는 명료한 도시를 위해 저장가이드 및 로울러링크들이 생략되어 도시된, 제7도의 선제9도-제9도 및 제10도-제10도선에서 본 도면.
제11도는 주형에 대하여 테일부분을 압착하는 위치에 있을때의 제7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 제13도, 제13a도, 제14b도는 비교적 평편한 주형에 넓은 테이프(예를들어, 12인치폭)를 배치하는데 적당한 본 발명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테이프 배치위치와 테일부분 압착위치(점선표시)에 있을 때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고, 제14a도는 하강된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제13도의 선 제14a도-제14a도에 따른 단면도이고, 제14b도는 로울러가 하강되고 블레이드가 상승된 것을 나타내는 제13도의 선 제14b도-제14b도에서본 도면.
제15도, 제16도, 제17도는 테이프 절단수단의 각각 정면도, 평면도.
제18도는 제1도-제11도 예의 대표적인 지지브라켓트 조립체(25, 26)을 나타내는 도면.
제19도, 제20도, 제21a도 및 제21b도는 토오크 모우터 및 테이프 구동부작동의 바람직한 모우드를 나타내는 도면.
제22도, 제23도는 비스듬한 절단부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제24도는 제12도-제14도 예의 볼레이드 동작 제한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테이프 조립체 3 : 주형
5 : 컨트리조립체 18 : 테일부분
20 : 제1 압착수단(슈우 또는 볼레이드) 22 : 테이프
24 : 후면지지체 25 : 지지판
26 : 장착판 28 : 공급리일
29 : 모우터 30 : 절단판
34 : 로울러조립체 36 : 저장가이드
38 : 저장리일 40-43 : 레비시스템
44 : 공기실린더 52 : 테일부분의 전연부
55 : 테이프컷터 56 : 비스듬한 절단부
59 : 테일부분의 후연부 60 : 플런저
74 : 베어링블록 76 : 브릿지부재
79 : 경사블록 82 : 블레이드
86 : 트러니온 88 : 구동핀
90 : 정지봉
본 발명은 복합테이프 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복합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은 테이프의 종축에 수직인 선으로부터 작은 각, 예를들어 60°-80° 각도로 절단된 테이프 스트립의 테일(tail)부분을 압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면은 테일부분의 단부에 전술한 바와같이 테이프 테일부분을 압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후면 지지체로부터 벗겨진 테이프 테일부분을 압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복합테이프와 그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이 다수의 선행 공보들에 기술되어 있다. 복합테이프는 수지매트릭스에 배치된 단일방향 필라멘트들의 스트립으로 불린다.
그 테이프는 후면지지체(대개, 종이로된 후면지지체)상에 벗겨질 수 있게 부착된다. 그 테이프는 평행한 층들로 배치되고 인접층들이 대개 다른 방향으로 배채되어 나뭇결 특징을 형성한다. 그렇게 하여 만들어진 구조물은 중합된다.
즉, 수지매트릭스가 교차결합, 중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경화되어, 통상의 금속제 외판대신, 항공기의 수평 및 수직빌라이저(stabilizer)외판과 같은 구조물의 구성 요소들을 형성한다. 수지조성물, 필라멘트(그라파이트, 카본 또는 어떤 경우, 유리일 수 있음) 및 매트릭스들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구조물(테이프)은 손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러한 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기술과 관련된 대표적인 선행공보들로는, "치트우드"등의 미국 특허 제3, 574, 040호" "웨이스"등의 미국특허제4, 351, 688호 "무레이"등의 영국특허 제2. 101. 519A호 및 "칼슨"과 "하데스티"의 미국 특허 제3, 775, 219호가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비스듬히 절단된 테이프의 테일부분의 압착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테이프의 단부에의 그러한 테일부분의 압착은 테이프의 종축에 수직인 선으로부터 60° 이상의 각도로 절단된 절단부에 있어서 문제를 야기한다.
그러한 각도로 절단하므로서 형성되는 긴 테일부분은 많은 제조 및 품질 관리상의 문제들이 발생한다.
테일부분을 따라 그의 단부쪽으로 이동할 때 뾰족하게 된 비사용테일부분에 대한 지탱압력은 테이프의 비사용길이 부분이 주형 및 테일부분에 보다 강하게 부착되게 할 수 있고 그리하여 비사용 테이프 제거시 문제를 발생시킨다. 경험에 의하면, 긴 테일부분의 후반부분은 그의 좁은 폭때문에 나쁜 문제를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종래의 해결책들중 몇몇은 절단각도를 작은 값(간혹 60°)로 제한하고 테이프배치 압력을 테일부분의 처음 절단부에 한정시키고 압착 및 조정을 수동으로 행하고, 긴 테일부분을 요하는 적층구조물 및 배치방향의 이용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테일부분이 얼마나 적은 각도로 또는 비스듬히 절단되는가에 관계없이 테일부분의 전체길이가 긴 테이프를 압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테이프를 지지하는 기질 또는 지지체로부터 테이프를 분리한 다음 그 테이프의 테일부분에만 압착력을 가함으로서, 압착후 기질(지지체)를 분리하여야 할 때 발생되는 많은 어려움들을 제거하는 테이프 압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체(종이 후면지지체, 박리지, 등과 같은)를 제외하고 테이프만을 절단하고, 그 지지체와 테이프를 분리하고 지지체를 저장함과 동시에 테이프를 주형에 부착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복합테이프 배치 및 압착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테일 부분으로부터 지지체를 분리하기 전 테이프를 비스듬히 절단(그리하여 테일부분을 형성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테이프배치 장치는 복합테이프 스트립을 주형에 압착하기 전에 그 스트립으로부터 지지체를 분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 수단은 제1 및 제2 압착 수단을 포함한다. 제2 압착수단은 제1 압착수단 후방위치에서 지지체와 테이프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프(대개 테일부분)에만 압착력을 부여한다. 본 장치는 또한, 각 압착수단들이 각기 다른 시간에 압착작동을 행하도록 그들 압착수단을 위치결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중요특징은 테일부분을 압착하기전에 테이프부터 지지체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그러한 작동을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테이프가 지지된 후면지지체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고 테이프만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후면지지체와 테이프의 조립체에 압력을 가하는 압착수단으로부터 후면지지체와 테이프 테일부분이 분리된 후 그 테일부분에만 압력을 가하는 수단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들을 예시하는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테이프 배치방식(제1a도, 제1b도, 제12도 참조)과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테일(tail) 압착방식(제3a도, 제3b도 … 제5b도) 제13도, 제14도 참조)에서 주형(mold)(3)에 테이프조립체(2)(즉, 후면 지지체(backing)상에의 테이프 자체의 결합체)를 부착 및 압착하기 위해 테이프 배치헤드(1)(제6도 참조)을 사용하는 것이다.
