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35B1 -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 Google Patents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35B1
KR860000935B1 KR8205407A KR820005407A KR860000935B1 KR 860000935 B1 KR860000935 B1 KR 860000935B1 KR 8205407 A KR8205407 A KR 8205407A KR 820005407 A KR820005407 A KR 820005407A KR 860000935 B1 KR860000935 B1 KR 86000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s
filler
aperture
aper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139A (ko
Inventor
애이지 가미하라
Original Assignee
사바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바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4000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01J9/14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of shadow-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Utilizing transitory attached element or associated separate material
    • Y10T29/49812Temporary protective coating, impregnation, or cas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컬러 수상관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작법을 설명하는 플랫마스크와 정판(定板)을 도시하는 개략 조립도.
제3도는 제2도의 Ⅹ-Ⅹ선 단면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개략도.
제4도는 프레스 성형후의 마스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개략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작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8 : 마스크 14,15 : 애퍼처(aperture)
16 : 마스크 프레임 31,40 : 마스크
41 : 충전재 35 : 절연체 필름
38 : 스페이서
본 발명은 스크린면에 근접 대향해서 복수장의 마스크를 각각 소정 간격으로 대향시키고 또 상기 복수장의 마스크의 각 애퍼처(aperture)를 전자 비임이 통과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가지는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매의 마스크 구조를 가지는 컬러 수상관으로서는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이 잘 알려져 있다.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향시킨 복수매의 마스크에 각각 소정의 전위차를 부여하고, 마스크의 각 애퍼처를 형성시키므로써 전자 비임의 이용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이러한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2,971,117호, 미합중국 특허 제3,398,309호, 특공소 38-22030호 공보, 실공소 47-20451호 공보 등에 표시된다.
또 상기 구조를 가지는 컬러 수상관의 다른 예로서는 특공소 55-2698호 공고, 특개소 50-57575호 공보, 실개소 48-93769호 공고 등에 표시되는 2장 마스크 구성의 컬러 수상관이 있다.
이것은 통상의 1장 마스크 구성의 컬러 수상관에서는 마스크에의 전자비임 충격에 의하여 마스크가 열변형을 일으켜서 전자비임이 스크리인상의 소정의 형광체를 충격하지 않기 때문에 이른바 미스랜딩을 발생하여 색순도가 열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장 마스크 구성으로 하여 형광체의 충격에 불필요한 전자비임을 1장째의 마스크로 차단하여 색순도 기능에 중요한 2장째의 마스크의 온도 상승을 극력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이나 상기 미스랜딩 방지를 위한 2장의 마스크를 가지는 컬러 수상관에서는 복수매의 마스크의 각 애퍼처를 마스크 전면에 있어서 각각 대응시켜서 배치한 구조로 해야 하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의 제작은 극히 곤란하다. 예를 들면 특공소 47-8261호 공보, 특공소 47-28188호 공보 등에 상기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의 제작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은 마스크 전면에 애퍼처부를 제외하고 절연체, 예를들면 유리절연체를 배치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성형성이 결여되는 일이나, 상기 절연체 본체에 비임 충격에 의한 대전현상이 일어나서 애퍼처부를 통과하는 비임에 악영향을 주는 등 실용성이 결여된다.
이것에 대하여 평탄한 복수매의 플랫마스크를 중첩하여 동시에 프레스 성형하므로써 복수매의 마스크의 각 애퍼처를 각각 1대 1로 정확히 대응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마스크 성형법이 특원소 56-024258호에 본 발명과 동일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마스크 성형법에 있어서는 프레스 성형후 복수매의 마스크를 소정 간격만 수직상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나, 이 때 대응하고 있는 애퍼처가 변위되는 염려가 있고, 소당의 비임 투과율을 얻지 못하게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애퍼처를 가지는 복수장의 마스크를 각 애퍼처가 정확히 대응하도록 곡면 성형하고, 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고정하는 마스크 제작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애퍼처를 가지는 복수매의 마스크의 간격의 적어도 일부에 충전재를 삽입고정하고, 동시에 프레스 성형해서 복수매의 마스크의 각 대응하는 애퍼처를 정확히 대응시키면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하고 충전재를 제거하고 각 애퍼처를 정확히 대응해서 고정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작한 마스크를 적용한 컬러 수상관의 한 예이고,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하는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은 주로 스크리인면(1)을 가지는 페이스 플레이트(2)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2)의 측벽부에 퍼널(funnel)(3)을 개재하여 연결된 넥(4)과 상기 넥(4)에 내장된 전자총(5)과 상기 퍼널(3)에서 넥(4)에 걸쳐서의 외벽에 장착된 편향장치(6)와 상기 스크린(1)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설된 다수의 애퍼처(14)를 가지는 마스크(7)와 상기 마스크(7)에서 상기 전자총(5)측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설된 다수의 애퍼처(15)를 가지고 마스크(8)와 상기 퍼널부(3)의 내벽에 상기 넥부(4)의 일부까지 동일하게 도포된 도전막(9)으로 구성된다. 스크리인면(1)에는 3색의 형광체(13)가 규칙정연하게 배열된다. 페이스 플레이트(2)의 측면 내부에는 프레임(16)을 유지하는 핀(17)이 설치되고, 프레임(16)에 용접되는 탄성체(18)가 핀(17)에 감합하므로써 프레임(16)이 유지된다. 프레임(16)에는 마스크(8)가 용접 고정되고, 마스크(8)에는 접착제로 다른 마스크(7)이 고정되어 있다.
