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65B1 - 엔진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65B1
KR840002465B1 KR1019810002101A KR810002101A KR840002465B1 KR 840002465 B1 KR840002465 B1 KR 840002465B1 KR 1019810002101 A KR1019810002101 A KR 1019810002101A KR 810002101 A KR810002101 A KR 810002101A KR 840002465 B1 KR840002465 B1 KR 84000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engine
intake
pass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6571A (ko
Inventor
노리다까 마쓰오
고오이찌로오 다께우찌
도꾸지 무라마쓰
Original Assignee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고이께 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고이께 히사오 filed Critical 야마하 하쓰도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84Rotary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05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15Oscillating pipe charging, i.e. variable intake pipe length charging
    • F02B27/0221Resonance charging combined with oscillating pipe 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47Plenum chambers; Resonance chambers or resonance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엔진의 흡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표시하는 일부 절개 측면도.
제2도는 중요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일부 절개 측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절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중요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화살표의 정면도.
제6도는 제4도의 Ⅵ-Ⅵ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엔진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그 흡기행정시에 흡기통로에 부압을 작용시켜서 그 통로로 부터 혼합기를 흡입하고 그 이외에는 흡기통로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통로 내에서의 혼합기의 흐름 즉, 흡기류는 흡기행정시에 흐르고 그 이외에는 정지하는 이른바 간헐류가 된다.
이 현상은 흡기통로 도중에 설치되는 기화기의 드로틀밸브가 저개방도이고 엔진이 저속으로 운전되고 있을 경우에 엔진의 출력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킬때가 있다. 이것은 2싸이클 엔진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다.
즉, 드로틀밸브가 저개방도 이면은 그드로틀밸브에 의해서 흡기류가 제한되어 흡기류량이 적어져서 유동관성이 작아진다.
그 결과 드로틀밸브 보다 하류측의 흡기통로에서 흡기류가 정체하고 엔진으로의 혼합기의 충전효율이 저하하여 출력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본원 출원인의 소유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982-13221호(특허 출원 1979-81752호)로서 제안한 것이있다.
이것은 기화기의 드로틀밸브 보다 하류측의 흡기통로에 비교적 큰 용적을 지닌 공실(空室)을 접속한 구조로 되어 그 공실에 흡기통로로 부터의 혼합기를 도입해서 그곳에서 일단 저장하고 유동관성을 유지시키면서 다음의 흡기행정시에 혼합기를 다시 흡기통로에 되돌려주어 그것에 의해서 흡기량을 증대시켜서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같은 흡기장치는 상술한 바와같이, 기화기의 드로틀밸브가 저개방도에서 엔진이 저속으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유효하게 발휘하나 드로틀밸브가 고개방도이고 엔진이 저속으로 운전될 경우에 엔진출력이 반대로 저하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공실을 필요할때에만 즉, 기화기의 드로틀밸브가 저개방도일때에만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고 드로틀밸브가 고개방도일때에는 기능을 안하도록 하여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은, 제1도에서 A는 엔진, 1은 기화기, 2는 공실이다.
엔진(A)은 2싸이클 엔진이며, 3은 실린더, 4가 피스턴, 5가 연결봉, 6이 크랭크케이스, 7이 점화플러구이다.
실린더(3)는 그 내벽에 흡기통로(8), 배기통로(9), 소기통로(10)가 각각 개구하고 있으며 이들 각 통로 (8)(9)(10)가 피스턴(4)의 동작에 따라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흡기통로(8)는 연결관(11)을 개재해서 기화기(1)에 접속되고 다시 그 기화기(1)로 부터 에어크리너(12)를 개재해서 대기에 연통하고 있다.
기화기(1)는 드로틀밸브(13)를 갖추며, 그 드로틀밸브(13)에 의해서 흡기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드로틀밸브(13)는 소위 말하는 피스턴 밸브로서 기화기(1)내에 형성된 실린더부(1a)에 상하접동이 자유롭게 감압하고 도시하지 않은 악셀클립에 연결하여서 상하로 변위하여 개방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14는 기화기(1)의 엔진(A)측의 한쪽 변부분에 형성되는 드로틀밸브(13)보다 하류측의 흡기통로(8')에 개구하는 통로이며, 전술한 실린더부(1a)의 상부에 연락되어 있다.
15는 통로(14)와 대응하여 실린더부(1a)에 개구된 통로이며, 실린더부(1a)를 개재해서 통로(14)와 연통되어 있다.
한편 공실(2)은 합성수지재로서 구성되며, 그 입구(2a)에 접속관(16)을 개재해서 통로(15)에 접속되어 있다.
17, 18은 공실(2)의 외주에 돌출 설치된 브래키트이며, 이 브래키트 (17)(18)을 개재해서 공실(2)이 차체프레임(B)에 장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공실(2)은 접속관(16) 및 통로(14)(15)를 개재해서 기화기(1)의 드로틀밸브(13)보다 하류측의 흡기통로(8')에 연락되어지는 것이나, 이 공실(2)과 흡기통로(8')를 연락하는 통로 즉, 통로(14)(15)에서 이것을 드로틀밸브(13)의 개방도에 응해서 개폐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이 수단은 도시된 예에서는 드로틀밸브(13)가 공용되고 있다.
