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170B1 - 차륜연(車輪緣) 또는 궤조 연의 무접촉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차륜연(車輪緣) 또는 궤조 연의 무접촉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170B1
KR860000170B1 KR8202385A KR820002385A KR860000170B1 KR 860000170 B1 KR860000170 B1 KR 860000170B1 KR 8202385 A KR8202385 A KR 8202385A KR 820002385 A KR820002385 A KR 820002385A KR 860000170 B1 KR860000170 B1 KR 86000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ump mechanism
lubricating oil
solenoi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968A (ko
Inventor
이찌로 고마다
Original Assignee
하라다 기로꾸
후지도유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기로꾸, 후지도유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기로꾸
Publication of KR83000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B61K3/02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륜연(車輪緣) 또는 궤조 연(軌緣)의 무접촉 윤활장치
제1도부터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되,
제1도는 차량의 측면도이며,
제2도는 윤활장치를 일부 단면하여 표시한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 중 Ⅲ의 화살표에서 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요부의 단면도이고,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표시하되,
제5도는 후면도.
제6도는 제5도 중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궤조위를 주행하는 차량 등의 차륜연 및 궤조연이 마모방치, 차륜 및 궤조의 단명화방지, 탈선의 염려방지, 주행소음 및 주행저항의 증가방지 등을 위하여 차연륜 또는 궤조연에 액체윤활유를 무접촉으로 급유하는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류의 윤활장치로서는 종래 예컨데 다음과 같은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즉, 전용의 제어회로에 의하여 차량의 제동용 공기압계의 전자밸브(電磁 value)를 조작하여 공기압에 의하여 펌프를 동작 시키거나, 또는 공기압에 의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하여, 액체윤활유를 노즐에 인도하고, 노즐에 있어서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액체윤활유를 안개상태로 분무시켜 차륜연을 급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장치에서는 이하의 항목①-⑥에 표시한 결점이 있어 실용상 적합하지 못하다.
① 송유배관계 및 공기배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차량에 대한 설치 작업성이나, 보수성이 불량하다.
② 공기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콤프렛셔의 가동율이 높아진다.
③ 한냉지에서의 사용시는 공기배관계가 압축공기에 포함 되어 있는 수분을 동결(凍結)하며, 윤활의 신뢰성이 없다.
④ 액체윤활유의 유량조절에 조임밸브를 사용할 경우,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다, 큰 폭으로 공급유량이 흩어져, 과부족을 발생하기 쉽다.
⑤ 공기와의 혼합기체가 되어 노즐에서 분무되는 윤활유는, 주행풍압의 영향을 받아, 그 일부가 공기중에 기름 안개가 되어 떠다니기 쉬비고, 이것이 환경공해가 될 염려가 있다.
⑥ 윤활장치에 사용하는 공기압원이 차량의 제동용 공기압력의 공기핌(空氣溜)과 같기 때문에, 특히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감안한 가운데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모두 해소하는 극히 실용적인 차륜연 또는 궤조연의 무접촉 윤활장치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관계가 유(油) 배관만으로 형성되여, 직류솔레노이드로 펌프기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이 펌프기구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액체윤활유를 확산시킴이 없이, 고속으로 막대상태로 하여 사출 급유시키며, 또한 펌프기구의 직류솔레노이드 등을 유량조정기구로 연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연 또는 궤조연의 무접촉 윤활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중(11)은 궤조(12)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이며, 이 차량(11)은 차륜(13)… 및 그 구동계, 본 실시예에 관한 윤활장치를 구비한 대차조립(15)과, 자체(16)과, 이들 대차조립(15)와 자체(16) 등을 회동자재로 연결하는 받침접시(17) 등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윤활장치(14)는 제2도 및 제3도에 상세하게 표시되어있고,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18)은 실린더브록 등의 윤활장치 본체로서, 이 내부에는 펌프기구(P)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기구(P)는 서로 직선상에 배치되는 실린더(19), 펌프실(20), 피스톤(21), 피스톤복귀 스프링(22) 및 역지밸브(逆止 value)(23)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9)는 윤활장치 본체(18)의 일측면에서 나사식으로 끼워진 실린더 지지부재(24)의 선단측에, 끼워 넣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21)은 실린더 지지부재(24)내에 설치되여 있으며, 이 피스톤(21)의 일단측은 실린더(19)에 마음대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삽입되여 있다.
