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443B1 -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443B1
KR840002443B1 KR1019810001442A KR810001442A KR840002443B1 KR 840002443 B1 KR840002443 B1 KR 840002443B1 KR 1019810001442 A KR1019810001442 A KR 1019810001442A KR 810001442 A KR810001442 A KR 810001442A KR 840002443 B1 KR840002443 B1 KR 84000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azolidine
sodium hydroxide
continuously
reactor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벤케 앨런
트랜 모오리시 휴우
애코스 네이디 루이
Original Assignee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호바트 오그덴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호바트 오그덴 토마스 filed Critical 스타우퍼 케미칼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
도면은 본원발명의 실시를 설명하는 공정도
본원 발명은 특정의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N,N-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및 특히 하기구조식을 가진 N-디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의 개량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이다.
아미드 또는 옥사졸리딘은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N,N-디알릴아민 또는 하기 구조식의 옥사졸리딘과,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Figure kpo00002
식중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이다.
상기와 같은 반응을 수행함에 있어서, 부생물, 특히 반응단계중에 형성된 중간체와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생물의 생성 또는 불필요한 양의 아민염의 생성을 감소하기 위한 대체로 만족할만한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3,914,302호(지미 첸등에 특허된)에는 반응기간중내내 반응혼합물의 pH값이 10이상, 가급적으로 11∼13이 될 수 있도록, 15∼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20%의 농도를 가진 충분한 양의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N,N-디알릴아민과 회분(回分)공정으로 반응시킴에 의하여 부생물로서 아민염 또는 디클로로아세틱에시드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은 N,N-디알릴디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를 80% 이상의 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을 사용시에는 아민 및 수산화나트륨의 혼합체를 격열하게 휘저어 섞어야 하고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의 첨가는 서서히 행하여야 한다. 동시에, 반응혼합물의 온도는 약 -10∼100℃, 가급적으로 약 20°∼50℃로 유지된다. 최적의 온도는 약 30℃의 온도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디알릴아민 대(對)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 몰비율이 또한 중요하며, 몰비율은 약 0.7 : 1∼0.95 : 1이 되어야 한다. 소망하는 아미드는 수상(水相) 및 유기상의 분리에 의하여 회수되고, 뒤이어 유기상의 스트립핑(stripping)함에 의하여 물 및 과잉아민을 제거하며, 디알릴아민 또는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기준하여 80%(이론값)이상의 수율로 회수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838,284호(해롤드 엠. 핏트에 특허된)에서는, 상기 및 기타형의 N-치환옥사졸리딘의(실험실 규모의)제조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은 옥사졸리딘을 산염화물(예를들면, 디클로로아세틸클롤라이드)와, 염화수소 수용체 및 물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이다. 바람직한 염화수소수용체는 5∼50%, 가급적으로 약 20%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형태로된 수산화나트륨이다. 반응온도는 약 -5∼+25℃이다. 실시예는 상기 방법에 의하여 82%의 수율(이론값의)이 얻어질수 있음을 설명해준다. 그러나, 이와같은 수율은 33% 수산화나트륨용액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고체염화나트륨의 침전을 초래하게 한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 설명된 회분공정에 의한 N,N-디알릴아세트아미드 또는 옥사졸리딘의 제조에 있어서는 수산화나트륨과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의 부반응에 의하여 상당량의 소듐디클로로아세테이트가 생성된다. 이와같은 결과는 수산화나트륨용액 및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나타나게 되며, 이 접촉은,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3,914,302호에서와 같이 세찬 고반이 사용될시에는 증가된다.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및 N-디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은 특정형태의 제초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내에서 제초제 해독제로서 유용하다. 해독제는 제초제와 함께 사용될시에 농작물에 대한 제초제의 선택성을 높여줌으로써 제초제를 단일로 사용한때 보다 비교적으로 적은 상해를 농작물에 가져오게 하는 화합물이다. 제초제는 잡초종류에 대하여는 제초제로서의 작용을 계속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이들 화합물은 티오카르바메이트 및 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와 배합되어 해독제로서 유용하다.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는 하기 구조식을 가진다.
