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10B1 - 자동소총 - Google Patents

자동소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10B1
KR860001010B1 KR8202046A KR820002046A KR860001010B1 KR 860001010 B1 KR860001010 B1 KR 860001010B1 KR 8202046 A KR8202046 A KR 8202046A KR 820002046 A KR820002046 A KR 820002046A KR 860001010 B1 KR860001010 B1 KR 86000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hamber
trigger
holding memb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10369A (ko
Inventor
탶파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프란코 마나쎄로
시테스-소시에타 이탈리아니 테크놀로지 스페샬리에세. 에레. 엘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코 마나쎄로, 시테스-소시에타 이탈리아니 테크놀로지 스페샬리에세. 에레. 엘레 filed Critical 프란코 마나쎄로
Publication of KR83001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1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5/00Mechanisms or systems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lock
    • F41A5/02Mechanisms or systems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lock recoil-operated
    • F41A5/10Mechanisms or systems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lock recoil-operated having a movable inertia weight, e.g. for storing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25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only slidably-mounted striker elements, i.e. percussion or firing pins
    • F41A19/27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only slidably-mounted striker elements, i.e. percussion or firing pins the percussion or firing pin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breech-block
    • F41A19/29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only slidably-mounted striker elements, i.e. percussion or firing pins the percussion or firing pin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breech-block propelled by a spring under tension
    • F41A19/30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only slidably-mounted striker elements, i.e. percussion or firing pins the percussion or firing pin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breech-block propelled by a spring under tension in bolt-action guns
    • F41A19/31Sear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Toy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소총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소총의 부분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 선부분단면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에서 보인 자동소총의 세가지 작동 단계를 보인 부분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6 : 방아쇠
15 : 관부 23 : 총신
25 : 챔버 28 : 노리쇠
30 : 공이쇄 31 : 공이
32,36,62 : 스프링 50 : 방아
52 : 괘지붕(잠금장치) 55 : 통공
70 : 로커레바(보지부재) 72,73 : 돌치
75,76 : 통공 82 : 핀
본 발명은 총신을 지지하는 하나의 후 레임을 포함하는 형태의 자동소총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챔바가 케이싱내에서 총신의 약실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속에 격발핀을 장착한 노리쇠가 활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노리쇠는 탄환발사시 생성된 가스압력의 영향으로 노리쇠가 약실을 닫고 있는 전방위치 혹은 폐쇄위치로 부터 이 폐쇄위치로 노리쇠를 밀고 있는 탄성수단의 작용에 대항하며 후방위치 혹은 열린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하나의 방아뭉치가 챔바에 창착되어 제1후방위치 혹은 장전 위치와 방아가 공어핀을 칠수있는 전방위치 혹은 격발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고 제2탄성수단이 방아뭉치를 후방위치로부터 전방 격발위치로 밀고 있고, 방아쇠 혹은 격발구조가 격발레바 혹은 방아쇠에 의해 작동되어 방아뭉치가 장전위치로부터 격발 위치로 움직이도록 가동시킬 수 있음을 포함하는 자동소총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형태의 자동화기들은 극히 빠른 속도로 탄환을 발사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고속 사격시의 화기제어는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고속발사시는 총기가 위로 젖혀지는 경향때문에 탄착점을 한점에 집중시키기가 매우 곤란하다. 결과적으로 부정확한 사격이 되고 겨냥되지 않은 채 발사된 탄환수는 믿을 수 없기 때문에 탄환 낭비가 많다.
