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693Y1 - 전동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전동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693Y1
KR850002693Y1 KR2019820010172U KR820010172U KR850002693Y1 KR 850002693 Y1 KR850002693 Y1 KR 850002693Y1 KR 2019820010172 U KR2019820010172 U KR 2019820010172U KR 820010172 U KR820010172 U KR 820010172U KR 850002693 Y1 KR850002693 Y1 KR 850002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ar member
arm
bit holder
electric screw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10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033U (ko
Inventor
순지 하도리
에이이찌 아이다
사또시 오노
Original Assignee
닛뽕덴기세이기 가부시기가이샤
호소가와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덴기세이기 가부시기가이샤, 호소가와 요시도시 filed Critical 닛뽕덴기세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드라이버
제1도는 종래의 전동드라이버의 일례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에 연한 내부 기구만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의한 전동드라이버의 일실시예를 일부 파단해서 내부기구도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위치부만인 사시도.
제5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나사압착상태를 나타낸 주요부만인 단면도.
제6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나사압착완료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만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레임 (16) : 비트호울더
(22) : 비트 (23) : 전동기
(25) : 캠 (26) : 감속기구
(27) : 보올호울더 (28)(38) : 보올
(29) : 원통부재 (35) : 바아부재
(39) : 회전자 (41) : 기동스위치
(42) : 정지스위치 (44) : 스위치부
(47) : 제1의 아암 (48) : 제2의 아암
본 고안은 전동식 스크루우드라이버(이하 전동드라이버라 칭함)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분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화 56-48472호 공보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전동드라이버가 기재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원통형상의 프레임이며, 조정나사(12), 압착관(13), 프레임핸들(14) 및 커버(1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조정나사(12)중에는 비트호울더(16)가 보올베어링(1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비트호울더(16)는 또한 축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더우기 스프링(18)에 의해서 화살표(19)방향을 향해서 부세되어 있다. 비트호울더(16)의 화살표(19)방향으로의 이등은, 그 주위면에 착설된 스토퍼링(21)이 보올베어링(17)에 결합하므로서 정지된다. 이와같은 비트호올더(16)에는 일단에 비트(22)가 부착된다.
프레임핸들(14)의 내부에는, 비트호울더(16)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전동기(23)가 갖추어져 있다. 전동기(23)는 보올베어링(24)에 지지된 캠(25)을 감속기어부(26)를 개재해서 회전시키는 것이다.
비트호울더(16)와 캠(25)과의 사이에는 보올호울더(27)가 착설되어 있다. 보올호울더(27)의 일단은 비트호울더(16)의 타단에 축방향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감합되어 있다. 보올호울더(27)의 타단은 원통부(27a)로 되어있고, 여기에 캠(25)의 일단의 각(角)형상부(25a)가 제2도에도 나타낸 바와같이 감입되어 있다. 또 원통부(27a)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보올(28)이 반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감입되어 있다.
비트호울더(16)에는 다시 외부주위에 원통부재(29)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감합되어 있다. 원통부재(29)는 스프링(31)에 의해서 화살표(32)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원통부재(29)일단의 내면에는 보올(18)에 대향하고 있는 테이퍼면(29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부재(29)의 타단 근처부분의 내면에도 테이퍼면(29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33)은 원통부재(29)에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드러스트 베어링, (34)는 스프링받침이다.
또한 원통형상의 프레임(11)의 중심축위에는 길쭉한 바아부재(35)가 길이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바아부재(35)는 스프링(36)에 의해서 비트호울더(16)와 같은 방향, 즉 화살표(19)방향을 향해서 부세되어 있다. 바아부재(35)의 화살표(19)방향으로의 이동은, 비트호울더(16)에 부착된 핀(37)에 선단이 맞닿으므로서 정지된다. 이와같은 바아부재(35)의 선단근처에는 테이퍼면(3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비트호울더(16)에는 테이퍼면(35a)에 대향된 부분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보올(38)이 반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바아부재(35)의 타단 근체에는 회전자(39)가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자(39)는 기동스위치(41) 및 정지스위치(42)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43)은 전원코오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비트(22)의 선단을 나사의 머리에 대고 또한 프레임(11)을 비트축으로 민다. 이때에는, 비트호울더(16)가 스프링(18)에 저항해서 화살표(32)방향으로 압입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비트호울더(16)가 화살표(32)방향으로 이동하면, 바아부재(35)도 같은 방향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회전자(39)가 기동스위치(41)의 누름버튼(41a)을 누르므로서 기동스위치(41)를 구동하고, 전동기(23)가 회전을 개시한다. 또 이때 보올(38)은 비트호울더(16)에 의해서 원통부재(29)의 테이퍼면(29b)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보내지게 된다. 전동기(23)의 회전력은 캠(25)에 전달되고, 또한 보올(28) 및 보올호울더(27)를 개재해서 비트호울더(16)에도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비트(22)의 회전에 따라 나사의 나입작업이 개시된다.
