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08B1 - 지엽류(紙葉類)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紙葉類)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08B1
KR860000008B1 KR1019810003392A KR810003392A KR860000008B1 KR 860000008 B1 KR860000008 B1 KR 860000008B1 KR 1019810003392 A KR1019810003392 A KR 1019810003392A KR 810003392 A KR810003392 A KR 810003392A KR 860000008 B1 KR860000008 B1 KR 86000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ata card
rotary drum
belts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03A (ko
Inventor
구니히꼬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3000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3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a pair of bel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0Sucti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1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 B65H2406/361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distributing vacuum from stationary element to movable element
    • B65H2406/3614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distributing vacuum from stationary element to movable element involving a shoe in sliding contact with an inner section of the periphery of a rot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Advancing Web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엽류(紙葉類) 반송장치
제1도는 종래의 지엽류 반송장치의 요부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반송장치의 요부개략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각각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적치대 25 : 데이터 카아드(지엽류)
29 : 회전드럼 30 : 흡입구
33 : 흡입노즐 64 : 가이드로울러
71,72 : 반송벨트 S : V형 삽입통로
본 발명은 적층된 지엽류(紙葉類)(수지제시이트, 예를 들면 필름등도 포함한다)를 한장씩 정확힌 형태로 내보내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 지엽류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 카아드등의 지엽류는 통상 적층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러한 지엽류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장씩 꺼내서 판독장치에 반송하기 위한 지엽류 반송장치가 필요하다.
제1도는 이러한 종류의 용도에 사용되는 종래의 지엽류 반송장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는 주요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서 (1)은 상면을 개방한 케이스를 표시하고, 이 케이스(1)의 내저부에는 스프링(2)에 의하여 상시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가압판(3)이 설치되고, 이 가압판(3)상에 지엽류, 예를 들면 데이터 카아드(4)가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또, 케이스(1)의 우상단에는 걸림부(5)가 설치되고 이 걸림부(5)의 걸림작용과 스프링(2)의 스프링 상수를 적당히 선정함으로서 가압판(3)위에 적층되는 데이터 카아드의 최상위에 있는 카아드가 상시 일정위치에 유지된다. 케이스(1)의 좌단상방에는 상기 케이스와는 비접촉으로 회전드럼(6)이 그 회전축을 지면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이 드럼(6)주벽의 대향위치에 흡입구(7),(7)가 설치되고, 또, 드럼(6)의 내부에는 개구부를 상기 드럼(6)의 내주면에 근접대향한 흡입노즐(8)이 정지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8)은 도시를 생략한 흡기펌프에 접속된다. 한편, 케이스(1)의 좌단부상방에는, 도시를 생략한 배기펌프에 접속된 분사노즐(9)이 설치되고,이 분사노즐(9)로부터 적층된 데이터 카아드(4)사이에 공기류를 분사하도록 하고 있다. 분사노즐(9)의 근방에는 드럼(6)에 대향해서 차폐부재(10)가 설치되고, 이 차폐부재(10)와 회전드럼(6)과의 사이의 간극은 데이터 카아드(4)의 두께의 1장분이상 2장분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케이스(1)의 좌측에는 상하방향에 쌍을 이루는 반송벨트(11),(12)가 설치되고,이 반송벨트(11),(12)는 각각 가이드 풀리(11a),(12a)에 연결된다.