소총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커다란 관성을 갖도록 함으로서 사격시 소총이 위로 젖혀지는 정도를 줄여 이러한 결점을 피할 수 있도록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무거운 소총은 이를 다루기가 힘이들며 제조시 비용이 많이 들므로 소총의 무게를 무겁게 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것이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소총이 갖는 결점을 가지지 아니하고, 경량이며 취급이 용이하고 매우 정확하고 안정되게 탄환을 발사할 수 있는 자동소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 형태이고 하기의 사항에 주특징이 있는 자동소총을 제공한다. 프레임으로 지지되고 챔바내로 연장된 가동보지부재를 포함하며, 이 보지부재는 노리쇠와 방아를 이들의 각 전진위치로부터 이들의 각 후진위치로 노리쇠와 방아 연대이동을 허용하는 휴지위치와 노리쇠가 그 후방위치에서 전방폐쇄위치로 이동될 때에 방아를 그 후방위치에 그대로 남아 있게 하는 작동위치를 회동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보지부재는 노리쇠가 진방폐쇄위치로부터 후방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휴지 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작동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의 이동은 노리쇠의 폐쇄운동 마지막 부분에서만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제어부재는 격발레바 또는 방아쇠에 의하여 제어되고, 보지부재와 연동되어, 방아쇠가 풀려있을 때에 그 작동 위치에 보지부재를 잡고 있는 휴지 위치와, 방아쇠를 당겼을 때에 보지부재가 작동위치로부터 휴지위치로 이동한 후 다시 귀환될 수 있는 작동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총에서는 노리쇠가 폐쇄위치에 도달하는 순간과 방아뭉치가 격발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사이에는 지연시간이 개재 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총은 종래의 자동소총에서 이루어졌던 2단계 싸이클 대신에 3단계 싸이클(노리쇠와 방아뭉치의 연대후진, 노리쇠만의 전진 및 방아뭉치의 전진)로 이루어진다. 이는 탄환의 격발속도 가느리게 하며, 보다 안정성이 있고 정확하고 탄환의 소모가적게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총은 프레임 또는 지지체(1)로 구성되며, 이프레임은 손잡이(3)가 스크류(4)로 고정된 외형몸체(2)로 구성된다. 이 몸체(2)는 트레이(tray)의 형태로 성형되었으며, 그 벽에는 손잡이(3)에 인접하여 격발레바 혹은 방아쇠(6)가 가동적으로 착설되는 종방향 슬로트(5)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방아쇠(6)가 당겨지지 않은 위치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 방아쇠는 당겼을 때에 슬로트(5)에 인접한 동체(2)의 저벽의 일부에 계합가능하도록 그 중간부에 요입부(7)를 갖는다.
또한 몸체(2)의 벽에는 클립이나 탄창(10)을 위한 안내구로서 작용하는 관상체(9)의 일측단에 연결된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창(10)은 공지의 스프링 형이다. 관상체(9)에는 탄창(10)을 관상체(19)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공지의 위치선정장치(11)가 구비되어 있다.
관부(管部)(15)는 이 관부(15)의 외면에 고정된 각 고정편(18)(19)의 고정공과 몸체(2)의 측벽에 천설된 해당 고정공을 통하여 연장된 한쌍의 핀(16)(17)에 의하여 몸체(2)에 고정되어 있다. 이 관부(15)의 일측단은 단부핀(20)으로 폐쇄되어 있다.
두 개의 조심슬리이브(centering sleeve)(21)(22)가 관부(15)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총신(23)의 약실과 총구에 위치한다.
관부 또는 케이싱(15) 내에 단부편(20)과 총신(23)의 약실사이에는 챔바(25)가 형성되어 있다.
봉체(26)가 챔바(25)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봉체(26)는 단부핀(20)에 고정된 고정단부(26a), 중간부(26b) 및 총신(23)을 향하는 단부(26c)를 가지며 단부(26c)는 중간부(26b)와의 사이에 환상력(27)이 형성되도록 직경이 감축 되어 있다.
노리쇠(28)는 챔바(25)내에 이동 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 노리쇠(28)는 공이(30)와 공이핀(31)으로 구성된 공지의 방아 장치가 운동가능하게 장설되는 내부축상통공(29)을 갖는다. 총신(23)을 향한부분에서, 축상통공(29)의 직경은 감축되고 공이핀(31)의 축이 스프링(32)으로 탄지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노리쇠(28)는 봉체(26)를 향하며 개방된 축공(35)을 갖는다. 이 축공(35)은 이 봉체와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봉체의 중간부(26b)보다 직경이 크다. 나선스프링(36)이 봉체(26)의 단부(26c)를 노리쇠의 축공(35)내에서 에워싸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일측단에서 봉체(26)의 환상턱(27)을 압압하고 타측단에서는 노리쇠의 축공(35)의 단부벽을 압압한다.