테이프조립체(2)는, 그 조립체를 주형(3)(작업대(4)상에 설치된)에 대하여 위치결정하고 그것을 소정 속도로 어떤 벡터(vector)를 따라 그리고 어떤 순서로 이동시키도록 겐트리 조립체(5)와 같은 적당한 수단에 설치된다. 제6도의 겐트리 시스템은 테이프배치 헤드를 위치 결정시키고 이동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수단이다. 그 겐트리는 기계 공구 및, 예를들어 각종 겐트리들이 예시된 전술한 특허들에서와 같은 복합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제6도의 겐트리시스템(5)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체(8)상에 장착된 1쌍의 통로(7)을 포함하며 지지체(8)은 다수의 지주(10)에 의해 지면위에 유지되어 있다. 그 겐트리는, 그러한 2개의 통로 사이에 설치되고 그 통로위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설계된 적당한 구조의 비임(12)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수직의 새들(Saddle) 조립체(11)을 포함한다. 테이프 배치 헤드(1)을 하나 이상의 주형(3)(하나만이 도시됨) 위 작동위치에 위치시키고 압착력을 가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또 다르게는, 비임(12)가 통도들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리부들의 정상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새들 조립체(11)은 헤드를 통로들 사이에서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 시스템(14)와 테이프 배치헤드의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수단(15) 및 헤드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17)과 같은 위치결정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들 모든 위치결정 수단들은 잘 알려져 있고 전술한 영국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의 요약(제1a도 …… 제5b도)
후면지지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매트릭스내 단일방향섬유들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조립체 또는 복합체를 호환성 있게 칭하고 또한 그러한 스트립체자체를 칭하는데 있어서 "테이프"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이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용어 "테이프"는 복합 스트립 자체를 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용어 "테이프조립체"는 그러한 조립체를 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제1a도, 제1b도, ……제5a도, 제5b도는 헤드에 의해 우측으로(화살표)(19)와 같이 진행하는 것을 가정하여, 기계부품들, 테이프조립체(2), 테일부분(18)의 위치들과,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단계들을 나타낸다.
요지는 테이프조립체(2)(박리지(release paper)와 같은 후면지지체 또는 캐리어(24)상에 테이프(22)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를 주형에 대하여 프레스하기 위해 제1 압착수단(20)(바람직하게는, 슈우(shoe))을 사용하는 것이다.
헤드(1)은 하나이상의 지지판(25)(제7도-제10도)와 장착판(26)을 구비하고 있고, 그 장착판(26)에는, 테이프(2)의 공급비율에 대한 적극적인 조절을 유지하도록 전기 모우터(29)에 의해 구동되는 공급리일(28)이 장착되어 있다.
후면지지체(24) 또는 어떤 유사한 지지체에 부착되어 나중에 그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긴 테이프 조립체(2)가 공급리일상에 권취되어 있다. 테이프 조립체(2)(즉 22 및 24)는 절단판(30)을 포함하는 기계지지요소(판(25)에 부착된)를 따라 공급리일로부터 이동한다.
또한, 테이프(22, 24)는 섬유들이 배치된 수지 매트릭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임의의 가열터널(31)과 같은 가열수단을 지나 이동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가열수단이 사용되지 않고, (실은 경화 또는 유황 처리수지와 같은) 열 활성화를 요하지 않는 테이프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새들(11)은 장착 플레이튼(11A)까지 달하여 있고, 그 장착 플레이톤에 헤드(1)이 장착 볼트(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헤드장착판(26)이 측방으로 연장하고, 브라켓트(25)에 취부되며, 플레이튼(11A)에 대하여 장착 표면을 위치결정한다.
테이프 조립체(2)는 슈우(20)아래에서(제1도-제5도) 또는 블레이드(20) 아래에서 절단판(30)으로부터 이동한다. 복합테이프(22) 및 후면지지체(24)가 슈우(20) 아래에서 이동할 때, 상기도면들의 저부쪽 수직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져, 상기 복합테이프(22) 및 후면지지체(24)를 주형(3)에 대하여 압착하고 소망의 압착정도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서, 복합테이프(22) 및 그의 후면지지체(24)는 슈우(20)에서 분리되고, 로울러조립체(34)(제7도-제10도 참조)을 포함하는 제2 압착수단(33)이 복합테이프(22)와 후면지지체(24) 사이에 배치된다. 그 후면자지체로부터 테일부분(18)이 슈우에서, 또는 슈우에서 떠날 때 분리된다. 기질(substrate)(35)상의 폐기된 테이프는 저장가이드(36)을 가로질러 저장(또는 폐기) 리일(38)(제4b도, 제5b도의 빗금지역)로 이동한다. 전기모우터, 벨트 및 풀리조립체(39)와 같은 구동수단이 리일(38)을 회전시키고 브라켓트(25)에 장착되어 있다. 후면지지체(24)상에 테이프(22)가 배치되어 이루어진 테이프 조립체(2)가 공급되는 공급리일(28), 전방가이드 또는 절단판(30) 압착위치로 그리고 그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수직이동하도록 장착된 슈우(20), 테이프로부터 벗겨진 폐기테이프(35)가 부착된 후면 지지체(24)가 저장리일(38)로 이동할 때 지나는 후면지지체 가이드(36), 로울러(34)와 레버시스템(40, 41, 42, 43)(제1도-제11도의 예에서는 브라켓트(25)상에서 테이프배치헤드에 대하여 회동함) 및 공기실린더(44)형태의 동력수단(제1 압착수단)이 테이프 헤드브라켓트(25)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레버 시스템은 양 압착수단을 위치 결정시키기 위해 동력수단 및 양 압착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12도-제14도에서 블레이드(20)이 동력수단(44)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제1 압착수단, 바람직하게는 슈우(제1도-제11도) 또는 블레이드(제12도-제14도)와 바람직하게는 로울러(34)이고 테일부분(18)과 테이프에서 벗겨진 후면 지지체사이에 배치되는 제2 압착수단을 직렬로 가지고 있다.
제1도-제11도에 예는 수평으로부터 약 0°―약±20° 각도의 표면을 가지는 주형에 좁은 테이프(약 3인치 이하의 폭)을 배치하는 데 적당하다. 반면, 제12도-제14도의 예는 약 0°로부터 수평에서 약 ±1―20°의 경사를 가진 주형에 넓은 테이프(12인치 이하 또는 30㎝ 이하의 폭)를 배치하는데 적당하다.
리일 구동 모우터들(29, 30)은 가역 가변속 직류토오크모우터(제19도-제22도 참조)이고, 장력을 유지하도록 단일체로 작동되며, 통상의 타이밍 벨트 및 폴리에 의해 피구동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슈우(20) 및 로울러(34)는 각각, 실리콘 고무, 테플론, 또는 그와같은 것으로된 비접착 피복재를 가지고 있다.