펌프실(20)은 실린더 지지부재(24) 내에 설치되여 있어, 그 일부는 피스톤(21)의 삽입 단면으로 갈라져 있다.
또 피스톤 복귀스프링(22)도 실린더 지지부재(24) 내에 설치되여, 실린더(19)에서의 피스톤 돌출 부분에 탄설되어 있다.
이 복귀스프링(22)은 피스톤(21)을 항상 타단측 즉 상기 펌프실(20)의 용적이 확대할 방향으로 향하여 편착되도록 하여 있다.
한편, 제2도 중 21a는 피스톤(21)의 타단에 형성된 대경부로서, 상기 편착력에 의하여 항상 실린더 지지부재(24)의 스톱퍼단부(24a)에 당접될 크기를 되여 있다.
또 역지밸브(23)는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24)와 대향하여, 상기 본체(18)에 나사식으로 끼운 역지밸브 지지부재(25)의 선단부에 형성되여 있다. 이 밸브(23)는 상기 펌프실(20)에서 액체윤활유의 유출만을 허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 역지밸브(23)는 상기 펌프실(20)과 연통하는 밸브구멍(26)을 갖는 밸브시이트(27), 이 밸브시이트(27) 내에 수납한 시일재(28)가 달린밸브(29) 및 이 밸브(29)를 밸브시이트(27)에 안접보지하는 스프링(30) 등으로 형성되여 있다.
상기 구성의 펌프기구(P)를 내장한 윤활장치본체(18)의 일측면에는, 직류 솔레노이드(31)이 볼트(32)…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여 있다. 한편, 도면중(33)… 는 자신의 둘레의 지설편 및 볼트(32)의 둘레의 지설편을 기립시킨 와셔를 표시한다.
직류솔레노이드(31)는, 강철제 케이스(34) 내에 여자코일(35)을 수납함과 동시에, 다시 이 코일(35) 내에 플랜저(36) 및 고정철심(37)을 수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도면 중 (35a)는 코일케이스, (38)은 쿳숀을 표시하며, 펌프기구(P)와 직류 솔레노이드(31)의 사이에는 피스톤(21)의 행정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축(39)이 개재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저(36)와 상기 피스톤(21) 등에 양단에 맞닿게 하여 유량조절축(39)을 개재시킨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유량조절축(39)은 직류 솔레노이드(31)를 윤활장치 본체(18)에서 떼어냄에 따라 노출되며, 이 상태에서 임의로 교환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로 준비된 소망한 길이의 유량조절축(39)을 선택함에 따라, 플랜저(36)의 행정 l를 사용조건 등에 적합하게 하고, 따라서 출유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도면 중 (40)은 스립을 표시한다. 더욱이 윤활장치 본체(18)에는 펌프기기(P)의 펌프실(20)에 액체윤활유를 보급하는 보급통로계(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로계(41)는 빈틈(42), 흡입공(43), 유로(44), 및 급유호스(45)로서 구성되면, 빈틈(42)은 원환상을 이루고, 상기 실린더(19)의 대경부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공(43)은 실린더(19)의 대경부를 뚫어 설치되어 있어, 펌프실(20)과 상기 빈틈(42) 등을 연통하여 있고, 유로(44)는 그 일단을 상기 빈틈(42)에 개구하고 있음과 동시에, 타단을 상기 장치 본체(18)의 측면에 개구하여 형성되여 있다.
급유호스(45)는 유로(44)의 타단에 접속구(46)를 통하여 접속되여 있음과 동시에 이 호스(46)는 도시않은 기름탱크에 접속되여 있다.
그리고 윤활장치 본체(18)에는 펌프기구(P)에서 보내지는 액체윤활유를 도출하는 송유관계(47)가 접속되여 있다. 이 배관계(47)는, 상기 역지밸브지지부재(25)와 접속구(48)를 통하여 접속한 송유관(49), 이 송유관(49)의 선단에 증간접속구(50)를 통하여 접속한 가요(可撓) 호스(51)로 형성되여 있다.