Figure kpo00003
식중, R1은 C1-C6알킬 또는 C2-C6알케닐이며, R2는 C1-C6알킬, C2-C6알케닐 또는 페닐이거나 : 또는 R1및 R2는 질소원자와 함께 복소환(複素環)의 고리를 형성하고 : 그리고 R3은 C1-C6알킬, C1-C4할로알킬, C5-C10시클로알킬, 페닐, 치환페닐(치환기가 C1-C4알킬, C1-C4할로알킬 또는 할로임), 벤질 및 치환벤질(치환기가 C1-C4알킬, C1-C4할로알킬 또는 할로임)이다. 티오카르바메이트 제초제의 예를들면, S-에틸디프로필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 디이소부틸티오카르바메이트, S-프로필 디프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 S-2,3,3,-트리클로로알릴디이소프로필 티오카르바메이트, S-에틸시클로헥실에틸티오 카르바메이트 및 S-에틸 헥사히드로-1H-아제핀-1-카르보티오 등이다.
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는 하기 구조식을 가진다.
Figure kpo00004
식중, X, Y 및 Z는 독자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며, R4는 C1-C6알킬, C2-C10알콕시알킬, C3-C6알콕시-카르보닐알킬 및 디옥솔란이고, R5는 염소, 취소 또는 옥소이다. 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의 예를들면, 2-클로로-2',6'-디에틸-N-(메톡시메틸)아세트아닐리드, 2-클로로-2-메틸, 6'-에틸-N-[메톡시프로필-(2)]아세트아닐리드, 2-클로로-2',6'-디메틸-N-(메톡시에틸)아세트 아닐리드, 2-클로로-2'-메틸, 6'-메틸-N-(에톡시메틸)아세트아닐리드, 2-클로로-N-이소프로필아세트 아닐리드, 2-클로로-2',6'-디에틸-N-(n-부톡시메틸)아세트아닐리드, 및 2-클로로-N-카르보에톡시에틸-2',6'-디에틸 아세트아닐리드등이 이에 포함된다.
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드를포함하며, "알킬", "알케닐" "할로알킬" 및 "알콕시알킬"은 직쇄 및 분지쇄 몫을 양쪽 모두 포함하고, 그리고 "할로알킬은 모노-및 폴리-할로겐화 몫을 양쪽 모두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조성물들은 제초유효량의 티오카르바메이트 또는 아세트아닐리드 제초제와 해독유효량의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 아미드 또는 N-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을 함유한다.
본원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또는 N-디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을 연속공정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을 사용시에는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율이 크게 향상된다. 수율에 있어서의 향상은 주로 부생물인 소듐디클로로아세테이트의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은 (a)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 N,N-디알릴아민 또는 옥사졸리딘을순환액체매질내로 연속적으로 도입함에 의하여 연속혼합하여 반응혼합물을 형성하며,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비(非)교반 리액터내로 연속적으로 도입하고, (c) 반응혼합물이 염수(鹽水)를 포함하는 수상및 조(粗)생성물을 포함하는 유기상으로 분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리액터내에 상기 혼합물을 계속 유지하고, (d) 수상을 리액터로부터 연속적으로 회수하며, (e) 조생성물을 함유하는 일부분의 유기상을 연속적으로 회수하고, (f) 상기 (e) 단계에서 회수된 유기상 몫으로부터 소망하는 생성물을 회수하며, 그리고 (g) 리액터로부터 둘째번 몫의 유기상을 연속적으로 회수하여 그것을 상기단계(a)로 연속적으로 재순환하여 순환액체매질로서 사용되게 하는 공정단계를 포함하는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N,N-디알릴아민 또는 하기구조식(II)의 옥사졸리딘과의 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a)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및 (b) 하기구조식(I)의 N-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으로 구성된 그루우프에서 선택된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를 위한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5
식중,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이다.
Figure kpo00006
식중,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이다.
본원발명의 방법을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생산공정순서표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방법은 N,N-디아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N-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생산공정순서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옥사졸리딘의 제조에 있어서는 용제가 사용되나,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제조에 있어서는 용제가 사용되지 않는 점이 다를뿐이다.