이리하여, 이 장치에 의하면 회전드럼(6)을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흡기펌프 및 배기펌프를 작동시키면 회전드럼(6)에 설치된 흡입구(7)가 흡입노즐(8)의 전면에 올때마다, 즉 흡입구(7)가 데이터 카아드의 좌단부 상방에 올때마다 상위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4)의 좌단부가 드럼(6)에 흡착되어,이 결과로 흡착된 데이터 카아드(4)가 드럼(6)의 회전에 수반하여 좌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 이송된 카아드는 반송벨트(11),(12)사이에 끼워져서, 예를들면, 카아드 판독장치로 이송된다. 이때, 차폐부재(10)에 의하여 최상위에 위치한 카아드만이 보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반송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차폐부재(10)의 위치설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엽류의 선단부만을 흡착한 상태로 반송벨트의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지엽류를 확실히 벨트에 인계하기 위하여서는 지엽류를 벨트에 인계할 때까지 지엽류의 선단을 흡착하고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회전드럼(6)의 내부면에 근접대향시키고 있는 흡입노즐(8)의 개구부가 커지고, 이에 따라 누출량이 많아져서 흡입노즐(8)내의 진공도가 강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예를 들면, 고속이송을 했을 때에는 지엽을 흡착이송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 선단부만을 흡착하고 있으므로 지엽의 중앙부에서 후방측은 자유롭게 되어 고속이송을 하게되면 지엽류의 중앙에서, 후방측에 걸쳐서 진동이 발생하여 수평방향에의 위치변위가 발생하고, 또 진동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지엽류의 선단부를 회전드럼(6)의 외주면에서 벨트(12)위에 낙하시켜서 벨트(11),(12)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낙하산에 선단부가 꺾어지거나 또는 구겨져서 잼(jam)이 발생하여 기계가 막히게 되는 결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고속이송을 실시했을 때에도 확실하게 지엽을 흡착이송할 수 있고, 지엽류의 선단부가 꺾어지거나 잼이 발생하는 일없이 또한 위치변위가 생기거나, 진동음을 발생하는 일없이 정확하게 소정의 피치로 지엽류를 1장씩 이송할 수 있는 지엽류 반송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지엽류 반송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서,(15)는 프레임(장치기판)이고, 이 프레임(15)에는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축수(16a)(16b)가 상하로 대향하는 관계로 고정되고 이들 축수(16a)(16b)에 스크루우나사(17)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우나사(17)의 상단부는 감속기구(18)을 개재하여 모우터(19)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상기 스크루우나사(17)의 외주에는 보올너트(20)이 결합되고, 이 보올너트(20)에는 그 상면에 데이터 카아드(25)를 적층상태로 적치하는 적치대(21)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이 적치대(21)의 상방에는, 상기 적치대(21)위에 적치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25)가 접촉했을 때 단속신호를 보내고 접촉하지 안했을 때 접속신호를 발생하는 리미트 스위치등으로 형성된 위치검출기(22)가 설치되고 이 위치검출기(22)의 접속신호에 의하여 상기 모우터(19)가 상기 보올너트(20)을 도면중 화살표(23)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회전(정회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최상층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25)는 언제나 일정한 높이로 유지된다. 또, 상기 모우터(19)는 외부로부터 조작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역회전 및 정지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리하여 적치대(21)의 좌측에는 상기 적치대(21)상에 적층상태로 적치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좌단면 위치를 규제하도록 편평한 각 통형상으로 된 흡기통(24)이 설치된다. 이 흡기통(24)의 상단면은 최상층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25)와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에서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판체(26)에 의하여 폐쇄되고, 이 판체(26)에는 예를 들면 5행 3열에 걸쳐서 흡입구(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흡기통(24)의 하단부는 흡기펌프(P1)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흡기통(24)의 상단부의 양측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보아 상기 흡기통(24) 및 적치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좌단상부를 사이에 두고 제6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한쌍의 분사통(28a),(28b)이 설치된다. 이들 분사통(28a),(28b)이 적치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측면부에 대향하는 벽에는 적치방향으로 향하여 분사노즐(H)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분사통(28a)m(28b)는 콤프레셔(c1)에 각각 접속된다.
이리하여 상기 적치대(21)의 좌단부상방 즉,흡기통(24)의 상방위치에 회전드럼(29)이 설치되는데 지면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그 축이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회전드럼(29)은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카아드(25)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또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원주벽의 대향하는 2점을 중심으로 흡입구(30)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씩 형성되고, 이들 흡입구(30)가 형성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이 큰 마찰계수를 가지고, 상기 각 흡입구(30)에 대응한 부분에 구멍(31)이 있는 마찰부재(3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29)의 내부에는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노즐(33)이 그 개구부를 회전드럼(29)의 내주면에 근접시킨 상태로 고정된다. 이 흡입노즐(33)의 원주방향의 폭을 규제하는 한쪽의 개시벽(33a)의 내면은 적층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좌단으로부터 드럼(29)의 반대회전방향으로 3-8mm의 원주방향길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또 다른쪽의 종단벽(33b)의 내면은 흡기통(24)에서 좌측이고, 또 회전드럼(29)에, 후기하는 상측벨트(71)가 교차하는 곳에서 우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관계의 회전드럼(29)과 흡입노즐(33)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30)의 개시벽(33a)에서 종단벽(33b)까지의 흡입구(30)의 원주길이를11mm로 하고, 회전드럼(29)의 전주를 Lmm, 또 제5도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태양기어(48)과 유성기어(49),(50)의 직경비를 n로 정하면 흡입구의 원주길이 11mm와 흡입노즐(33)의 개시벽(33a)에서 종단벽(33b)의 회전드럼(29) 내벽에 따른 흡입노즐(33)의 개구길이 l2mm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이리하여 상기 흡입노즐(33)은 중공고정축(35)에 키이로 고정되어 있고, 이 흡입노즐(33)의 측명에 커버(33c)가 나사고정되고, 다시 그 외측으로부터 체결나사(34)로 중공고정축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고정축(35)은 흡기펌프 P2에접속된다.