나사의 나입이 진행하고, 소정의 압착토오크에 도달하면, 비트(22)가 나사와 함께 회전을 정지한다. 비트(22)가 정지하면, 비트호울더(16) 및 보올호울더(27)도 회전을 정지당한다. 이것에 대해서 캠(25)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각형상부(25a)의 각형상부가 보올(28)을 반경방향의 외부쪽으로 향해서 밀어내게 된다. 보올(28)은 밀어내어질때에 원통부재(28)의 한쪽 테이퍼면(29a)을 밀고, 이것에 의해서 원통부재(29)를 화살표(19)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캠(25)과 보올호울더(27)와의 사이의 동력전달은 떨어져나간다.
또 이때 원통부재(29)의 다른쪽 테이퍼면(29b)이 보올(38)을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서 압입하게 된다. 압입된 보올(38)은 바아부재(35)의 테이퍼면(35a)에 결합하고, 이것에 의해서 바아부재(35)를 다시 화살표(3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테이펴면(29b), 보올(38) 및 테이퍼면(35a)에 의해서 과부하검출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바아부재(35)가 화살표(32)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회전자(39)가 정지스위치(42)의 누름버튼(42a)을 누르므로서 정치스위치(42)를 구동한다. 정지스위치(42)가 구동되면 전동기(23)는 즉시 정지한다. 또한 그후에 회전자(39)가 정지스위치(42)로부터 떼어졌다 할지라도, 전동기(23)는 전기적으로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전동드라이버에 의하면, 비트호울더가 압입되면 기동스위치에 의해서 전동기가 구동되어서 비트호울더를 회전구동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종래, 직업병으로서 걱정되고 있던 건초염(腱초炎)이 예방되고, 또, 비트호울더에 어떤 힘 이상의 제동력이 작용하면 전동기의 회전축과 비트호울더와의 사이에 개재된 클러치기구가 벗겨지고, 그것과 동시에 정지스위치에 의해서 전동기가 정지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압착토오크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위에, 관성에 의한 압착완료시의 반동(쇼크)이 없고, 그것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고, 더우기 나사압착완료 직후의 관성을 급감시키는 수단을 전기적으로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구조가 간단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제1도에 나타낸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는, 전동기(23)의 기등 및 정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분(44)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회전자(39)측면의 경사면에 의해서 기동스위치(41) 및 정지스위치(42)의 각각의 누름버튼(41a)(41b)을 누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바아부재(35)의 이동거리를 크게했다해도 누름버튼(41a)(41b)의 이동거리를 크게 잡을 수가 없고, 따라서 기동스위치(41) 및 정지스위치(42)에 확실한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렇다고 해서 커다란 회전자(39)를 사용하면, 전체의 외경치 수가 커져서 조작성을 상실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동 및 정지가 자동적으로, 더우기 확실하게 행해지는 전동드라이버의 제공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비트부착단부측을 향해서 부세된 비트호울더와, 이 비트호울더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전동기와, 이 비트호울더의 축심위에 길이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이 비트호울더와 같은 방향으로 부세되고, 또한 이 비트호울더에 일단을 연결되므로서 부세방향으로서의 이동이 저지된 바아부재와 이 비트호울더의 부세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이동에 의해서 세트되고, 이 비트호울더의 과부하를 검출하면 이 바아부재를 부세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키는 과부하검출장치와, 이 바아부재의 옆쪽에 배치되고 또한 이 프레임에 고정된, 이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제1의 스위치와, 이 바아부재의 옆쪽에 배치되고 또한 이 프레임에 고정된, 이 전동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2의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 이 제1의 스위치는 이 바아부재의 부세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면에 