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403Y1 -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03Y1
KR850001403Y1 KR2019850005941U KR850005941U KR850001403Y1 KR 850001403 Y1 KR850001403 Y1 KR 850001403Y1 KR 2019850005941 U KR2019850005941 U KR 2019850005941U KR 850005941 U KR850005941 U KR 850005941U KR 850001403 Y1 KR850001403 Y1 KR 85000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key
rotor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모리가와
사다오 고구부
다다시 히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도오가이 리가덴기 세이사구쇼
오오이와 다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3626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075A/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도오가이 리가덴기 세이사구쇼, 오오이와 다가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도오가이 리가덴기 세이사구쇼
Priority to KR2019850005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operating on the steering wheel, e.g. bars locked to the steering wheel r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에 비치한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의 a내지 c는 제1도의 선A-A에 따른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안에서 사용되는 록샤프트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B-B에 따른 횡단면도.
제5도의 a 내지 c는 제1도의 선 C-C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모우터 차량에 사용하는 스티어링 록장치에 관한 것인데,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샤프트를 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우터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를 록하는 여러가지 록장치가 제기되어서 모우터 차량에 대한 도난방지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록장치들에는 점화스위치의 개폐를 하기 위해 캠샤프트와 연결되게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는 로우터 케이스에 맞물린 로우터가 비치되어 있는데 이 캠샤프트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록방향으로 밀리는 록바아와 연결된 캠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배치에 의하여 로우터를 회전하기 위해 이 로우터에 키이를 삽입하는 오프(OFF) 위치에 점화스위치를 설치하여서 점화스위치를 작동하게 되고, 록 바아는 캠샤프트에 의하여 비록위치에 이동되고, 그 다음 이 점화스위치는 키이를 로우터에서 방출하는 오프위치에 환원되고, 록바아는 이것의 미는 힘에 의하여 록위치에 이동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는 여러개의 물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여서 조립시용이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종래의 제결점을 제거할 수 있고, 기능이 안정되고 구조가 간단하고 그리고 조립이 용이한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차량용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가 비치되어 있는데, 이것에는 키이가 로우터에 맞물리어서 하우징의 내측에서 로우터 케이스와 맞물린 로우터가 함께 작동되게 조작되어 있는 캠과 연결된 스티어링 샤프트의 록방향으로 미는 록바아와 함께 키이가 회전할시에 록바아가 캠에 의하여 비록 위치로 변위되고, 키이가 로우터에서 방출된때에 록바아는 스티어링의 탄력에 의하여 록위치로 이동하기에 적합하며, 슬라이드 피이스가 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로우터의 키이 구멍에 직경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맞물리어 단면이 이 로우터의 외주면과 일치할 수 있게 이동하기에 적합하고 상기한 로우터 케이스쪽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록샤프트가 비치되어 이것의 일단에 접촉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 접촉점은 상기한 슬라이드 피이스의 단면에 대하여 접촉되게 하여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단에 맞물린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은 비록위치에 상기한 록바아에 맞물릴 수 있고, 스프링이 비치되어 이것은 상기한 록바아의 부세력보다 약한 탄력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한 슬라이드 피이스에 접촉되게하여 정지하게 하는 접촉부분과 함께 상기한 맞물린 부분이 록바아에 맞물리는 중립위치에 록샤프트를 지지하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본 장치의 슬라이드 피이스는 록샤프트의 회전을 조정하기에 적합하고 키이를 모우터에 삽입하여서 이 로우터는 점화스위치의 온(ON) 위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에 의하여 록바아를 비록위치에 움직인 다음 키이를 오프 위치에 다시 회복한때에 록바아는 비록위치에 맞물리어 보류된다.
록바아를 맞물리어 보류하고, 또 키이의 발출로 록바아의 맞물리는 것을 해제하는 기구로서 록샤프트는 회전중립 스프링(이하 스프링이라 함)에 의하여 중립위치에 보류된다.