노리쇠 손잡이(40)가 노리쇠(28)의 상측부에 고정되어 관부(15)의 상부벽에 형성된 축방향 슬로트(41)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방아(50)는 관부(15)의 챔바(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방아(50)의 저면에는 요구(51)가 형성되어 있다. 괘지핀(52)이 방아의 요구(51)에서 핀(53)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이 핀(53)은 상기 방아에 장착되어 있고 관부(15)의 종방향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설되어 있다.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방아(50)에는 핀(53)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통공(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은 요구(51)내의 괘지핀(52) 반대측 위치의 한 벽에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55)에는 봉(56)과, 괘지봉(52)에 이봉을 달고 있는 스프링(57)이 삽입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노리쇠(28)를 향한 괘지봉(52)의 단부는 경사면(58)을 갖는다.
방아(50)는 그 상부에 관부(15)의 종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봉체(26)와 동축상인 안내공(61)을 갖는 동출부(60)를 갖는다. 안내공(61)의 직경은 봉체(26)의 중간부(26b)의 직경보다 크다.
나선스프링(62)이 봉체(26)의 스프링(36)상에 배설되어 있고 이 스프링(62)의 일측단부는 방아(50)의 동출부(60)에 접하여 있다. 스프링(36)과 스프링(62)은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이 좋다.
로커레바(rocker lever)(70)가 관부(15)의 하측에서 몸체(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관부(15)의 종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핀(7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레바(70)의 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향하고 동체(2)를 향한 관부(15)의 벽에 천설된 각 통공(75)(76)을 통하여 연장된 돌기나 돌치(72)(73)가 돌설되어 있다. 이들 돌치(72)(73)의 상단부는 동근형태이다.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바(70)는 돌치(72)가 관부(15)의 통공(75)을 통하여 연장되고 이 관부의 챔부(25)내로 돌출되는 작동위치 또는 보지위치로 명명된 제1위치에 놓일 수 있다. 또는 이 레바(70)는 돌치(73)가 관부(15)의 통공(76)을 통하여 연장되어 챔바(25)내로 돌출되는 유지위치로 명명된 제2위치에 놓일수도 있다. 관부(15)를 향한 레바(70)의 상측면에는 핀(71)과 돌치(73)사이의 부분에 요입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입부는 돌치(73)에 인접한 레바(70)의 상측면 부분에서 요입부의 저면으로 연결되는 경사면(81)을 갖는다.
핀(82)은 방아쇠(6)의 상측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레바(70)의 회동핀(71)과 평행방향으로 장설되어 있다. 방아쇠가 당겨지지 않은 위치(제1도)에 있을 때에의 핀(82)은 요입부(80)와 돌치(73)사이인 레바(70)의 상측면 부분에 계합되어 있으며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로커레바가 상기 언급된 작동위치에 고정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총의 작동은 제1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소총이 처음 제1도에서 보인 휴지상태에 있다고 가정할 때에, 노리쇠(28)는 이 전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있으며, 방아는 노리쇠와 접촉된채 전방위치 또는 격발위치에 있고, 복귀스프링(36)(62)는 이완되어 있는 상태이다.