이 송유배관계(47)의 선단에는 분사노즐(52)이 접속구(53)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분사노즐(52)는 차륜연(즉, 차륜(13)의 후렌지면 13a), 또는 이 후렌지면(13a)와 접촉한 궤조연(즉 2줄의 궤조(12)의 대향한 내측면에서 통상 레일 게이지면 이라고도 부르고 있다)에 이간 대향하여 근접 배치된다.
그리고 분사노즐(52)는, 차량(11)의 일부에 고정되는 노즐지지부재(66), 이 부재(66)의 선단에 나사 맞춤한 밸브구멍(54)이 달린 밸브 시이트(55), 이 밸브 시이트(55)에 나사 맞춤한 노즐 보호용의 후드(56), 이 후드(56)에 의하여 설치되는 노즐구멍(57)이 달린 노즐부재(58), 시일재(59)가 달린밸브체(60), 및 밸브체(60)를 밸브 시이트(55)에 압접 보호할 스프링(61) 등으로 형성되여 있다.
한편, 제2도 중 (62)는 통공, (63)… 및 (64)는 상기 본체(18)를 고정시킬 때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설치구멍 및 설치홈, (65)는 전기 배선용의 통로, (67)은 시일재를 표시한다.
이상의 구성 윤활장치(14)는 도시않은 제어회로에 의하여 직류 솔레노이드(31)에 전압이 인가될때마다 차륜연(13a)에 대한 급유동작을 한다. 즉 직류솔레노이드(31)에의 통전에 따라, 그 고정 철심(37)에 플랜저(36)가 급속히 흡인되면, 그 동작은 유량조절축(39)을 통하여 피스톤(21)에 전달된다. 때문에 피스톤(21)은 피스톤복귀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펌프실(20)의 용적을 줄이도록 급속히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피스톤(21)의 선단에 의하여 펌프실(20)과 흡입공(43)과의 연통이 단절됨과 동시에 펌프실(20)내의 압력이 상승된다. 이 때문에 소정압에 도달한 시점에서 역지밸브(23)가 개변되어 송유배관(47)계에 액체윤활유가 압송된다.
그런데 송유관계(47)에는 액체윤활유가 소정의 압력으로 봉입되여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기구(P)에서 액체윤활유가 송유배관계(47)에 압입되면, 그 때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구멍(54)은 곧바로 개방된다.
그럼으로 액체윤활유는 분사노즐(52)의 노즐구멍(57)에서 막대상태가 되어 고속으로 사출된다. 이리하여 사출유는 차륜(13)의 주속을 극복하여 후렌지면(13a)에 그 주위를 따라 소정의 길이 부착된다. 물론, 직류 솔레노이드(31)에의 통전이 해제되면, 피스톤 복귀스프링(22)의 탄력으로 피스톤(21)은 압압하면서 환원된다.
따라서 보급통로계(41)에서 펌프실(20)에 액체윤활유가 흡입됨과 동시에, 유량조절축(39)을 통하여 플랜저(36)가 환원된다.
이리하여 다음의 윤활작동에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 지지부재(24) 및 역지밸브 지지부재(25)를 대향시켜서 윤활유장치 본체(18)에 나사맞춤하여 펌프기구(P)를 조립하도록 된 것임으로, 원환상을 이룬 빈틈(42)이 중심이 일치되는 흡수부가 된다.
따라서 높은 가공정도를 요함이 없이 간단한 조립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제4도시에서와 같이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즉, 유량조절축(39)은 플랜저(36)의 중심부에 관통 나삭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축(39)의 쿳션(38)측의 축단부에는, 고정넛트(68)가 나사맞춤 되여 있으며, 펌프기구(P)의 피스톤(21)의 대 경부(21a)에는 직류 솔레노이드(31)측에 연출한 축부(21b)가 일체로 연출되여 있다.
