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76Y1 - 사출기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기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76Y1
KR850001176Y1 KR2019840000063U KR840000063U KR850001176Y1 KR 850001176 Y1 KR850001176 Y1 KR 850001176Y1 KR 2019840000063 U KR2019840000063 U KR 2019840000063U KR 840000063 U KR840000063 U KR 840000063U KR 850001176 Y1 KR850001176 Y1 KR 850001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oling
plate
outle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986U (ko
Inventor
아아르 호오므즈 죤
지이죠오단 로이
Original Assignee
디스커비죤 어소시에이츠
로늘드 제이클라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커비죤 어소시에이츠, 로늘드 제이클라아크 filed Critical 디스커비죤 어소시에이츠
Priority to KR2019840000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176Y1/ko
Publication of KR840005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7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velocity or pressure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출기용 냉각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원리에 따른 냉각장치를 갖고 있는, 중앙에 구멍이 있고 나선형 트랙(track)이 있는 레코드를 복제하기 위한 사출기(injection molding apparatus)를 나타낸 제7도의 선 1-1에 따른 그려진 부분적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원리에 따른 냉각장치를 갖고 있는 중앙에 구멍이 있고 나선형 트랙이 있는 레코드를 복제하기 위한 사출기를 나타낸 제7도의 선 2-2에 따라 그려진, 제1도와 비슷한 단면도.
제3도-제6도는 제1도 , 제2도에 나타낸 사출기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의 순서를 도식적으로 나타냄.
제7도는 제1도에 나타낸 사출기 운동부의 냉각장치를 나타냄.
제8도는 제1도에 나타낸 사출기 고정부의 냉각장치를 도시시켜 나타냄.
제9도는 제1도에서 9로 나타낸 원형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에서 10으로 나타낸 원형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제1도에서 11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제1도에서 12-12로 자른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허용가능 비데오 디스크의 두께와 복굴절치의 변화관계를 나타낸 그라프.
제14도는 허용불가 비데오 디스크의 두께와 복굴절치의 변화관계를 나타낸 그라프.
본 고안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부품을 주조하기 위한 사출기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사출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를 제조하는 사출기의 냉각장치에 관련된 것이며, 정밀하게 가운데 구멍이 위치해야하는 사출 레코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기를 위한 냉각장치를 또한 제공한다.
어떠한 비데오 디스크 시스켐에서는 비데오 정보가 레코드 표면의 나선형 트랙에 있는 빛 산란(scattering) 또는 빛 반사(reflecting)부재의 형태로 저장된다. 녹화된 것을 재생하기 위하여 레코드를 회전 턴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레코드와 판독기(reading assembly) 사이에 상대운동을 일으킨다. 판독기에는 레이저 비임을 발생하여 비데오 정보가 녹화된 트랙에 충돌하도록 레이저 비임의 방향을 정해주는 레이저 광학장치가 있다.
이 광학장치에는 대물렌즈(對物 lens, objective lens) 계통이 있는데 레이저 비임이 나선형 트랙상에 주사되도록 하고 나선형 트랙으로 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집한다. 수집된 신호는 관련된 전자 회로로 보내져서 텔레비젼 수상기에 나타내기 적당하게 변화된다.
이러한 비데오 디스크 씨스템에서는 충돌하는 레이저광과 레코드간의 평균상대운동 속도가 미리 결정된 속도 1800r.p.m.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주기적 속도 변화도 제한된다. 주기적 속도 변화를 감소시켜야 재생되는 텔레비젼 신호의 동기 펄스(synchronizing pulse)가 비교적 안정되고 텔레비젼 수상기의 편향회로(偏向回路, deflection circuit)의 고정범위(lock-up range)내에 있게 된다. 녹화된 정보가 칼라신호일 적에는 주기적 변화는 더욱 좋지 않다.
주기적 속도변화 원인중의 하나는 레코드의 편심에 있다. 그래서 레코드의 중심 구멍이 나선홈의 중심과 고도로 정밀하게 동심원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주기적 속도 변화에 대한 교정을 어느 정도까지는 시간 조정회로에 의하여 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간 조정 회로는 자체적으로 작동 한계가 있어서 어느 일정한 양만큼만 교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를 제작할 당시에 완전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코드의 중심구멍과 나선형 트랙의 동심(同心)의 정도는 트랙 사이의 거리가 몇분의 1미크론 정도일때 특히 중요하다. 전형적 비데오 디스크요소(member)는 빛반사 , 빛 산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트랙형태로 비데오 디스크 요소의 정보가 녹화되는 표면에 위치한다. 이들 빛 반사 또는 산란요소는 비임축을 따라 투사되는 빛 파장의 1/4과 같은 크기가 좋다.
비데오 디스크의 정보 트랙 판독을 위한 레이저 비임 반사 장치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장치에 있어서 비데오 디스크는 복굴절하지 않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플라스틱 재료내에 불순물이 들어 있지 않아서 레이저 비임을 투사했을 때 필요없는 빛 반사나 산란이 없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순물로서는 레코드 제조 과정에서 바로 앞에 사용한 재료가 남아 있어서 새로운 재료와 섞어서 작은 입자가 된 것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불순물로 말미암아 압출과정에서 플라스택재 내에 응력을 유도할 수도 있다.