라인 1, 2 및 3은 각기 반응될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N,N-디알릴아민 또는 옥사졸리딘 및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의 공급지점을 나타낸다. 이들 세가지의 물질은 소오스(source)에서 시작되는 순환유기액체매질내로 연속하여 제어된 비율로 도입되어 라인 4를 통과한다. 상기 아민 또는 옥사졸리딘 및 수산화나트륨용액은 라인 4를 따라 어떤 편리한 지점에 도입되어도 좋으며, 가급적으로 순환펌프 5를 통하여 순환매질의 통과 이전의 지점에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가 순환혼합물내로 도입되며, 가급적으로 순환펌프 5의 임펠러(impeller)내로 공급됨에 의하여 도입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도입방법에 의하여 상기 세가지의 물질이 순환매질과 서로 충분히 혼합되어지고 소망하는 반응의 개시를 촉진시키는 한편 수산화나트륨 및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간의 접촉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아민 또는 옥사졸리딘은 반응시간중내내 반응혼합물의 pH값이 10이상으로 가급적 11∼13의 범위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에 대하여 충분한 과잉량으로 사용된다. 옥사졸리딘에 대한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 몰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0.50∼1.5, 가급적으로 약 0.70∼0.85가 바람직하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4,038,284호(해롤드 핏트에 특허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옥사졸리딘은 가급적으로 알카놀아민과 카르보닐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되며, 전체반응생성물(옥사졸리딘에 해당하는 쉬프염기를 비롯한 옷사졸리딘, 반응수, 불반응출발물질 및 부생물을 포함하는) 이 본원발명에 의한 방법의 아실화 공정단계로 도입된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옥사졸리딘은 이와같은 혼합물중의 아민구성분의 약 80%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형태의 조작에 있어서는, 옥사졸리딘에 대한 비율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한다. 즉 그것들은 0.8의 인자(因子)로 곱해진 위와같은 생성물의 아민함량의 정량을 기준으로 한다. N,N-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제조를 위하여는, 아민에 대한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 몰비율은 약 0.50∼0.8, 가급적으로 약 0.7∼0.80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양식에서는 과잉아민이 아미드생성물을 위한 희석분 또는 용제로서의 역활을 하며, 추가적 용제를 필요하지 않는다.
반응혼합물은 라인 6을 통하여 용기 7내로 운반된다. 이 용기 7은 8 및 9로 각기 표시된 바와같이 유기상 및 수상으로 분리된 액체를 함유한다. 액체매질은 딥튜우브(dip-tube)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용기 7내로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는 수상 9 또는 유기상 9내로 도입될 수 있으나, 수상의 불필요한 교반을 피할 수 있도록 유기상 내로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7내의 유기상 8은 주로 조생성물, 즉 상기의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또는 N-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 및 유기용제를 함유한다. 수상 9는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기타 수용성물질을 함유하는 염수용액이다. 두몫의 유기상을 리액터로부터 연속적으로 회수한다. 라인 10내의 한몫은 회수되어, 생성물회수부분(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음)에 보내지고, 유기층의 둘째번의 몫은 라인 4내에 회수되어 냉각기 12를 통과하여 반응물이 도입되는 순환액체매질로서 재순환된다. 두몫, 즉 생성물 및 순환매질내에 회수된 유기층의 몰중량비율은 약 1 : 50∼1 : 150이며, 바람직하기에는 약 1 : 50∼1 : 100이다.
수상, 즉 염수상(鹽水相)은 라인 11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회수되어 폐물처리부분으로 보내진다.
이 방법의 중요한 면은 용기 7내에서 세찬 교반조작이 사용되지 않는 점이다. 세차게 휘저어지는 것은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세찬교반에 의하여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수상 및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사이의 접촉이 증가되게 되는 때물이다. 펌프내에서의 충분한 혼합 및 리액터 7내에서의 양호한 상분리와 함께 제어된 반응물첨가에 의하여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수산화나트륨과의 가수분해와 같은 부반응을 최소한의 범위로 유지한다. 이와같은 이유로, 리액터 7은 불교반 리액터이며, 그것은 교반수단을 비치하고 있지 않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반응장소에서의 가성(可性)알칼리 또는 염수의 양은 최소량이다. 그러나 사용된 수산화나트륨의 전체량 및 농도는 앞서 설명된 방법에서 사용된 그것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리액터 내에서의 상분리는 비교적으로 쉽게 일어나며, 그리고 장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이 경우의 상분리는 수성 또는 염수함유상의 연속적제거와 함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와 가성알칼리 또는 염수사이의 부반응 및 불필요한 반응생성물의 생성을 더욱 적게한다. 상기 상분리는 코우얼레서(coalescer)를 통하여 순환액체매질을 통과시킴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제조를 위하여는, 조작은 약 -10°∼100℃의 온도하에서 행해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10°∼30℃, 가장바람직하게는 약 20°∼25℃이다. N-디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을 제조하기 위한 온도는 약 -20°∼100℃이며, 가급적으로 약 0°∼15℃,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10℃이다. 상기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고정은 대기압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7내에서의 체류시간은 용기의 용적 및 물질의 유량에 따라, 약 10∼60분동안 유지되어 적절한 상분리를 이룩한다.