작동의 요약(제1a도, 제1b도, … 제5c도, 제5d도, 제6도)
제6도의 겐트리(5)는 테이프 배치준비를 위해 주형에 대하여 테이프배치 헤드를 위치결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작동 및 (또는) 수동제어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일부에 포함되지 않는다.
테이프 조립체(2)는 공급리일(28)로부터 철회되고 절단판(30)을 따라 슈우(20) 아래로 통과한다.
절단판, 슈우 및 가이드(36)은 그들이 복합테이프(22)로부터 후면 지지체(24)를 이탈시키거나 그들을 벗기어, 폐기테이프(35)를 가진 후면지지체가 가이드를 가로질러 후면지지체 저장리일(38)로 통과되고 반면테이프는 그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관계로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후면지지체(24)로부터의 테이프 박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가이드(36)은 슈우(20)이 압착할 때 가능한한 많이 상승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슈우(20)은 복합테이프(22)와 후면지지체(24)(즉, 테이프(2))를 주형(3)에 대하여 압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점섬(50)(제1b도-제5b도)은, 압착수단(20) 또는 (33)이 작동할 때 테이프(2) 또는 복합테이프(22) 사이의 접촉선을 나타낸다. 모우터(29, 39)는 테이프와 후면지지체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동하고, 역으로 구동하여서는 비사용 테일부분(35)을 철회시킨다. 모우터 속도(rpm)은 슈우(20)에 의한 압착시 화살표(19)에 따른 헤드의 속도(fpm)에 의해 결정된다.
테이프 배치는, 테일부분(18)의 전연부, 즉 비스듬히 절단된 부분이 전방가이드 또는 절단판(30)을 따라 통과하기 시작할 때까지 전술한 방식으로 계속된다. 이때, 겐트리 및 공급로울러로부터의 테이프의 공급이 정지되고, 제15도-제17도의 수동테이프 절단기(55)가 조작자에 의해 사용되어,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일부분(18)의 후연부(59)까지 테이프를 가로질러 소정각도(58)로 비스듬히 절단한 부분(56)을 형성함에 의해 복합테이프(22)만을 절단하고 후면지지체(24)는 절단하지 않는다. 전연부 및 후연부는 절단부(56)이 스트립(22)의 연부들과 교차하는 지점들(52, 59)로 불린다.
다음 테이프 배치가 다시 시작하여, 겐트리(5)가 다시 화살표 방향(19)로 이동되며 테이프(2)가 전술한 바와같이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된다. 그러나 이때 테이프 후면지지체(24)만은 공급리일(28), 슈우(20), 테이프 저장리일(38)을 연결하는데, 이는 그 테이프가 제1a도-제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스듬한 절단부(56)을 따라 절단되기 때문이다.
슈우(20)이 테일부분(18)을 그의 전연부(52)로부터 비스듬한 절단부의 후연부(59)쪽으로 압착하는 테이프 배치가 계속된다. 테이프배치시 테이프 배치헤드는 제1a도-제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으로 겐트리 상에서 이동되고 테이프 조립체(2)는 소망의 장력 및 배치속도와 상승하는 비율로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된다.
대략 이때, 절단된 테이프 전연부(52)는 슈우(20) 아래를 통과하고 주형에 대하여 압착되며, 제2a도, 제2b도의 부품들의 위치가 달성된다. 이상적인 타이밍은 전연부(52)가 제2b도에서와 같이 가장 늦게 접촉선(50)과 일치하는 때이지만, 이것은 접촉선이 전연부(52) 앞에 있는한 중요한 것이 아니다. 이때, 동력실린더(44)가 작동되고, 플런저(60)은 제1a도, 제2a도의 위치로부터 제3a도-제5a도에 도시된 위치로 신장된다. 벨 크랭크(40), 가이드(36), 및 벨 크랭크를 각각 가이드(36) 및 슈우(20)에 연결하는 3개의 링크(41, 42, 43)으로 이루어진 링크 시스켄(33)이 헤드의 프레임(62)에의 벨 크랭크 핀 접속부 주위에서 회동되고 제3(a)도의 위치로 배치된다. 이때, 로울러(34)는, 주형으로부터 테이프 배치헤드를 들어올리는데 충분한 힘으로 주형(3)상의 복합테이프(22)만에 대하여 압압된다. 이 힘은 슈우에 의해 행해지는 것과 같이 압착을 위한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물론, 그 로울러는 링크시스템에 의해 운동학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고, 테이프와 후면지지체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 후면지지체를 주형 또는 다른 기질에 대하여 압착하지 않는다. 그러한 동작들에 의해 슈우(20)이 주형과의 압착접촉으로부터 제거되고 가이드(36)이 후면지지체 및 폐기테이프를 위한 지지체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제1압착수단, 즉 슈우(20)으로부터 제2압착수단, 즉 로울러(34)로의 적극적 압착수단의 동시교환이 행해진다.
테이프의 짧은 세그멘트(64)(제3a도, 제3b도)는 2개의 수단(20, 34)의 직렬간격에 기인하여 슈우 및 로울러에 의해 압착된다. 물론, 후면지지체(24)는 폐기테이프(35)를 지탱하며, (24)(35)는 압착을 받지 않고 테이프의 테일부분(18)만이 압착을 받는다.
가이드(36)(제3a도, 제4a도, 제5a도)의 테일부분 압착위치는 슈우(20)주위에서의 테이프의 절단을 방지하며 후면지지체(24)상에의 비사용 테일부분(35)의 보유를 증진시킨다.
이 시스템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배치헤드(1)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작동을 계속한다.
후면지지체가 테일부분으로부터 계속 벗겨지고 저장리일에 공급되는 동안 로울러(34)에 의해 테일부분(18)에 압착력이 가해진다.
모우터(29, 39)는 토오크가 균형되게 하여 후면지지체 및 테이프상의 정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그들의 상대속도가 조정된다.
이 과정(즉, 제4a도의 과정)은 절단된 테이프의 후연부가 제5a도, 제5b도에서와 같이 로울러 아래를 통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후연부(59)는 주형(3)의 연부(68)에 도달하고(제4a도, 제5a도), 이러한 특정배치가 완료된 다음 테이프 배치헤드가 주형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테이프 배치헤드가 들어올려진때, 주형과의 그의 연결(후면지지체에 부착된 테이프 또는 테일 부분을 통한)이 종료된다.
다음, 조작자는 헤드를 180도 회전시켜, 새로운 테일부분의 절단을 위해 재배치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또다른 배치를 행한다. 새로온 과정을 위해 시스템을 재배치하는데 있어서, 테이프 공급시스템을 역으로 구동시키고 테이프의 새로운 단부를 위치결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보유된 첨단부(52)는 슈우(20) 아래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제11도, 제18도의 예]
약 3인치(76cm)폭의 좁은 복합테이프(22)를 배치하는데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유사한 부품들에 사용되었으나 제18도에서 예를들어 28, 29, 38, 39는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들어 모우터, 구동풀리, 스핀들, 테이프 등이 장착되는 곳들을 나타낸다.