비데오 디스크 비데오 정보의 충실한 재생을 하기 위해서도 동심성(同心性, concentricity)이 요청된다. 정적 불평형으로 인한 진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디스크의 무게 중심은 회전 중심으로 부터 0.25mm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 또 정보 트랙의 중심은 훌륭한 동작을 위하여 디스크의 무게 중심은 회전 중심으로 부터 0.025mm -0.05mm 이내에있어야 하며 보통의 플레이어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전자회로의 시간조정 능력내에 놓이기 위해서도 이와 같이 되어야 한다. 정보 트랙의 중심과 회전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은, 부분적으로는 주입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열에 의하여 스탬퍼 부재(stamper member)가 비데오 디스크 공동(空洞, cavity)내에서 확장토록 하는 수단을 가진 스탬퍼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동심성(同心性)은 주입구(sprue) 의 제거나 디스크 구멍을 따내는 단계에서도 손상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구멍 따내는 작업을 할때에는 디스크를 회전 중심으로 가까이오거나 멀어져가도록 하는 힘을 작용시키지 말고 행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나선형 정보 트랙 부분에 흐름선(flow line)과 기타 표면 결함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비데오 정보 트랙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비데오 디스크의 전 표면에, 복굴절이 일정토록 하는 비데오 디스크 요소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되는 용융된 풀라스틱 재료와 플라스틱으로부터 생긴 열에 앞서서 스탬퍼로 하여금 미리 정해진 한계내에서 자유롭게 해주는 플래튼 조립체(platen assembly)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기의 플래튼 부속 조립체(platen sub-assembly)를 위한 냉각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비데오 디스크 요소의 정보를 간직한 표면에 복굴절이 일정하게 되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생산은 다음과 같이 하여 얼마간 성최될 수 있다. 즉, 주입되는 용융재의 열을 받아 비데오 디스크 스탬퍼부재가 확장하도록 하는 고정장치(holding means)를 설치하고, 주(主) 주입통로와 비데오 디스크 공동(cavity)의 중간에 환형의 주입통로를 설치하여, 주입된 재료내에 응력이 생기지 않도록 디스크 공동 속으로 용융 재료를 흘려보내는 것이다. 제1 반몰드(半 mold, mold-half)와 제2 반몰드는 상반(相反)하여 사출기에 장착된다. 주입 노즐과 연결된 개구부(開口部, Opening)가 있는 주입구 부싱은 플래튼(platen)에 고정된다. 펀치는 끝부분이 주입구 부싱과 물리며 제2 반몰드와 상대적으로 장착된다. 제2 반몰드가 밀페된 위치에 있을때 (1)펀치 끝부분과 주입구 부싱의 개구부는 주입통로를 이루며 (2) 제1, 제2 반몰드는 주입통로 주위에 환형 공동(annular cavity)을 만든다. 환형공동과 주입통로는 가열된 재료가 주입될때 각각 중앙에 구멍이 있는 부품(centrallyapertured part)과 주입구를 형성한다. 가열된 주입재료가 부분적으로 냉각된 뒤에 제1, 제2 반몰드는 밀폐된 위치에서 부터 밀폐된 위치와 열린 위치의 중간위치로 움직이며 이때 펀치는 주입구를 펀치 끝부분 원주를 따라 절단할 위치로 놓이게 된다. 중심 다이로케이터(centering dielocator)와 제1 반몰드는 고정된 중심 스탬퍼 클램프(center stamper clamp)는 다이(die)로서 작용하는데, 여기에 펀치 끝부분이 들어간다. 이 후반몰드들은 분리되어 환형공동을 열게된다. 이때 주입구는 펀치 끝부분에 있게 되며 부품은 펀치 끝 원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반몰드를 이 분리된 후에 주입구제거 장치와 부품제거장치가 작동하여 주입구 , 부품을 펀치 끝부분으로 부터 제거하도록 한다.
개선된 플래튼 조립체에는 스탬퍼의 중심을 잡고 또 스탬퍼가 플래튼 면에 대하여 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떼어낼 수도 있다. 고정 장치에는 또한 스템퍼가 가열된 플라스틱 주입재의 온도 구배하에서 확장하오록 하는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스탬퍼는 가열된 주입재가 비데오 디스크 공등을 채울때 주입재 앞에서 일정하게 확장한다. 플래튼 어셈블리에는 플래튼을 플래튼 표면 온도가 일정토록 유지하기 위한 몇개의 부리된 냉각 채널 냉각 홈(cooling channel)이 있다. 중심펀치(center punch)는 주입된 비데오 디스크부재의 중심에 구멍을 정확하게 펀칭하는 것이다. 중심 펀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 반몰드 확장부판(fixed mold half expanding base plate)과 가동반몰드는 펀치 행정 한계장치에 의하여 정해진 펀치 행정만큼 움직인다.
환형 주입 통로는 제1, 제2 반몰드 부재와 펀치의 끝 부분이 밀폐됨으로 형성된다. 주입 통로에는 주입구 부싱에 의하여 만들어진 제1 구역과 주입구 부싱의 한 부분, 펀치의 끝부분, 내부 쎈터링 로케이터(inner centering locators)와 큼램프의 부분을 포함한 여러 부재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제2 구역이 있다.
주입 통로의 제2 구역은 주입된 재료가 평면파로 일정한 압력으로 비데오 디스크 공동으로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두께가 일정하고 내부 응력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한 비데오 디스크 요소를 만든다. 그러한 비데오 디스크는 디스크의 표면에 있는 정보에 대한 복굴절이 일정하도록 한다.
제1도 , 제2도에는 펜월프사 (Stokes Division of Penwalf Mfg.)에서 제작한 375톤 모델과 같은 사출기(injection molding machine)와 함께 사용될 사출기 (10)을 나타내었다. 사출기(10)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 제작에 사용되며 고정 반몰드(제1반 몰드)(14)로 되어 있다. 고정 반몰드(12)는 고정 몰드를 고정하는 부판(base plate)(16)과 고정 반몰드 확장 부판(fixed mold half expanding base plate)(18)로 되어 있는데 부판(16)은 사출기 (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의 고정 프레임에 부착된다. 또 부판(16)은 다수의 주요한 안내핀 , 지지핀이 있는데 그 중의 하나를 (20)에 나타내었다. 고정 반몰드 안내핀 , 지지핀 부싱(22)을 나타내었는데 펀칭 과정중 부판(18)을 부판(16)에 장착하기 위함이다. (펀칭과정은 고정 부판(16)에 대한 확장 부판(18)이 상대적인 운동에 의하여 일부분 한정된다.)
가등 반몰드(14)는 가동 반몰드 운반판(carrier plate)(30), 가동 반몰드 격판(spacer plater)(32), 가동 반몰드 고정부판(34)로 되어있다. 가동 반몰드 고정부판(34)는 사출기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격판(32)는 몇개의 볼트(도면에 36으로 나타냄)로 고정 부판(34)에 부착된다. 볼트(36)의 윗 부분이 격판(32)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며 격판을 고정부판(34)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격판(32)의 원주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볼트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부판(34)는 몇개의 운동 반몰드 클램프 볼트(도면에 38로 나타냄)로 운반판(30)에 부착된다. 각 클램프볼트(38)은 도면에(40)으로 나타낸 점선 같이 스페이서를 통하여 도면의 점선(42)같이 나사로 부착된다. 클램프 볼트(38)은, 부판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운반판(30), 격판(32), 부판(34)를 모두 단단히 고정시킨다. 각 볼트(38)은 볼트의 윗쪽이 부판(34)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부판(34)와 닿는 접촉면(43)이 미끄럽도록 되어 있다.
