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54Y1 -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54Y1
KR910001454Y1 KR2019880012959U KR880012959U KR910001454Y1 KR 910001454 Y1 KR910001454 Y1 KR 910001454Y1 KR 2019880012959 U KR2019880012959 U KR 2019880012959U KR 880012959 U KR880012959 U KR 880012959U KR 910001454 Y1 KR910001454 Y1 KR 910001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ing
brake
light
brak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836U (ko
Inventor
박한식
Original Assignee
박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식 filed Critical 박한식
Priority to KR2019880012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54Y1/ko
Publication of KR900004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자동차의 급제동을 감지하기 위한 급제동 감지 센서의 개략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급제동 감지센서 2 : 급제동 감지센서(1)의 접점
3 : 평형유지 보올(ball) 4 : 자성체
5 : 측벽 6 : 브레이크페달
10 : 급제동 감지부 20 : 시간지연 회로부
30 : 펄스 발생부 40 : 구동 출력부
50 : 자동차의 후미등 및 브레이크등 점등 회로부
IC1,IC2: 타이머 IC Q1: 트랜지스터
R1∼R5: 저항 C1~C8: 콘덴서
RY : 릴레이 BT : 자동차용 축전지
L1: 후미등 L2: 브레이크등
S1: 릴레이(RY)의 접점 S2: 브레이크스위치
S3: 건조등 및 후미등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있어서, 자동차의 제동(Brake)시에 점등되는 브레이크등을, 급제동시에는 점멸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여, 뒤에서 따라오는 자동차에게 급제동 상황임을 알리게 되므로, 자동차간의 안전거리의 확보 또는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수 있도록 함으르써 자동차의 급제동에 의한 안전 사고는 물론 재산상의 패해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한 급제동시 감지 신호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는 주행중에 신호등이 갑자기 바뀐다거나 순간적으로 나타난 장애물등이 전방의 가까운 장소에 위치하게 될때, 충돌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순간적으르 밟게 되므로써, 자동차의 급제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때 자동차의 뒷쪽에 형성된 브레이크 등이 점등 되어 뒤에서 따라오는 자동차에게 이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에 있는 경우에는, 뒤에서 따라오는 자동차는 전방에서 제동중에 있는 자동차가 서행으로 제동 상태인지 급제동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알수가 없는 상태이므로, 고속도로 에서와 같이 자동가가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한 가동차가 급제동시에 후방에서 따라 오는 자동차는,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가 순간적으로 바로 앞에 나타나게 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수가 없게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빈번한 것이었다.
또한, 눈이나 비우로 인하여 전방의 시야가 어둡고 주행도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가 급제동 또는 급정차를 하는 경우에, 후방에 위치한 자동차 역시 급제동에 의한 감속 또는 정차를 하게 되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주행로면이 미끄러운 상태에서는 제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더욱 높은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급제동시 이를 표시하는 브레이크등의 점등 상태를 급제동에 대한 대처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시간동안 점멸 하도록하여 뒤에서 따라오는 자동차로 하여금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가 급제동에 의한 급정차 상태임을 쉽게 알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대한 대처를 충분히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쪽 바깥면 중앙부에 자성체(4)가 붙임 고정되고, 안쪽면의 양끝단 부분에 접점(2)이 형성된 측벽 (5)을 안쪽면이 대향하도륵 고정 설치하며, 그 사이에는 평형 유지보올 (3)을 왕복이 이동이 자유롭게 개재하여, 급제동시에는 상기 측벽(5)의 양끝단에 형성된 접점(2)에 상기 평형유지 보올(3)이 순간접촉되어 자동자의 급제동 상태를 감지할수 있도록 구성한 급제동 감지센서(1)에 연결 접속된 저항(R1)(R2) 및 콘덴서(C4), (C5) 구성된 급제동 감지부(10)에 타이머 IC (IC1)와 저항(R3)및 콘덴서(C1∼C3)로 연결된 시간지연 회로부 (20)와, 타이머 IC (IC2)및 저항 (R4),(R5)과 콘덴서(C6∼C8)로 연결된 펄스발생부 (30)와, 트랜지스터 (Q1) 및 릴레이 (RY)로 연결된 구동 출력부(40)를 연결 접속하고, 상기 구동 출력부 (40)의 릴레이(RY)의 접점 (S1)은 자동차용 축전지 (BT) 및 브레이크등 스위치(S2)와 전조등 및 후미등 스위치 (S3)와 후미등(L1)및 브레이크등 (L2)으로 연결된 자동차의 후미등 및 브레이크등 점등회로 (50)의 브레이크등 스위치(S2)의 일측과 브레이크등(L2)의 일측 단자 사이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L1)은 