브라켓트(25)가 볼트(32)에 의해 헤드 위치결정 부재 플레이튼(11A)에 취부되어 있고, 그 플레이튼은 겐트리(5)에 지지되어 있다.
제8도, 제18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브릿지부재(76)이 2개의 브라켓트들의 저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있다.
베어링 핀 또는 축(75)에 의해 가동경사(tilt) 블록(7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 블록(74)가 브릿지 부재(76)아래에 취부되어 있고, 블록(79)에 슈우지지 지주(77)이 볼트(78)과 같은 적당한 체결수단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경사블록(79)는 중앙에서(제7도, 제8도에서 점선 (81)로 나타낸 바와같이) 속이 비어 있어 핀(75)상의 블록(74) 주위에서 그(79)가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베어링구조가 헤드가 기계경사에 응하여 작동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런 이유로, 제1및 제2압착수단(20, 33)은 경사블록(79)로부터 지지되고 동력수단(44, 60)이 구동핀(88)의 구형베어링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해 로울러 아암(40)에 연결되어 있다.
절단판(30)은 각 단부에서 스크류(80))에 의해 보유된 무거운 시이트 금속으로 되어 있다. 슈우(20)은, 적당한 금속으로부터 기계가공되어 형성되고, 낮은 마찰계수와 배치될 테이프와의 낮은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로된 교환가능한 탄력성 피복제(84)로 피복된 부재(8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낮은 마찰계수와 비 접착성의 피복재는 다수의 볼트에 의해 슈우 부재(82)에 취부되는 물질의 시이트로 이루어진다.
제12도-제14도에서 실리콘 고무가 금속 지지리브상에 성형 또는 부착되어 있다. 로울러 역시 유사한 물질(83)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우가 압착수단으로 작동할 때의 이동방향으로 전방으로 향한 슈우의 측부는 절단판의 면과 사실상 일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슈우의 저부에서의 각도는 제1도-제11도의 예에서는 수평으로부터 0°로부터 약 ±20°의범위내에서 선택되고 제12-14도의 예에서는 약 0°로부터 약 ±1-20°의 경사범위내에서 선택되어 테이프로부터 후면지지체의 분리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이 각도는 배치될 테이프내 수지, 슈우상의 피복재, 및 압착에 요구되는 압력과 같은 여러가지 인자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슈우는 제1압착수단으로 바람직한데 이는 슈우와 테이프-후면 지지체가 측방으로 벗어나지 않고 테이프가 요구되는 곳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로울러는 제2압착수단으로 바람직한데, 이는 테일부분과 주형사이에 드래그(drag)가 거의 없어(테일 부분이 너무 좁아 로울러 또는 다른 수단이 주형에 계합하여), 이전에 배치된층에 마모가 거의 없게되기 때문이다.
제7도-제11도의 동력실린더(44) 및 가이드 위치결정수단(33)은 여러쌍의 벨크랭크(40)과 가이드 링크(41, 42)를 포함하여, 각 쌍의 하나는 측부에 위치된다. (제9도 참조). 그 동력 실린더는 그의 상단부에서, 브라켓트(25)들 사이의 1쌍의 트러니온(86)(제9도, 제11도)에 지지되어 있다.
로울러(34)는 벨크랭크(40)의 자유단부들 사이에서 경사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벨크랭크(40)은 프레임(25)에 베어링(62)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60)은 그 벨 크랭크들(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제7도, 제9도, 제11도 참조). 가이드링크(41, 43)의 쌍은 각 측부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고 1쌍의 슈우 크랭크(42)가 일단부에서는 슈우, 지주(77) 또는 프레임(25)들 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고 다른 일단부에서는 링크(4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벨 크랭크들은 크랭크의 중간지역에서는 구동핀(88)에 의해, 그리고 2개의 벨 크랭크들의 전방단부를 가로질러 위치된 정지봉(90)에 의해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다.
동력 실린더는 1쌍의 트러니온들로부터 지지된 공기실린더이고, 그 트러니온들은 잘 알려진 방식으로 상단부에서 브라켓트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설치의 편이를 위해 이들 드러니온들중 하나((86L)는 실린더의 최종 위치를 위해 조정 가능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도록 해당 브라켓트로부터 작동적으로 분리하여 있다.
테이프 배치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후면 지지체 또는 기질(24)는 절단하지 않고 테일(tail)부분(18)과 폐기부(35)를 형성하도록 복합 테이프(22)만을 절단하고, 후면지지체와 테이프를 분리하고, 후면지지체는 압착하지 않고 테일 부분을 주형에 대하여 압착함에 의해 그 테일 부분을 주형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방법은 후면 지지체는 절단하지 않고 테이프(22)만을(56)를 따라 비스듬하게 절단하고, 그러한 절단후 테이프로부터 후면지지체를 분리하고, 후면 지지체 및 복합테이프가 압착되도록 절단부 앞에서 후면지지체를 압착함에 의해 절단부 앞에서 테이프 조립체(2)를 주형(3)에 부착한 다음, 후면지지체가 아니라 테일부분(18)이 주형에 대하여 압착되도록 상기비스듬한 절단부 뒤에서 후면지지체를 제외하고 테일부분(18)만을 압착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방법은 테일프 전체폭을 블레이드 또는 푸우트에 의해 압착하고 테일부분을 로울링 접촉에 의해 압착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모든 경우, 본 방법은 분리된 후면지지체와 탭(tap) 또는 테일부분 사이에 제2압착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5도의 수동 블레이드 컷터(55)
블레이드 컷터(55)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금속 몸체부(92)를 포함하며, 그 몸체부는 절단 스틸러스(stylus) 또는 블레이드(93)을 지지하고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알루미늄제 몸체부(92)는 일측부에 슬로트(9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슬로트에 블레이드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그 몸체부에는 테플론 또는 다른 저마찰(비접착성) 표면(96)(실리콘 고무, 테플론)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블레이드 고정나사(98)을 수용하기 위한 수평 나사구멍(97)과 블레이드 조정나사(100)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의 나사구멍(9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블레이드 또는 스틸러스가, 그의 절삭날(101)에 의해 복합테이프(22)만을 절단하고 후면지지체(24)는 절단하지 않도록 하는 절삭두께를 위해 위치조정 가능하게 된다.
공급리일로부터의 테이프 공급의 중단없이 플라이(fly)에서 테이프(22)(후면지지체가 아니라)를 절단하기 위한 기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다.