지지핀 부싱(44)는 운반판(30)에 붙어있고 지지핀(20)은 부싱(40)내에 위치하여 펀치 작업중 고정 반몰드부판(16)과 운반판(30)사이에 상대적 운동이 있도록 한다. 지지핀(20)은 또한 펀치 작업중 고정 반몰드 확장 부판(18)과 운반판(30)사이에 접속 운동을 하도록 한다. 펀치 작업이 끝난 후에 개방단계의 나머지 구간동안 지지핀(20)은 부싱(44)로 부터 완전히 빼내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지지핀 14는 제5도에서 확장 부판(18)로 부터 제1(primary) 펀칭판 행정 제한장치(primary punch plate stroke limiter)(90)이 떨어진 만큼 가동 스탬퍼(144)로 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펀칭판(50)은 클램프 판(52), 지지판(54)로 되어 있다. 펀칭판(50)은 가동 반몰드 고정판(34)내에서 운반되며 부판(34)에 일체로 부착된 몇개의 안내핀에 의하여 장책되어져 있다. 안내핀중의 한개를(55)로 나타내었다. 클램프 판 부싱은 (56)으로 지지판 부싱은(58)로 나타내었다. 안내핀(55)는 플레이트(52), (54)를 통하여 뻗어있다. 판(52), (54)는 부싱(56), (58)에 의하여 핀(55)상에 장착된다.
안내핀(55)는 점선(6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반몰드 운반판(30)속으로 들어간다. 몇개의 가동 반몰드 운반판 지지 바(support bar)(64)가 볼트(도면에 66으로 나타냄)에 의하여 부판(34)에 부착된다. 지지 바(64)는 점선(72), (7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판(52), (54)의 구멍을 통하여 뻗어 있다.
지지 바(64)는 응용재료가 비데오디스크 공동으로 사출될때 운반판(30) 의 뒷면에 지지력을 더하기 위한 것이다. 제2도에는 펀칭판 정지 바(stop bar)(77)이 지지판(54)와 고정부판(34)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정지바(77)은 몇개의 볼트(이중의 한개를 78로 나타냄)에 의하여 부판(34)에 부착된다. 정지바(77)은 단면이 원형이다. 제2도에 바의 일부분이 왼쪽, 오른쪽에 나타내어져 있다. 정지바(77)은 사출기와 함께 작동하는 주(主) 램(main ram)의 모든 압축력을 본장치가 받아내도록 강도(rigidity)을 보강해준다. 이때에 램의 압축력을 받아내기 위하여 고정판부(34)의 측면부재(34a)도 함께 작용한다. 정지바(77)의 단면이 원형이라 했지만 판재(板材,plate)일 수도 있다. 판재를 사용하면 여러래의 판재가 부판(34)의 원둘레에 배열하여 그 조합된 효과가 지지판(54)를 부판(34)로 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도록 해야 한다.
펀칭(54)는 몇개의 볼트(이중의 한개를 80으로 나태냄)에 의하여 클램프판(52)에 일체가 되도록 부착된다. 클램프판(52)를 지지판(54)로 부터 분해하면 제1 펀칭 판 행정제한 장치(도면에 90으로 나타냄)를 클램프판(52)에 있는 개구부(opening)(92)내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행정제한장치(90)은 운반 판(30)과 부판(18)에 있는 개구부(96), (98)을 통하여 뻗는다. 행정 제한 장치는 부판(16)의 (100)으로 나타낸 면에 닿는다.
몇개의 제2 펀칭판 행정제한 장치는 클램프판(52) 내에 있게 된다. 이 중의 하나를 (102)로 나타내었는데 볼트(104)에 의해 판(52)에 붙어있다. 제1도에서 제2 펀칭판(102)의 끝면(106)은 선(108)로 나타낸 거리만큼 운반판(30)의 밑면(107)로 부터 떨어져 있다. 이 거리(108)은 제4도 , 제5도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 부터 중간 위치까지 운반판(30)에 의하여 움직이는 거리를 나타낸다.
고정 반몰드 부판(16)에는 주입구 부싱(110)이 있고 이는 주입구 부싱 고정링(lockring)(112)에 의하여 위치를 잡는다. 주입구 부싱(110)에는 개구부(114)가 있어 한쪽끝(115)는 사출기의 사출노즐(injectionnozzle)(116)과 만나고 다른 쪽 끝(117)은 비데오 디스크 공동(caviity)와 만난다. 고정 반몰드 확장 부판(18)에 볼트(이중의 하나를 122로 나타냄)에 의해 고정 플래튼(120)이 붙어 있다. 고정 플래튼 (120)에는 고정 스탬퍼(124)가 있는데, 스탬퍼의 내경에 중심 다이 로케이터와 고정중심 스탬퍼 클램프(126)에 의하여 지지되고, 외경에 고정 외측스탬퍼 링 클램프(128)에 의하여 고정된다. 클램프(126)은 고정반몰드 확장 부판(18)과 고정 플래튼(120)을 관통하는 클램프 지지볼트(130)에 의하여 위치를 잡게된다. 고정외측 스탬퍼 링 클램프는 제10도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중앙 스탬퍼 클램프(126)과 고정스탬퍼 (124)사이의 관계는 제9도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가동 반몰드 운반판(30)에는 여러개의 볼트(이중의 하나를 142로 나타냄)에 의하여 가동 플래튼(140)이 붙어 있다. 가동 플래튼(140)에에는 가동 스탬퍼(144)가 있는데 이는 내경은 중심 펀치 로케이터와 가동 중심 스탬퍼 클램프(146)에 의하여 고정되고, 외경은 가동외측 스탬퍼 링 클램프(148)에 의하여 고정된다.
양쪽 외측 링 클램프(128), (148)은 각각의 플래튼(120), (140)에 구멍을 내어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볼트로는 고정을 시키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튼(120), (140)의 왼쪽 끝의 형상을 하여 해체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가동 플래튼(140)은 중심 클램프 고정장치(150)에 의하여 가동반몰드 운반판(30)에 부착된다. 클램프 고정장치(150)에는 많은 볼트가 있어서 클램프(146)을 플래튼(140)에 볼트로 죄어주도록 되어있다. 이 볼트들은 볼트(142)를 위치시키는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운반판(30)내 장치하게 된다.