상기 중공고정축(35)의 외주에는 제3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축수(36),(37)를 개재하여 하우징(38)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하우징(38)은 통부(39)와 플랜지부(40)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부(39)의 외주에는 풀리(41)가 키이(41a)로 고정되어 있다. 풀리(41)에는 타이밍벨트(79)가 설치되고, 타이밍벨트(79)는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
Figure kpo00002
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 플랜지부(40)의 축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대칭 위치에는, 구멍(42),(43)이 설치되고, 이들 구멍(42),(43)에는 축수(44),(45)를 개재하여 축(46),(47)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축(46),(47)의 외주에는 상기 중공고정축(35)의 외주에 회전불가능하게 장착된 태양기어(43)에 맞물리는 유성기어(49),(50)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축(46),(47)에는 각각 플랜지(51),(52)가 장착되고, 이들 플랜지(51),(52)에는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성기어(49),(50)의 피치원상에 핀(53),(54)가 설치되고, 이들 핀(53),(54)은 연결봉(55),(56) 및 핀(57),(58)을 개재하여 상기 회전드럼(29)에 고정된 크랭크축(59)에 연결된다. 또, 상기 유성기어(49),(50)의 직경은 태양기어(48)의 직경의 1/2로 설정되고, 또 하우징(38)의 회전에 수반하는 유성기어(49),(5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드럼(29)이 회전하여 상기 회전드럼(29)의 흡입구(30)가 설치된 부분의 선단부가 적층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좌단부 바로 위의 위치에서 회전드럼(29)이 일단정지하는 관계로 각기어 및 연결관계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드럼(29)의 양측에는 프레임(15)에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나사고정된 ㄷ자형의 지지부재(61)가 그 개구부에서 회전드럼(29)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지지부재(61)의 양단에는 각각 축수(62)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드럼(29)의 축중심선과 평행을 이루는 축(6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축(63)에는 각각 가이드풀리(64)가 장착된다. 즉, 회전드럼(29)의 양측에는 회전드럼(29)과 비동축적으로 가이드풀리(64)가 위치된다. 이리하여 제2도에서 적치대(21)의 좌상방으로 비스듬히 상하 한쌍을 이루는 반송벨트(71),(72)가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순환주행하도록 구성되고 2개가 쌍을 이루어 평행으로 데이터 카아드(25)의 협지면(73)을 형성한다. 이들이 반송벨트중, 상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반송벨트(71)는 제1의 가이드풀리군(65),(64)를 개재하여 그 일부가 회전드럼(29)의 축방을 주행하고 또 하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반송벨트(72)는 적층된 지엽류(25)의 좌쪽을 경유하여 제2의 가이드풀리군(66),(67)을 개재하여 주행하며, 이 양반벨트(71),(72)는 가이드 푸리(66)의 위치에서 중합되어 협지면(73)을 형성한다. 상측벨트(71)의 가이드풀리(64)에서 가이드풀리군(66)에 이르는 부분과 이것에 대향하는 하측벨트(72)와의 사이에는 상기 적층된 지엽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확개하는 좁은 V자 형의 삽입통로(S)를 각 벨트가 직선부를 가지고 형성하고 있고, 상기 V자 모양의 삽입통로(S)를 형성하는 위쪽의 2개의 벨트(71), 또는 그 연상선이 상기 흡입노즐(33)의 종단벽(33b)의 내면연장면과 교차하는 선을 연결해서 생기는 선이 상기 회전드럼(29)을 횡단하는 관계를 이루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모우터(19)를 역전시켜 적치대(21)를 최저위치에까지 강하시켜서, 이 상태로 적치대(21)상에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수매의 데이터 카아드(25)를 적충상태로 적치한다. 다음에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
Figure kpo00003
를 회전시켜서 회전드럼(29)의 회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반송벨트(71),(72)의 주행을 개시하고, 또 흡기펌프(P1),(P2) 및 콤프레서(C1)를 작동시키고, 또 모우터(19)를 정회전측으로 절환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최상층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25)가 위치검출기(22)에 접촉하고 있지않기 때문에, 모우터(19)가 연속적으로 정회전하고, 이 결과로 적치대(21)가 서서히 상승한다. 그리고, 어느위치에까지 상승하면 최상층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25)가 위치검출기(22)에 접촉하여, 이 결과로 모우터(19)의 회전이 정지하여 적치대(21)의 상승이 정지한다. 따라서 최상층에 위치하는 데이터 카아드(25)는 언제나 일정한 높이에 유지된다.