노리쇠손잡이(40)를 손으로 조작하여 노리쇠(28)와 방아(50)를 그들의 전방위치로부터 제3도에서 보인 후방위치 또는 탄환장진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노리쇠(28)는 스프링(36)을 압축 하는 방면에 방아(50)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격발을 위한 에너지를 얻기위하여 스프링(62)을 압축한다. 이동 중에 노리쇠는 방아쇠(6)에 재가된 핀(82)에 의하여 제1도에서 보인 위치가 고수된 로카레바 (70)의 전방돌치(73)상을 스쳐지나고 이동중에 방아(50)의 괘지봉(52)은 챔바(25)내로 돌출된 로카레바(70)의 후방돌치(72)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이 괘지봉(52)은 타격체(50)의 후진이 좀더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핀(53)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동중에 괘지봉(52)은 봉(56)을 통하여 스프링(55)을 압축한다. 괘지봉(52)의 선단이 후방의 돌치(72)상을 통과한 직후 이 괘지봉은 스프링(55)의 작용으로 봉(56)을 통해 전달된 힘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 위치에서 괘지봉(52)은 로카레바(70)의 후방돌치(72)를 괘지하게 되는 것이다.
노리쇠 손잡이(40)를 놓았을때에 노리쇠(28)는 복귀스프링(36)의 탄력으로 그 폐쇄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복귀운동중에 노리쇠(28)는 heel 형태의 장치에 의하여 클립이나 탄창(10)으로부터 하나의 탄약을 벗기어 총신(23)속으로 삽입되게 한다(제4도). 방아(50)는 그 복귀스프링(62)에 의하여 압압되고 전진하려하지만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후 로카레바(70)의 후방돌치(72)가 괘지봉(52)에 의해 괘지되어 있기 때문에 후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총은 격발의 준비가 완료된다.
격발을 위하여는 방아쇠(6)를 충분히 당겨야한다. 방아쇠가 당기어질 때는 핀(82)이 로카레바(70)의 요입부(80)속에 이를 때까지 소총의 후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괘지봉(52)의 선단부는 타격체(50)의 복귀스프링(62)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작용으로 돌치(72)를 하향으로 밀어내리며 따라서 로카레바(7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은 후방돌치(72)에 대하여 괘지된 괘지봉(52)의 경사면(58)의 추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방아(50)는 더 이상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복귀스프링(62)의 작용으로 해제되어 노리쇠(28)쪽으로 움직여 격발장치의 공이쇠(30)의 후단을 치게 된다. 이공이쇠는 공이핀(31)을 타격하에 총신의 약실에 삽입되어 있는 탄환의 뇌관을 타격한다(제5도).
탄환이 발사된 후 장약에 의하여 생성된 가스의 압력이 노리쇠(28)의 선단부면에 일시적으로 접촉하여 방아(50)와 노리쇠를 그들의 각 탄환장진 위치를 향하여 후진될 수 있도록 탄피의 기부에 작용한다. 이와 같은 후진 중에 탄피는 노리쇠(28)에 의해 공지 형태의 탄피방출돌기(도시하지 않았음)를 향하여 운반된다. 탄피는 이 탄피방출돌기에 부딪쳐 탄피방출공(도시하지 않았음)을 향하여 튀어 나간다.
노리쇠와 방아가 탄환장진위치(제3도)로 복귀한다.