라인 4를 통한 액체매질의 순환률은 소망하는 아미드 또는 옥사졸리딘의 생산률에 따라 결정된다. 순환률은,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 경우에 있어서는 약 4 : 1∼15 : 1(가급적으로 8 : 1∼12 : 1), 옥사졸리딘의 경우에 있어서는 약 4 : 1(40 : 1(가급적으로 15 : 1∼30 : 1)의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 도입지점에서 수성물질(수산화나트륨용액)에 대한 유기물질(순환매질 및 아민)의 중량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상기 비율을 설정 및 유지함에 의하여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및 수산화나트륨간의 접촉도를 최단시간으로하여 부생물인 소듐 디클로로아세테이트의 형성을 최소량으로 할 수 있는 한편, 수산화나트륨으로 하여 금 반응중 발생된 염화수소의 중화기능을 수행토록하게 한다.
특히 상업적규모의 연속공정을 위하여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의 농도가 15∼25%, 가급적으로 18∼20%가 되어야 한다. 라인 10내의 용기 7로부터 옮겨진 유기층의 목은 소망하는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처리된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3,914,302호에 발표된 바와 같이,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회수는 물로 세척후에 가급적으로 약 100mmHg의 절대압력하에 약 80℃의 온도로 1시간까지 스티립핑하여 물과 과잉아민을 제거함으로써 이룩된다. 생성물의 순도는 일반적으로 약 95%이며, 수융은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또는 아민을 기준으로하여 이론값의 수율 90%보다 더 많다.
옥사졸리딘도 상기한 바와 비숫하게 회수되는데, 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스트립핑은 고온하에서, 대체로 약 100℃의 온도하에서 행하여진다. 순도는 약 95%이며 수율은 70% 또는 이론량보다 많다.
본원발명을 더한층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리 든다.
[실시예 1]
2,2,5-트리메틸-3-디클로로아세틸 옥사졸리딘의 제조(연속공정)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속순환시스템이 이용된다. 반응물 및 용제의 도입률은 아래와 같다 :
2,2,5-트리메틸옥사졸리딘(라인 2), 27.7g/분 : 톨루엔(라인 13), 86.3g/분 : 수산화트륨의20% 수용액(라인 3), 36.4g/분 :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라인 1), 22.4g/분.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대 수산화나트륨 대 옥사졸리딘의 몰비율은 1.0 : 1.20이다. 액체매질을 분당 1갈론의 비율로 순환되었으며, 디클로로아세틸의클로라이드도입지점에서의 유기물질 대 수성물질의 중량비는 약 30 : 1을 형성하였다. 반응온도는 약 15℃로 유지되었고, 반응압은 대기압이었다.
상기 물질은 용기 7내에 약 1시간동안 유지되었으며, 상(相)분리되는데 약 5분을 요하였다. 염수는 분당 62g의 비율로 라인 11에서 회수되었고, 그리고 조생성물(粗生成物)(라인 10)은 분당 123g의 비율로 회수되었다. 조생성물은 물로 세척된후에, 100℃의 온도하에서의 스트립핑에 의하여 물, 톨루엔 및 과잉옥사졸리딘이 제거됨으로써 소망하는 생성물이 회수되었다. 소망하는 생성물, 2,2,5-트리메틸-3-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은,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하여, 72%의 수율(이론값)로 회수되었으며, 순도는 94%이었다.
[실시예 1A]
비교 실시예(회분공정)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동일한 도입률의 반응물 및 용제를 사용함에 의하여 소망하는 생성물이 얻어졌으며, 수율은 60%(이론값)이었고, 순도는 약 95%였다.
[실시예 2]
N,N-디알릴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제조(연속공정)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속순환시스템이 이용되었다. 반응물 및 용제의 도입률은 아래와 같다.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22.0g/분 : 디알릴아민 17.4g/분 : 수산화나트륨의 20%수용액, 35.8g/분. 아실클로라이드 대 아민 대 수산화나트륨의 몰비율 1.0 : 1.20 : 1.20이었다. 액체매질은 분당 1갈론의 비율로 순환되었으며,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의 도입지점에서의 유기물질 대 수성물질의 중량비는 5.0 : 1이 형성되었다. 반응온도는 약 30℃로 유지되었고, 반응압은 대기압이었다.