[제12도-제14도, 제24도의 실시예]
전술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는 평편한 표면에의 약 6"-약12" 폭의 복합테이프의 배치 및 압착에 특히 적합하다. 이 예는, 복합테이프(22)로부터의 후면지지체(24)의 벗김을 증진시키도록 제1도-제11도의 넓은 슈우(20)대신 제12도-제14도에 도시된 블레이드(20)을 제1압착수단으로 사용하고, 프레임(25)(로울러대신)에 대하여 블레이드(20)을 이동시킴에 의해 로울러 또는 블레이드가 압착접촉하게 하며 고정지주(14)에 의해 프레임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울러(34)(제2압착수단)를 구비한 점에서 제1도-제11도의 전술한 예와 기구적으로 다르다. 단일 작동식이고 스프링 바이어스된 1쌍의 공기실린더(144)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제1압착수단을 승강시키도록 동력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12도-제14도에서, 제1도-제11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동일부품(예를들어, 프레임(25))에 사용되었으나 소수의 유사한 부품들이 편리를 위해 제1도-제11도의 번호에 100을 추가한 번호로 나타내어져 있다(예를들어, 동력수단(44)는 실린더(144)로 되고, 지지체(40)은 지주(140)으로 되고, 전후 표면(30, 36)은 (130)및 (136)으로 됨).
제12도-제14도의 시스템은 기계횡방향으로 경사진 주형표면에 적응하도록 제1도-제11도의 것과 매우 유사한 구조에 의해 기계 횡방향으로 경사지지만, 블레이드(20)을 수직으로 위치결정시켜 로울러(34)가 주형(3)과 압착접촉하거나 이탈하도록 그 블레이드(20)에 동력을 부여하는 것이 다르다. 그 경사에 의해 경사블록(79)(후면지지체 가이드(136)과 절단표면(130)과 합체된 표면을 가진 블레이드 지지체(104)의 상부부분 일체로된)가 핀(75) 주위에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수평위치로 회동된다.
제12도-제14도의 블레이드(20)은 경사블록(79)의 상부 표면에 지지 및 취부된 1쌍의 복동식 공기실린더(144)에 의해 승강된다. 그리하여 모든 블레이드 동력이 블록(79)로부터 제공되고 그 블레이드들의 운동이 그 블록에 상대적으로 행해진다. 공기 실린더들은 오일누출의 경우 복합테이프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수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들(144)는 브릿지부재(76)의 적당한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신장되며 그들의 플런저들이 블레이드(20)의 몸체부(106)의 나사구멍(105)에 나사결합된다. 수직 슬로트(108)이 블레이드 지지체(104)를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하고 블레이드(20)이 슬로트내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드한다. 수직 주행에 대한 제한이, 슬로트(108)의 각단부에서 지지체(104)에 고착된 단부판(109)(제24도)에 의해 편리하게 제공되고, 각 단부판은 수직슬로트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슬로트의 상하단부(110, 111)이 블레이드 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수평단부핀(112)와의 계합에 의해 블레이드의 수직 주행을 제한한다.
각 단부핀(112)는 토오크바아(115)에 교착된 아암(114)에 회전가능하게 계합한다. 바아(115)의 각 단부에 대한 아암(114)의 토오크 효과는 블레이드의 위치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즉, 블레이드가 상승 또는 하강시 각 단부에서 동일 값 만큼 이동하지 않으면, 토오크가 바아(115)를 따라 발생되고 그리하여 블레이드가 옳바른 위치로 이동된다.
로울러(34)는, 블레이드(20)의 상향으로의 철회에 의해 그 로울러가 주형(3)상에 얹히도록 하는 위치에서 1쌍의 고정된 지주(14)들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그 지주들은 블레이드 지지체의 단부에 볼트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저어널(journal)(141)이 로울러의 단부들로부터 연장하여 있고 지주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니이들 베어링 또는 로울러 베어링과 같은 저마찰 베어링(142)가 저어널과 지주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기배치 및 토오크 모우터작동(제19도-제21도, 제21b도)
시판되고 있는 토오크모우터(29, 39)가 본 발명에 사용된다. 그 모우터들은 가변속 가역직류모우터이다.
제19도-제21도의 모우드는 테이프배치 및 압착중 그리고 리셋트중에 장력을 유지한다. 테이프 및 저장리일(28, 38)이 회전되고 그들의 구동 모우터(29, 39)와 동일한 방향으로 벨트-풀리 구동에 의해 그 리일에 토오크가 가해졌기 때문에 모우터의 토오크 방향이 그들의 리일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모우터와 리일은 토오크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복합 기술에서 이러한 토오크 모우터 조작이 "U축"으로 불린다.
제19도는 테이프의 전체폭을 압착할 때의 모우터(28, 38)의 토오크 방향을 나타낸다. 실제, 겐트리동작 및 블레이드(20)아래 테이프 배치헤드의 동작은 화살표(19)와 같으며, 리일(28)로부터 테이프조립체(22, 24)를 벗기는 동안 주형(3)에 대하여 블레이드(20) 아래 테이프를 압착한다. 실제, 토오크 모우터들은 토오크 화살표(128, 138)로 나타낸 서로 반대의 방향의 토오크를 가지며, 겐트리의 동작과 블레이드에 의한 테이프조립체의 압착이 협동하여 테이프를 화살표(102) 방향으로 당기지만 모우터들은 이것을 허용하는데 충분히 회전한다. 그리하여 테이프 조립체(2) 및 후면지지체는 리일(28, 38)로부터 그리고 그 리일에의 주행과정에서 장력하에 유지된다.
이때 부품들은 제1a도, 제1b도, 제2a도, 제2b도의 위치에 있는다. 즉, 압착기(34)는 테이프와의 접촉에서 벗어나 들어올려져 있고 후면지지체 가이드(36)은 블레이드(20)아래 테이프 조립체를 당기는 박리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철회한다.
제20도는, 로울러(34)가 하강되고 부품들이 제3도, 제4도, 제5도의 위치로 이동할 때 토오크 모우터들에 일어나는 상황들을 나타낸다. 실제, 토오크 모우터들은 앞에서와 같이 계속 토오크를 부여하지만 가이드(36)은 비사용 테이프(35)가 후면지지체(24)에 보다 쉽게 부착하도록 적은 박리효과를 제공하기위해 후면지지체(35, 24)상의 비사용테이프에 대하여 보다 무겁게 압압된다.
제21a도는 리셋트 시작 및 리셋트 동안, 즉 시스템이 차기 배치를 위한 위치로 이동되고 테이프 조립체(2, 35) 비스듬히 절단된 비사용 레일부분(35)를 이용하기 위해 이동될 때 일어나는 상황을 나타낸다.
