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160Y1 -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160Y1
KR850002160Y1 KR2019830010085U KR830010085U KR850002160Y1 KR 850002160 Y1 KR850002160 Y1 KR 850002160Y1 KR 2019830010085 U KR2019830010085 U KR 2019830010085U KR 830010085 U KR830010085 U KR 830010085U KR 850002160 Y1 KR850002160 Y1 KR 850002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circuit
vehicle
car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923U (ko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선 filed Critical 박정선
Priority to KR2019830010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160Y1/ko
Publication of KR850003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게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감지기 작동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발광렌즈 L2: 수광렌즈
K1, K : 감지기 B : 부저(Buzzer)
E : 스위칭회로 1 : 고정단자
2 : 가동단자 3 : 릴레이(Relay)
4 : 전자석 5 : 좌,우방향전환의 깜박등회로
6 : 저속주행의 감지회로 7 : 악셀레이터 복귀 감지회로
본 고안은 자동차 앞 범퍼의 양쪽에 장치된 적외선 송출의 발광렌즈와 수광렌즈로 부터 차선을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로서 전원을 부저에 인가시켜 부저가 경보토록 하는 자동차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좌, 우 방향전환시의 깜박등을 켰을때와, 저속(40km/h이하) 주행시 및 밟고 있던 악셀레이타를 떼어 악셀레이타가 원위치로 복귀되었을 경우에는 릴레이를 오프시 켜수저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행중의 운전자가 자신도 모르게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 이를 사전에 경보시키는 장치는 없었으며, 본 고안은 특히 고속도로 사고중에서 약 80∼90%를 차지하고 있는 운전자의 졸음이나 속도감각의 둔화 또는 안일한 운전등에서 초래되는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활 수 있게한 것이다.
본고안에서는 어떠한 차선색상(횐색, 노란색)이라도 반사 펄스를 발생하는 적외선 송출의 발광렌즈와 이 반사펄스를 집광하여 전기적 이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증폭, 스위칭토록하여 부저를 울리도록하는 회로 장치는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에 장치하여서되는 것이며, 자동차 주행중 상기 감지기에 의하여 일정거리(약 70∼80m) 이내의 차선을 감지하여 자동차가 자기 차선으로 부터 이탈되기 직전에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토록하는 새로운 자동차의 차선이탈 경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게통도와 감지기(K1, K2)의 작동예시도로서, 이는 발, 수광렌즈(L1, L2)를 각기 1조로한 두개의 감지기(K1, K2)의 발, 수광렌즈(L1, L2)를 지면을 향하도록 자동차 범퍼 양쪽의 앞바퀴 전방에 각각 대향되게 부착하며, 상기 감지기(K1, K2)를 스우칭회로(E)에 접속하고, 전원으로 부터의 입력을 상기 감지기(K1, K2)의 펄스신호 인가시에만 부저(B)를 작동시키는 스위칭로(E)로 연결 구성한다.
또, 이 부저(B)와 스위칭회로(E) 사이에는 평상시 가동단자(2)가 고정단자(1)에 항시 온(ON)접속되는 릴레이(3)를 구성하며 이 가동단다(2)는 전자석(4)에 전류신호가 인가될 때에만 고정단자(1)로 부터 오프(OFF)토록 구성한다.
또, 상기 전자석(4)의 전류신호인가의 경우는 자동차의 좌, 우방향전환의 깜박등회로(5)에 의한 깜박등을 켰을 때와 자동차가 톨게이트등의 횡방향 차선을 넘어 갈때의 저속주행의 감지회로(6)에 의한 저속주행시 및 주행중 밟고 있던 악셀 레이타를 놓아 원위치로 악셀레이타가 복귀되었을 경우 동작하는 악셀레이터 복귀 감지회로(7)에 의해 전자석(4)을 가동토록 구성하여서 된다.
미설명부호 S.W는 전원입력 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원 입력스위치(SW)를 온(ON)접속하더라도 부저(B)와 릴레이(3)측으로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그것은 스위칭회로(E)에 발광렌즈(L1)로부터 출발한 빛이 아스팔트에 부딪친후 흡수되어 수광렌즈(L2)로 전달이 안되므로 감지기(K1, K2)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지기(K1)(K2)로 부터 발사된 적외선 펄스가 자동차의 차선을 감지한 경우에는(자동차가 차선을 이탈하기 직전의 상태) 차선에 발사된 적외선 펄스의 반사펄스가 되돌아오게 되며, 이 되돌아온 반사펄스를 수광렌즈(L2)에서 집광시켜 스위칭회로(E)에 전달하게 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회로(E)는 입력측 전원을 부터(B)에 인가시키는 스위 칭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스위칭회로(E)는 수광렌즈(L2)로부터 스위칭펄스가 인가될 경우에만 일정시간 입력전원을 부저(B)측에 인가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고안은 이와 같은 차선의 감지를 보다 완전하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항상 온(ON) 접속되어있는 가동단자(2)와 고정단자(1)를 좌, 우방향 전환시 좌, 우방향 전환의 깜박등 회로(5)와, 저속도 주행시 저속주행의 감지회로(6), 악세레이 타를 복귀시킨 겨우 악셀레이타 복귀 감지회로(7)에 의해서만 오프(OFF)토록 하게된다.
