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915Y1 -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編物用目數 및 段數記綠計) - Google Patents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編物用目數 및 段數記綠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915Y1
KR850002915Y1 KR2019820008824U KR820008824U KR850002915Y1 KR 850002915 Y1 KR850002915 Y1 KR 850002915Y1 KR 2019820008824 U KR2019820008824 U KR 2019820008824U KR 820008824 U KR820008824 U KR 820008824U KR 850002915 Y1 KR850002915 Y1 KR 850002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needle
annular
carpen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624U (ko
Inventor
요시아끼 가끼야
Original Assignee
요시아끼 가끼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아끼 가끼야 filed Critical 요시아끼 가끼야
Publication of KR840002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9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00Hand tools or implements
    • D04B3/02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編物用目數 및 段數記綠計)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목수 단수 기록계의 분해사시도.
제2도 단면도.
제3도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 회동체를 약간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6도 종래의 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동체부
(12) : 표시창 (13) : 계합악
(14) : 환상구 (15) : 환상악벽
(16) : 요철면 (17) : 개구부
(18) : 편침 협지체 (19) : 파여진 홈
(20) : 회동체 (21) : 외통체
(22) : 내통체 (24) : 환상공간
(25) : 계함돌편 (26) : 계지조
본 고안은 편물(編物) 작업에 있어서 편목(編目)의 목수(目數) 및 단수(段數)를 기록하는 목수와 단수의 기록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편물 작업에 있어서 편성 품(編成品)을 정확하게 작성하는데는, 편목의 목수 또는 단수를 세는 작업을 하게 되지만, 이목수 또는 단수를 그때마다 기억해 둔다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며, 또한 기억 착오도 생기므로 목수, 단수기록계를 편후단부(編針後端部)에 장착하여, 이목수, 단수 기록계에 목수 또는 단수를 기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목수, 단수 기록계는 제6
그리고, 종래의 목수, 단수 기록계에 의하면 회동체는 단순히 통상체와의 마찰저항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지(靜止)하며, 다른 정지수단이 없었으므로, 회동체를 회전시키어서 표시창에 원하는 숫자(즉 목수 또는 단수)를 정확하게 현출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표시창에 그 숫자가 엇갈리는 일없이 정확하게 현출되는 위치에서 회전조작을 멈추지 않으면 안되며, 항상 시각에 의한 확인을 요하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었다. 또한, 회동체의 정지를 회동체의 마찰 저항에만 의지하고 있으므로, 마찰저항이 약해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관한 목수 및 단수 기록계는 대략 통동상(筒胴狀)을 하고 있는 내부 속이 비어있는 본체(本體)(10)의 양측 단부에 한쌍의 다이알로서 작용하는 회동체(20)(20)를 감합하여서 형성된다.
본체(10)는 좌우대칭의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동체부(胴體部)에는 한쌍의 표시창(12)(12)을 병열상(列狀)으로 천설(穿設)하고 있으며, 양측 말단부에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관상(管狀) 돌출부(11a)(11a)를 형성하고, 각 관상 돌출부에는 외측말단 방향으로 하경(下傾)하는 사면(斜面)(13a)이 있는 계합악(係合鰐)(13)을 주설하는 동시에 그 계합악(13)의 측방향내측에는 환상구(1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동체부(11)의 내부
동체부(11)의 내부에는 전술한 2 환상 악벽(15)의 선단부로부터 동체부(11)의 양 개구부(7)(17)에 도달되도록 각각 외측 방향으로 뻗어나온 편침협지체(18)(18)을 설치하고 있다. 각 편침 협지체(18)는 개구부(17)로 향하여 전체를 바람직하게는 약간 방추상(邦狀)으로 점차 축경(縮徑)하는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서 파여진홈(19)(19)…을 설치하고, 여러개의 협지편(18a)(18a)…을 형성하게 되며, 편침의 굵기(호수=號數)에 따라서 편침 협지체(18)가 탄력적으로 확개(擴開)되어, 삽입된 편침의 축부분을 확고히 파지할 수 있으므로, 근소(僅小)한 호수의 편침에 사용가능케 한 것이다.
회동체(20)는 합성수지등의 약간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있으며, 손잡이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원통면, 바람직하기에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각은 다각주주면(多角柱周面)(21a)으로되어 있는 외통체(外筒體)(21)내에 이것보다 소경(小經)이며 또한 긴 치수의 내통체(22)를 설치하고, 양통체(21)(22)의 일측 단말연(綠)을 단말벽(23)에서 연결일체화한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외통체(21)의 내주면과, 내통체(22)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상공간(2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환상공간(24)은, 전술한 계합악(13) 및 환상구(溝)(14)가 있는 관상 돌출부(11a) 피관(被冠)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치수로 한다. 또한, 외통체(21)의 내주벽에는 전술한 환상구(14)에 감입(嵌入)하며, 또한 계합악(13)의 바람직하기에는 수직상의 내벽(12b)가 당접하는 위치에 탄성변형 가능한 계합돌편(25)을 돌설하고 있다. 내통체(22)는 전술한 동체부(11)와 편침 협지체(18)와의 사이에 감합할 수 있는 살두께를 하고 있으며, 또한 그 축방향 길이는 그 선단이 요철면(16)의 철부(凸部)(16a)에 당접하도록 정한다. 내통체(22)의 선단의 환상단벽(環狀端壁)의 적절한 부분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계지조(係止爪)(26)가 돌설되어 있다. 이 계지조(26)의 치수 형상은 전술한 요철면(16)의 요부(16b)에 감입할 수 있도록 정한다. 더구나, 이 계지조(26)는 전술한 계합돌편(25)과 가급적이면 격리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회동조작상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체(22)는 다이알부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계지조(26)가 요부(16b)에 감입되어 있을 때 표시창(12)에 현출(現出) 되도록 0으로부터 9까지의 수자가 적절한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형성된 한쌍의 회동체(20)(20)는 본체(10)의 양측 단부, 즉 관상돌출부(11)(11a)(11a)에 각각 간헐(間)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감합되어 있다. 즉,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동체(20)의 내통체(20)의 내통체(22)를 계지조(26)가 요철면(16)의 요부(16b)에 계합되도록 동체부(11)와 편침 협지체(18)와의 사이에 감입시키는 동시에, 외통체(21)를 그 계합돌편(25)이 환상구(14)와 계합되도록 본체(10)의 양측 단부에 피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계합악(13)에 사면(13a)을 설치하여두면, 계합돌편(25)이 계합악(13)을 타고 넘어서 환상구(14)내로 계입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일단 계입하게 되면 수직상의 내벽(13b)에다 계합돌편(25)을 환상구(14)에 계합시켜 놓으므로, 회동체(20)가 본체(10)으로부터 부주의로 이탈될 염려가 없다.