스위치조작부를 가지고, 이 제2의 스위치는 이 바아부재의 부세방향과 같은 방향의 면에 스위치조작부를 가지고, 이 바아부재는 옆쪽에 돌출된 제1 및 제2의 아암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제1의 아암은 이 제1의 스위치의 스위치조작에 이 바아부재의 가동방향에서 대향하고, 이 제2의 아암은 이 제2의 스위치의 스위치조작부에 이 바아부재의 가동방향에서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가 얻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전동드라이버는, 이 바아부재에 옆쪽으로 돌출한 제1 및 제2의 아암을 갖추고, 이 제1및 제2의 아암을 이 바아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이 제1 및 제2이 스위치 자체에 접근, 이간시키므로서, 이 제1 및 제2의 스위치의 스위치조작부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바아부재의 이동거리를 크게 설계하므로서 스위치조작부의 구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자동적으로 더우기 확실하게 기동 및 정지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여기서 이 제1의 아암은 이 바아부재의 타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므로서 간단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한편, 이 제2의 아암은, 이 바아부재의 길이방향 도중 부분에 부가된 아암본체와, 이 아암본체에 지지되고, 이 아암본체의 이 제2의 스위치에 대향한 면에 돌출한 돌출길이의 가변이 되는 조정핀을 가진 것으로 하므로서, 이 제2의 스위치의 동작시기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드라이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또 제4도는 그 스위치부분(44)만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기동스위치(41)와 정지스위치(42)가 바아부재(3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점은, 제1도의 전동드라이버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동스위치(41)는, 바아부재(35)의 부세방향(19)과는 반대방향인 면에 누름버튼(41a)과 이것에 대향한 조작레버(41b)로 이루어진 스위치조작부를 갖도록 위치가 정해지고, 한편, 정지스위치(42)는, 바아부재(35)의 부세방향(19)과 같은 방향인 면에 누름버튼(42a)과 이것에 대향한 조작레버(42b)로 이루어진 스위치조작부를 갖도록 위치가 정해져 있다. 그리고 기동스위치(41)와 정지스위치(42)는 연결부재(45)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스위치조립체(46)가 되어서 프레임(11)의 커버(1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레버(41b)(42b)는 일단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한 것이다.
바아부재(35)는 연결부재(45)를 관통하고 있다. 이 바아부재(35)의 선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고, 기등스위치(41)의 조작레버(41b)에 대향한 제1의 아암(47)으로 한다. 또 바아부재(35)의 길이방향 도중부분에는, 직각방향으로 돌출해서 정지스위치(42)의 조작레버(42b)에 대향한 제2의 아암(48)을 착설한다. 제2의 아암(48)은, 바아부재(35)에 나사(49)에 의해서 부착 고정된 아암본체(48a)와, 이 아암본체의 선단의 나사구멍에 나입된 나사부품으로 이루어진 조정핀(48b)을 가진 것이다. 조정핀(48b)은 정지스위치(42)의 조작레버(42b)에 대향한 위치에 돌출된 것이며, 더우기 그것과 일체가 된 조작손잡이(48c)의 조작에 의해서 회동되므로서, 돌출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 스위치부(44)는, 비사용시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의 아암(47)이 기동스위치(41)의 조작레버(41b)를 단단하게 밀어붙이고, 또한 제2의 아암(48)의 조정핀(48b)이 정지스위치(42)의 조작레버(42b)에서 떨어져있도록 설정된다.
이제, 비이트(22)를 나사에 압부하므로서, 바아부재(35)가 화살표(32)방향으로 움직여지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의 아암(47)이 기동스위치(41)의 조작레버(41b)로부터 떨어지고, 이에 따라서 전동기(23)가 통전되어서 운전을 개시하게 된다. 또 그것과 동시에, 제2의 아암(48)의 조정핀(48b)이 정지스위치(42)의 조작레버(42b)에 접근 혹은 접촉하여 정지의 준비상태가 된다.
다음에, 나사의 압착이 완료해서 과부하상태가 되므로서, 바아부재(35)가 화살표(32)방향으로 더욱 움직여지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의 아암(48)의 조정핀(48b)이 정지스위치(42)의 조작레버(42 )를 단단하게 밀어붙여, 이것에 따라서 전동기(23)가 통전이 차단되어서 운전을 즉시 정지한다.