방아쇠(6)가 당겨져 있는 동안에는, 이에 장설된 핀(82)이 로카레바(70)의 요입부(80)에 들어가 있게 된다. 후진단계에서 경사진 노리쇠(28)의 후측하향 모서리는 로카레바의 전방돌치(73)를 아래쪽으로 밀어 후방돌치(72)가 상승되게 하므로서 방아(50)가 그 후진 및 탄환장진위치에서 보지되게 한다. 복귀 스프링(36)(62)은 이러한 후진운동중에 동시에 압축된다. 후진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노리쇠(28)는 다시 복귀스프링(36)의 작용으로 폐쇄위치로 복귀한다. 노리쇠가 이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노리쇠(28)가 로카레바(70)의 돌치(73)가 돌출하는 구멍을 벗어나게 되어, 괘지봉(52)의 경사면(58)이 후방 보지돌치(72)에 작용함에 의해 로카레바(7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다시 회동한다. 따라서 방아는 전진하여 타격장치의 추력부재(30)의 후단부를 타격토록 해제되어 연속격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방아쇠(6)가 격발위치에 놓여 있는 한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연속하여 반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소총은 격발의 속도가 낮은 잇점이 있다. 이는 노리쇠가 각 싸이클의 폐쇄위치에 이를때의 운동과 한번 해제되었던 방아가 격발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연속운동사이에 지연시간이 개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저속사격의 특징은 소총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기대이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소총의 격발시 위로 젖혀지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잇점은 격발이 노리쇠의 완벽한 폐쇄상태에서 일어남에 따라 격발력이 현저히 증가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소총은 경량이며 취급이 용이하며 연속 격발시 현저하게 정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더우기 저속격발은 탄환의 소비를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Claims (3)

  1. 총신(23)이 고정된 케이싱(15)을 지지하는 후레임(1)과, 케이싱(15)내의 총신(23)의 약실 인접부에 형성되어 있고, 공이핀(30)(31)이 장착된 노리쇠(18)를 가동할 수 있게 장착하고 있는 하나의 챔바(25)를 포함하고, 상기 노리쇠(28)는 격발시 발생된 가스압력에 의해 노리쇠가 약실을 폐쇄하는 전방위치 혹은 페쇄위치로부터 노리쇠(28)는 상기 폐쇄위치로 밀고 있는 제1탄성 장치(36)의 작용을 받으면서 후방위치 혹은 개방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방아뭉치(50)는 챔바(25)내에 장착되어 후방위치 혹은 장전위치와 방아가 공이핀(31)을 치는 전방위치 혹은 격발위치 사이에서 가동될 수 있으며 제2탄성장치(62)가 방아뭉치를 전방 혹은 격발위치로 밀고 있고, 방아쇠 혹은 격발구조는 방아쇠(6)에 의해 작동되어 방아뭉치(50)를 장전위치로 부터 격발위치로 이동되게 함을 포함하는 자동소총에 있어서, 가동보지부재(로카레바)(70)가 후레임(1)에 의해 지지되고 챔바(25)속으로 연장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보지부재(로카레바)(70)는 노리쇠(28)와 방아뭉치(50)를 이들의 각 전방위치로부터 이들의 각 후방위치로 연대이동할 수 있게 하는 보지부재의 휴지위치와 노리쇠(28)가 그의 후방위치에서 그의 전방 폐쇄 위치로 움직일 때 방아뭉치(50)를 그의 후방위치에 그대로 남아 있게 보지시키는 보지부재의 작동위치 혹은 보지위치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보지부재(로카레바)(70)는 노리쇠가 전방위치에서 후방위치로 움직임에 의해 그의 휴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움직이고, 상기 보지부재(로카레바)(70)이 보지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의 움직임은 노리쇠 폐쇄운동중의 최종부분에서만 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포함하고, 제어부재(82)가 격발레바 죽은 방아쇠(6)에 의해 제어 되도록 보지부재(로카레바)(70)와 조합되어, 방아쇠(6)가 풀렸을 때는 보지부재(로카레바)(70)를 그의 작동 위치에 고정시켜 두는 휴지위치에 있게 하고, 방아쇠(6)가 당겨졌을 때는 보지부재(70)를 그의 작동위치에서 휴지위치로 또 그의 반대로 움직일 수 있게 허용하는 작동위치에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총.
  2. 제1항에 있어서, 챔바(25)의 한 벽에서 노리쇠(28)의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의 위치에 제1통공(76)이 천설되어 있고, 방아뭉치(50)의 전방위치와 후방위치 사이의 위치에 제2통공(75)이 천설되어 있으며, 전술한 보지부재가 방아뭉치(50)와 노리쇠(28)의 운동방향에 수직인 한축에 축설되어 회동할 수 있고 양측 단부에 제2돌치(73)(72)를 가진 로카레바(70)를 포함하고, 상기 레바(70)는 상기 제1돌치가 상기통공(76)을 통해 챔바(25)내로 돌출하는 휴지-각 위치와 상기 제2돌치(75)가 상기통공(75)을 통하여 챔바(25)내로 돌출하는 작동 혹은 보지-각 위치 사이로 회동될 수 있고, 레바(70)가 그의 보지위치에 있고 방아뭉치(50)는 그의 후방위치 혹은 후방위치와 제2통공(75) 사이의 중간위치에 있을 때 레바(70)의 제2돌치(73)와 정합될 수 있는 잠금장치(52)가 방아뭉치(50)에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총.