즉, 드로틀밸브(13)가 저개방도 일때에는 이 밸브(13)가 아래편에 위치해서 통로(14),(15)가 실린더부(1a)를 개재해서 연통되고 드로틀밸브(13)가 고개방도 일때에는 이 밸브(13)가 위편에 위치하여 각 통로14(15)의 실린더부(1a)로의 개구가 폐쇄되어 양통로(14),(15)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이 통로(14),(15)의 개방도는 드로틀밸브(13)가 중개방도이후 각 통로(14),(15)의 개구부에 이르렀을때부터 서서히 감소하고 드로틀밸브(13)가 전부 개방상태가 되기전에 전폐상태가 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흡기장치는 기화기(1)의 드로틀밸브(13)가 저개방도로서 엔진(A)이 운전되는 경우에 이 엔진(A)의 흡기행정 종료시 이후 기화기(1)에서 생성된 혼합기가 드로틀밸브(13) 하류측의 흡기통로(8')에 있어서 통로(14),(15) 및 기화기(16)을 개재해서 공실(2) 내에 도입되어 유동관성을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다음의 흡기행정시에 공실(2)내의 혼합기가 접속관(16) 및 통로(14),(15)와 흡기통로(8')에 되돌아와서 엔진(A)에 공급된다.
한편, 기화기(1)의 드로틀밸브(13)가 고개방도로 엔진(A)이 운전되는 경우에는 드로틀밸브(13)에 의해서 통로(14),(15)가 폐쇄되어서 공실(2)내에 혼합기가 도입되지 않고 공실(2)은 그 기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3도~제6도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것은 엔진(C)이 4싸이클 엔진임과 동시에 기화기(21)의 드로틀밸브(22)로서 나비너트밸브가 채용되고 있다.
엔진(C)은 (23)이 실린더, (24)가 피스턴, (25)가 흡기통로, (26)이 흡기밸브, (27)이 배기밸브이다.
진술한 기화기(21)의 드로틀밸브(22)는 플리(28) 및 와이어(29)를 개재해서 도시하지 않은 악셀클립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공실(30)은 그것에 이어지는 접속관(31)과 이관(31)에 후술하는 밸브(34)를 개재해서 연락하며, 연결관(33)으로 부터 삽입되어서 엔진(A)의 흡기밸브(26) 부근에서 개구하는 연결관(32)에 의해서 드로틀밸브(22)보다 하류측의 흡기통로 즉, 엔진(C)의 흡기통로(25)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공실(30)과 흡기통로(25)를 연락하는 통로 즉, 접속관(31) 및 연락관(32)의 관로를 드로틀밸브(22)의 개방도에 응해서 개폐하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나, 이 수단은 드로틀밸브(22)와는 별도로 밸브(34)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밸브(34)는 그 케이스(34a)에 접속관(31)과 연락관(32)이 접속되어, 그 양관(31),(32)과 연락하는 수용부(35)에 밸브체(3)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되어서 수용되어 있다.
밸브체(36)는 지축(37)을 개제하여 케이스(34a)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접속관(31)과 연락관(32)의 각 단부와 대면하여 이것을 연락시키는 연락공(38)이 천설되어 있다.
(39)는 케이스(34a)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지축(37)의 단부에 부착된 플리이며, 그 보스부(39a)가 핀(40)에 의해서 지축(37)과 연결되어 있다.
(41)은 보스부(39a)에 있어서 핀(40)과의 연결부에 천공된 장공이며, 핀(40)을 안내하여 지축(37)을 플리(39)의 회동 보다는 늦추어서 회동하도록 한다.
(42)는 플리(39)를 원위치에 복귀시키는 용수철이다.
(43)은 플리(39)의 외주에 권착된 와이어 이며, 드로틀밸브에 연결하는 와이어(29)와 도중에서 접합되어 그곳에서 한가닥의 와이어(44)에 의해서 악셀클립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드로틀밸브(22)에 연결하는 플러(28)와 밸브(34)의 플리(39)가 서로 연동하여 회동되며 드로틀밸브(22)와 밸브(34)가 서로 연동해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리하여,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기장치는 기화기(21)의 드로틀밸브(22)가 저개방도 일때에 밸브(34)가 열려있고, 그 밸브체(36)의 연락공(38)을 개제해서 접속관(31)과 연락관(32)이 연통하고 혼합기가 공실(30) 내에 도입되어 앞의 실시예의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드로틀밸브(22)의 개방도가 증대하면은, 그것에 연동하여 밸브(34)의 플리(39)가 회동하나, 그 플리(39)의 회동은 장공(41)단연(端緣)이 핀(40)에 계합할 때까지 즉, 드로틀밸브(22)가 중개방도 이상이 될때까지 지축(37)에 전달되지 않으며 밸브체(36)는 회동치 않는다.
따라서, 접속관(31)과 연락관(32)의 연동상태가 드로틀밸브(22)의 중개방도역까지 유지되어 공실(30)은 그 개방도역까지 소정의 기능을 다한다.