상기 문질은 용기 7내에서 약 3시간동안 유지되었으며, 상분리되는데 약 5분을 요하였다. 조생성물유동(라인 10)은 80℃의 온도하에서 물로 세척되고 스트립핑됨에 의하여 물 및 과잉아민이 제거됨으로써 소망하는 생성물이 얻어졌다. 소망하는 생성물은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 하여 95%(이론값)의 수율로 산출되었으며, 순도는 약 95%이었다.
[실시예 2A]
비교 실시예(회분공정)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 동일한 도입률의 반응물 및 용제를 사용함에 의하여 소망하는 생성물이 얻어졌으며, 수율은 83%(이론값)이었고, 순도는 약 95%이었다.
[실시예 3]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연속순환시스템이 이용되었다. 반응물 및 용제의 도입률은 아래와 같다.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4g/분 : 디알릴아민, 20g/분 : 수산화나트륨의 20%수용액 44g/분. 아실클로라이드 대 아민 대 수산화나트륨의 물비율은 1.0 : 1.25 : 1.35이었다. 액체매질은 분당 1갈론의 비율로 순환되었으며,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의 도입지점에서의 유기물질 대 수성물질의 중량비는 4.9 : 1이 형성되었다. 반응온도는 약 28℃로 유지되었고, 반응압은 대기압이었다.
조생성물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회수되어 처리되었다. 상기 조건하에 3회 실험한 결과 소망하는 생성물의 수율은 아실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하여 89∼100%이었으며, 순도는 95∼96%이었다.
[실시예 3A]
비교실시예(연속공정)
실시에 3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행하여졌으며, 클로라이드 대 아민 대 수산화나트륨의 몰비율은 1.0 : 1.17 : 1.20로 하였다. 아민의 양을 더 적게 사용하였을시의 상분리의 결과는 좋지 않았다.
[실시예 3B]
비교실시예(회분공정)
실시예3A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행하여짐으로써 소망하는 생성물이 얻어졌다. 수율은 82%(이론값)이었고, 순도는 95%이었다.

Claims (1)

  1. (a) 디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및 N,N-디알릴아민 또는 옥사졸리딘을 순환액체매질내로 연속적으로 도입함에 의하여 연속혼합하여 반응합물을 형성하며, (b) 상기 반응혼합물을 비(非)교반 리액터내로 연속적으로 도입하고, (c) 반응혼합물이 염수를 포함하는 수상 및 조생성물을 포함하는 유기상으로 분리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리액터내에 상기 혼합물을 계속 유지시키고 (d) 수상을 리액터로 부터 연속적으로 회수하며, (e)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또는 N-디클로로아세틸화 옥사졸리딘을 함유하는 일부분의 유기상을 연속적으로 회수하고, (f) 상기 (e) 단계에서 회수된 유기상의 일부분으로부터 소망하는 생성물을 회수하며, 그리고 (g) 리액터로부터 둘째번 몫의 유기상을 연속적으로 회수하여 그것을 상기 단계(a)로 연속적으로 재순하여 순환액체매질로서 사용되게 하는 공정단계로 이루어지는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N,N-디알릴아민 또는 하기구조식[II]의 옥사졸리딘과의 반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a) N,N-디알릴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및 (b) 하기구조식[I]의 N-디클로로아세틸옥사졸리딘으로 구성된 그루우프에서 선택된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 방법.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식중, R은 수소 또는 C1-C3알킬임.