  3. 제2항에 있어서, 잠금장치(52)나 방아뭉치(50)에 축설되어 레바(70)의 제2돌치(72)와 맞물리지 않는 비-작동위치와 레바(70)의 제2돌치(72)를 괘지봉(52)이 괘지함에 의해 정합하는 자동위치 혹은 정합된 위치 사이로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탄성장치(55)는 괘지봉(52)을 괘지봉의 작동위치로 밀어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총.
KR8202046A 1981-05-12 1982-05-11 자동소총 KR860001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67641/81A IT1144361B (it) 1981-05-12 1981-05-12 Arma da fuoco automatica
IT67641-A/81 1981-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10369A KR830010369A (ko) 1983-12-30
KR860001010B1 true KR860001010B1 (ko) 1986-07-26

Family

ID=1130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046A KR860001010B1 (ko) 1981-05-12 1982-05-11 자동소총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4469006A (ko)
EP (1) EP0070258B1 (ko)
JP (1) JPS5828995A (ko)
KR (1) KR860001010B1 (ko)
AR (1) AR230760A1 (ko)
AT (1) ATE25427T1 (ko)
AU (1) AU548296B2 (ko)
BR (1) BR8202705A (ko)
CA (1) CA1187319A (ko)
DE (1) DE3275401D1 (ko)
DK (1) DK152626C (ko)
ES (1) ES264854Y (ko)
FI (1) FI76212C (ko)
GR (1) GR75503B (ko)
IL (1) IL65586A0 (ko)
IT (1) IT1144361B (ko)
MT (1) MTP908B (ko)
NO (1) NO155745C (ko)
PH (1) PH19333A (ko)
PT (1) PT74869B (ko)
TR (1) TR22234A (ko)
YU (1) YU98582A (ko)
ZA (1) ZA8228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391A (en) * 1987-06-02 1989-10-10 Ares, Inc. Gun for firing telescoped ammunition, plus searing means
US5485776A (en) * 1989-12-16 1996-01-23 Bushman Limited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firing rate of an automatic weapon
US6019024A (en) * 1998-01-26 2000-02-01 Zdf Import Export, Inc. Compact operating system for automatic rifles
US7596900B2 (en) * 2003-08-04 2009-10-06 Rmdi, L.L.C. Multi-caliber ambidextrously controllable firearm
US7971379B2 (en) 2004-02-13 2011-07-05 Rmdi, Llc Firearm
US7743543B2 (en) 2005-10-06 2010-06-29 Theodore Karagias Trigger mechanism and a firearm containing the same
JP4696865B2 (ja) 2005-11-16 2011-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RU2525339C1 (ru) * 2013-05-07 2014-08-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Калашников" Ударно-спусковой механизм
US9377255B2 (en) * 2014-02-03 2016-06-28 Theodore Karagias Multi-caliber firearms, bolt mechanisms, bolt lug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RU2557578C1 (ru) * 2014-05-07 2015-07-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оч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трелковое оружие
US11067347B2 (en) 2018-11-30 2021-07-20 Theodore Karagias Firearm bolt assembly with a pivoting handle
CZ308804B6 (cs) * 2020-04-03 2021-05-26 Česká Zbrojovka A.S. Sestava kladívka automatiky palné zbran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653A (en) * 1916-04-12 1916-07-11 Charles F Hughes Automatic firearm.
