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06B1 -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 Google Patents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06B1
KR920000806B1 KR1019890008560A KR890008560A KR920000806B1 KR 920000806 B1 KR920000806 B1 KR 920000806B1 KR 1019890008560 A KR1019890008560 A KR 1019890008560A KR 890008560 A KR890008560 A KR 890008560A KR 920000806 B1 KR920000806 B1 KR 92000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nozzle
injection nozzle
continuous casting
cas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70A (ko
Inventor
히데도 다까스기
아끼지까 오제끼
마사미 고마쓰
마사유끼 나까다
히사히꼬 후까세
Original Assignee
엔케이케이 코오포레이숀
니이미야 유우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이나바 고오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케이케이 코오포레이숀, 니이미야 유우,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이나바 고오사꾸 filed Critical 엔케이케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91000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Accessories therefor for supplying molten metal
    • B22D11/064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제1도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종래의 연속 주조기의 한 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제2도는 하류단부가 무단 이동형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된 종래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개략 평면도.
제5도는 하류단부가 무단 이동형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된 제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3a : 내공(內孔) 14,20 : 노즐본체
15,18 : 정류체(整流體) 16,19 : 지지체
17 : 핀
본 발명은 무단 이동형 주형(無段移動型鑄型)을 지닌 연속 주조기에 있어서의 턴디시(tundish)내에 수용된 용융금속을 주형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용융금속을 연속 주조하기 위한 설비로서, 여러개의 무단으로 연속된 금속체 블록으로 되는 무단 이동형 주형, 또는 무단의 금속제 벨트로 된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가 알려져 있다.
제1도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종래의 연속 주조기의 한 예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4)는 무단 이동형 주형, (2)는 무단 이동형 주형(4)의 일부를 구성하는 벽체이다. 벽체(2)는 여러개의 무단으로 연결된 금속제 블록(5)과 한쌍의 스프로킷(12) 사이에 빙둘러서 설치되어 있다. 여러개의 무단히 연결된 블록(5)으로 된 벽체(5)는 한쌍의 스프로킷(12)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구동장치(도면에 없음)에 의하여 무단 이동한다. 상술한 구조를 지닌 한쌍의 벽체(2)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즉, 한쌍의 벽체(2)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나아가서, 제1도에는 나타내어 있지 않으나,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2)와 동일한 구조를 지닌 다른 한쌍의 벽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2)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른 한쌍의 벽체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벽체(2)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별도의 한쌍의 벽체는 동일 방향으로 또한 동일 속도로 하류를 향하여 무단 이동한다. 그리하여 상술한 2쌍의 벽체는 무단 이동형 주형(이하 간단히 “주형”이라고 한다)(4)을 형성한다. 주형(4)은 통상 하류를 향하여 일정한 하향 경사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래의 내화물제인 용융금속 주입노즐(10)의 상류단은 턴디시(11)의 측벽하부(11a)에 연결되어 있으며, 용융금속 주입노즐(10)의 하류단은 상술한 주형(4)의 입구내에 삽입(揷入)되어 있다.
