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241Y1 -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241Y1
KR850001241Y1 KR2019830001683U KR830001683U KR850001241Y1 KR 850001241 Y1 KR850001241 Y1 KR 850001241Y1 KR 2019830001683 U KR2019830001683 U KR 2019830001683U KR 830001683 U KR830001683 U KR 830001683U KR 850001241 Y1 KR850001241 Y1 KR 850001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late
drainage
parking lot
collec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73U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01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241Y1/ko
Publication of KR840004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73U/ko
Priority to KR2019850004394U priority patent/KR850001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설상태를 단면도시한 케이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설상태를 나타낸 케이지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구분도시한 단면도로서 제3(a)도는 폐쇄 상태도,제3(b)도는 개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인 작동판과 파워실린더의 분리사시도.
본 고안은 케이지의 승강로를 형성하는 탑체의 상하부에 스프로켓을 설치하여 상하 스프로켓에 연결시킨 엔드레스체인에다 다수의 차량수납용 케이지들을 등간격으로 배설(配說)하여 가동장치에 의해 스프로켓을 회전 구동시켜주므로서 각 케이지들이 수직으로 순환되게한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설비의 각 케이지내에 배수처리장치가 없었던 것이어서 우천시 비를 맞은 차량을 케이지내에 입고 적재시켜 주게되면 차량에서 흘러내리는 빗물등이 케이지 바닥에 떨어져 그대로 남아 있게되며 이런 상태에서 각 케이지들을 상하로 승강운행시켜주게되면 바닥에 흘러있던 물이 밑에 있는 다른 케이지로 떨어져 내리게 되므로서 타 차량을 더럽히게 될 우려가 많고, 일단 케이지 바닥에 떨어져 고여있게 되는 물은 자연적인 증발현상으로 제거될때까지 방관할 수 밖에 없게 되어 그 처리에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야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자연 증발현상에 의한 주차장내의 습도가 높아지게되어 케이지 바닥이나 차량이 습기에 의한 산화부식률이 높아지게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케이지 바닥에 떨어져 고인물을 신속히 자동 배수시켜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통상적인 수직 순환식 입체주차장의 각 케이지내에 자동 배수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차량이 올라서는 케이지 바닥판(1)을 소정의 구배로 경사지게하여 그 경사진 일측에 상면이 다공판(2a)으로 된 집수탱크(2)를 부설하고, 탄발스프링(3)에 탄지되어 집수탱크(2)의 배수공2b)을 개폐토록한 개폐마개(4)의 승강축봉(5)상단에는 저면이 경사진 작동판(6)을 연설시켜서 동 작동판(6)과 피트내에 별도설치된 파워실린더(7)의 진퇴봉(8) 선단에 연설되어 상면이 경사지게 구성된 슬라이드판(9)이 상호 접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인 것이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집수탱크(2)위로 차량이 진입됨을 방지하는 스토파, 11은 파워실린더(7)와 연결작동되는 전진확인 리미트스위치, 12는 후진확인 리미트스위치, 13은 피트에 형성시킨 배수로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차량이 올라서는 케이지의 바닥판(1)을 약 1/60 정도의 구배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차체에서 플러내린물이 바닥판(1)에 떨어지게되면 곧바로 경사면을 타고 흘러가면서 다공판(2a)을 통해 집수 탱크(2)에 고이도록 한 것인바, 집수탱크(2)의 상면이되는 바닥판(1)을 다공판(2a)으로 형성시킨 것은 물이외의 오물이 집수탱크(2)내로 침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집수탱크(2)내에 물이 고인뒤 차량의 출입구가 있는 승강로의 하단부에 케이지가 내려와 도착되어 피트에 설한 배수로(13) 위에 집수탱크(2)가 위치하게되면 피트에 별도설치되어 있는 파워실린더(7)가동작하게 되면서 동 실린더(7)의 진퇴봉(8) 선단에 연설시킨 슬라이트판(9)을 전진시켜주게 됨에 따라 슬라이드판(9)의 경사면에 접동되게한 작동판(6)이 슬라이트판(9)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동판(6)이 상승하게되면서 승강축봉(5)도 탄발스프링(3)은 압출시키면서 개폐마개(4)를 상승시키게 되어 집수탱크(2)의 배수구(2b)를 열어주게되므로 집수탱크(2)내에 고여있던 물이 배수구(2b)를 통해 피트내의 배수로(13)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전진확인 리미트스위치(11)에 의해 파워실린더(7)의 진퇴봉(8)이 다시 후퇴하게되면 작동판(6)이 슬라이트판(9)의 구속에서 벗어나게되므로 압축 되었던 탄발스프링(3)의 복귀력에 의해 작동판(6) 및 승강축봉(5)이 하강케됨에 따라 개폐마개(4)가 다시 집수탱크(2)의 배수구(2b)를 막아주게되므로서 피트내의 정해진 위치가 아닌 곳에서는 물이 배수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진확인 리미티스위치(12)는 파워실린더(7)가 완전히 후진된 것을 감지하여 파워실린던(7)을 전원을 OFF시켜주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천시 비를맞은 차량을 케이지내에 적재시켰을 때 케이지 