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361Y1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361Y1
KR850002361Y1 KR2019830009673U KR830009673U KR850002361Y1 KR 850002361 Y1 KR850002361 Y1 KR 850002361Y1 KR 2019830009673 U KR2019830009673 U KR 2019830009673U KR 830009673 U KR830009673 U KR 830009673U KR 850002361 Y1 KR850002361 Y1 KR 850002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levator
pulley
low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978U (ko
Inventor
윤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9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361Y1/ko
Publication of KR850003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9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제1도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전체 구성 및 구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풀리텐숀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엘리베이터가 과속운행할 때의 상태를 보인 본 고안의 풀리텐숀 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승강대차 5 : 하부 풀리
7 : 로오프 9 : 웨이트
13 : 레일 17 : 고정브래키트
18 : 레일 안내 브래키트 19 : 연결핀
20 : 레일 고정 브래키트 22 : 안내편
23 : 고정 보울트
본 고안은 기기의 고장이나 기타 사고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대차가 규정된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하강할 때, 그 대차와 연결된 와이어로오프에 의하여 대차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오프에 텐숀을 주기 위하여 와이어 로오프가 권취되는 하부 풀리에 설치되는 풀리 텐숀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기계실(1)의 내부에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권상기(2)를 설치하여 그 권상기(2)에 감긴 권상로오프(3)로 대차(4)를 승강시키고, 권상기(2)의 일측에는 상부 풀리(5)를 설치하여 그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풀리(6)와의 사이에 권취한 와이어로오프(7)를 상기한 대차(4)에 연결하여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시에는 대차(4)의 승강 작동에 따라 와이어 로오프(7)가 함께 이동 회전하다가 대차가 과속으로 하강하게 되면 그 와이어로오프의 회전이 정지되어 대차를 비상 정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와이어 로오프(7)의 하부풀리(6)에는 로오프에 텐숀을 주기 위한 텐숀장치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설치된 종래의 텐숀 장치에 대하여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대략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도 내지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종래의 텐숀장치는 로오프(7)의 회전을 안내하는 하부풀리(6)를 축설한 지지부재(8)의 하부에 로오프(7)에 텐숀을 주기 위한 웨이트(9)가 고정보울트(10)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지지부재(8)의 일측면에는 일정한 길이의 공간부를 갖는 행거(11)를 취부하여, 웨이트(9) 무게에 의하여 로오프(7)가 늘어나도, 로오프(7)에는 항상 균일한 텐숀이 유지되어 풀리(9)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로 하부 바닥(12)에 고정 입설된 레일(13)에 일단이 레일 클립(14)으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한쌍의 안내 보울트(16)가 행거(11)의 폭보다 다소 넓은 간격으로 장착된 안내 브래키트(15)를 행거(11)에 끼워넣어 안내 브래키트(15)가 행거(11) 내의 공간거리 만큼 로오프(7)가 늘어날 때까지 안내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구조로된 종래의 텐숀장치에 있어서는, 풀리(6)와 웨이트(9)가 상·하로 되어 설치되어 있어 풀리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고,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며, 단순한 풀리 텐숀장치로는 제조원가가 비싸며, 또한 풀리(6)의 균일한 텐숀을 유지하고 풀리(6)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브래키트(15)가 행거(11)의 길이 범위 내에서만 안내되도록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로오프(7)가 행거(11)의 길이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면 보수를 해야하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풀리를 축설한 지지브래키트의 일단에 웨이트를 고정하고, 그 지지 브래키트의 타단을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한 지지금구에 연결 유착하여, 로오프가 늘어남에 따라 하부 풀리 및 웨이트가 설치된 지지 브래키트가 소정거리만큼 회전하강하여 로오프의 텐숀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한 장치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실개소 51-50765호에서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장치는 로오프가 늘어남에 따라 로오프의 텐숀을 보상 조절하기 위하여 하강되는 하부풀리의 하강거리가 붙박이식 지지금구에 유착된 지지브래키트의 소폭 회전거리의 범위내에서만 가능하게되는 한정된 하강폭을 갖게되므로, 그 조절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져 로오프의 늘어난 길이가 지지 브래키트의 회전에 의한 하부 풀리의 하강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는 로오프의 텐숀조절이 불가하게되는 사례가 쉽게 유발되어 승강대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잦은 보수를 요하게 