턴디시(11)내에 수용된 용융금속(8)은 주입노즐(10)의 내공안(內孔內)을 통하여 주형(4)내에 연속적으로 주입된다. 주형(4)을 형성하는 상술한 2쌍의 벽체(2)는 냉각장치(도면에 없음)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냉각되어 있다. 따라서, 주형(4)내에서 금속주편(鑄片)(9)으로 응고한다. 금속주편(9)은 무단 이동하는 주형(4)에 의하여 하류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금속주편(9)은 무단 이동하는 주형(4)의 이동속도와 동기하여 이동한다. 적어도 한쌍의 핀치로울(13)에 의하여 압착(squeeze)되고, 또 주형(4)으로 부터 끌어내게 되며, 그리하여 금속주편(9)이 연속적으로 주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융금속 주입노즐(10)을 사용하여 금속주편(9)을 연속 주조하는 경우에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제2도는 그 하류단이 무단 이동형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된 종류의 용융금속 주입노즐(10)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화살표는 주형내에 있어서의 용융금속(8)의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주입노즐(10)의 내공안을 통하여 주형내에 주입된 용융금속(8)은 각기 여러개의 무단에 연결된 금속제 블록(5)으로 된 벽체(2)에 의하여 냉각되어 응고하므로서 주형의 벽체(2)의 표면에 잇따라서 응고 셀(shell)(6)이 형성된다. 이때, 응고셀(6)의 기단부(6a)는 주입노즐(10)의 하류단면(10a)과 벽체(2)의 표면에 의하여 형성된 구석부분에서 최초로 형성된다. 응고셀(6)의 기단부(6a)는 주입노즐(10)의 하류단면(10a)에 부착하기 쉽다. 따라서, 금속주편(9)이 무단 이동하는 벽체(2)에 의하여 하류를 향하여 세게 당겨질 때에 금속주편(9)의 응고셀(6)내에 인장응력이 생겨, 그 결과 금속주편(9)의 표면상에 균열, 홈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때에 따라서는 응고셀(6)의 기단부(6a)가 응고셀(6)의 본체로 부터 절단하여, 절단한 기단부(6a)가 주형내의 용융금속(8)속에 빠뜨려들어가 금속주편(9)의 품질이 열악화(劣惡化)한다. 나아가서, 응고셀(6)의 기단부(6a)가 부착한 주입노즐(10)의 하류단 부분이 하류를 향하여 이동하는 응고셀(6)에 의하여 끌어당겨져서, 그 결과 주입노즐(10)의 하류단부가 파손하는 경우가 있다. 파손한 주입노즐(10)의 파편이 주형내의 용융금속(8)속에 빠뜨려들어가서 금속주편(9)의 품질이 뒤떨어진다. 또, 파손한 그대로의 상태의 주입노즐(10)을 사용하면, 주입노즐(10)의 파손부로 부터 용융금속(8)이 누설되는 등의 위험이 있어 주조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주입노즐(10)의 하류단면(10a)에 응고셀(6)의 기단부(6a)가 부착하면, 연속 주조작업에 상술한 바와같은 다대한 악영향이 발생한다. 따라서,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그 하류 단면에 금속주편의 응고셀의 기단부가 부착하는 일이 없는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주입노즐은 아직 제안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그 하류단면에 금속주편의 응고셀의 기단부가 부착하지 않는 용융금속 주입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에 따라서 다음으로 부터 된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에 있어서, 무단 이동형 주형은 동일 방향 또는 동일 속도로 무단 이동하는 2쌍의 서로 대향하는 벽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주입노즐은 내화물 제품이며, 그것을 통하여 용융금속이 흐르는 내공을 그 축선에 잇따라서 지니고 있으며, 주입노즐의 일단은 용융금속을 수용하기 위한 턴디시에 연결되어 있고, 주입노즐의 타단은 주형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다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을 제공할 수 있다.
용융금속 주입노즐(1,3)은 하기와 같이 되어 있다.
전술한 내공(1a,3a)을 그 축선에 잇따라서 지닌 노즐본체(14,20), 전술한 내공(1a,3a)의 하류단부의 횡단면적은 그 하류단을 향하여 점차로 커져 있다. 전술한 노즐본체(14,20)의 내공(1a,3a)의 하류단부의 중앙에 배치된 내화물로 제조한 정류체(15,18), 전술한 정류체(15,18)는 내공(1a,3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이 노즐본체(14,20)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전술한 주형의 내표면에 충돌하는 것과 같은 용융금속을 위한 통로를 내공(1a,3a)과 공동하여 형성하고 있다.
우리들은 상술한 관점으로 부터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에 의하여 용융금속을 금속주편으로 주조함에 있어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된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하류단면에 금속주편의 품질 열악화 및 주입노즐의 파손의 원인으로 되는 응고셀의 기단부가 형성되는 일이 없는, 거기에 부착하는 일이 없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을 개발하도록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우리들은 다음의 식견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내공안을 흐르는 용융금속이 주입노즐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내표면에 충돌하도록 용융금속의 흐름을 향하게 함에 따라 주입 노즐의 하류단면에 응고셀이 형성되어 그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식견에 기초하여 성취한 것이다.