브레이크등 (L2)과는 별도로 자동차용 축전지(BT)에 연결되어 야간 주행시 자동차의 소재 및 차폭등을 표시하기 위한 후미등이고, (S3)는 상기 후미등(L1)을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며, (6)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급제등 감지센서(1)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한쪽의 바깥면 중앙부에 자성체(4)가 붙임 고정되고, 안쪽면의 양끝단부분에 접점(2)이 형성된 측벽(5)을 안쪽면이 대향하도록 고정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평형유지 보올(3)을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개재하여 구성한 것으로써, 평상시 자동차의 서행 또는 고속으로의 운전중에는 측벽의 바깥면에 붙임 고정된 자성체(4)의 자력에 의하여 평형유지 보올(3)은 상기급제동 감지센서(1)의 중앙부에 평형 상태를 유지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운전중에 브레이크 페달(6)을 순간적으로 밟게 되므로써 급제등을 하게 되면, 자동차의 가속력이 자동차의 앞부분으로 집중하게 되므로. 상기 자동차의 내부에 형성된 급제동 감지센서(1)의 한쪽 부분에도 가속력이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한쪽 측벽(5) 바깥면에 붙임 고정된 자성체 (4)에 의하여 평형 상태 유지하고 있던 평형 유지보올(3)에는 평형 상태의 힘보다 더큰 힘이 미치게 되므로, 평형 유지보올(3)에는 작용, 반작용력이 작용하여 평형유지보올(3) 이 급제동 감지센서(1) 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2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접점(2)을 순간적으로 도통시키게 되므로서 급제동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자동차의 급제동시 급제동 감지센서(1)의 접점(2)이 평형유지 보올(3)에 의해 순간적으르 도통하여 급제동 상태가 감지되면, 제1도에 도시한 타이머 IC (IC1)의 트리거 펄스 입력단(TRG)에 전원전압(Vcc) 인하여 상태의 신호가 평형유지보올(3)을 통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타이머 IC(IC1)는 저항(R3)및 콘덴서(C2),(C3)에 의하여 설정된 시정수 동안 출력단자(OUT)를 통해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하이상태의 신호는 타이머 IC (IC2)의 입력단자(lN)에 인가되어 상기 저항(R3)및 콘덴서(C2),(C3)에서 설정된 시정수 동안 타이머 IC (IC2)를 구동시킨다.
이때 타이머 IC (IC2)의 트리거 펄스 입력단(TRG)에는 저항(R4),(R5)및 콘덴서 (C7),(C8)에 의하여 설정된시정수에 따라 콘덴서(C7)가 충,방전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단속적인 상태의 펄스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타이머 IC (IC2)의 출력단자 (OUT)에는 하이, 로우 상태를 반복하는 펄스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게 되므로, 트렌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1)가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반복하는 시간은 타이머 IC (IC1)에 접속된 저항(R3)및 콘텐서(C2),(C2)에 의하여 설정된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와같이 트랜지스터(Q1)가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반복하게 됨에 따라 릴레이 (RY)가 구동 또는 구동되지않게 되어 릴레이(RY)의 접점(S1)이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게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등(L2)에는 급제동을 위하여 순간적으로 밟은 브레이크 페달(6)에 의하여 도통된 브레이크등 스위치(S2)및 온, 오프 동작을 반복하는 릴레이 (RY)의 접점(S1)을 통하여 단속적인 상태의 전원을 인가하게 되므로, 브레이크등 (L2)은 상기 타이머 IC (IC1)에 접속된 저항(R1)및 콘덴서(C2),(C3)에 의하여 설정된 시정수 동안 점멸 구동되며, 상기 시정수에 의한 시간이 경과 하면 타이머 IC (IC2)의 출력단자 (OUT)신호가 하이 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됨에 따라 릴레이 (RY)가 구동되지 못하게 되므로, 평상시 도통상태인 릴레이 (RY)의 접점(S1)이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브레이크등 (L2)은 점등상태가 된다.
즉, 자등차의 주행시 급제동을 위하여 순간적으르 브레이크페달(6)을 밞으면 자동차의 주행이 급정지됨과 동시에 저항(R3)및 콘텐서(C2),(C3)에 의하여 뒤에서 따라오는 자동차로 하여금 전방에 위치한 자동차의 급제동시 이에 대한 대처를 할수 있도록 충분히 설정된 시정수 동안 브레이크등(L2)이 점멸 상태로 구동되어 급제동 상태임을 뒤에 따라오는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상기 시정수에 의한 시간이 경과되면, 종래의 제동상태와 같이 구동되어 브레이크등(L2)이 점등 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중에 브레이크 페달(6)을 밟아서 급제동 상태가 아닌 서행 제동을 하는 경우에는, 그때의 가속력이 자동차의 앞쪽으로 집중하게 되지만, 그힘 자체가 급제동시에 비하면 현저하게 작은 것이어서, 상기 급제동 감지센서(1)내의 형형유지 보올(3)에 미치는 작용, 반작용력도 매우-적게되므로, 평행 유지 보올(3)이 평형 상태로 유지하게 됨에 따라 급제동 상태가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에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접속된 릴레이(RY)가 구동되지 못하게 되므르, 평상시 도통상태인 접점(S1)및 브레이크페달(6)에 의하여 도통된 브레이등 스위치(S2)를 통하여 브레이크등(L2)에 전원이 인가되어 브레이크등(L2)은 점멸되지 않고 점등 상태로 표시하게 된다.