주입구 제거핀(156)에는 주입구 제거핀 베이스 너트(158)이 있는데 이 너트는 공기 실린더(160)의 피스톤(159)에 지지되어 있다. 중심 구멍 펀치(center hole punch)(162)에는 수직중심구멍 성형 펀치 부재(164)와 펀치 끝 원주면(167)이 있는 수평중심 구멍 성형 펀치 부재(166)이 있다. 중심구멍 펀치 조정너트(168)은 수직 펀치부재(164)의 아랫쪽 단부(170)에 붙어 있으며 펀칭판 지지판(54)의 윗면(94)에 놓인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중심구멍 펀치(162)의 수평 펀치 부재(166)에는 주입구의 한 영역을 이루는 내면(174)상에 언더캇(undercut)(173)이 있다. 용융된 플라스킥 재료가 주입되는 동안에 얼마의 주입 재료는 언더캇 부분을 채운다. 고정 반몰드 확장 부판(18)이 가동 반몰드 운반판(30)으로 부터 분리될 때 언더캇 부분에 있는 플라스틱은 주입구(175)를 펀치(162)에 붙어있도록 잡는다.
중앙의 구멍 부분은(175a)로 나타내었다. 공기 실리더(160)은 볼트(182)에 의하여 지지판(54)의 아랫면(180)에 볼트로 조여진다. 실린더(160)은 부판(34)에 있는 면(184)로 이루어지는 개구부내로 맞도록 설계되었다. 실린더(160)으로의 공기 흡입통로는(186)으로 나타내었고 배출통로는(188)로 나타내었다.
제3도-제6도와 관련하여 사출기의 동작이 서술되었다. 도면에는 전술한 표준적인 사출기에 의한 기본적인 운동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사출기는 장치(10)의 나머지 요소들과 협동하여 본 고안의 사출기를 제공한다. 표준적인 사출기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기본적인 운동 , 장치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는 사출기의 폐쇄위치를 나타내었다. 이 폐쇄위치는 부분적으로 고정 반몰드 고정 부판(16)과 접촉하고 있는 제1 펀칭판 행정 제한 장치(90)의 끝면(100)에 의해 한정된다. 제2펀칭판 행전 제한장치(102)는 가동 반몰드 운반판(30)의 아랫면(76)으로 부터 거리(108)만큼 떨어져 있게된다. 제거핀(156)은 내려와 있는 위치에 있게된다. 펀치(162)의 수평부분(166)도 내려와 있는 위치에 있게된다.
펀 (162)의 끝면(189)와 주입구 부싱(110)의 개구부(114)는 주입구 통로를 형성한다. 제1, 제2 반몰드는 주입구 통로 둘레에 환형 동공을 형성한다. 환형동공과 주입구 통로는 각각 가열된 재료가 주입될때 중앙에 구멍이 있는 부품(175a)와 주입구(175)를 형성한다.
제1 선택적 작동장치(190)은 폐쇄위치(제1도와 제3도)와 개방위치(제5도와 제6도)사이에서 제2 반몰드(14)가 움직이도록 한다. 제1 선택적 작동장치(190)에는 실린더(192)내에 있는 피스톤(191)이 있다. 콘넥팅로드(193)은 피스톤(191)을 부판(34)에 연결시킨다. 압축된 유체가 유체밸브(194)를 통하여 실린더(192)로 들어가서 제2반 몰드(14)를 폐쇄위치(제1도 , 제2도)에서 개방위치(제5도와 제6도(로 움직여 준다. 또 압축 유체가 유체밸브(195)를 통하여 실린더 (192)내로 들어가면 제2반몰드(14)를 개방위치(제5도, 제6도)에서 폐쇄위치(제1도, 제3도)로 움직여 준다.
제1도 , 제2반몰드(12),(14)가 폐쇄위치(제1도, 제3도)에 있을때, (a) 펀치(162)의 끝부분(189)와 주입구 부싱 개구부(114)는 주입구 통로를 이루고, (b) 제1, 제2 반몰드는 주입구 통로 둘레에 환형 동공을 이룬다. 환형 동공과 주입구 통로는 각각 가열된 재료가 주입될 때 중앙에 구멍이 있는 부품(175a)와 주입구(175)를 형성한다.
제2 선택적 작동 장치는 제2 반몰드의 운동에 따라 제1 반몰드(12)를 제2 반몰드(14)와 함께 폐쇄위치(제1도 , 제3도)에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제5도 , 제6도)의 중간 위치 (제4도)로 움직이게 하며, 이때 제1 제2 반몰드가 폐쇄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움직일 때 환형 동공은 폐쇄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제2 선택적 작동장치는 래치장치(latching means)(197)를 포함하는데, 상기 래치 장치에는 다수의 볼트(218)에 의해 고정 반몰드 확장 부판(18)에 부착된 고정 부판(216)이 있다. 제1래치 부재(220)은 몇개의 볼트(222)에 의해 고정 반몰드 고정부판(16)에 부착된다. 제2 래치 부재(224)는 몇개의 볼트(226)에 의해 가동 반몰드 운반 판(30)에 고정된다. 이 래치는 표준 래치이지만 그 운동의 상태는 본 고안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통합되어 졌다. 이 래치 기구는 디트로이드 몰드 기술사회(The Detroit Mold and Engineering Co.)가 제작한 "순간 래치 모델 LL-201" ("jiffy latch model LL-201")과 같은 시판(市販) 표준 래치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래치의 작동 방법은 수평으로 배열된 회전래치 부재 (pivoting latch member)(230)이 중심이 된다. 이는 래치 부재(220),(224)에 의해 생기는 래치 표면과 맞물리는 표면(234)를 가진 피보트핀(232)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서 보면(234)와 래치부재(220), (224)에 의해 생긴 래치면은 선(234)로 나타내어진다. 왜냐하면 윗쪽에서 보기 때문이다. 선 (234)의 길이로 나타나는 피보트 핀의 길이는 래치가 잠긴 상태로 있는 동안 제1 래치 부재(220)이 제2 래치부재(224)와 관련하여 떨어져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이 거리는 제4도에서 선(235)의 길이로 나타내어진다. 래치 장치(197)의 작용은 제4도에 나타낸 선(235)의 길이 만큼 두개의 래치 요소가 움직일 때 가동반몰드 운반판(30)에 대하여 고정 반몰드 확장 부판(18)을 잡아주는 것이다.
