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21B1 - 연속 주조용 주형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용 주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21B1
KR840002321B1 KR1019800005011A KR800005011A KR840002321B1 KR 840002321 B1 KR840002321 B1 KR 840002321B1 KR 1019800005011 A KR1019800005011 A KR 1019800005011A KR 800005011 A KR800005011 A KR 800005011A KR 840002321 B1 KR840002321 B1 KR 84000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oling water
continuous casting
side wal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055A (ko
Inventor
노부히사 하세베
히로시 가와다
Original Assignee
닛본 고오강 가부시기가이샤
가나오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고오강 가부시기가이샤, 가나오 미노루 filed Critical 닛본 고오강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21B1/ko
Publication of KR83000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oscilla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 주조용 주형
제1도는 본 발명의 주형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연속 주조용 주형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설비는 일반적으로 턴디시(tundish), 주형, 가이드 로울러, 핀치 로울러 등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용강은 턴디시에서 주형에 주입되며 주형내에서 쉘을 형성하며, 가이드 로울러로서 냉각 안내되면서 핀치 로울러에서 인발 주조된다. 이 주형의 내벽에 용강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주형을 일정한 진폭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한 주형의 진동수단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행하여지고 있는데, 기계적 수단으로서는 대규모적인 설비를 필요로 하며 또 주편(鑄片)에 파상(波狀)의 진동 마아크(mark)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 수평형 연속 주조설비의 경우는 턴디시와 주형과의 접속부의 시일이 완전하게 되어 있어 적절한 진동이 주어져야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기계적 진동수단으로서는 이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수단으로서 먼저 연속 주조기의 주형축벽에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취부하고 그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서 주형을 주편 인발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장치를 개발하고, 자국 일본에 특허출원(일본 특개소 54-86432호)을 행한 바 있다.
상기한 장치는 주형의 각 축벽의 외표면에 주형의 축선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선을 따라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배치하고, 각 초음파 진동자는 그의 진동의 파절(波節)이 주형측벽의 두께의 중심부에 오도록 진동시킴으로서 주형을 주편 인발 방향으로 공진시키고 또한 초음파 진동자를 주형의 양단에 진동파의 파복(波腹)이 오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와같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주형 진동장치에 의하면, 기계적 진동수단과 같은 대규모적인 장치는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 주변에 진동 마아크가 생기는 일이 없이 주형만을 미진동시킬 수 있으며, 수평형 연속 주조장치에 적용했을 경우, 턴디시와 주형과의 접속부의 시일은 완전하게 되어 용강이 노출하는 일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출원의 장치에 의한 주형의 공진 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 진동수단에 대해서 여러가지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주형의 각측벽을 주형 프레임에 고정할 때에 주형의 축선 방향으로 생기는 진동파의 파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형 프레임에 고착하면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주형의 축선 방향으로 생기는 진동이 주형프레임에 의해서 소멸되어 주형의 진동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할 뿐만 아니라 주형의 각 측벽과 주형 프레임과의 체결부품이 느슨해지고 파손되는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알았다.
또 주형의 냉각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주형의 각 측벽과 주형 프레임과의 사이에 냉각수를 흐르게하여 주형 측벽을 그의 뒷면에서 냉각하는 방법과 주형의 각 측벽내에 냉각용수의 통로를 설치하고, 그 통로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므로서 냉각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초음파 진동자를 취부한 주형에 있어서는 전자(前者)의 방법은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이 파손되는 수가 많아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후자의 방법에 의하여 냉각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는데, 그 때 주형의 각 측벽에 냉각수 배관을 접속하는데 있어서 진동파의 파복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 접속을 행하면 주형의 진동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뿐더러 상기한 접속부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관점에서 주형의 진동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주형의 각 측벽과 주형 프레임과의 체결부품이나 주형의 각 측벽에 취부되는 냉각수 배관의 접속부에 손상이 생기는 일이 없는 연속 주조용 주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주형의 각측벽을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주형의 측선방향으로 생기는 진동파의 파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형 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주형 냉각용의 냉각수 배관을 주형의 축선방향으로 생기는 진동파의 파절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형측벽에 취부한 것에 특징을 갖는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연속 주조용 주형을 실시예에 따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주형이 평면도로 제2도에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로, 제3도에는 마찬가지로 제2도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주형 프레임, (2)는 그 주형 프레임(1)에 취부되어 있는 주형측벽이다.
각 주형 측벽(2)의 바깥면상에는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4)가 주형의 축선 방향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직선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주형측벽(2)는 그의 내부에 주형의 축선방향을 따라 냉각수통로(9)를 가지며, 그 통로(9)는 냉각수 공급용 개구부(9a) 및 냉각수 배출용 개구부(9b)를 각 주형 측벽(2)의 바깥면상에 가지고 있다.