퍼널부(3)에는 2개의 단추(19),(20)이 장치되고, 1개의 단추(19)는 도전막(9)과 접촉하고, 또 1개의 단추(20)는 도전막(9)과 절연되고 외부로부터 다른 전위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전자총측의 마스크(8)는 프레임(16)을 개재하여 코넥터(21)에 의하여 퍼널부에 도포된 도전막과 접촉하는 동시에 프레임(16) 및 핀(17)을 개재하여 스크리인면(1)과도 접촉되고 있고, 외부로부터 애노우드 고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스크리인측의 마스크(7)는 코넥터(22)에 의하여 도전막과 절연되는 단추(20)와 직접 접촉되고, 외부로부터 애노우드 고전압보다 약간 낮은 전압이 인가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전자총(5)에서 발생한 3개의 전자비임(10),(11),(12)은 편향장치(6)에 의해 편향되고, 1장째의 마스크(8)의 애퍼처(15)를 지나 렌즈 효과를 받으면서 2장째의 마스크(7)의 애퍼처(14)를 지나서 스크리인면(1)에 도달하여 대응하는 형광체를 충격 발광시킨다. 따라서 2장의 마스크(7),(8)의 각 애퍼처(14),(15)는 각각 1대 1로 대응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마스크의 제작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한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공(30)을 가지는 평탄한 1장의 플랫마스크(31)를 기준핀(32)을 가지는 정판(33)의 위에 기준핀과 기준공을 일치시켜서 얽고, 이어서 전자비임이 통과하게 되어 있는 애퍼처(15)가 없는 비유효부(34)에 미리 스페이서로서 절연체 필름(35)을, 또 주로 애퍼처(15)가 있는 유효부내(36)에 내부에 히이터(37)를 가지는 가늘고 길다란 스페이서(38)를 배치한다. 이 때 가늘고 길다란 스페이서(38)는 비유효부(34)에도 이르고 있으므로 그 부근에는 절연체 필름(35)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가늘고 길다란 스페이서(38)와 절연체 필름(35)은 같은 두께에 설정된다.
상기 절연체 필름(35)로서 성형성이 우수하고, 고온에 견딜 수 있고, 또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당하고, 또 상기 가늘고 길다란 스페이서(38)로서는 중공의 셀라믹스봉 등이 적당하다.
이들 스페이서 위에 기준공(39)이 있는 또 한 장의 플랫마스크(40)를 정판의 기준핀(32)에 맞추어서 올려놓은 후, 마스크 간격 속에 충전재로서 파라핀(41)을 열용해해서 주임 냉각 고정화해서 2장의 플랫마스크를 스페이서와 같이 고정한다. 이어서 유효부내(36)에 있는 가늘고 길다랗은 스페이서(38)를 내부 히이터(37)를 작용시켜서 스페이서의 주위의 파라핀을 약간 용해시켜서 잡아뺀다.
제3도에 이와같이 제작한 2장의 마스크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3도는 제2도의 Ⅹ-Ⅹ 단면 확대도의 일부이다.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충전재인 파라핀(41)을 마스크의 각각의 애퍼처부까지 침입시키면, 2장의 마스크는 충전재에 의해서 다수의 못을 박은 상태가 되어 확실히 고정된다.
이 상태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면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제의 못의 효과로 인해 2장의 마스크의 각각 대응하는 애퍼처는 마스크의 곡률에 따라 대향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당초의 단계에서 비임의 입사축에 일치되도록 각 마스크의 각 애퍼처를 설계해 놓으면 된다.