슬라이드 피이스는 슬라이드 형이나 회전형으로 할 수 있고 스프링은 코일이나 판으로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것과 그외의 목적 및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적당한 형체에 관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분명하게 된다.
본 고안의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첨부한 도면의 여러 도형을 통하여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이제 도면을 보면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7)에 설치한 원통형상으로 된 키이복스에 하우징(1)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를 제1도에 나타내고 있다.
이 하우징(1)의 안에는 그 일단에 배치된 개구에서 이 하우징(1)에 내설하여 고정된 로우터 케이스(2)가 있고, 이것에 키이(10)를 수용하는 키이구멍(3)을 가진 직경이 큰 다수의 텀블러(15)를 설치한 로우터(4)가 공지하는 방법으로 스토퍼(도시생략)와 같은 지지기구에 의하여 방출이 불가능하게 지지되었으나, 회전은 가능하게 맞물리어 있다.
로우터(4)에는 반지름 방향으로 스릿(4b)이 천설되어 있으며, 이 스릿(4b)안에는 텀블러(15)를 설치하되 이 텀블러(15)에는 스프링(16)을 탄설하여서 이 스프링(16)의 탄력에 의하여 로우터케이스(2)의 내주면에 형성된 맞물림 홈(2c)(2d)의 방향으로 힘을주고 있으므로 키이(10)가 키이구멍(3)에서 반출되었을때에는 텀블러(15)의 선단이 맞물림홈(2c)(2d)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어, 로우터(15)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고, 키이(10)를 키이구멍(3)에 삽입하면 키이(10)의 단면(10b)이 텀블러(15)를 로우터(4)에 끌어 넣어서 그 양단면과 로우터(4)의 외주면이 일치하게 되므로 로우터(4)는 로우터케이스(2)안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 로우터(4)의 내단에는 연결부분(4a) 및 (5a)로 로우터(4)에 캠샤프트(5)가 연결되었으며, 이 캠샤프트(5)는 로우터(4)가 회전하면 로우터(4)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그리하여 공지된 구조의 점화스위치(도시생략)는 공지된 방법으로 전도되게 놓인다.
하우징(1)에는 비록위치에 스티어링 샤프트(7)의 회전운동을 록하기 위해 스티어링 샤프트(7)의 내측에 록 홈(7a)이 천설되어 있고, 이 록 홈(7a)에 록 바아(9)의 외측부분(9c)이 감합되게 록위치에 있는 스티어링 샤프트(7)의 록방향을 향하여 코일 스프링(8)의 탄력으로 록 바아(9)가 캠샤프트(5)의 밑에 비치되어 있으며, 록 바아(9)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부분(9a)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캠샤프트(5)의 캠(6)에 활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배치에 의하여 키이(10)를 로우터(4)의 키이구멍(3)에 삽입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오프(OFF)위치에서 온(ON) 위치로 회전할 시에는 점화스위치가 작동함과 동시에 캠샤프트(5)의 캠(6)으로서 록바아(9)를 비록위치에서 활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리고 키이(1()와 함게 로우터(4)를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다시 오프위치에 반환할시에는 록 바아(9)가 정지되어서 다음에 기승하는 방법으로 록샤프트(13)에 의하여 비록위치에서 정지되어 지지된다.
그 다음 키이(10)를 로우터(4)의 키이구멍(3)에서 발출할시에는 코일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록위치로 활동되게 오프위치에서 해제된다.