첫째, 전체 헤드는 주형으로부터 멀리 들어올려진다. 후면지지체 및 테이프는 더이상 주형에 연결되지 않는다. 다음, 토오크 모우터(29), 리일(28)이 (128R)과 같이 역회전되어, 비사용테이프 전연부(52)가 블레이드(20)아래에 오게될때까지(그때 재권취가 정지됨) 재권취를 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블레이드(20)은 테이프조립체와의 절단접촉에서 벗어나는 제3a도, 제4a도, 제5a도, 제21a도의 상승된 위치에 보유된다. 또한 가이드(30, 35)는, 제3a도, 제4a도, 제5a도, 제21a도와 같이 테이프 조립체에 접촉하여 후면지지체(24)상에의 (35)의 보유를 증진시키고 작은 각도로 보유되게 한다.
전체 헤드가 그의 새로운 배치위치로 이동되고 제21b도와 같이 재권취된후, 부품(35)의 나머지 첨단부(52)은 블레이드(20)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다음 블레이드에 얹힌다. 이것은 (35)의 비사용 첨단부(52)를 주형(3)에 대하여 압착하도록 전체 헤드 및 블레이드(20)을 하강시킴에 의해 행해지며, 그리하여 제21b도의 위치로 되고 로울러(34)는 상승하여 있는다. 방향(19)로 이동함에 의해 후면지지체(24)와 첨단부(35)가 압착된다. 그러나, 후면지지체는 박리지이고 주형(3)에 부착하지 않는다. 또한 압착되는 테이프(35)는 제21b도에서 좌측으로 계속 이동할 때 후면지지체 접착문제가 감소되도록(19) 방향으로 넓게되어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리셋트 모우드는 제2압축기를 사용하지 않는 배치를 포함한다. 유사한 경우가 배치의각말기에, 즉 주형(3)의 각 연부에서 일어날 수 있다.
비스듬한 절단부의 형태(제22도, 제23도)
제1도-제21도의 각 이진 절단부와 같은 압착이 직선외의 다른 절단부(56)에도 행해질 수 있다. 제22도, 제23도는 "비스듬한"이란 용어의 사용에 포함되는 다른 절단부 형태들을 예시한다.
제22도는 각이진 톱니형태를 나타내며 제23도는 길이 방향으로(즉, 섬유들과 평행한 방향) 연장하는 세그멘트들을 가진 톱니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곡선절단이 예상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한 압착은 로울러수단을 이용하여 후면지지체를 제외하고 비스듬히 절단된 테이프의 전체폭보다 적게 압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23)

  1. 후면지지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테이프를 포함하는 테이프 조립체로부터 복합테이프를 압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지조립체 : 그 지지체상에 설치되는 공급리일 : 상기 지지 조립체상에 지지된 저장 리일수단 : 제1압착수단 : 상기 조립체의 최하부 부분에서 상기 제1압착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 : 상기 공급리일수단과 제1압착수단 사이에 배치된 전방가이드 : 상기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된 테이프를 압착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지지된 제2압착수단 : 상기 수단들에 장착된 때 후면 지지체 및 폐기 테이프를 상기 저장리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압착수단과 상기 저장리일수단사이에 배치된 저장가이드 : 및 상기 압착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가 테이프만을 압착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압착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지지체및 다른 압착수단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동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테이프 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이 제2압착수단에 의해 압착방식으로 테이프에 접촉하고 제1압착수단을 테이프 조립체와의 압착접촉으로부터 제거하도록 상기 테이프 조립체에 대하여 제2압착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인 상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압착수단으로서의 로울러 : 일단부에 로울러를 가지고 있고 타단부에는 프레임 조립체에 피봇트 되어 있는 크랭크 : 및 제1압착수단에 대하여 상기 로울러를 이동시키는 상기 동력수단으로서의 유체 실린더는 더 포함하는 상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수단으로서의 블레이드 또는 슈우 : 상기 지지조립체에 대하여 상기 제1압착수단을 승강시키는 동력수단 : 제2압착수단의 일부로서의 로울러 : 상기 제1합착수단이 상기 테이프 조립체와의 압착접촉에서 벗어나도록 상승될 때 상기테이프에 압착접촉하도록 상기 로울러를 위치시키는 로울러지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동력수단의 상기 제1압착수단의 각 단부에 단일작동방식으로 동력을 부여하도록 중앙의 각측부에 하나씩 배치된 1쌍의 실리더를 포함하는 상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이, 상기 슈우 및 상기 지지조립체상의 토오크바아에 복동방식으로 동력을 부여하도록 배치도고 상기 제1압착수단의 각 단부에 연결된 1쌍의 유체 실린더를 포함하는 상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압착수단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압착력부여를 사실상 동시에 절환하기 위해 상기 지지 조립체와 제1 및 제2 압착수단에 연결된 링크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 수단이 비회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착수단이 상기 지지 조립체에 취부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상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낮은 마찰계수의 비접착성 물질의 피복재를 가지고 있는 상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들중 적어도 하나가 낮은 마찰계수의 비접착성물질의 피복재를 가지고 있는 상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수단이 로울러를 포함하는 상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착수단이 테이프에 압착접촉하고 낮은 마찰계수의 비접착성 물질로된 피복재를 가진 로울러를 포함하는 상기장치.
  14. 후면지지체가 아니라 테이프가 압착전에 테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비스듬하게 절단되어 주형에 복합테이프의 테일부분을 압착하여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지조립체 : 그 조립체의 최하부 테이프 압착위치에 지지된 제 1 압착수단 : 압착될 테이프와 그로부터 제거될 후면지지체 사이 위치에서 상기 조립체로부터 지지되어 있는 제 2 압착수단 : 테이프 및 후면지지체와의 압착접촉으로부터 압착수단들중 하나를 제거하는 반면 다른 하나의 압착수단이 테이프와 압착접촉되게 하기 위해 상기 지지조립체와 제 1 및 제 2 압착수단에 연결된 링크수단 및 상기 압착수단들 사이의 압착접촉을 절환시키기 위해 상기 압착수단들 중 하나와 상기 링크 수단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테이프 압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착수단이 낮은 마찰계수의 비접착성물질의 피복재를 가진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그 블레이드가 상기 지지조립체에 취부된 상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압착수단이, 상기 지지조립체로부터 지지되어 있고 대개 원통형이며 낮은 마찰계수의 비접착성 물질의 피복재를 가지고 있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상기장치.