이 때 프레스 성형에 의한 2장의 마스크의 변위(變位)나 신장의 차이를 더욱 작게 억제하기 위하여 비유효부에 설치하는 절연체 필름을 적당히 접착제로 2장의 마스크에 접착해놓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프레스 성형된 2장의 마스크는 다음에 마스크 간격 속에 있는 충전제를 제거하고, 한쪽의 마스크를 마스크 프레임에 용접고정시킨다. 이 때 또 한쪽의 마스크는 절연체 필름(35)을 개재하여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을 뿐이나, 마스크의 판의 두께가 두꺼우면 이대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신뢰성을 증가하기 위하여 내열접착제로 접착해 놓을 수도 있다. 또 파라핀의 제거는 트리클롤에틸렌이나 에테르, 열알코올 등에 의한 세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실시예의 상세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플랫마스크의 외형은 2장이 다 약 428mm×330mm, 유효부는 약 382mm×290mm, 마스크의 판의 두께는 0.30mm, 2장의 마스크의 간격은 0.50mm, 따라서 절연체 필름 스페이서 및 마스크 유효부에 설치하는 가늘고 길다랗은 스페이서의 두께는 0.50mm가 된다. 또 가늘고 길다란 스페이서의 크기는 외경 0.50mm, 내경 0.3mm, 길이 350mm이고, 성형 마스크의 유효부의 곡률반경은 약 740mm-800mm이다.
이와같이 제작한 마스크는 2장의 마스크의 각 애퍼처에 정확히 1대 1로 대응해서 형성된다. 또 애퍼처가 있는 마스크의 유효면내에서 절연체는 존재하지 않고, 약간 마스크의 유효면외에 절연체를 놓으므로써 2장의 마스크는 절연되기 때문에 절연체 대전에 의한 비임에의 악영향은 없는 등 대단히 필요성이 우수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2장의 마스크를 소정의 간격만 유지하기 위하여 마스크 유효부에 가늘고 길다랗은 스페이서로 설치하고 있으나, 예를들면 자력을 이용해서 2장의 마스크의 간격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하에 동극(同極)의 전자석(50),(51)을 설치하고, 이들에게 각각 플랫마스크(40),(31)를 흡착고정해 놓고, 양자를 자력의 반발력에 반항하면서 접근시키고, 소정 간격만 유지한 상태로 2장의 마스크의 간극 속에 충전재를 주입하여 고정하고, 그 후에 자력을 해방하므로써 제작된다. 물론 절연체 필름의 삽입도 쉽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유효부에 절연체 필름을 삽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6도의 도시와 같이 비유효부(34)의 전부에 충전재(41)를 주입할 수도 있고, 또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엷은 절연체 필름(52)과 충전재(41)로 할 수도 있다.
다시 2장의 마스크의 절연이 필요없으면 제8도와 같이 공극을 그대로 두워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프레스 성형으로 절곡부에서 2장의 마스크가 접촉되고 말기 때문에 2장의 마스크는 동전 위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2장의 마스크에 상이한 전위를 인가해서 사용하는 마스크 집속형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장의 전위를 동전위로서 사용하는 미스랜딩 방지용 마스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상기 실시예에서는 충전재로서 파라핀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반적으로 충전재로서는 주입시에 적당한 점도를 지니는 액체 또는 액상의 것으로 주입후 적당한 방법으로 적당한 강도로 고형화하는 동시에 또한 적당한 방법으로 용해제거 또는 분해제거가 가능한 것이 좋다. 이것에 적합한 것으로 페노올, 에폭시, 폴리비닐계레진이나 파라핀, 젤라틴, 와니스 등이 있으나, 값이 싸고 사용이 간편한 것으로서 파라핀이 호적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2장의 마스크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매의 마스크의 제작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복수매의 마스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프레스 성형후에 마스크를 움직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마스크의 각 애퍼처부는 정확히 1대 1로 대응해서 설정되고 실용성이 풍부한 복수매의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이용하면 많은 애퍼처가 존재하는 마스크 유효면내에는 전혀 절연체가 없기 때문에 비임 충격에 의한 절연체 대전 현상은 일어나지 않고 애퍼처를 통과하는 비임에의 악영향이 없는 일, 또 통상이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와 같이 마스크 주변부를 깊이 절곡할 수 있으므로 여분의 스페이스가 필요없다. 또 마스크 프레임도 종래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각각 다수의 애퍼처(aperture)를 가지는 복수매의 플랫마스크(flat mask)를 성형하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하는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매의 플랫마스크의 각 마스크간을 각각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각각의 간격의 적어도 일부에 충전재를 삽입 고정하고, 상기 각각 소정 간격으로 유지된 복수매의 플랫마스크를 동시에 프레스 성형해서 소정의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성형된 복수매의 마스크를 각각 고정 유지하는 일과 상기 충전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KR8205407A 1981-12-03 1982-12-02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KR860000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647 1981-12-03
JP56193647A JPS5897243A (ja) 1981-12-03 1981-12-03 カラ−受像管用マスクの製作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139A KR840003139A (ko) 1984-08-13