즉, 자동차의 서행 제동시에는 브레이크등 (L2) 이 점멸되지 않고 점등 상태로 되어 제동중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급제동을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순간적으르 밟게 되면, 브레이크등이 일정 시간동안 전멸 상태로 구동되어 뒤에 따라오는 자동차에게 경고표시를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대처할수 있게한후, 상기의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점등상태가 되고, 서행 제동의 경우에는 브레이크등의 점등 상태로만 구동되므르, 급제동에 의한 긴박한 상황을 뒤에서 따라오는 운전자에게 쉽게 알려줄 수가 있는 것이어서 뒤에 따라오는 자동차로 하여금 이에 대한 충분한 대처를 할수있게 함은 물론, 비나 눈등으르 인하여 전방의 시야가 어두운 겅우에도 점멸 싱태로 구동되는 브레이크등으로 인하여 이를 쉽게 판별할수 있도륵 하게 되므로, 안전사고 및 재산상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제동시 브레이크 신호 표시장치에 있어서, 급제동 감지센서(1)에 연결 접속된 저항(R1), (R2)및 콘덴서(C4), (C2)로 구성된 급제동 감지부(10)에 타이머 IC (IC1)와 저항(R3)콘덴서 (C1~C2)로된 시간지연 회로부(20)와, 타이머 IC (IC2) 및 저항(R4),(R5)과 콘덴서(C6∼C8)로 연결된 펄스발생부 (30)와 트랜지스터(Q1)및 릴레 이(RY)로된 구동 출력부 (40)를 연결 접속하고. 상기 구동출력부 (40)의 릴레이 (RY)의 접점(S1)은 자동차용 축전지 (BT)및 브레이크등 스위치 (S2)와 전조등 및 후미등 스위치 (S3)와, 후미등 (L1)및 브레이크등(L2)으로 연결된 자동차의 후미등 및 브레이크등 점등회로 (50)의 브레이크등 스위치 (S2)의 일측 및 브레이크등(L2)의 일측 단자 사이에 연결 접속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 신호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제동감지센서(1)는 힌쪽의 바깥면 중앙부에 자성체(4)가 붙임 고정되고, 안쪽면의 양끝단 부분에 접점(2)이 형성된 측벽(5)을 안쪽면이 대향하도륵 고정 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평형 유지보올 (3)을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됨을 특징으르 하는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 신호 표시장치.
KR2019880012959U 1988-08-05 1988-08-05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KR910001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959U KR910001454Y1 (ko) 1988-08-05 1988-08-05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959U KR910001454Y1 (ko) 1988-08-05 1988-08-05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36U KR900004836U (ko) 1990-03-07
KR910001454Y1 true KR910001454Y1 (ko) 1991-03-04

Family

ID=1927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959U KR910001454Y1 (ko) 1988-08-05 1988-08-05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4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836U (ko) 199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130A (en) Sudden-stop brake-light warning system
US6850156B2 (en) Anti-collision safety system for vehicle
US5594416A (en) Deceleration warning system
US3026498A (en) Safe trailing distance warning systems for vehicles
US4983952A (en) Brake actuated flashing ligh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3778763A (en) Turn actuated alarm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910001454Y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지신호 표시장치
US3286055A (en) Impact switch
US3439325A (en) Signalling means for indicating change in speed of an automotive vehicle
US7242287B1 (en) Vehi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GB2307740A (en) Device for activating a warning lamp on a vehicle
GB2149169A (en) Hazard warning means for road vehicles
JPS6243440Y2 (ko)
EP0860322A1 (en) Brake light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0369039B1 (ko)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WO1992019467A2 (en) Sudden-stop brake-light warning system
KR0156408B1 (ko) 자동 비상등 작동시스템
JPS6239518Y2 (ko)
KR850002160Y1 (ko) 자동차의 차선 이탈 경보장치
KR200218247Y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JPH0529950Y2 (ko)
KR890004393Y1 (ko) 자동차용 안전 표시기
JPS6353051B2 (ko)
KR970010194B1 (ko) 자동차 비상등의 자동점등 장치
GB2394272A (en) A safety device to reduce vehicular rear end colli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