이 축부(21b)의 축단은, 유량조절축(39)의 펌프기구(P)측의 축단에 맞닿아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직류 솔레노이드(31)에 피스톤(21)의 행정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축(39)을 통하여 펌프기구(P)를 연동시켜져 있다. 이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감음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4도 중 (31a)은 착탈 가능한 카버, (39a)는 각 축부 또는 공구계합홈 등의 회전조작공구 계합부이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출유량의 조절을 위하여는, 먼저 카버(31a) 및 쿳션(38)을 케이스(34)에서 떼어내고, 이어서 고정넛트(68)를 느슨하게 한 후 유량조절축(39)을 회전시킨다.
이로서 피스톤(21)의 행정이 조절되고, 펌프기구(P)의 토해내는 량을 변경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직류솔레노이드(31)를 떼어냄이 없이, 출유량이 조절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제5도, 제6도시와 같이하여 실시해도 또한 무방하다.
이 제3실시예는 복수개소에 동시에 윤활유를 급유하도록 구성되여 있다. 즉, 윤활장치 본체(18)는 실린더(19)와 이 실린더(19)에 복수의 나사(71)에 의하여 연결된 역지밸브 지지부재(25)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9)는 복수의 볼트, 넛트 등의 장치구(72)에 의하여 직류솔레노이드(31)에 착탈 가능하게 달려져 있다.
역지밸브 지지부재(25)는 차량의 일부 등에 복수의 볼트, 넛트 등의 고정구(73)를 통하여 고정토록 되여있다. 그리고 이 윤활장치 본체(18) 내에는 복수 즉, 4개의 펌프기구(P)가 형성되며, 이들 펌프기구(P)는 실린더(19)측에 형성된 펌프실(20), 피스톤(21), 피스톤복귀스프링(22)와 역지밸브 지지부재(25)측에 형성된 역지밸브(23) 등으로 형성되여 있다. 한편 피스톤(21)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구조이며, 또 역지밸브(23)도 그 밸브시이트(27)가 역지밸브 지지부재의 일부로 겸용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구조임으로 이들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각 피스톤(21)의 대경부(21a)와 유량조절축(39)의 선단 사이에는 압압판(74)가 개재되여, 그 단일 압압판(74)을 통하여 각 펌프기구(P)를 동시에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보급통틀계(41)은 단일 접속구(46)를 연통하여 역지밸브 지지부재(25) 및 실린더(19)에 걸쳐 형성된 공통유로(41a)와, 이유로(41a)와 각 펌프실(20) 등을 따라 연통하는 복수의 분기유로 (41b)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송유배관계(47)은 각 접속구(48)을 통하여 각 펌프기구(P)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6도 중 (75), (76)은 각 구멍폐쇄체, (77)은 압압판(74)의 이동의 원활화를 도모할 호흡통로, (78)은 전기배선용 통로(67)를 갖는 코드풋시이다.
또 상기 직류 솔레노이드(31)는 쿳션을 구비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 구조임으로 그 설명은 생략하나, 도면중(36a)는 통기로, (36b)는 와셔를 표시한다. 다시 노즐지지부재(66)에 고정된 분사노즐(52)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구조임으로 그 설명도 생략한다.
한편 제6도 중 (79)는 실린더(19)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각각 출입자재로 미리 수납된 다른 유량 조절축이다.
이들 조절축(79)는 상기 유량조절축(39)과는 길이가 상이하며, 필요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서의 (80)은 팩킹이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직류 솔레노이드(31)가 통전되면, 유량 조절축(39)이 압압판(74)를 압압하는 것으로서, 이 압압판(74)는 동시에 4개의 피스톤(21)을 압압함으로, 각 펌프기구(P)는 동시에 동작된다. 따라서 예 : 4개의 차륜에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 분사노즐(52)에서 각기 윤활유가 막대상태로 되어 고속으로 사출되어, 각 차륜에 대한 급유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 이 제3실시예에서 출유량의 조정을 할 경우에는, 먼저 장치구(72)를 떼어냄과 동시에, 윤활장치 본체(18)에서 직류솔레노이드(31)를 떼어낸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개방된 실린더(19)에서 압압판(74)을 떼어내서 다른 유량조절축(79)을 떼어낸다.