KR860000935B1 true KR860000935B1 (ko) 1986-07-19

Family

ID=1631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407A KR860000935B1 (ko) 1981-12-03 1982-12-02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40374A (ko)
EP (1) EP0081329B1 (ko)
JP (1) JPS5897243A (ko)
KR (1) KR860000935B1 (ko)
DE (1) DE327588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1473A1 (de) * 1984-03-28 1985-10-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orm- und ueberzugsmassen
US6601949B1 (en) 1992-08-26 2003-08-05 Seiko Epson Corporation Actuator unit for ink jet recording head
US5757119A (en) * 1995-02-21 1998-05-26 Nec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WO1996035222A1 (en) * 1995-04-29 1996-11-07 Orion Electric Co., Ltd. AN ELECTROPHOTOGRAPHICALLY MANUFACTURING OF A LUMINESCENT SCREEN FOR CRTs
KR100206271B1 (ko) * 1995-08-04 1999-07-01 김영남 음극선관의 3중구조 새도우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1997006551A1 (en) * 1995-08-04 1997-02-20 Orion Electric Co., Ltd. High-luminance-low-temperature mask for crts and fabrication of a screen using the mas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1117A (en) * 1956-03-01 1961-02-07 Rca Corp Color-kinescopes, etc.
US3046202A (en) * 1957-06-24 1962-07-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making an apertured member
FR1477706A (fr) * 1966-03-10 1967-04-21 Saint Gobain Perfectionnement à la fabrication des tubes cathodiques, notamment pour la télévision en couleurs
US3725065A (en) * 1970-09-30 1973-04-03 Rca Corp Method for making a kinescope comprising a color selection mask with temporary corridors
NL7600420A (nl) * 1976-01-16 1977-07-19 Philips Nv Elektrische ontladingsinrichting.
US4207656A (en) * 1976-01-16 1980-06-17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112563A (en) * 1977-01-13 1978-09-12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displ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S57141849A (en) * 1981-02-25 1982-09-02 Toshiba Corp Focus-mask-type color picture tube
JPS5844645A (ja) * 1981-09-10 1983-03-15 Toshiba Corp カラ−受像管用マスクの成形法
JPS5844644A (ja) * 1981-09-10 1983-03-15 Toshiba Corp カラ−受像管用マスクの製作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40374A (en) 1985-09-10
EP0081329B1 (en) 1987-03-25
KR840003139A (ko) 1984-08-13
DE3275883D1 (en) 1987-04-30
JPS5897243A (ja) 1983-06-09
EP0081329A3 (en) 1984-05-16
EP0081329A2 (en) 198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935B1 (ko) 컬러 수상관용 마스크의 제작법
US2996634A (en) Cathode ray tubes
US5406170A (en) Light emitting device resistant to damage by thermal expansion
US439291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for color CRT
JP3564913B2 (ja) 気密外囲器用支持部材及び気密外囲器
JPH0343740B2 (ko)
EP0074738A2 (en) Method for making CRT shadow masks
JPH0343738B2 (ko)
JP2000500613A (ja) 電子散乱効果を減少させ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S5981837A (ja) カラ−受像管
JPH0343739B2 (ko)
US6501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crosswires on a tension focus mask
KR0140113Y1 (ko) 전자총 전극용 중심 정렬 지그
KR20019010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l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322068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JPS60175347A (ja) マスク集束型カラ−受像管
KR20016575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S60189850A (ja) 画像表示装置
JPS59149632A (ja) カラ−受像管
JPS5978429A (ja) カラ−受像管用マスク
JPH05325821A (ja) 陰極線管用電子銃構体
JPH03155026A (ja) 陰極構体
JPS5975541A (ja) カラ−受像管用マスク
JPS5990342A (ja) カラ−受像管用マスクの製作法
JPH0219575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