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 텐숀장치의 결함과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텐숀장치에 있어서, 로오프(7)의 텐숀을 유지시키고, 풀리(6)와 웨이트(9)가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브래키트를 고정브래키트(17)와 레일 안내 브래키트(18)로 형성하되, 하부풀리(6)와 웨이트(9)가 중간부 및 일측단부에 각기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래키트(17)의 타측 단부를 레일 안내브래키트(18)의 일측 단부와 연결핀(19)으로 연결 유착하여 고정 브래키트(17)가 그 연결핀(19)을 지점으로 상·하로 회전유동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이와같이된 레일 안내 브래키트(18)의 타측 단부를 하부 바닥(12) 위에 고정 설치된 레일 고정브래키트(20)의 상부에 고정클립(21)에 의하여 고정 입설된 레일(13)에 안내편(22)과 고정보울트(23)로 연결 유착되게 하여 로오프(7)가 늘어남과 동시에, 그 레일 안내 브래키트(18)와 고정브래키트(17)가 레일(13)을 따라 안내되어 상·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웨이트(9)의 중량에 의하여 로오프(7)가 늘어나면 그 웨이트(9) 및 풀리(6)가 설치된 고정브래키트(17)가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그 고정브래키트(17)와 수평선상에 연결된 레일 안내 브래키트(18)가 레일(13)을 따라 함께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레일 고정 브래키트(20) 상단까지 점차 하강하면서 풀리(6)와 웨이트(9)를 함께 하강시키게 되고, 그 이상으로 로오프(7)가 늘어나면 레일 안내 브래키트(18)는 그 하강을 정지한 상태에서 그 레일 안내 브래키트(18)와 고정 브래키트(17) 사이에 연결된 연결핀(19)을 중심으로 고정브래키트(17)만이 회전하면서 또 다시 하강하게 되므로, 로오프(7)가 계속적으로 늘어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부 풀리(6)의 하강폭을 월등히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장치는 웨이트 및 하부 풀리가 설치된 고정 브래키트의 일단을 레일에 연결된 레일 안내 브래키트에 연결핀으로 유착 연결되게 하여, 로오프의 늘어남에 따른 브래키트의 하강 작용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로오프의 늘어남에 대한 하부풀리의 하강폭을 월등히 증대시키어 엘리베이터의 운전 운행을 제어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보수기간을 종래 장치에 비하여 거의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승강대차(4)에 연결된 로오프(7)를 상·하부 풀리(5)(6)에 각기 권취하고, 하부풀리(6)의 중앙부에 축설한 고정 브래키트(17)의 일단에 웨이트(9)를 장착하여 로오프(7)에 일정한 텐숀이 유지되게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브래키트(17)의 타단에는 레일 안내 브래키트(18)의 일단을 연결핀(19)으로 연결 유착하고, 그 레일 안내 브래키트(18)의 타단을 레일 고정 브래키트(20)상에 고정 입설된 레일(13)에 안내편(22) 및 고정 보울트로 상·하 유동될 수 있게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 텐숀장치.
KR2019830009673U 1983-11-16 1983-11-16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KR850002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673U KR850002361Y1 (ko) 1983-11-16 1983-11-16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673U KR850002361Y1 (ko) 1983-11-16 1983-11-16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78U KR850003978U (ko) 1985-07-13
KR850002361Y1 true KR850002361Y1 (ko) 1985-10-16

Family

ID=7015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673U KR850002361Y1 (ko) 1983-11-16 1983-11-16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3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78U (ko) 198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286B1 (ko) 엘리베이터장치
US6305499B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KR101647788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JP2000044146A5 (ko)
JP4135262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KR850002361Y1 (ko)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풀리텐숀 장치
JPWO2003031310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H07125946A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
JP200118767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0327242A (ja) エレベータ
JP250562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タ
JP42682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9123583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200206864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237779Y1 (ko) 입체주차장치
KR100351279B1 (ko) 엘리베이터
JP265664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40013117A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CN219448927U (zh) 一种曳引机下置式施工升降机的限速器装置
JP2004331264A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伸び調整装置
KR20010035377A (ko) 입체주차장치
JP2001139253A (ja) エレベーター
KR8800014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차와 균형추의 안내장치
JP4091218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