다음에,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개략 평면도, 제5도는 그 하류단이 무단 이동형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된 제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화살표는 주형내에 있어서의 용융금속의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1)은 내화물로 제조한 노즐본체(14)와 동일한 내화물로 제조한 정류체(15)등으로 되어 있다. 노즐본체(14)는 이 노즐(1)을 통하여 용융금속(8)이 흐르는 내공(1a)을 그 축선에 잇따라서 지니고 있다. 정류체(15)는 노즐본체(14)의 내공(1a)의 하류단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정류체(15)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상류부분과 머리잘린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하류부분 등으로 되어 있다. 정류체(15)의 상류부분은 노즐본체(14)의 내공(1a)의 하류단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류체(15)의 하류부분은 하류를 향하여 내공(1a)의 외부에 돌출하고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정류체(15)는 노즐본체(14)의 내공(1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8)이 노즐본체(14)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내표면(5a), 바꾸어 말하면, 여러개의 무단 연결된 금속제의 블록(5)으로 된 주형의 벽체(2)의 표면(5a)에 충돌하는 것과 같은 용융금속(8)을 위한 통로를 노즐본체(14)의 내공(1a)과 공동하여 형성하고 있다. 노즐본체(14)의 내공(1a)의 내표면과 정류체(15)사이의 간격은 통로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일정하다. 노즐본체(14)의 내공(1a)의 내표면과 정류체(15) 사이의 간격은 통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함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주입노즐(1)은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류체(15)는 노즐본체(14)의 내공(1a)의 하류단부의 폭방향의 중앙에 길이방항으로 배치된 정류체(15)와 동일한 내화물제의 지지체(16)에 의하여 노즐본체(14)의 내공(1a)안에 확보되어 있다. 즉, 정류체(15)와 지지체(16)는 지지체(16)의 하류단부가 정류체(15)의 상류부분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동일한 내화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16)는 지지체(16)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지지체(16)와 동일한 내화물제의 2개의 핀(17)으로 노즐본체(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류체(15)는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본체(14)의 내공(1a)안에 확보되어 있다. 더우기, 지지체(16)의 상류단 부분은 노즐본체(14)의 내공(1a) 안을 흐르는 용융금속(8)의 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입노즐(1)의 노즐본체(14)의 내공(1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8)은 정류체(15)와 노즐본체(14)의 내공(1a)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주형내에 주입된다. 이러한 경우, 용융금속(8)의 흐르는 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정류체(15)의 작용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바뀌어져서 용융금속(8)은 노즐본체(14)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내표면(1a), 바꾸어 말하면, 여러개의 무단 연결된 금속블록(5)으로 된 주형의 벽체(2)의 표면(5a)에 충돌한다. 이와같이, 용융금속(8)은 주조중에 항상 노즐본체(14)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벽체(2)의 표면(5a)에 충돌한다. 따라서, 벽체(2)의 표면에 잇따라서 응고셀(6)이 형성된다고 하지만, 노즐본체(14)의 하류단면에는 응고셀(6)의 상술한 기단부가 형성되는 일은 없고 또 그에 부착하는 일도 없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1)은 용융 실리카 등의 내화물에 의하여 제조된다. 주입노즐(1)에 있어서는 지지체(16)를 노즐본체(14)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핀(17)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주입노즐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 있다. 핀(17)의 재료는 지지체(16)와 동일한 내화물에 한정하는 일은 없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주입노즐(3)도, 또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상술한 연속 주조기에 있어서 사용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입노즐(3)은 내화물제의 노즐본체(20)와, 이 노즐본체(20)와 동일한 내화물제의 정류체(18)등으로 되어 있다. 노즐본체(20)는 그것을 통하여 용융금속이 흐르는 내공(3a)을 그 축선에 잇따라서 지니고 있다. 정류체(18)는 노즐본체(20)의 내공(3a)의 하류단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정류체(18)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상류부분과 머리잘린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하류부분 등으로 되어 있다. 정류체(18)의 상류부분은 노즐본체(20)의 내공(3a)의 하류단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류체(18)의 하류부분은 하류를 향하여 내공(3a)의 외부에 돌출하고 있다.