  17. 후면지지체상에 지지된 복합테이프의 스트립을 압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후면지지체를 제외하고 테이프만을 완전히 절단하고 : 후면지지체와 테이프를 분리하고 : 테이프를 압착하면서 그 테이프를 주형에 부착하고 비사용테이프 부분을 가진 상기 후면지지체를 저장 기구로 이송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테이프 압착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전연부와 후연부를 가진 테일부분을 형성하도록 테이프 스트립을 비스듬히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연부와 후연부 사이의 로울러 수단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주형에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 상기 분리단계가 상기 비스듬한 절단부의 전연부쯤에서 시작하여 후면지지체로부터 테이프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처음에 후면지지체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수단에 의해 테이프의 전체폭을 압착하고 다음에 상기절단, 분리, 이송 단계를 거친 후, 테이프에 대하여 운동하지 않고 후면지지체를 제외한 테이프에만 작용하는 수단으로 압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전체폭의 테이프 및 후면지지체가 블레이드 압착전에 안내되고 후면지지체만이 블레이드 압착후, 상기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 접촉수단 주위에서 박리각도를 가지고 안내되는 상기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비절단 후면지지체상에 지지된 비사용 테이프의 압착을 방지하면서, 테일부분으로 불리는 비스듬히 절단된 테이프의 비지지스트립을 압착하기 위해 주형에 부착된 테일부분과 상기 비사용 테이프 부분을 가진 후면 지지체 사이 위치에서 테이프에만 압착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거을 더 포함하는 상기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비절단 후면지지체의 전체 폭과 그러한 후면 지지체에 지지된 비절단 테이프에, 그들 사이에서 상대운동하면서 압착력을 부여하는 제 1 압착수단을 제공하고 : 그와 테이프 또는 후면지지체 사이에서 상대운동하지 않고 압착압력을 부여하는 또다른 압착수단을 제공하며, 후면 지지체로부터 제거된 테이프를 상기 또 다른 압착 수단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주형에 부착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상기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전연부와 후연부를 가진 테일부분을 형성하도록 테이프스트립을 비스듬히 절단하고 : 후면 지지체상의 비사용 테이프와 주형에 부착될 테이프 사이에 로울러를 배치하고 : 테이프를 상기 로울러 의해 압착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의 테일 부분을 주형에 부착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상기방법.
KR1019840006485A 1983-12-05 1984-10-18 복합 테이프 배치장치 및 방법 KR860001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57,910 US4557783A (en) 1983-12-05 1983-12-05 Composite tape laying machine and method
US557910 1983-12-05
US557,910 1983-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32A KR850004932A (ko) 1985-08-19
KR860001407B1 true KR860001407B1 (ko) 1986-09-23

Family

ID=2422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485A KR860001407B1 (ko) 1983-12-05 1984-10-18 복합 테이프 배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57783A (ko)
EP (1) EP0144927B1 (ko)
JP (1) JPS60188269A (ko)
KR (1) KR860001407B1 (ko)
AT (1) ATE34697T1 (ko)
AU (1) AU559719B2 (ko)
CA (1) CA1236385A (ko)
DE (2) DE347160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23293D0 (en) * 1983-08-31 1983-10-05 Zyma Sa Substituted flavene and thioflavene derivatives
US4627886A (en) * 1985-05-30 1986-12-09 Cincinnati Milacron Inc. Composite tape laying machine with pivoting presser member
US4696707A (en) * 1987-08-18 1987-09-29 The Ingersoll Milling Machine Company Composite tape placement apparatus with natural path generation means
US4741943A (en) * 1985-12-30 1988-05-03 The Boeing Company Aerodynamic structures of composite construction
CA1268737A (en) * 1986-02-19 1990-05-08 Vadeko International, Inc. Constant velocity transfer mechanism
US4679291A (en) * 1986-02-26 1987-07-14 Shell Oil Company Robotic stapling system for fiber placement for composite parts
US4750965A (en) * 1986-03-28 1988-06-14 The Ingersoll Milling Machine Company Adaptive control for tape laying head having natural path generation
DE3674923D1 (de) * 1986-07-04 1990-11-15 Cincinnati Milacron Inc Auflegevorrichtung fuer verbundwerkstoffbaender mit drehendem presskopf.
FR2601621B1 (fr) * 1986-07-21 1988-11-04 Forest Line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forme automatique d'une nappe de fibres sur un moule ainsi que machines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3702154A1 (de) * 1987-01-26 1988-08-04 Klessmann Ima Norte Maschfab Kantenanleimmaschine
US4861406A (en) * 1987-08-17 1989-08-29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lies of composite material
US4880490A (en) * 1987-10-13 1989-11-14 Macintyre B Stuart Adhesive backed element applicator
US4799981A (en) * 1988-03-15 1989-01-24 Cincinnati Milacron Inc. Spool servo control for tape web positioning
JPH01281247A (ja) * 1988-05-07 1989-11-13 Shin Nippon Koki Kk テープの自動貼付装置におけるテープの張力制御装置
JPH0776068B2 (ja) * 1988-05-18 1995-08-16 新日本工機株式会社 テープの自動貼付装置
JPH0725145B2 (ja) * 1988-05-24 1995-03-22 新日本工機株式会社 テープの自動貼付装置におけるテープの進行方向制御方法
US4946538A (en) * 1988-12-28 1990-08-07 Andrew M. Zsolnay Precision apparatus for placing filaments
US4978417A (en) * 1989-07-17 1990-12-18 Cincinnati Milacron Inc. Composite tape laying machine having scrap removal and method
US5114519A (en) * 1989-07-17 1992-05-19 Cincinnati Milacron Inc. Method for laying cut composite tape on a mold having scrap removal
US5115993A (en) * 1989-07-17 1992-05-26 Cincinnati Milacron Inc. Tape reel support
EP0644040A1 (en) * 1993-05-27 1995-03-22 Cincinnati Milacron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laying composite material
US5352306A (en) * 1993-05-27 1994-10-04 Cincinnati Milacron Inc. Tape 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5316612A (en) * 1993-05-27 1994-05-31 Cincinnati Milacron Inc. Tape compactor
US5580413A (en) * 1993-10-01 1996-12-03 J. R.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ap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rticle manufacturing therewith
US5779830A (en) * 1995-10-24 1998-07-14 Truseal Technologies, Inc. Flexible tape applicator and method of operation
CA2188624C (en) * 1995-10-24 2004-03-02 Frederick P. Floyd Flexible tape applicator and method of operation
ES2186458B1 (es) * 1999-11-08 2003-12-16 Torres Martinez M Cabezal encintador para la aplicacion de bandas de composite.
DE10037864A1 (de) * 2000-08-01 2002-03-07 Kraemer & Grebe Kg Absetzkasten
US6773537B2 (en) * 2001-01-12 2004-08-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applying designs to a substrate
US6634401B2 (en) * 2001-09-27 2003-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 applicator and methods of applying tape to a surface
US20030109946A1 (en) * 2001-12-10 2003-06-12 Erickson Leif O. Computer-aided layout and application of tape
JP4489414B2 (ja) * 2003-11-26 2010-06-2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7326312B1 (en) 2004-09-09 2008-02-05 Magus Intellectual Property Gmbh Process for laying fiber tape
US7341086B2 (en) * 2004-10-29 2008-03-11 The Boeing Company Automated fabric layup system and method
EP1731291B1 (en) * 2005-06-08 2008-09-24 Saab Ab Automatic tape 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4953764B2 (ja) * 2005-11-29 2012-06-13 株式会社東京精密 剥離テープ貼付方法および剥離テープ貼付装置
AU2008226410A1 (en) * 2007-03-09 2008-09-18 Nexus Bio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 peelable seal
FR2914213B1 (fr) * 2007-04-02 2009-06-05 Forest Line Capdenac Soc Par A Dispositif de separation et d'evacuation des chutes decoupees dans une bande de preimpregne.