이제 제2도, 키이(10)를 수용하는 로우터(4)에는 노치홈(3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이 노치홈(3a)에는 키이구멍(3)이 형성된 슬라이드 피이스(11)가 활동이 장롭게 비치되었으며, 로우터(4)의 외주면과 같이 만곡된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을 형성하였으며, 또 어깨(10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 내단(11b)을 가지고 있어서 키이(10)를 키이구멍(3)에 삽입할시에는 키이(10)의 어깨(10a)와 내단(11b)이 접하여서 로우터(4)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은 아래로 향하여 강제로 움직이고, 반대로 키이(10)를 키이구멍(3)에서 발출할시에는 슬라이드 피이스(11)는 위로 향하여 자유로히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로우터(4)와 키이구멍(3)에 삽입한 키이(10)의 배치는 내단(11b)과 이것의 어깨(10a)대신에 상기한 로우터(4)와 키이(10)의 사이에 비치되는 다른 착설부분을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1도를 다시보면 로우터 케이스(2)와 함께 하우징(1)의 내측하단부에는 둥근 형상인 횡단면을 가진 긴길이로 된 샤프트(13)를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로우터 케이스(2)의 아래벽과 하우징(1)의 내벽을 통하여 놓이는 맞물림홈(1a)와 (2a)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록샤프트(13)의 일단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으로는 반원 요면형상인 제1 스토퍼(13a)가 비치되어 있으므로 키이(10)의 삽입으로 슬라이드 피이스(11)가 아래로 향하여 움직여서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과 상기한 제1스토퍼(13a)의 측면(13a1)이 닿을때까지 아래로 향하여 움직이며, 반대로 키이(10)의 발출로 슬라이드 피이스(11)가 위로 향하여 움직여서 그 외단면(11a)과 제1 스토퍼(13a)의 측면(13a1)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에, 록샤프트(13)는 자유로히 회전할 수 있으며, 록샤프트(13)의 중심부 하방 요홈(13c)에 스프링(14)을 설치하되 그 양단( 14a)와 (14b)가 로우터케이스(2)의 하벽면(2b)(2b)에 접하게 설치되었으므로 록샤프트(13)의 제1 스토퍼(13a)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피이스(11)와 접하는 중립위치에 항상 머무르고 있으며, 그리고 록샤프트(13)의 타단에는 이것에 록바아(9)의 돌기(9b)를 지지하는 제2스토퍼(13b)가 비치되었으며, 이 제2스토퍼(13b)는 록바아(9)의 돌기(9b)의 접합으로 록 바아(9)가 비록위치에 머물러 있고, 반대로 록 바아(9)의 돌기(9b)와 제2 스토퍼(13b)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록 바아(9)는 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록 위치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그리고 록 샤프트(13)의 제2스토퍼(13b)는 스프링(14)에 의하여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9b)와 맞물리는 정지위치에 항상 머무르고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 스프링(14)은 록샤프트(13)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록샤프트(13)의 요홈(13c)에 수용되어서 로우터 케이스(2)의 하벽면(2b) 및 (2b)와 각각 접촉하는 양방향 즉 시계회전 방향과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양단(14a)와 (14b)를 미는 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록샤프트(13)를 스프링(14)의 힘으로 원래의 위치인 중립위치에 안정하게 회복하게 되는데 이 중립위치에서 제1 스토퍼(13a)는 그 측면(13a1)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과의 접촉하여 록 샤프트(13)의 시계회전 반대방향의 회전을 제어하고, 이때 제2스토퍼(13b)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록 바아(9)의 돌기(9b)와 접촉하였으므로 록 바아(9)의 전진을 제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중립위치에 있는 스프링(14)은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록바아(9)를 전방으로 미는 코일스프링(8)의 희보다 약한 힘을 가진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록 샤프트(13)가 키이(10)의 발출로 자유로히 회전할 수 있을때에 록 바아(9)는 돌기(9b)를 제2 스토퍼(13b)에서의 접촉이 해제되게 코일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움직인다.
또한 스프링(14)은 상술한 코일형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판형이나 와이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에서 키이(10)의 삽입이 없이 제2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피이스(11)가 스프링(14)의 탄력에 의하여 중립위치에 놓인 록샤프트(13)의 제1 스토퍼(13a)에 관계없이 어느 위치에든지 자유로히 놓일지라도 록 바아(9)는 제5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록위치로 움직여서 스티어링 샤프트(7)위 록홈(7a)에 록바아(9)의 외측부분(9c)이 삽입되어 스티어링 샤프트(7)를 고착시킨다.