그리고 이 조절축(79)과 유량조절축(39)과를 교환한다. 마지막에 상기 교환이전가 역순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절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압압판(74)의 압압 바랜스는 펌프기구(P)가 압압판(74)의 둘레방향에 대향 배치되면 붕괴되지 않음으로, 2개소에만 급유한 경우에는, 2개의 피스톤을 뽑아내고 그 뽑아낸 구멍에는 협지물을 채우면 된다.
상기 각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명의 요지에 반하지 않는 한, 펌프기구, 실린더, 피스톤, 펌프실, 피스톤복귀스프링, 역지밸브, 윤활장치본체, 직류솔레노이드, 유량조절축, 보급통로계, 송유배관계 및 분사노즐 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위치 등은 상기 같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태양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피스톤, 피스톤복귀스프링, 역지밸브를 구비하여서 된 펌프기구를 윤활장치 본체에 형성하여, 이 본체의 일측에 단 직류솔레노이드로 펌프기구를 구동하도록 하였음으로, 어떤 이유에서 직류 솔레노이드의 고정철심과 풀랜저 사이에 간극이 생긴 상태에서, 직류솔레노이드에 대하여 전압이 장시간 인가되어도, 직류솔레노이드가 주는 여자코일의 발열이 거의 없다.
따라서 직류 솔레노이드가 액체 윤활유에의 착화원인이 되는 근윈이 되는 일이없으므로 안전한 무접촉 윤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기구에는 송유배관계를 접속하고, 이 배관계 선단에 분사노즐을 달고, 펌프기구의 작동에 의한 액체 윤활유의 솔출압력만으로 액체윤활유의 급유를 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종래 필요로 한 차량제동용 공기굄에 이어지는 공기배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차량에 대한 장치작업성 및 보수성이 용이하다. 또 차량제동용 공기굄내의 압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차량운행의 안전성을 해칠 염려가 없다.
또 분사노즐을 항상 폐쇄의 밸브구조를 갖는 것임으로, 윤활시 이외의 시기에 액체윤활유가 새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밸관을 사용하지 않고 펌프기구의 송출압력에 의하여 분사노즐의 단공(單孔)이고 동시에 극히 소경인 노즐구멍에서 직접액체 윤활유를 사출하여, 차륜연 또는 궤조연에 급유하는 구성임으로, 액체윤활유는 그속으로 막대상태로 되어 사출되어, 분무상으로 확산되는 일이 없다.
이와 동시에 분사노즐이 항향 폐쇄밸브구조로 인하여 송유 배관계내가 고압으로 보지되는 결과, 펌프기구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정확히 분사노즐에 전달됨으로 미량인 액체 윤활유를 과부족함이 없이 막대상태로 하여 분사급유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영향됨이 없이 정확한 윤활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람이나 차륜의 주속등의 영향도 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에 소정부분에 정량의 윤활을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직류 솔레노이드는 피스톤의 행정을 조절함이 가능한 유량조절축을 통하여 펌프기구를 연동함으로, 유량조절축에 의한 조절로 임의의 출유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궤조의 부설상황 등에 맞춘 출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1)

  1. 실린더(19), 이 실린더(19) 내에 펌프실(20)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단측이 마음대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삽입된 피스톤(21), 이 피스톤(21)을 언제나 타단측을 향하여 편설되는 피스톤복귀스프링(22) 및 펌프실(20)에서의 액체윤활유의 유출만을 허용하는 역지밸브(23)를 구비하여서 된 펌프기구(P)를 윤활장치 본체(18)에 내장하고, 이 윤활장치 본체(18)의 일측에는 직류 솔레노이드(31)를 달아, 이 직류솔레노이드(31)에 피스톤(21)의 행정을 조절함이 가능한 유량조절축(39)을 통하여 펌프기구(P)를 연동시켜, 상기 윤활장치본체(18)에는 펌프기구(P)의 펌프실(20)에 액체윤활유를 보급하는 보급통로계(41)를 형성함과 동시에, 펌프기구(P)에서 송출되는 액체윤활유를 도송하는 송유배출관계(47)를 접소기하고, 이 송유배출관계(47)의 선단에는 차륜연 또는 궤조연에 이간 대향하여 근접배치하며, 또 상시 폐쇄의 밸브구조(54, 55, 59, 60, 61)를 구비한 분사노즐(52)을 달아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연 또는 궤조연의 무접촉 윤활장치.