본 고안에 관한 목수. 단수 기록계는 손잡이부로서 작용하는 외통체(21)를 수지)手指)로 파지하여서 회동체(20)를 회전시키게면 제5도의 우측부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요철면(16)의 요부(16b)내에 계지되어 있던 계지조(26)가 철부(16b)으로 얹혀지므로, 회동체(20)가 약간 강제적으로 변형되어지면서 우측방으로 위치가 변해지지만 계합돌편(25)이 계합악(13)에 당접되어 있으므로 이탈될 염려는 없으며, 더구나, 회동체(20)를 회전시키게 되묜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체(20)의 탄성 복원력에 의
더구나, 회동체의 정지를 종래의 예와 같은 마찰저하응로만 의지하고 있는 것이 안 아니어서 그 회전조작이 원활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동체부(11)의 적절한 부분에 한쌍의 표시창(12)(12)를 천설하고, 또한 양측단부에 각각 계합악(13)(13)을 주절하는 동시에 그 계합악(13)의 축방향 내측에 환상구(14)를 설치하고, 그 동체부(11)의 내부주앙에 양측면에 요철면(16)를 설치한 환상악벽(15)을 돌설하고, 그 환상악벽(15)의 선단부로부터 동체부(11)의 양개구부(17)(17)로 향하여 편침 협지체(18)(18)를 연장설치하여서 본체(10)와, 외통체(21)와 내통체(22)와의 사이에 환상공간(24)이 있으며, 또한, 그 외통체(21)의 내주벽에 계합돌편(29)을 돌설하는 동시에 그 내통체(22)의 선단에 계지조(26)를 돌설한 한쌍의 회동체(20)(20)가 있으며, 그 계지조를 전술한 요철면(16)의 요부에(16b)계지시키는 동시에 계합돌편(25)를 환상구(14)에 계합시키므로서 한쌍의 회동체(20)(20)를 본체(10)의 양측부에 감합시켜, 회동체(20)를 회전시켜서 전술한 계지조(26)가 요철면(16)을 피치 이동 할적마다 전술한 표시창(12)에 수자가 현출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용 목수및 단수 기록계.
  2. 전술한 편침협지체(18)를 개구부(17)로 향하여 점차 축경(縮徑)하는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서 파연진홈(19)을 설치하고, 편침 협지체(18)가 탄력적으로 확장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첨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
KR2019820008824U 1982-06-08 1982-11-05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編物用目數 및 段數記綠計) KR8500029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85988U JPS58189185U (ja) 1982-06-08 1982-06-08 目数・段数記録計
JP?57-85088 198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624U KR840002624U (ko) 1984-06-30
KR850002915Y1 true KR850002915Y1 (ko) 1985-12-09

Family

ID=3009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824U KR850002915Y1 (ko) 1982-06-08 1982-11-05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編物用目數 및 段數記綠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89185U (ko)
KR (1) KR8500029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624U (ko) 1984-06-30
JPS58189185U (ja) 198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2915Y1 (ko) 편물용 목수 및 단수 기록계(編物用目數 및 段數記綠計)
JPH0536623Y2 (ko)
JPS60143913U (ja) 固定装置
JP3020517U (ja) 柄棒部材の接続構造
JPH0615724Y2 (ja) ペンセツト
JPH0234647Y2 (ko)
JPH0610048Y2 (ja) シリンダ錠のキヤツプ取付構造
JPH0710533U (ja) 軸係止用スナップリング
JPS58111572U (ja) ワツシヤを組込んだセツトスクリユウ
JPS5913824Y2 (ja) 振出竿のトツプカバ−
JPS5820987Y2 (ja) 電子式キヤツシユレジスタの回転表示装置
JPH0423409Y2 (ko)
JPS6343930Y2 (ko)
JPH0330306Y2 (ko)
JPH075475U (ja) ハンガーフック
JPH0413197Y2 (ko)
JPH0242244Y2 (ko)
JPS6018648Y2 (ja) 取手等の取付装置
JPS6028415Y2 (ja) トラカ−ルの保持装置
JP2506288Y2 (ja) 接続器用清掃具
JPH0653065U (ja) ドライバービット保持機構
JPS5930945Y2 (ja) 管楽器のマウスピ−ス抜取り器
JPS6322410U (ko)
JPH0177371U (ko)
JPS634366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