그리하여 핸들(도시생략)은 조종할 수 없어서 로우터챠량의 도난이 방지된다.
키이(10)를 로우터(4)의 키이구멍(3)에 삽입하고 그 다음에 공지의 방법으로 종래형의 다수의 텀블러(15)(15)… 및 (15)에 의하여 이것이 적합한 것임을 대조하여 해당형의 스티어링 고착장치에 적당한 것을 알게된때에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은 아래로 향하여 움직여서 로우터(4)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되어서, 제2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립위치에 놓인 록샤프트(13)의 제1 스토퍼(13a)의 측면(13a1)에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키이구멍(3)에 삽입되어 있는 키이(10)를 온(ON) 위치를 향하여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 샤프트(5)와 로우터(4)를 함께 회전하면 로우터(4)의 외단면(11a)은 제2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샤프트(13)의 제1 스토퍼(13a)의 측면(13a1)에 계속하여 접촉하고 록바아(9)는 로우터(4)와 공동 작용하는 캠샤프트(5)의 캠(6)의 종동부분(9a)과의 접촉에 의하여 코일스프링(8)에 부딪혀서 비록위치로 향하여 움직이므로, 돌기(9b)는 록샤프트(13)의 제2스토퍼(13b)에 접촉한 다음 이것을 넘어가고 이때 제1스토퍼(13a1)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며, 아울러 록 샤프트(13)는 스프링(14)의 작용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회복되게 스프링(14)의 탄력에 대하여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서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9b)가 제2스토퍼(13b)에 접촉하여서 록위치에 향하여 록 바아(9)의 돌기(9b)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로우터(4)를 키이(10)에 의하여 오프위치에 회복되게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록 바아(9)가 제5(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6)에 의하여 비록위치에 지지되지 않을때에 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록방향으로 귀환하는 캠의 힘은 돌기(9b)와 제2스토퍼(13a)를 통하여 전달되어서 록 샤프트(13)를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연활을 하게한다.
그러나 록 샤프트(13)의 제1스토퍼(13a)의 측면 (13a1)이 로우터(4)의 외주면과 일치되어 있는 제2(b)도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에 접촉하므로, 록샤프트(13)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것을 방지하므로 록 바아(9)는 비록 위치에 확실하게 계속하여 정지된다.
록 바아(9)를 록샤프트(13)의 제1 스토퍼(13a)에 의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해제할시에는 키이(10)를 키이구멍(3)에서 발출하면 제2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에서 제1 스토퍼(13a)의 측면(13a1)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슬라이드 피이스(11)는 제1스토퍼(13a)에서 위로 향하여 움직이는 슬라이드 피이스(11)이동과 동시에 돌기(9b)에는 제2 스토퍼(13b)를 통하여 스프링(14)의 힘보다 큰 코일스프링(8)의 힘이 록 바아(9)에 전달되므로 록 바아(9)에는 전진함과 동시에 록 샤프트(13)는 시계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하여 록 바아(9)는 제5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7)의 고착위치로 이동하되 록 바아(9)의 돌기(9b)가 록샤프트(13)의 제2 스토퍼(13b)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록샤프트(13)는 스프링(14)의 탄력에 의하여 중립위치에 다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에서 키이구멍(3)에 키이(10)를 삽입하여 로우터(4)를 회전하여서 캠(5)으로 록 바아(9)가 비록 위치로 움직이게 하여 점화스위치를 온 위치로 한 다음 비록위치에 록바아(9)를 정지하여 지지하기 위해 키이(10)의 회전으로 로우터(4)를 점화스위치의 오프위치에 회복한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에는 키이(10)를 로우터(4)에서 발출할시에 록 바아(9)의 정지를 해제하는 기구로서 사용하는 록샤프트(13)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프링(14)과 슬라이드 피이스(11)에 의하여 중립위치에 정지되는 록샤프트(13)가 비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스티어링 샤프트 록장치는 근본적으로 슬라이드 피이스(11)와 스프링(14) 및 록샤프트(1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므로 쉽게 구성할 수가 있다.