제4도는 피보트 핀(232)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를 나타내며 이때 제1래치 부재(220)은 제2래치 부재(224)에 대하여 가장 많이 떨어져 있게 된다. 래치 기구(197)은 제1, 제2 반몰드가 폐쇄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환형 동공이 폐쇄된 상태에 있도록 해준다.
제3도로 되돌아가서, 확장 부판 행정 제한 장치에는 몇개의 볼트(이중의 하나를(240)으로 나타냄)가 있다. 볼트(240)은 고정 반몰드 고정판(16)에 있는 개구부(244)에 맞도록 된 몸체부분(shank portion)(242)가 있다. 머리 부분(245)는 몸체부분(242)에 일체로 연결되며 그 사이에 쇼올더(246)이 있다. 행정 제한장치(240)은 도면에 (2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부판(18)에 나사로 연결된다. 몇개의 그러한 행정 제한 장치(240)이 부판(16)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 장치가 제3도와 같은 폐쇄위치에서 제4도와 같은 중간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회전 래치 부재(232)가 회전할 때 고정 부판(18)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제3 선택적 작동장치(250)은 제1, 제2 반몰드(12)(14)가 폐쇄위치(제1도 , 제3도)에서 중간위치(제4도)로 움직이는 동안 펀치 장치(50)이 제위치에 있도록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이 위치에서 주입구(175)는 펀치 끝부분(166)의 원주면(167)에 의해(175a)부분에서 완전히 절단된다. 펀치 끝 부분(166)이 들어가는 주입구 부싱은 다이(die)로서 작용하여 절단한다. 제3 선택적 작동장치는 실린더(254)를 가지고 있다. 콘넥팅로드(256)은 면(257)로 나타낸 부판(34)내의 개구부를 통해 피스톤(252)를 펀칭판 지지판(54)에 연결한다. 압축된 유체 또는 공기는 밸브(258)을 통해 실린더(254)로 들어가서, 제1, 제2 반몰드(12),(14)가 폐쇄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펀칭판 지지판(54)를 부판(16)과 접촉면(100)에서 접촉된 상태에 있도록 한다. 제2 반몰드(14)가 중간 위치(제4도)에 도달한 후에 펀칭판 지지판(54)는 제2 반몰드(14)와 함께 중간위치(제4도)에서 개방 위치(제5도 , 제6도)로 움직인다. 이것은(258)에서 밸브를 열어 펀칭판 지지판(54)에 대해 피스톤(252)를 잡고 있는 압력을 감소시키거나 압축된 유체나 공기를 밸브(260)을 통해 넣어 피스톤(252)가 아랫쪽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에서 사출기(10)는 중간 위치에 있게된다. 중간 위치란 확장부판 행정 제한장치(240)의 쇼울더(246)이 (246)으로 나타낸 접촉면에서 고정 반몰드 고정 부판(16)과 접촉된 위치를 말한다. 제1래치 요소(220)은 선(235)로 나타낸 거리만큼 제2 래치 요소(224)로 부터 떨어져 있으며 피보트 핀(232)는 개방위치 바로 직전의 최대 위치로 화살표 (270)향방으로 회전한다. 제3 선택적 작동장치(250)의 콘넥팅로드(256)은 펀칭판 지지판(54)의 아랫면(180)과 닿아 있게 된다. 제1 펀칭판 행정제한 장치(90)과 고정 반몰드 고정부판베이스 플레이트(16)이 접촉면(100)에서 접촉하여 있다. 제3 선택적 작동장치(250)이 행정 제한 장치(90)과 베이스 플레이트(16)이 닿도록 하고 펀치(162)가 주입구 부싱(110)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서 고정반몰드 확장 베이스 플레이트(18)과 가동 반몰드 이동 플레이트(30)은 화살표 (272)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유체는 제1 작동장치 (190)의 실린더 (192)속으로 밸브(194)를 통해 들어간다. 펀치 작동은 펀치(162)의 수평부분(166), 중심 다이로케이터(centering die locator) 고정된 중심 스탬퍼 클램프(126)사이에서 일어나서 주입구(175)는 (175a)부분의 원주부분(274)는 (175a)부분으로 부터 절단된다. 주입구(175)에 붙어 있게 된다. (274)부분은 펀헌치 (162)의 끝면 (189)사이에, 또 (189)와 접촉하여 있는 부분을 말한다.
주입구(175)는 펀치 끝면(189)에 언더 칼(under-cut)(173)에 의해 잡혀 있으며 (175a)부분은 펀치 끝원주면(167)에 남아있게 된다. 여기에서 확장부판(18)과 운반판(30)사이에 (278)로 나타낸 주분리선은 두판이 여전히 제2 선택적 작동장치(198)에 의해 잡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확장 부판(18)과 운반판(30)의 조합된 움직임이 운반판(30)의 (76)면이 제2 펀칭판 행정 제한장치(102)의 (106)면과 접촉할때. 그리고 행정 제한장치 (240)의 (246)면이 고정 부판(16)과 접촉할 때, 래칭장치(latching means)(197)이 열린다. 확장 부판 행정제한 장치(240)은 베이스 플레이트 (16)의 작동을 멈춘다. 펀치장치(50)을 포함한 제2 반몰드 (14)의 작동이 제5도에 나타낸 개방위치로계속됨에 의하여 작동장치는 동공을 여는 작용을 계속한다.
제5도는 사출기 (10)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개방위치에서 확장 부판 행정 제한장치 (240)의 쇼울더 (246)은 번호(246)으로 나타낸 접촉면에서 고정 반몰드 고정 부판(16)과 접촉한다. 제1펀칭판 행정 제한 장치 (90)은 부판(18)로 부터 완전히 뒤로 물러나 있다. 피보트 핀(232)가 상부 래치 요소(220)과 하부 래치요소(224)로 부터 풀려 있는, 화살표(270)의 방향으로 래칭요소(230)은 완전히 회전된다. 제1래치 요소(220)의 래치면(280)은 피보트 핀(232)로 부터 풀려져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제2래칭 요소(224)의 래치면(282)는 래치장치(197)의 패치면(232)로부터 풀려져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주입구(175)는 제거핀(156)의 끝에 부착되어 있고 원주 돌기(284)와 함께 움직인다. 용융 재료가 주입구 통로와 원주 공동 속으로 주입될때, 돌기(284)가 언더 캇(173)에 형성된다.