한편,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
Figure kpo00004
에 의하여 구동되는 벨트(79)의 주행에 따라 풀리(41)를 거쳐 하우징(38)이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축(46),(47)을 개재하여 유성기어(49),(50)에 전달된다. 이 결과로 유성기어(49),(50)는 태양기어(48)의 주위를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동시에 플랜지(51),(52)도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플랜지(51),(52)에는 유성기어(49),(50)의 피치원에 상당하는 위치에 핀(53),(54)가 설치되어 있고, 다시 연결봉(55),(56), 핀(57),(58)을 개재하여 크랭크축(59)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랜지(51),(52)의 회전에 수반해서 회전드럼(29)도 회전하는데, 회전드럼(29)은 반회전할 때마다 일단정지하고, 그 중간점에서 최고속도가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드럼(29)의 흡입구(30)가 설치된 부분의 선단이 흡입노즐(33)의 전면에 3-8mm 들어간 부분에서 회전드럼(29)이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위치까지 회전하면 회전드럼(29)이 정지한다. 이 정지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흡이 상기 3-8mm의 사이에 설치된 흡입구(30)를 개재하여 외부와 통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30)에 강력한 흡입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로, 적치대(21)에 적층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카아드의 제4도에서의 좌단부가 회전드럼(29)의 외면에 흡착된다. 이 경우에 적치대(21)상에 적치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제2도중 좌단상부에서, 또 송출방향과 평행되게 양측면으로 향해서 한쌍의 분사노즐(28a),(28b)로 공기류를 분사하도록함으로써 적츨방향에 밀착한 데이터 카아드(25)가 한쪽으로 기우는 일없이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회전드럼(29)이 회전하면 흡착된 카아드는 제4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착된 채로의 상태로 도면중 좌측으로 이송된다. 또, 이 경우에 최상층 위치에 있는 카아드보다 밑에 위치하는 카아드가 같이 이동하려해도 이들의 카의 구멍(27)에 흡착되어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최상층의 데이터 카아드(25)만이 회전드럼(29)의 동작에 따라 이송된다.또, 이 경우에 회전드럼(29)의 흡착면을 마찰계수가 큰 부재(32)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이른바 미끄럼이 발생하는 일없이 흡착된 데이터 카아드(25)는 회전드럼(29)과 동일속도로 좌측으로 이송된다.