KR8202385A 1981-06-03 1982-05-28 차륜연(車輪緣) 또는 궤조 연의 무접촉 윤활장치 KR860000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477 1981-06-03
JP???56-85477 1981-06-03
JP56085477A JPS57201758A (en) 1981-06-03 1981-06-03 Non-contact lubricating device for wheel edhe or rail e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968A KR830009968A (ko) 1983-12-24
KR860000170B1 true KR860000170B1 (ko) 1986-02-28

Family

ID=1385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385A KR860000170B1 (ko) 1981-06-03 1982-05-28 차륜연(車輪緣) 또는 궤조 연의 무접촉 윤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S57201758A (ko)
KR (1) KR860000170B1 (ko)
CA (1) CA1200211A (ko)
CH (1) CH659692A5 (ko)
DE (1) DE3220277A1 (ko)
FR (1) FR2507284A1 (ko)
IT (1) IT1151444B (ko)
ZA (1) ZA823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8043B1 (fr) * 2008-10-31 2010-12-24 Skf Ab Dispositif de lubrification et utilisation pour lubrifier un boudin de roue de vehicule ferroviaire.
CN104071179A (zh) * 2014-07-18 2014-10-01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低地板有轨电车轮缘润滑装置
DE102022121637A1 (de) 2022-08-26 2024-02-29 Rebs Zentralschmiertechnik Gmbh Luftlose Schmiermittelanla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86505A (de) * 1920-05-06 1920-09-01 Bertschmann Jakob Bandagenspurkranz-Schmiervorrichtung mit elektromagnetischer Steuerung.
US2306013A (en) * 1940-06-14 1942-12-22 Caprez Anton Flange lubricator
JPS5547977Y2 (ko) * 1975-07-18 1980-11-10
JPS5415504A (en) * 1977-06-10 1979-02-05 Daisan Kogyo Solenoid plunger pump
GB2021703B (en) * 1978-05-25 1983-02-09 Madison Kipp Corp Electrical lubricating apparatus
JPS5795292A (en) * 1980-11-30 1982-06-1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Sail device
JPS5822384A (ja) * 1981-07-31 1983-02-09 Asahi Glass Co Ltd 電解槽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07284B1 (ko) 1984-08-24
FR2507284A1 (fr) 1982-12-10
ZA823693B (en) 1983-03-30
CH659692A5 (de) 1987-02-13
CA1200211A (en) 1986-02-04
DE3220277A1 (de) 1983-01-05
IT1151444B (it) 1986-12-17
KR830009968A (ko) 1983-12-24
JPS57201758A (en) 1982-12-10
IT8221676A0 (it) 198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7047B1 (en) Lubricat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JPS5822384B2 (ja) 潤滑材の部分噴射装置
KR860000170B1 (ko) 차륜연(車輪緣) 또는 궤조 연의 무접촉 윤활장치
US8202184B2 (en) Housing of a tensioning system with an intergrated spray nozzle
US4506763A (en) Conveyor and/or chain lubrication apparatus
GB854490A (en) Rail flange lubricator
EP1232925B1 (en) Rail gauge face lubricating apparatus
US764886A (en) Lubricator.
US3076525A (en) Pulse lubricator
HK1002712A1 (en) Automatic chain lubrication device
CN111911795B (zh) 机车轮缘润滑剂喷咀装置及系统、机车
CA2422195C (en) Actuator element of a hydraulic fluid-operated railway track lubricating system
US5123504A (en) Lubricator
JPH0144855Y2 (ko)
GB530229A (en) Installation for supplying and applying lubricant to the flanges of the wheels of rail vehicles and/or to the cooperating face of the rails
KR200243272Y1 (ko) 도유기
CN1082168C (zh) 定量气液喷射器
KR0132906Y1 (ko) 차륜의 도유 배관장치
JPS6154998B2 (ko)
JPS6341529Y2 (ko)
US1234361A (en) Lubricator attachment.
US2852096A (en) Manual oiling system for enginedriven tools
US833889A (en) Locomotive-lubricator.
US1767061A (en) Lubrication of fluid-pressure motors
KR100289349B1 (ko) 도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