공기 실린더(160)의 피스톤(159)가 벌어져 있는 상태를 보이며 제거핀이 앞으로 움직여서 주입구(175)와 그 원주 부분(274)가 펀치(162)의 끝(189)로 부터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다. 밸브(186)을 통하여 압축 유체가 들어와서 피스톤(159)는 앞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주입구(175)가 (175a)부분으로 부터 분리된 후 제거핀(156)의 끝으로 부터 주입구가 제거된다.
제6도에는 사출기(10)이 완전히 열린 위치를 나타내며 제거핀(156)이 원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낸다. 밸브(188)을 통해 유체가 들어가서 제6도에 나타낸 제2원위치로 피스톤을 움직여서 제걸핀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제거핀(156)이 화살표(286)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원위치에 돌아갈때,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구를 제거핀(156)으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펀치면(189)는 돌기(284)에 물린다.
제9도에는 제1도에 원(9)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고정 플래톤(120)에 중심 다이의 (126a)와 고정된 중심 스탬퍼 클램프(126)에 의해 고정 스탬퍼(124)가 붙어있다.
가동 플래톤(140)에는 중심펀치 로케이터(146a)와 가동중심 스탬퍼 클램프(146)에 의해 운동스탬퍼(144)가 붙어있다. 주입구 부싱(110)의 아랫쪽 끝(117)이 제거핀(156)에 근접하여 있음을 나타낸다. 수평 펀치요소(166)의 언더 캇(173)이 내면(174)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바로 위에 설명한 요소에 의해 생기는 동공이 사출기의 사출시에 주입된 경화도니 플라스틱 재료로 채워진다면 주입구는(175)로 나타내지며 원주 부분(274)는 주입구(175)와 일체로 형성된다. 돌기(284)도 주입구(175)와 일체로 형성됨을 나타낸다.
스탬퍼(124),(144)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비데오디스크 공동(306)과 주입구 개구부(114)사이에 있는 환형의 통로(298)을 포함하는 주입 통로의 설계는 주입되는 재료가 일정한 비율로 스탬퍼 표면으로 나아가도록 형상이 이루어지게 해야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심키기 위하여 환형의 통로(298)은 몇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져 각 구간에 입구 부분과 출구부분을 가지게 된다. 각 구간의 출구부분은 다음 구간의 입구 부분과 만나게 된다.
제1환형 구간은 괄호표(30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구 부싱(110)의 끝면(299)와 펀치(166)의 끝면(189)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면(299)(189)는 수평에 대해 3%의 각도를 이룬다. 면(299)는 수평면보다 3% 윗쪽으로 되어 있으면 선(189)는 수평선보다 3% 아래로 되어 있다. 이 제1환형 구간의 입구부분은 (110a)이며 출구부분은 (110b)이다. 출구 부분에서의 면(299)와 (189)와의 거리는 공동의 두께와 동일하다. 도면에서 보면(110a)와 (166a)사이의 입구부분이 (110b)와(166b)사이의 출구 부분보다 더 두껍다.
이것은 (110a)부분과 (110b)부분사이에 압력차가 있음을 나타낸다. 제2 환형 구간은 고정 중심 스탬퍼 클램프(126)과 가동 중심 스탬퍼 클램프(146)의 면 (126b)와 (146b)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괄호(302) 나타내었다. 면 (126b)와 (146b)사이의 거리는 비데오 디스크 공동(306)의 두께와 같으며 전 길이를 통하여 일정하다.
제3환형 구간은 도면에 (3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중심스탬퍼 클램프(126)과 가동 중심 스탬퍼 클램프(146)의 비교적 짧은 부분인 (126c), (146c)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입구의 거리는 비데오 디스크 공동 (306)의 두께와 같으며 출구의 거리는 입구보다 상당히 작다.
제4 환형 구간은 (305)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중심 스탬퍼 클램프(126)과 가동 중심 스탬퍼 클램프(146)의 한 부분인(126d),(146d)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4환형 구간의 출구부분은 비데오디스크 공동(306)으로 들어가는 입구 노즐이다. 작동을 보면 비데오 디스크 공동으로 들어가서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를 형성한 가열된 재료는 녹은 상태로 주입구 통로(114)로 들어가서 원형의 통로(298)로 퍼지며 결국 비데오 디스크 공동(360)으로 들아가 공동의 외측에 도달한다. 본 장치는 용융된 플라스틱 이 어느 특정 온도까지 고체화될때까지 정지된 상태로 있는다. 앞에 설명한 주입 주기(周期, cycle)동안 가열된 용융물은(305)로 표시한 구역보다 더 큰 비율로 통로(298)의 입구로 들어간다. 왜냐하면 제4환형 구간의 출구 구멍이 제1환형 구간(300)의 입구보다 좁아지기 때문이다. 제3환형 구간(304)는 용융재료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제2환형 구간(300),(302)는 압력용기 , 분배 헤더(distribution header)로 작용하여 용융 플라스틱 재료가 비데오 디스크 공동(306)으로 흘러들어갈때 최소한도로 난류를 적게 한다. 이렇게 제한구역(304)를 통하여 용융재료를 조절함으로 거의 완전한 원을 이루는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상의 정보 트랙을 만들고 또한 매우 둥근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를 만드는 이점을 더해준다. 이러한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와 정보 트랙을 거의 완전한 원형상태로 만드는 조절은 원형의 통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제13도에는 허용할 수 있는 비데오 디스크의 두께와 주입구 통로 중심으로 부터의 반경 위치에서의 복굴절 관계를 그라프로 나타내었다. 제13도의 곡선 A는 비데오 디스크 표면의 정보를 수록하는 부분에 대한 디스크 두께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곡선 B는 같은 부분에 대한 복굴절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복굴절은 2-7나노미터(nanometer)의 변화를 보여준다.
제14도를 보면 곡선 A는 비데오 디스크 표면의 정보 수록 부분의 두께 변화가 공칭에 대하여의 변화가 있어 허용 공차를 넘어서고 있으며 여기에 관한 복굴절 변화를 곡선 B로 나타내었다.