정류체(18)는 노즐본체(20)의 내공(3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이 노즐본체(20)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벽체의 표면에 충돌하는 같은 용융금속을 위한 통로를 노즐본체(20)의 내공(3a)과 협동하여 형성하고 있다.
정류체(18)는 노즐본체(20)의 내공(3a)의 하류단부의 폭방향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정류체(18)와 동일한 내화물제의 지지체(19)에 의하여 노즐본체(20)의 내공(30)안에 확보되어 있다. 즉, 노즐본체(20), 정류체(18) 및 지지체(19)는 동일한 내화물을 이용하여 예컨데, 종래의 러버프레스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류체(18)는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본체(20)의 내공(3a)안에 확보된다. 더우기, 지지체(19)의 상류단 부분은 노즐본체(20)의 내공(3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의 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체적으로 형성된 노즐본체(20), 정류체(18) 및 지지체(19)는 알루미나 그래파이트 계통 내화물 및 지르코니아 그래파이트 계통내화물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만들어져 있다.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과 제2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3) 사이의 구조상의 유일한 상이점은, 제1실시형태의 주입노즐(1)에 있어서는 정류체(15) 및 지지체(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지지체(16)가 핀(17)으로 노즐본체(14)에 고정되어 있음에 대하여, 제2실시형태의 주입노즐(3)에 있어서는 노즐본체(20), 정류체(18) 및 지지체(1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제2실시형태의 주입노즐(3)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의 주입노즐(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노즐본체(20)의 내공(3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은 주조중에 항상 노즐본체(20)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벽체의 표면에 충돌한다. 그 결과, 노즐본체(20)의 하류단면에는 응고셀의 상술한 기단부가 형성되는 일은 없고 또 그에 부착하는 일도 없다.
제2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본체(20), 정류체(18) 및 지지체(19)가 러버프레스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입노즐(3)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내구성에 뛰어나 있다.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1) 및 제2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3)은 용강, 용융알루미늄 등, 여러가지의 용융금속을 금속주편에 연속 주조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은 제1실시형태의 주입노즐(1) 및 제2실시형태의 주입노즐(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입노즐을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3도∼제5도에 나타낸 용융 실리카로 된 내화물제인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1)을 조제하였다. 주입노즐(1)의 노즐본체(14)의 내공(1a)의 내표면과 정류체(15)사이에 8mm의 간격을 두었으며, 동 간격은 정류체(15)와 노즐본체(14)의 내공(1a)들에 의하여 형성된 용융금속(8)을 위한 통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어서, 이와같이 조정된 주입노즐(1)의 상류단을 턴디시에 연결하여 주입노즐(1)의 하류단을 연속 주조기의 무단 이동형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하였다. 이어서, 용융 알루미늄 킬드 강(killed steel)(8)을 20m/분의 주조속도로 1시간 연속 주조하였다. 그 결과, 노즐본체(14)의 내공(1a)안을 흐르는 용강(8)은 노즐본체(14)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내표면(5a), 바꾸어 말하면, 여러개의 무단 연결된 금속제 블록(5)으로 된 주형의 벽체(2)의 표면(5a)에 충돌하였다. 따라서, 주입노즐(1)의 노즐본체(14)의 하류단면에 응고셀(6)의 상술한 기단부가 형성되는 일은 없었고, 또 그에 부착하는 일도 없었으며, 금속주편(9)의 표면상에 과열 또는 홈 등의 결함은 확인되지 않았다. 나아가서, 연속 주조 중에 노즐본체(14)의 하류단부가 파손하는 일은 없었다. 또, 연속 주조중에 주입노즐(1)이 폐쇄하는 일도 없었다.