회전드럼(29)의 속도는 서서히 증가하고, 이 드럼(29)에 흡착된 데이터 카아드(25)도 가속을 받는다. 회전드럼(29)의 회전에 따라, 이 회전드럼(29)에 흡착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가 벨트(71),(72)사이에 형성된 좁은 V자형의 삽입통로(S내에 안내되어 이 삽입통로 (S)의 내부로 향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흡입구(30)가 설치되는 원주벽부분의 회전방향 선단부가 흡입노즐(33)의 전면을 완전히 통과하면, 회전드럼(29)의 외면에 흡착된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는 벨트(71)에 의하여 회전드럼(29)의 외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여, 선단부가 V자형의 삽입통로(S)의 더 깊은 내부로 안내되어, 결국 벨트(71)과 (72)에 끼이게 된다. 이 경우에 회전드럼(29)의 원주벽에 설치된 흡입구(30)를 회전드럼(29)의 원주방향으로 길게한 몫만큼 회전드럼(29)의 내벽에 근접대향시키고 있는 흡입노즐(33)의 개구길이를 짧게 할수 있고, 그 몫만큼 개구부에서의 진공누설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데이터 카아드(25)를 고속흡착 이송할 때 필요한 흡입노즐(33)내의 진공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가 회전드럼(29)의 외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하고, V자형의 삽입통로(S)내에 안내되어 삽입통로(S)의 내부로 이동중, 데이터 카아드(25)의 이동속도는 벨트(71),(72)의 주행속고이하의 상태에 있으므로,데이터 카아드(25)는 그 양면을 같은 이동방향으로 그것보다도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양벨트(71),(72)에 의하여 구속되고, 또 점차로 양벨트(71),(72)사이에 협지되는 것이 유효하게 작용하게 되면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가 꺾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늘어지거나 구겨진 것도 오히려 펴지게 된다. 또한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가 회전드럼(29)의 외면을 이탈하기 시작하고 나서 V자형의 삽입통로(S)내를 그 내부를 향해서 벨트(71),(72)에 협지되기 시작하기까지의 사이에, 이송되는 데이터 카아드(25)의 후방측, 즉 V자형의 삽입통로(S)에 들어가 있지 아니한 부분은 회전드럼(29)의 외면에 아직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흡착에 의하여 이송되는 데이터 카아드(25)는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그 결과 이송되는 데이터 카아드가 진동하거나, 진동음을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입구(30)가 설치되는 범위의 후단측이 흡입노즐(33)의 전면을 통과하는 시점이 되면, 회전드럼(29)의 원주속도가 벨트(71),(72)의 이동속도로까지 상승하여, 이 상승시점에서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는 벨트(71),(72)사이에 완전히 협지된다. 이와같이해서, 회전드럼(29)이 반회전할 때마다 적치대(21)에 적층된 데이터 카아드(25)가 한장씩 이송되어 반송벨트(71),(72)사이에 반송된다.
이와같이 적층된 지엽류인 데이터 카아드(25)에 대향하여 회전드럼(29)을 배치하고, 이 회전드럼(29)의 원주벽에 형성된 흡입구(30)가 상기 지엽류의 대향위치에 도래할 때마다 지엽류가 상기 회전드럼(29)의 원주벽 외면에 흡착되어 송출방향에 이동된 후 한쌍의 반송벨트(71),(72)사이에 협지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71),(72)상호간에 이들 벨트(71),(72)상호가 상기 적층된 지엽류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넓어지는 좁은 V자형의 지엽류 삽입통로(S)를 각각의 벨트의 직선부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삽입통로(S)내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29)에 의하여 이송되는 지엽류의 선단부가 회전드럼에서 흡착해제되도록 흡입시스템을 설정하고 또, 상기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는 데이터 카아드(25)의 선단부가 상기 반송벨트(71),(72)에 협지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카아드(25)를 흡착하여 유지할 수 있는 관계로 상기 흡입구(30)를 상기 회전드럼(29)의 원주벽에 배치하고, 또 회전드럼(29)의 원주속도를 상기 반송벨트(71),(72)의 주행속도이하로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지엽류의 선단부가 흡착해제되는 위치를 상기 지엽류 삽입통로(S)내에 설정함으로서 회전드럼(29)에서 반송벨트(11),(12)에로의 지엽류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가 있다. 또, 회전드럼(29)의 원주벽에 설치하는 흡입구(30)를 회전드럼(29)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함으로서 그 몫만 회전드럼(29)의 내면에 근접대향시키고 있는 흡입노즐(33)의 개구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그것으로 개구부에서의 누출량을 적게할 수 있고, 흡입노즐(33)내에서의 진공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지엽류를 고속흡착 이송할 때에 필요한 진공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지엽류의 선단부가 회전드럼(29)의 외주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여, V자형의 삽입통로(S)내에 안내되어서 삽입통로(S)의 내부로 향하고, 그 지엽류의 선단이 벨트(71),(72)에 협지되기 시작하는 동안, 지엽류의 후방측, 즉 V자형의 삽입통로(S)에 삽입되지 아니한 부분은 , 아직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흡착되어 있으므로, 이 흡착에 의하여 지엽류는 위치가 규제되고, 이 결과로 이송되는 지엽류가 진동하거나 진동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변동등을 방지하고, 양호하게 송출할 수가 있다. 