복굴절의 변화를 보면 최고 22나노미터서 최저 2나노미터까지 변화한다. 비데오 디스크는 작동중에 복굴절이 일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3도로 돌아가서 비데오 디스크의 정보수록 부분은 55-150밀리미터 사이에 있으며 여기에는 복굴절 값은 최고 7에서 최저 2까지 변화한다. 실험에 의하면 표준적인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로 작동시켜 보면 제13도와 같은 특성을 가진 비데오 디스크는 훌륭하게 작동하나 제14도와 같은 특성을 가지 비데오 디스크는 같은 플레이어에서 만족스럽게 작동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10도는 제1도의 원(10)부분을 확대시킨 것이다. (128)은 고정 외부 스탬퍼 링 클램프이며(148)은 가동 외부 스탬퍼 링 클램프이다. 고정 스탬퍼(124)가 붙어있는 고정 플래튼은 (120)으로 나타내었다. 고정스탬퍼(124)는 고정 외부 스탬퍼 링 클램프(128)로 부터 (307)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이는 스탬퍼(124)가 링 클램프(128)과 닿을 때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124)에 대한 이러한 확장 영역은 가열된 재료가 비데오 디스크 공동으로 주입될 때 확장할 수 있는 여유를 주기 위한 것이다. 가동 스탬퍼(144)는 가동 외부 스탬퍼 링 클램프(148)에 의해 가동 플래튼(140)에 고정된다. 가동 스탬퍼(144)는 링 클램프(148)로 부터 (308)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된다. 링 클램프(128)의 발(foot)(310)은 스탬퍼(144)를 제 위치에 있도록 잡아주는 역활을 하며 스탬퍼 (144)는 공동내에 가열된 재료가 주입되었을 때(308) 거리만큼확장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
용융된 재료가 비데오 디스크 공동속으로 주입되었을 때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데오 디스크의 두께가 충분히 일정해야 함은 중요한 일이다. 비데오 디스크의 두께 변화가이면 제14도와 같은 결과가 생긴다. 비데오 디스크의 두께가이내로 변화하면 제13도와 같은 사용할 만한 디스크를 얻게 된다. 도면에 (307,30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윗쪽 , 아랫쪽 스탬퍼가 확장할 수 있는 여유를 주게되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를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왜냐하면 확장 여유가 있어 가열된 재료가 주입되었을 때 스탬퍼가 확장하여 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312)는 주입시에 공기가 빠져 나가는 구멍통다.
냉각 장치는 주입구 통로와 비데오 디스크 공동내로 용융 재료가 주입될 때 생기는 열을 사출기(10)으로 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을 시킴으로 완성 비데오 디스크 레코드의 응력 불완전을 방지하게 된다. 응력 불완전을 제거하면 불굴절 즉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냉각 채널(channel)의 설명은 제1도, 제2도,제7도, 제8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도, 제8도에서 주입구 부싱 냉각 채널(350)은 입구 밸브(352)와 출구밸브(354)가 있다. 제1도에서 가장 잘 보여주는 바와 같이 냉각 채널(350)은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1"당 4개의 나선을 가지고 있고 주입구 통로 윗쪽 끝(115)로 부터 아랫쪽 끝(117)쪽으로 뻗어져 있다. 나선은 다시 주입구 부싱을 거꾸로 올라가서 출구밸브(354)로 나간다. O 링 (356)은 주입구 부싱 냉각 체널(350)과 주입구 부싱 고정링(112)사이에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8도에서 고정 플래튼 주입구 부분 냉각 채널(357)은 입구 밸브(358)과 출구 밸브(359)가 있다. 냉각 채널(357)의 나선형으로 감긴 것을 대표적으로 제8도 중앙에 (357a)로 나타내었다. 고정플래튼 안쪽 부분 냉각 채널(360)은 입구 밸브(362)와 출구 밸브(364)를 가지고 있다. 입구는 플래튼의 안쪽에 있으며 몇 바퀴 돌고나서 출구밸브(364)로 나감으로 고정 플래튼의 안쪽 부분을 냉각시켜준다. 고정 플래튼 중간 냉각 채널(370)은 입구 밸브(372)와 출구 밸브(374)를 가지고 있다. 이는 고정 플래튼의 제2 냉각 구역이 된다.
고정 플래튼 바깥 냉각 채널(380)은 입구 밸브(382)와 출구밸브(384)를 가지고 있다. 제2도와 7도에는 가동 반몰드(14)에 몇개의 냉각지역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가동 플래튼 펀치 부분 냉각채널(390)은 입구 밸브(392)와 출구밸브(394)를 가지고 있다. 이 펀치부분 냉각 채널은 제2도에 (390a)로 나타낸바와 같이 바퀴 돌고 출구밸브(394)로 나간다. 장치(10)의 가장 뜨거운 부분은 용융재료가 사출기로 부터 들어가는 주입구와 펀치부분이다.
가동 플래튼 안쪽부분 냉각 체널(400)은 입구 밸브(402)와 출구 밸브(404)가 있으며 플래튼 주위를 몇 바퀴 돌고 출구 밸브(404)를 통하여 나간다. 가동 플래튼 중간부분 냉각채널(410)은 입구 밸브(412)와 출구 밸브(414)가 있고 가동 플래튼 바깥부분 냉각채널(420)은 입구밸브(422)와 출구밸브(2424)가 있다. 이들은 가동플래튼의 냉각을 하기 위한 것이다. 물을 포함하는 적당한 냉각 유체가 하나 또는 모든 냉각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가동 플래튼(140)과 고정 플래튼(120)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몇개의 냉각 채널이 지나가도록 되어져 있다. 한쌍의 O링이(366),(368)에 있어서 반 고정 몰드(12)의 고정 주입구 부분 냉각 채널(357)과 유체가 서로 흐르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제2의 한쌍의 O링 (390),(392)는 고정 플래튼(120)의 냉각부분(360),(370),(380)에서 유체를 밀폐시킨다. 또 다른 O링 (394),(396)은 운동 플래튼(140)의 냉각 부분(400),(410)(420)의 유체를 밀폐시킨다. 또 다른 O링 (430),(432)는 운동 플래튼 펀치부분 냉각 채널(390)의 유체를 밀폐시킨다.