바닥에 떨어져 흐르게되는 빗물등을 신속히 집수탱크로 유도하여 고이게한뒤 케이지가 운행되어 차량출입구가 있는 승강로의 하단부에 도착되었을때 피트내의 배수로를 통하여 집수탱크내에 고였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되게한 것이므로 신속한 배수처리가 가능함에 따라 종래 자연증발에 의존하던 경우에 비해 배수처리시간이 신속하고 타차량에 물이 떨어지지 않게 함은 물론 주차장내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므로서 케이지 바닥이나 차량의 습기에 의한 산화부식률을 저하시켜 주게되는 매우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적인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각 케이지 내에 자동배수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차량이 올라서는 케이지 바닥판(1)을 소정의 구배로 경사지게하여 그 경사진 일측에 상면이 다공판(2a)으로된 집수탱크(2)를 부설하고, 탄발스프링(3)에 탄지되어 집수탱크(2)의 배수공(2b)을 개폐토록한 개폐마개(4)의 승강축봉(5)상단에는 저면이 경사진 작동판(6)을 연설시켜서 동 작동판(6)과 피트내에 별도설치된 파워실린더(7)의 진퇴봉(8)선단에 연설되어 상면이 경사지게 구성된 슬라이트판(9)이 상호 접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
KR2019830001683U 1983-02-25 1983-02-25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KR850001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683U KR850001241Y1 (ko) 1983-02-25 1983-02-25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KR2019850004394U KR850001243Y1 (ko) 1983-02-25 1985-04-19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683U KR850001241Y1 (ko) 1983-02-25 1983-02-25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394U Division KR850001243Y1 (ko) 1983-02-25 1985-04-19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73U KR840004273U (ko) 1984-09-20
KR850001241Y1 true KR850001241Y1 (ko) 1985-06-19

Family

ID=380008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683U KR850001241Y1 (ko) 1983-02-25 1983-02-25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KR2019850004394U KR850001243Y1 (ko) 1983-02-25 1985-04-19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394U KR850001243Y1 (ko) 1983-02-25 1985-04-19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50001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879B1 (ko) * 2010-12-09 2013-03-20 (주)홍보컴퍼니 기계식 주차 설비에서의 배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879B1 (ko) * 2010-12-09 2013-03-20 (주)홍보컴퍼니 기계식 주차 설비에서의 배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243Y1 (ko) 1985-06-19
KR840004273U (ko) 198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900010U1 (de) Geruchsverschluß für ein Urinal
EP0219622A2 (de) Vorrichtung zum Steuern mindestens eines Gasstromes
KR850001241Y1 (ko) 수직순환식 입체주차장의 케이지내 자동 배수장치
KR950013888B1 (ko) 자동차 주차시스템
DE60102701T2 (de) Kraftfahrzeug mit schirmhalterungsbehälter
EP2910685B1 (de) Fischlift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Fischlifts
DE4042646C2 (de) Parkvorrichtung für Personenkraftwagen
KR101175052B1 (ko) 애완동물 배변기
US4203390A (en) Aquatic exercise facility with island
DE3915076A1 (de) Vorrichtung an einem fluessigkeitsspeicherraum zum selbsttaetigen spuelen des leergelaufenen speicherraumes
JPH0941429A (ja) 初期降雨水の除去装置
DE3907590A1 (de) Spuelheber
JPH06227773A (ja) エレベータ昇降路
DE10220254A1 (de) Geruchsverschluss
KR102553614B1 (ko) 건축용 배수로 덮개
US3828931A (en) Submerged litter collector
EP1127988A2 (de) Bodenablauf mit Schwimmerverschluss
DE20209988U1 (de) Parksystem für Personenkraftwagen
DE3300812A1 (de) Ventilanordnung fuer toiletten mit wasserspuelung
DE2601282A1 (de) Vorrichtung zum entleeren und selbsttaetigen fuellen eines wasserspeichers, insbesondere toilettenspuelkasten
JPH02225Y2 (ko)
EP0565483B1 (de) Becken in einer Abwasseranlage
JPH0737684Y2 (ja) 上澄水の抜出装置
DE29916027U1 (de) Parkplattform
JPH08158683A (ja) 立体駐車設備用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