US1425627A (en) * 1920-02-24 1922-08-15 Bardelli Arturo Automatic firearm
GB229592A (en) * 1924-04-14 1925-02-26 Suisse Soc Ind Improvements in automatic firearms
US2224758A (en) * 1939-03-10 1940-12-10 Savage Arms Corp Release mechanism for semiautomatic firearms
US2357047A (en) * 1940-07-30 1944-08-29 Savage Arms Corp Automatic firearm
GB613504A (en) * 1943-01-27 1948-11-30 Eugene Gustavus Reising Improvements in automatic firearms
US2585620A (en) * 1945-04-14 1952-02-12 Mossberg & Sons O F Firing mechanism for semi-automatic firearms and safety therefor
US3236154A (en) * 1963-06-28 1966-02-22 Howa Machinery Ltd Mechanism for reducing the rate of fire in automatic firing a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74869A (en) 1982-06-01
KR830010369A (ko) 1983-12-30
DK210482A (da) 1982-11-13
AU8352382A (en) 1982-11-18
DK152626C (da) 1988-08-22
YU98582A (en) 1985-03-20
IT8167641A0 (it) 1981-05-12
ATE25427T1 (de) 1987-02-15
EP0070258B1 (en) 1987-02-04
IL65586A0 (en) 1982-07-30
IT1144361B (it) 1986-10-29
NO821554L (no) 1982-11-15
TR22234A (tr) 1986-10-10
ES264854Y (es) 1983-05-16
DE3275401D1 (en) 1987-03-12
DK152626B (da) 1988-03-28
NO155745C (no) 1987-05-20
MTP908B (en) 1983-04-07
FI76212B (fi) 1988-05-31
FI821631A0 (fi) 1982-05-10
EP0070258A2 (en) 1983-01-19
PH19333A (en) 1986-03-21
ES264854U (es) 1982-11-16
FI76212C (fi) 1988-09-09
JPS5828995A (ja) 1983-02-21
GR75503B (ko) 1984-07-24
BR8202705A (pt) 1983-04-19
EP0070258A3 (en) 1983-04-13
FI821631L (fi) 1982-11-13
NO155745B (no) 1987-02-09
ZA822833B (en) 1983-02-23
PT74869B (en) 1983-12-02
US4469006A (en) 1984-09-04
CA1187319A (en) 1985-05-21
AU548296B2 (en) 1985-12-05
AR230760A1 (es) 1984-06-29
JPH0348439B2 (ko) 199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957B2 (en) Breech device for a hand firearm
US3724325A (en) Rate reducer
US4579037A (en) Machine pistol with retarded blowback
KR860001010B1 (ko) 자동소총
US4938116A (en) Recoil system for weapons with a reciprocating breech block
US4719841A (en) Trigger release mechanisms for full and semi automatic open bolt weapons
US4020740A (en) Firearms for selectively continuous and non-continuous operation
US4126079A (en) Bolt actuating mechanism useable with floating firing pin
US4467698A (en) Angular shape firing pin for use with a collapsible toggle recoil in a hand held weapon
WO2007137524A2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3783739A (en) Gun toggle mechanism with biasing means positioned in predetermined area on toggle to absorb shell explosive reactive forces
US4448109A (en) Automatic or semi-automatic firearm
US4646619A (en) Singulating apparatus for a semiautomatic firearm
US4128957A (en) Revolver-type hand gun
JPH0650696A (ja) 火器の可動部のはね返りを減速する装置
US3713241A (en) Striker assembly for firearms
US4109559A (en) Pistol structure
US4183282A (en) Toggle actuating, shell loading and ejecting apparatus for hand held guns
US20040159033A1 (en) Semiautomatic handgun
US3866516A (en) Semi-automatic piston employing a pivotally, slideable member
IT1202208B (it) Meccanismo di percussione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integrale
US3183615A (en) Slide barrel lever action rifle and the like
US3447525A (en) Trigger mechanism for automatic weapons
US3861274A (en) Adjustable hesitation blow back operated gun lever mechanism
US3732779A (en) Under-center gun toggle mechanism with toggle biasing means at given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