그리고 드로틀밸브(22)의 개방도가 더욱 증대하면은 플리(39)와 더불어 지축(37)과 밸브체(36)가 회동하며 접속관(31)과 연락관(32)이 폐쇄되어서 공실(30)이 흡기통로(25)와 차단되어서 그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공실과 기화기의 드로틀밸브 보다 하류측의 흡기통로를 연락하는 통로가 드로틀밸브가 저개방도 일때 열리고, 고개방도 일때에 폐쇄되므로 공실을 필요시에만 즉, 드로틀밸브가 저개방도 일때에 한해서 가능케하고, 드로틀밸브가 고개방도 일때에는 공실의 기능을 정지시켜서 엔진의 출력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

  1. 엔진 A과 그것에 접속되는 기화기(1)와의 사이의 흡기통로(8)에 기화기(1)의 드로틀밸브(8')보다 하류측에 공실(2)을 접속한 엔진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그 공실(2)과 흡기통로(8')를 연락하는 통로를 기화기(1)의 드로틀밸브(13)가 저개방도 일때에 개방하고, 고개방도 일때에 폐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기장치.
KR1019810002101A 1980-06-28 1981-06-11 엔진의 흡기장치 KR840002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067 1980-06-28
JP8806780A JPS5713221A (en) 1980-06-28 1980-06-28 Intake apparatus of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571A KR830006571A (ko) 1983-09-28
KR840002465B1 true KR840002465B1 (ko) 1984-12-29

Family

ID=1393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101A KR840002465B1 (ko) 1980-06-28 1981-06-11 엔진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422415A (ko)
JP (1) JPS5713221A (ko)
KR (1) KR840002465B1 (ko)
BR (1) BR81041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947A (en) * 1982-12-09 1985-09-10 Nippondenso Co., Ltd. Reson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546733A (en) * 1983-03-22 1985-10-15 Nippondenso Co., Ltd. Reson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049227U (ja) * 1983-09-12 1985-04-06 スズキ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
US4457267A (en) * 1983-09-16 1984-07-03 Forward Motion, Inc. Kinetic energy injector--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a two-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110610U (ja) * 1983-12-28 1985-07-26 スズキ株式会社 バルブのシ−ル構造
JPS6179823A (ja) * 1984-09-25 1986-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ンジンの補機駆動装置
JPS61244625A (ja) * 1985-04-20 1986-10-30 Seirei Ind Co Ltd 走行作業機の変速補助装置
JPS62246656A (ja) * 1986-08-06 1987-10-27 Seirei Ind Co Ltd 無段変速機の入力円板支持構造
JPS63140156A (ja) * 1986-12-03 1988-06-11 Shimpo Ind Co Ltd 摩擦無段変速機
JP3446910B2 (ja) * 1994-09-22 2003-09-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4サイクルエンジン
KR100284415B1 (ko) * 1997-12-30 2001-09-17 배명진 스쿠터형 이륜 자동차의 흡기장치
US6302076B1 (en) * 2000-03-13 2001-10-16 Joseph M. Bredy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ntake manifold plenum and method of use
US7347045B2 (en) * 2004-06-30 2008-03-25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Motorcycle dynamic exhaust system
US7401590B2 (en) * 2006-10-09 2008-07-22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Active air intake for a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6313A (en) * 1971-01-01 1974-09-11 Lucas Industries Ltd Inlet manifold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R2378183A1 (fr) * 1977-01-20 1978-08-18 Chrysler France Procede d'alimentation en air des cylindres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285320A (en) * 1978-10-11 1981-08-25 Webster Sherwood F Variable capacity fuel delivery system for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6571A (ko) 1983-09-28
US4422415A (en) 1983-12-27
JPS5713221A (en) 1982-01-23
BR8104110A (pt) 198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465B1 (ko) 엔진의 흡기장치
JP3024072B2 (ja) 層状掃気2サイクルエンジン
US4612903A (en) Indu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multiple inlet valves
JP2012077756A (ja) 二行程式内燃機関
US2317625A (en)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262688B2 (ko)
US7201120B2 (en) Two-cycle engine
KR840002466B1 (ko) 엔진의 흡기장치
CA1208089A (en) Flow control device of a helically-shaped intake port
US2439573A (en) Degasse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4700676A (en) Intake control device
US2544607A (en) Charge control valve mechanism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4075837A (en)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363374A (zh) 发动机控制系统
US4242998A (en) Engin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3880650B2 (ja) 携帯作業装置の内燃機関用のキャブレター
JPS631445B2 (ko)
US3917762A (en) Carburetor and method of carburation
US4485774A (en) Helically-shaped intake port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7389754B2 (en) System for a two-stroke crankcase scavenged combustion engine
KR840001249B1 (ko) 내연기관의 흡기장치
JP2907534B2 (ja) ターボ過給式エンジンの排気制御装置
JPS5830096Y2 (ja) 内燃機関燃焼室への混合気撹拌装置
KR970000362Y1 (ko) 자동차의 가변 흡기 밸브 개폐장치
SU1576710A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