또, 반송벨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삽입통로(S)를 각각의 벨트의 직선부로써 좁은 V자형으로 한 것과, 상기와 같이 흡입구(30)를 설치한 것과 회전드럼(29)의 원주속도를 반송벨트(71),(72)의 주행속도이하로 한 것이 서로 관련하여 지엽류는 그 양면을 같은 이동방향으로, 또한 이것보다도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양벨트로 구속되고, 더욱 점차 양벨트간이 좁아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벨트에의 이동시에 발생하기 쉬운 선단부의 꺾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지엽류의 늘어지거나 구겨지는 것을 펼수도 있고, 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와 같이 지엽류룰 흡착시키는 위치에 있어서 회전드럼(29)를 일단 정지시키도록 하면 확실히 흡착시킬 수가 있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측의 벨트(71)을 안내하는 가이드풀리(64)를 회전드럼(29)의 양단 바깥쪽에서 또 회전드럼(29)과는 분리해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회전드럼(29)에 지지시킨 경우와 달라서, 풀리직경을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조립,보수점검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의 원주벽상의 대향하는 2개소에 흡입구(30)를 복수개씩 설치하고 있으나, 이것은 1개소만으로도 좋고, 3개소이상에 설치해도 된다. 그것은 태양기어와 유성기어의 직경비 n에 의하여 결정괴고, 예를 들면 n=2일 때는 흡입구(30)는 2개소, n=3일 때는 3개소가 된다.또 지엽류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지엽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설치하여, 이 검출기의 출력으로 모우터를 구동하여 적층지엽류 전체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서 최상의 위치의 일정화를 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케이스내에 적층된 지엽류에 스프링으로 언제나 상방을 향하는 힘을 부여하는 동시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스프링 정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과 걸리부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최상위 위치를 일정화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가이드풀리(64)의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7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부가 회전드럼(29)의 단면영역에서 가이드풀리(66)측으로 돌출하는 위치라도 되고, 또 제8도에서와 같이 회전드럼(29)의 하단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좋으며, 이와 같은 배치로도 같은 효과가 있다. 제9도에서와 같이 가이드풀리(81),(82)와 조합하여 벨트(71)을 회전드럼(29)보다 후방을 경유시켜서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는 지엽류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는 적층부를 가진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은 지엽류를 중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하는 적층부를 가진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엽류를 1장씩 확실히 고속흡착 이송할 수 있고, 또 지엽류의 선단부가 꺾어지거나,잼이 발생하거나, 위치변위를 일으키거나, 또는 진동음을 발생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소정의 피치로 지엽류를 송출할 수가 있고, 또 제작이 용이한 지엽류 반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적층된 지엽류(25)의 지면에 대향하여 회전드럼(29)를 배치하고,이 회전드럼(29)의 원주벽에 형성된 흡입구(30)가 상기 지면의 대향위치에 도래할 때마다 상기 지엽류(25)를 회전드럼(29)의 원주벽 외면에 흡착시켜서 송출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각각 한쌍의 벨트(71),(72)가 중합하여 형성된 지엽류(25)의 협지면에 지엽류(25)를 협지하도록한 반송벨트(71),(72)를 지닌 지엽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71),(72)중 상측에 위치한 벨트(71)의 일부가 회전드럼(29)의 양단외측을 경유해서 상기 송출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제1의 가이드풀리군(64,65)을 설치함과 동시에, 반송벨트(71),(72)중 하측에 위치한 벨트(72)의 일부가 지엽류(25)를 흡착이송하는 회전드럼(29)의 원주벽면 부분의 전방위치를 경유해서 상기에 송출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통과되도록 안내하며, 또한 상측에 위치한 벨트(71)의 상기한 일부와의 사이에 송출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는 V자형의 지엽류 삽입통로(S)를 형성시키는 제2의 가이드풀리군(66,6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장치.