이것에 부가하여 록 바아(9)는 록샤프트(13)를 회전하면 정지된 상태에서 지지와 해제가 되므로, 슬라이드피이스(11)에 키이의 삽입을 간섭하는 것에 슬라이드 피이스(11)를 미는 힘이 존재하지 않고 키이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 할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그 실시예를 충분히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경과 가공은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는 명백하게 되는 것을 알게된다.
그러므로 다른 구성으로 이러한 변경과 가공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으면 이들 변경과 가공은 본 고안에서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Claims (1)

  1. 하우징(1)내의 로우터 케이스(2)에 감합된 로우터(4)에 연동되는 캠(6)에는 스티어링 샤프트(7)의 록방향으로 스프링(8) 힘이 가해지는 록 바아(9)를 연결해서, 키이(10)를 키이구멍(3)에 삽입 회전시 캠(6)으로 록 바아(9)를 비록위치로 변위시키고 키이(10)를 키이구멍(3)에서 발출할시에 록 바아(9)는 스프링(8)의 탄력에 의하여 스티어링 샤프트(7)의 록위치에 변위되게 구성된 공지의 스티어링 샤프트 록 장치에 있어서, 키이구멍(3)에 키이(10)의 삽입으로 외단면(11a)이 로우터(4)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변위하는 슬라이드 피이스(11)를 키이구멍(3) 안에 감합하였으며, 하우징(1)의 내측 하방에는 일단에 슬라이드 피이스(11)의 외단면(11a)과 당접하여 일방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스토퍼(13a)와 타단에 비록위치에 록 바아(9)를 정지하기 위해 돌기(9b)와 당접하는 제2스토퍼(13b)가 비치된 록 샤프트(13)를 설치하고, 이 록샤프트(13)의 중심부 하방요홈(13c)에는 코일스프링(8) 보다 약한 탄력으로 록 샤프트(13)를 중립위치에 지지하는 회전중립 스프링(14)을 설치하여서된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KR2019850005941U 1979-10-19 1985-05-21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KR85000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941U KR850001403Y1 (ko) 1979-10-19 1985-05-21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626A KR830001075A (ko) 1979-10-19 1979-10-19 차량의 스티어링 고착장치
KR2019850005941U KR850001403Y1 (ko) 1979-10-19 1985-05-21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626A Division KR830001075A (ko) 1979-10-19 1979-10-19 차량의 스티어링 고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03Y1 true KR850001403Y1 (ko) 1985-07-08

Family

ID=2662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941U KR850001403Y1 (ko) 1979-10-19 1985-05-21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4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5072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取り付ける盗難防止装置
KR950013359B1 (ko) 스티어링 로크 장치
US6539758B2 (en) Push-button steering wheel lock
US3527071A (en) Locking device,in particular for theft prevention on automotive vehicles
US5229747A (en) Tamperproof lock
US4426864A (en) Cylinder lock
CA2300123A1 (en) Disc tumbler lock and key
JPS58145546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US2182588A (en) Lock
US4333325A (en) Steering shaft locking device
US4328688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USRE29744E (en) Key controlled security apparatus
EP0978608A1 (en) Cylinder lock mechanism
KR850001403Y1 (ko) 차량의 스티어링 록장치
US4148201A (en) Locking device
US5630331A (en) Key cylinder automatic returning device for cylinder lock device
JP2881103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H0559849A (ja) シリンダ錠
JP4044340B2 (ja) ロック装置
JPH0332215Y2 (ko)
JP2894943B2 (ja) シリンダ錠装置
KR950008149B1 (ko) 자동차의 조향축 잠금장치
JP3053927B2 (ja) フリーターン式シリンダ錠装置
JPS5851324Y2 (ja) シリンダ錠
JP3373564B2 (ja) 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