Claims (9)

  1.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회전 가능케 또한 축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비트 부착단부측을 향해서 부세된 비트호울더와, 이 비트호울더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전동기와, 이 비트호울더의 축심위에 길이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고, 이 비트호울더와 같은 방향으로 부세되며, 또한 이 비트호울더에 일단부가 연결되므로서 부세방향으로서의 이동이 저지당한 바아부재와, 이 비트 호울더의 부세방향과는 반대방향의 이동에 의해서 세트되고, 이 비트호울더의 과부하를 검출하면 이 바아부재를 부세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키는 과부하검출장치와, 이 바아부재의 옆쪽으로 배치되고, 또한 이 프레임에 고정된 이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제1의 스위치와, 이 바아부재의 옆쪽에 배치되고 또한 이 프레임에 고정된 전동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2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동드라이버에 있어서, 이 제1의 스위치(41)는 이 바아부재(35)의 부세방향과는 반대방향인 면에 스위치조작부(41a)(41b)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스위치(42)는 이 바아부재(35)의 부세방향과 같은 방향인 면에 스위치 조작부(42a)(42b)를 가지고, 이 바아부재(35)는 옆쪽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의 아암(47)(48)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1의 아암(47)은 이 제1의 스위치(41)의 스위치 조작부(41a)(42b)에 상기 바아부재(35)의 가동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이 제1 및 제2의 스위치(41)(42)는 상기 바아부재(3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아암(47)은 이 바아부재(35)의 타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 제2의 아암(48)은 이 바아부재(35)의 길이방향 도중부분에 부가된 아암본체(48a)와, 이 아암본체에 지지되고, 이 아암본체(48a)의 제2의 스위치(42)에 대향한 면에 돌출된 돌출길이가 가변인조정핀(48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핀(48b)은 이 아암본체(48a)의 나사구멍에 나입된 나사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치(41)(42)의 스위치 조작부(41a)(41b)(42a)(42b)는 어느 것이나 일단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조작레버(41a)(41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7. 제3항에 있어서, 이 제2의 아암(48)은 이 바아부재(35)의 길이 방향 도중부분에 부가된 아암본체(48a)와, 이 아암본체에 지지되고, 이 아암본체(48a)의 제2의 스위치(42)에 대향한 면에 돌출된 돌출길이가 가변인조정핀(48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스위치(41)(42)의 스위치조작부(41a)(41b)(42a)(42b)는 어느 것이나 일단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조작레버(41b)(42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의 스위치(41)(42의 스위치 조작부(41a)(41b)(42a)(42b)는 어느 것이나 일단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는 조작레버(41b)(42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라이버.
KR2019820010172U 1981-12-19 1982-12-18 전동드라이버 KR8500026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88641? 1981-12-19
JP1981188641U JPS5893474U (ja) 1981-12-19 1981-12-19 電動ドライ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033U KR840003033U (ko) 1984-07-20
KR850002693Y1 true KR850002693Y1 (ko) 1985-11-13

Family

ID=2999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10172U KR850002693Y1 (ko) 1981-12-19 1982-12-18 전동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93474U (ko)
KR (1) KR8500026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6526A1 (en) * 2019-03-08 2022-06-09 SWEDEX GmbH Industrieprodukte Torque screwdriv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torque screwdriver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2667B2 (ja) 2003-08-12 2007-10-17 日東工器株式会社 電動ドライ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36B2 (ja) * 1977-11-01 1983-0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ねじ締め機
GB2055356B (en) * 1979-07-26 1983-07-20 Us Energy Cold formed ceramic fib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6526A1 (en) * 2019-03-08 2022-06-09 SWEDEX GmbH Industrieprodukte Torque screwdriv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torque screwdrive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0932Y2 (ko) 1986-04-07
KR840003033U (ko) 1984-07-20
JPS5893474U (ja) 198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989A (en) Screw driving tool
EP2599590B1 (en) Tangless helical coil insert inserting tool
JPH0536194B2 (ko)
JP3984312B2 (ja) 手工具
JPH0453672B2 (ko)
JPH0643030B2 (ja) ドリルハンマ
JP4897998B2 (ja) 動力ナットランナー
KR850002693Y1 (ko) 전동드라이버
US3988827A (en) Small-size cutter
CA1321471C (en) Electrically driven can opener
FR2607420A1 (fr) Outil electrique de serrage de vis
EP0435831B1 (en) A device for operating a motor-vehicle windscreen-wiper arm
US3454144A (en) Overload clutch
JPS582036B2 (ja) 電動ねじ締め機
JPH09329213A (ja) モータシャフトのギア取付方法及びギア取付用治具
SU991104A1 (ru) Ручной дублер механического привода
WO2023017789A1 (ja) 作業機
JPH0696208B2 (ja) ねじ締め機
JPH0911171A (ja) 結合装置およびマニピュレータ
JPS6047046B2 (ja) ねじタツプ装置
JPS6033454Y2 (ja) 電動操作機の手動電動切替装置
JPS608192B2 (ja) 電力ドライバー
KR890004950Y1 (ko) Vtr 카세트 캐리어 이송 장치
JPH0624711B2 (ja) 電動回転工具
JPS60104663A (ja) 電動ドライバ−のクラツ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