그것은, 좌, 우방향 전환시의 깜박등스위치를 온(ON)접속할 경우 전자석(4)에 전류를 인가시킴으로서 전자석(4)의 흡인력이 가동단자(2)를 끌어 당기도록함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저속도 주행을 요구하는 톨게이트드에서는 횡방향 차선이 있으므로 이때에 부저(B)를 울리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저속도를 감지하는 저속주행의 감지회로(6)가 저속도(40km/h이하)인 경우에만 전자석(4)을 작동시켜 전자석(4)의 흡인력으로서 가동단자(2)를 흡인케 되어 릴레이(3)를 오프시키는 것이고, 악셀레이타를 밟고있다가 발을 떼어 악셀레이타가 원위치로 복귀된 경우에도 악셀레이타 복귀 감지회로(7)에 의해 전자석(4)을 작동시켜 릴레이(3)를 오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차선의 감지는 좌, 우방향 전환시 및 저속도 주행시, 악셀레이타 복귀시에는 릴레이(3)가 오프됨에 따라 경보되지 않고, 그 외의 고속주행시, 악셀레이타를 압압한 경우등의 정상 주행중에는 상기 전자석(4)은 작동되기 않게 되므로 차선의 이탈을 확실하게 경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경보를 요구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위치(SW)를 오프시키면 본 고안의 모든 회로 장치는 작동하지 않게 되어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자동차 주행중에 흔히 발생되는 차선 이탈의 위험성을 간단히 경보함에 따라 보다 안전한 자동차의 정상 주행을 보장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발, 수광렌즈(L1, L2)를 1조로 하여 감지기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감지기(K1, K2)를 이의 발, 수광렌즈가(L1, L2)지면을 향하도록하여 자동차 범퍼의 좌, 우양단 바퀴 전방부에 위치시켜 부착하고, 상기 감지기(K1, K2)는 부저(B), 릴레이(3)와 직렬 접속시킨 스위칭회로(E)와 연결하며 상기 릴레이(3)에는 이의 구동용 좌, 우 방향전환의 깜박등회로(5), 저속주행의 감지회로(6), 악셀 렌이타 복귀 감지회로(7)를 별렬직속 하여서 자동차의 차선이탈에 대응된 경보동작을 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선이탈 경보기.
KR2019830010085U 1983-11-24 1983-11-24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KR850002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085U KR850002160Y1 (ko) 1983-11-24 1983-11-24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085U KR850002160Y1 (ko) 1983-11-24 1983-11-24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23U KR850003923U (ko) 1985-07-08
KR850002160Y1 true KR850002160Y1 (ko) 1985-10-07

Family

ID=7016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085U KR850002160Y1 (ko) 1983-11-24 1983-11-24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1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923U (ko) 198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6498A (en) Safe trailing distance warning systems for vehicles
US3491334A (en) Photosensitive automotive alarm device
US20030102965A1 (en) Vehicle mountable device for detecting the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KR850002160Y1 (ko)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KR20000002444U (ko) 커브길 교통사고 방지장치
GB2149169A (en) Hazard warning means for road vehicles
KR100240681B1 (ko) 보행자 감지장치
KR950011217A (ko) 자동차의 안전 차선 변경 장치
KR900009398Y1 (ko) 자동차용 백밀러의 보조감지장치
KR0145546B1 (ko) 자동차의 차선 감지장치
KR19990049021A (ko) 차량 방향지시등 자동 점멸장치
KR910003822Y1 (ko) 차량용 안전거리감지 장치
KR100188786B1 (ko) 차량의 과속경보장치
KR200214465Y1 (ko) 차량의 추월금지 경고장치
KR0131407B1 (ko) 방향 지시등 경보 장치
KR20000002504U (ko) 차선변경에 의한 차량충돌 방지장치
KR910001454Y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KR0153653B1 (ko) 차량의 제동등 제어회로
KR200166635Y1 (ko) 자동차의 급회전 경고장치
KR970065217A (ko) 차량의 사각지대 자동감지장치
KR0124540Y1 (ko) 자동차의 거리감지식 발광 엠블렘
JPH04506254A (ja) 自動車の対象物検知装置
JPH031202A (ja) 道路作業車への追突防止装置
KR970010194B1 (ko) 자동차 비상등의 자동점등 장치
KR200170183Y1 (ko) 차량의 중앙선 침범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