제7도에서 보면 가동 플래튼(140)에 2개의 회방향 냉각 채널이 있다. 첫번째 가동 플래튼 횡방향 냉각 채널(440)은 입구 밸브 (442)와 출구 밸브(444)를 가지고 있으며 두번째 운동 플래튼 횡방향 냉각 채널(446)은 입구 밸브(448)과 출구 밸브(450)을 가지고 있다.
제8도에서 보면 플래튼(120)도 2개의 횡방향 냉각체널(452)(458)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입구, 출구밸브는(454),(460)과 (456),(462)이다.
나선형 트랙 레코드의 성형작업과 레코드 중심 구멍을 만드는 펀칭 작업이 하나의 기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나선 트랙과 중심 구멍이 고도로 정밀하게 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 깊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계에서 스탬퍼의 내면이 몰드와 닿는 면과 일치시켜 스탬퍼가 몰드상에 고도로 정밀한 위치를 잡도록 한다. 스탬퍼의 외측 면은 제(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비슷한 방법으로 레코드의 중심 구멍을 만드는 펀치 원주면은 고정 중심 스탬퍼 클램프(126)과 닿는 면에 상대적으로 매우 정밀하게 위치하여야 한다. 나선 트랙을 만드는 스탬퍼와 레코드 중심 구멍을 만드는 펀치 원주면은 몰드에 매우 주의를 기울여 일치시키기 때문에 레코드 나선트랙과 중심 구멍의 동심(同心)이 업어지게 된다.

Claims (1)

  1. 중앙 개구부를 한정시키는 수단과 외부 표면을 가지 스프루우부싱과, 이 스프루우 부싱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주입된 용융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의 얇은 주조공동이 2개 반주형(mold half)의 사이에 형성되는 위치인 폐쇄위치 , 주조된 부품을 주조 공동으로 부터 제거할 수 있는 위치인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한 제1 , 제2 반주형을 가지며, 이들 바주형의 각각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갖는 주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은 주조 공동의 한 측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사출성형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냉각장치로서, 상기 제1 , 제2 반주형의 각각의 주조부재의 제2 표면내에 도입구 , 배출구를 갖는 냉각채널(channel)을 형성시키는 수단과, 스프루우 부싱의 오부 표면에 1회 이상 회전되어 있으며 도입구 , 배출구를 갖는 나선형 채널을 이 외부 표면내에 형성시키는 수단과, 상기 제1 , 제2 반주형과 스프루우 부싱을 예정된 방식으로 냉각시키도록 냉각유체를 채널로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의 채널의 도입구와 위치적으로 일치된 도입구 수단과, 냉각유체가 내널을 통해 전달된 후에 이 냉각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체널의 배출구와 위치적으로 일치된 배출구 수단과, 도입구 , 배출구를 가지며 환형 주조공동의 반경방향 외측에 각각 위치한 횡방향 냉각채널을 상기 제1 , 제2 반주형의 각각에 형성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도입구수단 , 배출구수단은 각각의 횡방향 냉각채널의 도입구 , 배출구와 각각 위치적으로 일치되어 횡방향 냉각채널을 통해 냉각유체를 운반함으로써 반주형내의 예정된 부분의 온도를 예정된 방식으로 조절하며, 이에 의해 주조공동으로 부터의 열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극소화시키도록 되어있는, 사출성형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한 냉각장치.
KR2019840000063U 1978-11-03 1984-01-06 사출기용 냉각장치 KR850001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0063U KR850001176Y1 (ko) 1978-11-03 1984-01-06 사출기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3302 1978-11-03
KR2019840000063U KR850001176Y1 (ko) 1978-11-03 1984-01-06 사출기용 냉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3302 Division 1978-11-03 1978-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986U KR840005986U (ko) 1984-11-10
KR850001176Y1 true KR850001176Y1 (ko) 1985-06-12

Family

ID=701672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553U KR850001119Y1 (ko) 1978-11-03 1983-04-21 중앙에 구멍이 있는 비디오 디스크 레코드의 복제를 위한 장치
KR2019840000062U KR850001120Y1 (ko) 1978-11-03 1984-01-06 중앙에 구멍이 있는 부품을 주조하기 위한 사출기
KR2019840000063U KR850001176Y1 (ko) 1978-11-03 1984-01-06 사출기용 냉각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553U KR850001119Y1 (ko) 1978-11-03 1983-04-21 중앙에 구멍이 있는 비디오 디스크 레코드의 복제를 위한 장치
KR2019840000062U KR850001120Y1 (ko) 1978-11-03 1984-01-06 중앙에 구멍이 있는 부품을 주조하기 위한 사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8500011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19Y1 (ko) 1985-06-08
KR840005987U (ko) 1984-11-10
KR840005986U (ko) 1984-11-10
KR850001120Y1 (ko) 1985-06-08
KR840007061U (ko) 198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955A (en) Apparatus for replicating centrally apertured video disc records
US4260360A (en) Method and means for replicating centrally apertured video disc records
US4340353A (en) Hot sprue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S5858214B2 (ja) 光学デイスクのレプリカの製造方法
US4372741A (en) Hot sprue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S6023973B2 (ja) 弁集成体
KR830002179B1 (ko) 중앙에 구멍이 있는 레코드 디스크의 제조장치
US4412805A (en) Hot sprue assembly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860000802B1 (ko) 사출 성형기용 열 탕구 조립체 및 그 흐름조절방법
KR850001176Y1 (ko) 사출기용 냉각장치
US20050220925A1 (en) Disc-molding mold molded product and moloding machine
JP3871815B2 (ja) 光ディスク用成形金型
US4405540A (en) Hot sprue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3165146A (ja) 成形用金型装置
KR860000803B1 (ko) 사출성형기용 열탕구조립체 및 그 흐름조절방법
US4362492A (en) Apparatus for compression molding recorded discs
WO2002051608A1 (fr) Dispositif de moulage metallique pour le formage d'un disque optique
CA1124468A (en) Method and means for replicating centrally apertured video disc records
JP3240877B2 (ja) 射出圧縮成形装置
JP3929294B2 (ja) 光ディスク基板の製造方法
JP3486809B2 (ja) ディスク基板成形型
JPS6335326A (ja) 光デイスク基板の製造法
NL193077C (nl) Injectiespuitgietinrichting.
JPH08156035A (ja) ディスク基板成形用金型
JP3077411B2 (ja) 薄肉基板の樹脂成形方法及び樹脂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