KR1019810003392A 1980-09-12 1981-09-11 지엽류(紙葉類) 반송장치 KR860000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913 1980-09-12
JP55125913A JPS5751632A (en) 1980-09-12 1980-09-12 Sheet transpor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03A KR830007403A (ko) 1983-10-21
KR860000008B1 true KR860000008B1 (ko) 1986-01-30

Family

ID=1492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392A KR860000008B1 (ko) 1980-09-12 1981-09-11 지엽류(紙葉類) 반송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047937B1 (ko)
JP (1) JPS5751632A (ko)
KR (1) KR860000008B1 (ko)
AT (1) ATE7216T1 (ko)
AU (1) AU541280B2 (ko)
DE (1) DE3163305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378B2 (en) 2007-08-29 2012-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take-ou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1432A (en) * 1988-10-13 1996-07-02 Sardella; Louis M.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US5088717A (en) * 1989-08-12 1992-02-18 Konica Corporation Paper feeding apparatus having a three cylinder vacuum member
FR2657856B1 (fr) * 1990-02-08 1992-07-10 Bertin & Cie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 a un des objets minces empiles.
US6786032B2 (en) 1999-04-07 2004-09-07 Meang K. Chia Jewelry closed-link element, assembled chai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773006B2 (en) 2001-10-24 2004-08-10 Pitney Bowes Inc. Pneumatic apparatus with removable vacuum shoe
JP5500432B2 (ja) * 2010-02-10 2014-05-21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79538B2 (ja) * 2011-08-19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DE102011120476A1 (de) * 2011-12-08 2013-06-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Unrundes Saugrad
US20200321647A1 (en) * 2019-04-05 2020-10-08 Hanon Systems New assembly method to install shee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25276A (ko) * 1958-02-25
DE1273541B (de) * 1964-11-13 1968-07-25 Beloit Corp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Abfoerdern von Bogen eines Bogenstapels
JPS5325978Y2 (ko) * 1974-03-19 1978-07-03
US4095781A (en) * 1976-09-17 1978-06-20 The Mosler Safe Company Currency dispensing apparatus
US4095784A (en) * 1976-11-05 1978-06-20 Melvin Kennedy Toy aircraft system
JPS5613317Y2 (ko) * 1978-03-22 1981-03-27
US4235432A (en) * 1978-06-30 1980-11-25 Marquip, Inc. Sheet feeding
DE3068657D1 (en) * 1979-04-20 1984-08-30 Tokyo Shibaura Electric Co Sheet transport apparatus
JPS5656440A (en) * 1979-10-08 1981-05-18 Toshiba Corp Paper sheet transfe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378B2 (en) 2007-08-29 2012-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take-ou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48778B2 (ko) 1988-09-30
KR830007403A (ko) 1983-10-21
JPS5751632A (en) 1982-03-26
EP0047937A1 (en) 1982-03-24
ATE7216T1 (de) 1984-05-15
AU541280B2 (en) 1985-01-03
AU7483281A (en) 1982-03-18
EP0047937B1 (en) 1984-04-25
DE3163305D1 (en) 198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008B1 (ko) 지엽류(紙葉類) 반송장치
JP2827429B2 (ja) サクション給紙装置
JPH05246601A (ja) シート用ローラー集積器
KR20110076776A (ko) 기록 장치 및 라인형 액체 토출 기록 장치
US8109627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US20110254220A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JP2636252B2 (ja) 書類分配機
KR930008922B1 (ko) 용지반전장치
EP0811570B1 (en) Paper supplying device
JPH0825649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19131311A (ja) 給紙装置
JP3752122B2 (ja) 印刷紙搬送装置
JP4308354B2 (ja) 孔版印刷機の給紙機構
JP2628208B2 (ja) 用紙の搬送装置
JPH0680261A (ja) 給紙装置
KR20040035713A (ko) 더미로 쌓여지는 시트를 정렬하는 장치
JP6650642B2 (ja) シート状媒体搬出装置
JPH06286895A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
JP3865804B2 (ja) シート体搬送装置の連結構造
JP4624185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223686B2 (ko)
JPS61211255A (ja) 整合トレイ装置
JPH05286597A (ja) 給紙装置
JPS61106350A (ja) 通帳繰り出し機構
JPH03166159A (ja) 紙葉類反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