FR2915704B1 (fr) 2007-05-04 2009-07-10 Forest Line Capdenac Soc Par A Tete de drapage de composite avec dispositif escamotable de separation de preimpregne de son ruban de support.
US8029642B2 (en) 2007-07-27 2011-10-04 The Boeing Company Tape removal apparatus and process
US8345269B2 (en) * 2007-09-22 2013-01-01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width of composite tape
US7717151B2 (en) * 2007-11-29 2010-05-18 Spirit Aerosystems, Inc. Material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7591294B2 (en) * 2007-11-29 2009-09-22 Spirit Aerosystems, Inc. Material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7922856B2 (en) * 2008-01-02 2011-04-12 The Boeing Company Graphite tape supply and backing paper take-up apparatus
US8557074B2 (en) * 2008-02-27 2013-10-15 The Boeing Company Reduced complexity automatic fiber placement apparatus and method
US8986482B2 (en) * 2008-07-08 2015-03-24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ite structures
FR2934807B1 (fr) * 2008-08-06 2013-01-11 Forest Line Capdenac Tete de drapage de composite avec dispositif en secteur escamotable de separation de preimpregne de son ruban de support.
CN101362562B (zh) * 2008-09-22 2012-05-02 济南二机床集团有限公司 开卷线设备的定位方法
US20100193103A1 (en) * 2009-01-31 2010-08-05 The Boeing Company Automated fiber placement using networked autonomous vehicles
US8308101B2 (en) * 2009-03-09 2012-11-13 The Boeing Company Simplified fiber tensioning for automated fiber placement machines
US8454788B2 (en) * 2009-03-13 2013-06-04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short courses of composite tape
JP5618362B2 (ja) * 2010-10-13 2014-11-05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8808490B2 (en) 2011-08-04 2014-08-19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laminating composites
FR3051709B1 (fr) * 2016-05-24 2019-01-25 Airbus Helicopters Tete de depose d'un ruban de fibres impregnees, et dispositif de placement d'un tel ruban
US11052600B2 (en) 2018-04-21 2021-07-06 Arevo, Inc. Variable-contour compaction press
US11052601B2 (en) * 2018-04-21 2021-07-06 Arevo, Inc. Self-cleaning variable-contour compaction press
US11052604B2 (en) 2018-04-21 2021-07-06 Arevo, Inc. Variable-contour compaction roller
US20200086563A1 (en) * 2018-09-13 2020-03-19 Cc3D Llc System and hea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composite structure
US10814570B2 (en) * 2018-11-01 2020-10-27 The Boeing Company Self-threading lamination head and method
US11969957B2 (en) 2019-10-14 2024-04-30 The Boeing Compan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a composite structure
US11565485B2 (en) * 2019-10-14 2023-01-31 The Boeing Compan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ly compaction in forming a composite structure
US11865825B2 (en) 2019-10-14 2024-01-09 The Boeing Compan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ly compaction in forming a composite structure
JP7359654B2 (ja) 2019-11-07 2023-10-1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自動積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4040A (en) * 1967-06-29 1971-04-06 Gen Dynamics Corp Apparatus for making laminated structural shapes by the controlled detrusive placement and polymerization of tectonic filamentous tapes
US3775219A (en) * 1971-04-05 1973-11-27 Goldsworthy Eng Inc Composite-tape placement head
US3810805A (en) * 1972-04-14 1974-05-14 Goldsworthy Eng Inc Geodesic path length compensator for composite-tape placement head
US4133711A (en) * 1977-07-11 1979-01-09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Automated integrated composite lamination system
US4328061A (en) * 1977-10-25 1982-05-04 Haggar Company Apparatus for depositing adhesive strips
US4351688A (en) * 1979-12-10 1982-09-28 General Dynamics Corporation Composite tape laying machine
US4292108A (en) * 1979-12-10 1981-09-29 General Dynamics Corporation Composite tape lay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plural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uts
US4285752A (en) * 1980-03-13 1981-08-25 Camsco, Inc. Automatic tape lay-up system
JPS6346440Y2 (ko) * 1980-12-12 1988-12-02
GB2101519B (en) * 1981-06-22 1986-03-19 Vought Corp Apparatus for tape laying and manufacture of composite structures
FR2529871B1 (fr) * 1982-07-09 1986-03-07 Dassault Avions Machine pour revetir une surface quelconque avec un materiau composite de fibres et de res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932A (ko) 1985-08-19
EP0144927A2 (en) 1985-06-19
EP0144927B1 (en) 1988-06-01
DE3471603D1 (en) 1988-07-07
JPH048351B2 (ko) 1992-02-14
ATE34697T1 (de) 1988-06-15
JPS60188269A (ja) 1985-09-25
US4557783A (en) 1985-12-10
DE144927T1 (de) 1986-04-10
AU3251184A (en) 1985-06-13
EP0144927A3 (en) 1985-07-17
CA1236385A (en) 1988-05-10
AU559719B2 (en) 198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07B1 (ko) 복합 테이프 배치장치 및 방법
US3815461A (en) Apparatus for chopping strand
JPH0550571A (ja) ロービング材積層装置
JP2714959B2 (ja) 粘着性リボン状材料の自動巻付け方法及び装置
CN108544539A (zh) 一种半自动印刷纸卷裁切机构
CN213704703U (zh) 一种糊盒机加装贴不干胶机构
CN112474936B (zh) 一种折弯机旋转刀片整体调节机构
US3607576A (en) Wire overhead machine
CN105538456A (zh) 板压尺有卡无卡一体旋切机
CN205614801U (zh) 板压尺有卡无卡一体旋切机
CN108946156B (zh) 一种可以自动换向的取料装置及自动包胶设备
CN109830734B (zh) 一种多条胶带贴胶机
CN205325907U (zh) 板压尺无卡旋切机
US49914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rubber material
US11396147B2 (en) Prepreg automatic layering device
CN219156084U (zh) 可降解复合膜高温固化用分切装置
JPS58191138A (ja) 帯状材料の切断方法
CN218024630U (zh) 进料自动调节装置
CN218664622U (zh) 一种双面胶生产用上料装置
JP2528266B2 (ja) 軟質帯状材の定寸供給方法及び定寸供給装置
CN211967693U (zh) 一种平压模切机
CN212893122U (zh) 一种半自动贴胶机
CN216459725U (zh) 一种基于刮胶装置的涂布机
CN208326872U (zh) 一种平面绝缘屏蔽贴胶机双电机驱动的贴胶机构
CN220966566U (zh) 一种鞋子裁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