    Figure kpo00009
KR1019810001442A 1980-04-28 1981-04-27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 KR84000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44,500 US4278799A (en) 1980-04-28 1980-04-28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chloroacetamides
US144,500 1980-04-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443B1 true KR840002443B1 (ko) 1984-12-28

Family

ID=2250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1442A KR840002443B1 (ko) 1980-04-28 1981-04-27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278799A (ko)
EP (1) EP0039166B1 (ko)
JP (1) JPS56167672A (ko)
KR (1) KR840002443B1 (ko)
AT (1) ATE8875T1 (ko)
BR (1) BR8102388A (ko)
CA (1) CA1157867A (ko)
CS (1) CS226428B2 (ko)
DD (1) DD158643A5 (ko)
DE (1) DE3165344D1 (ko)
DK (1) DK158465C (ko)
HU (1) HU186408B (ko)
IL (1) IL62721A (ko)
PL (1) PL133589B1 (ko)
ZA (1) ZA8127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1725A (ja) * 1988-11-14 1992-03-26 アイシーアイ アメリ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アゾリジンのアシル化プロセス
JPH0376060A (ja) * 1989-08-16 1991-04-02 Nec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位置決め装置
WO1991012229A1 (en) * 1990-02-12 1991-08-22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Process for preparing acyl derivatives of acylatable compounds
CN114213271A (zh) * 2021-12-30 2022-03-22 徐州彰梁生化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氯丙烯胺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8324A (en) * 1965-10-11 1966-08-23 Monsanto Co Herb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employing oxa aliphatic acetamide
US3647876A (en) * 1969-08-14 1972-03-07 Virginia Chemicals Inc Process in the preparation of n n-di-n-propyl-alpha-chloroacetamid
US3884671A (en) * 1972-08-15 1975-05-20 Scm Corp Herbicidal n-haloacyl (2-alkylated) oxazolidines
US4186130A (en) * 1973-05-02 1980-01-29 Stauffer Chemical Company N-(haloalkanoyl) oxazolidines
US3914302A (en) * 1974-01-31 1975-10-21 Stauffer Chemical C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N-diallyldichloroacetamide
US3959304A (en) * 1974-07-01 1976-05-25 Stauffer Chemical Company Certain 3-haloacyl-2,2,5-trimethyl-oxazolidines
US4072688A (en) * 1975-02-14 1978-02-07 Stauffer Chemical Company Haloacyl and thiohaloacyl aryl-substituted oxazolidines and thiazolidines-herbicidal antidotes
US4038284A (en) * 1975-07-28 1977-07-26 Stauffer Chemical Company N-acylation of oxazolidines
GB1538318A (en) * 1976-08-09 1979-01-17 Stauffer Chemical Co Preparation of n-substituted oxazolid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186408B (en) 1985-07-29
CS226428B2 (en) 1984-03-19
DK158465B (da) 1990-05-21
DK186381A (da) 1981-10-29
PL230885A1 (ko) 1981-12-23
DE3165344D1 (en) 1984-09-13
ATE8875T1 (de) 1984-08-15
CA1157867A (en) 1983-11-29
JPS6412265B2 (ko) 1989-02-28
IL62721A0 (en) 1981-06-29
IL62721A (en) 1984-05-31
DK158465C (da) 1990-10-08
EP0039166B1 (en) 1984-08-08
BR8102388A (pt) 1981-12-22
DD158643A5 (de) 1983-01-26
US4278799A (en) 1981-07-14
PL133589B1 (en) 1985-06-29
EP0039166A1 (en) 1981-11-04
JPS56167672A (en) 1981-12-23
ZA812763B (en) 198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2443B1 (ko)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의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방법
US4764309A (en) Preparation of chlorocarboxylic acid chlorides
US449673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and N-tert.-alkylamines
US3850924A (en) Process for preparing herbicidal triazines
US4155933A (en) Process for halogenation of aldehydes and production of oximes therefrom
EP0456838B1 (en) Process for producing glycine
RU215406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5-замещенного 2-хлорпиридина
KR950006152B1 (ko) 이소티아졸론의 제조방법
US6353126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alononitrile
US4207259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α-chloracetoacetamides
KR102079639B1 (ko) 아크롤레인 시아노히드린을 제조하는 방법
KR100356887B1 (ko) 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의개량제조방법
US432836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2,6-dinitro-N-alkyl-anilines
US5053545A (en) Method of preparing amino alcohols
US3931333A (en) Production of halogen-containing tertiary phosphine oxides
US5118487A (en) Process for producing chlorosulfonyl isocyanate
US443557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hlorinated derivatives of benzoxazolones
KR930006194B1 (ko) α-클로로아세토아세트산 모노메틸아미드의 제조방법
US3997630A (en) Process for preparing methyl ester of O,O-dimethyl-dithiophosphoryl acetic acid
JP2764346B2 (ja) グリシンの製造方法
CZ2004418A3 (cs) Způsob výroby isokyanatů
EP0244810A1 (en) Process for producing 2-oxazolidinones
KR100562176B1 (ko) D,l-메티오닌또는이의염의제조방법
SU398042A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получения2,4-д и x л о р-6-am и н о- сямм-т риазиновi2
CA2024796C (en) Process for producing chlorosulfonyl isocya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