상기한 초음파 진동자(4)의 진동에 의해서 주형은 공진을 일으키고, 그의 진동은 초음파 진동자(4)의 진동방향에 대하여 90°방향을 바꾸고, 주편의 인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진동파(11)로 된다. (11a)는 진동파(11)의 파절, (11b)는 파복이며, 초음파 진동자(4)는 진동파(11)의 파복(11b)가 주형의 양단면에 오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형 프레임에 대한 각 주형 측벽(2)의 취부는 주형에 생기는 진동파(11)의 파절(1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볼트(6) 및 너트(7)을 사용하여 양자를 고정하므로서 행하여진다.
또 각 주형 측벽(2) 안에 천설된 냉각수 통로(9)의 냉각수 공급용 개구부(9a) 및 냉각수 배출용 개구부(9b)도 주형에 생기는 진동파(11)의 파절(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각각 냉각수 공급관(5)와 냉각수 배출관(5')가 접속된다. (3)은 각 주형측벽(2)에서 주형 프레임(1)을 고정하는 위치에 설치된 돌기, (8)은 돌기(3)에 천공된 볼트(6)의 삽착공, (10)은 돌기(3)에 천공된 초음파 진동자(4)의 취부 볼트 삽착공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주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주형 측벽(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화된 것이 사용되며, 또 냉각수 통로(9')는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다. 그밖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주형 측벽(2')는 도시한 바와 같은 각통(角筒) 형상에 한하지 않으며, 원통 형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주형에 생기는 진동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 없이 주형의 각 측벽을 주형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으며, 또 주형 냉각용의 냉각수 배관을 주형의 각 측벽에 취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각 접속부나 체결부품에 파손이 생기지 않으며, 주형에 효율적인 진동을 줄 수 있고, 빌렛 연속주조기, 슬래브 연속주조기, 수평 연속주조기, 비칠금속 연속 주조기 등 각종 연속주조기에 적용하므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연속 주조용 주형의 축선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선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주형의 각 측벽의 바깥면상에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를 부착하고, 상기 주형의 각 측벽내에 적어도 하나의 주형 냉각수 통로가 설치되며, 그 통로는 냉각수 공급용 개구부 및 냉각수 배출용 개구부를 주형의 각 측벽의 바깥면에 가지고 있고,주형의 각 측벽을 주형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으로 된 연속 주조용 주형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개의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주형의 축선 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파의 파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형의 각 측벽을 상기 주형 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한 냉각수 공급용 개구부 및 냉각수 배출용 개구부를 진동파의 상기 파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
KR1019800005011A 1980-12-29 1980-12-29 연속 주조용 주형 KR84000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5011A KR840002321B1 (ko) 1980-12-29 1980-12-29 연속 주조용 주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5011A KR840002321B1 (ko) 1980-12-29 1980-12-29 연속 주조용 주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055A KR830004055A (ko) 1983-07-06
KR840002321B1 true KR840002321B1 (ko) 1984-12-19

Family

ID=1921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5011A KR840002321B1 (ko) 1980-12-29 1980-12-29 연속 주조용 주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92B1 (ko) * 2011-12-15 2013-07-16 주식회사 포스코 나노유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의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10B1 (ko) * 2002-06-04 2009-02-0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설비의 퀵 체인지 스탠드 플렉시블 냉각수 공급기
KR102326253B1 (ko) * 2020-08-10 2021-11-16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92B1 (ko) * 2011-12-15 2013-07-16 주식회사 포스코 나노유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055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1374B2 (ja)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の振動方法と装置
KR840002321B1 (ko) 연속 주조용 주형
EP0042007B1 (en) Continuous casting mold
JPS63140744A (ja) 連続鋳造方法
US4498518A (en) Continuous casting mold provided with ultrasonic vibrators
JPS6141658B2 (ko)
KR840001297B1 (ko) 연속 주조용 주형
JPS60152348A (ja) 双ベルト式連続鋳造機
KR840002320B1 (ko) 연속 주조용 주형
JPS61273244A (ja) 水平連続鋳造設備
US3455370A (en) Break-ou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S6143141B2 (ko)
JPS5874256A (ja) 水平連続鋳造設備
WO1981001809A1 (en) Continuous casting mold
JPS61176450A (ja) 無限軌道型連続鋳造設備
JP2011212737A (ja) 連続鋳造装置
JPS63212044A (ja) 超音波鋳型連続鋳造方法
KR920000806B1 (ko)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JPS61276749A (ja) 連続鋳造鋳型の超音波振動方法
KR100419636B1 (ko) 주형 무진동 전자기 연속주조장치
JPS6142455A (ja) ベルト式連続鋳造機
KR800000669B1 (ko) 강(鋼)의 연속주조에 있어서 진동주형내에서 형성되는 주물편을 냉각하는 방법
JP2002321044A (ja)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設備及び連続鋳造方法
JPS63126654A (ja) 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S6448643A (en) Shifting mold type continuous cast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