더우기, 제6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용융금속 주입노즐(3)을 사용하여 연속주조를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도 연속 주조중에 주입노즐(3)의 노즐본체(20)의 하류단면에 응고셀의 상술한 기단부가 형성되는 일은 없었고, 노즐본체의 하류단면에 부착하는 일도 없었으며, 금속주편의 표면에 균열, 홈 등의 결함은 확인할 수 없었다. 나아가서, 연속 주조중에 주입노즐(3)의 노즐본체(20)의 하류단부가 파손하는 일은 없었다. 또, 연속 주조중에 주입노즐(3)이 폐쇄하는 일도 없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에 의하면, 연속 주조기의 무단 이동형 주형의 입구내에 삽입된 주입노즐의 노즐본체의 하류단면에 금속주편의 응고셀의 기단부가 형성되는 일은 없었고 또 그에 부착하는 일도 없었다. 따라서, 주입노즐의 노즐본체의 하류단면에 형성되었으며, 그에 부착한 응고셀의 기단부에 기인하는 균열, 홈 등의 결함이 금속주편의 표면상에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에 의하면, 주조 작업중에 주입노즐의 노즐본체의 하류단부는 파손하기 어려우므로 장시간의 연속 주조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용융금속 주입노즐에 의하면 허다한 공업상 유용한 효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Claims (6)

  1. 무단 이동형 주형은 동일 방향으로 또한 동일 속도로 무단 이동하는 2쌍의 서로 대향하는 벽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노즐(1),(3)은 내화물제이고, 그리고 이 주입노즐(1),(3)을 통하여 용융금속이 흐르는 내공(1a),(3a)을 그 축선에 잇따라서 지니고 있으며, 주입노즐(1),(3)의 일단은 용융금속을 수용하기 위한 턴디시(11)에 연결되어 있고, 주입노즐(1),(3)의 타단은 주형내에 삽입되어 있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에 있어서, 상기 주입노즐(1),(3)은 내공(1a),(3a)을 그 축선에 잇따라서 지닌 노즐본체(14),(20), 상기 내공(1a),(3a)의 하류단부의 횡단면적은 그 하류단을 향하여 점차로 크게 되어 있으며, 노즐본체(14),(20)의 내공(1a),(3a)의 하류단부의 중앙에 배치된 내화물제인 정류체(15),(18), 이 정류체(15),(18)는 내공(1a),(3a)안을 흐르는 용융금속이 노즐본체(14),(20)의 하류단 근방에 있어서의 주형의 내표면에 충돌하는 것과 같은 용융금속을 위한 통로를 내공(1a),(3a)과 협동하여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본체(14),(20)의 내공(1a),(3a)의 내표면과, 정류체(15),(18)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통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정류체(15),(18)는 내화물제의 지지체(16),(19)에 의하여 노즐본체(14),(20)의 내공(1a),(3a)안에 확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정류체(15) 및 지지체(16)는 동일한 내화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16)는 한개 이상의 핀(17)으로 노즐본체(14)에 고정되어 있고, 정류체(15)는 노즐본체(14)의 내공(1a) 안에 확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5. 제3항에 있어서, 노즐본체(20), 정류체(18) 및 지지체(19)는 동일한 내화물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류체(18)는 노즐본체(20)의 내공(3a)안에 확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내화물은 알루미나-그래파이트 계통 내화물 및 지르코니아-그래파이트 계통 내화물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KR1019890008560A 1988-06-21 1989-06-21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KR920000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53014 1988-06-21
JP63153014A JPH01321051A (ja) 1988-06-21 1988-06-21 移動鋳型式連続鋳造機用溶融金属注入ノズ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70A KR910000270A (ko) 1991-01-29
KR920000806B1 true KR920000806B1 (ko) 1992-01-23

Family

ID=1555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560A KR920000806B1 (ko) 1988-06-21 1989-06-21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49776A (ko)
EP (1) EP0347723B1 (ko)
JP (1) JPH01321051A (ko)
KR (1) KR920000806B1 (ko)
BR (1) BR89029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547A (en) * 1996-01-11 1997-03-25 Larex A.G. Nozzle with a baffle for a caster and an associated method of casting molten metal
US5804136A (en) * 1996-11-27 1998-09-08 Hazelett Strip-Casting Corporation Radial-flow distributor for wide uniform nonturbulent non-dribbling pouring of molten metal into a continuous metal-casting machine-methods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6975A (ja) * 1983-02-07 1984-08-23 品川白煉瓦株式会社 スライデイングノズル用プレ−ト耐火物
JPS59156963A (ja) * 1983-02-23 1984-09-06 品川白煉瓦株式会社 連続鋳造用ノズル
JPS59212153A (ja) * 1983-05-17 1984-12-01 Kawasaki Steel Corp 連続鋳造用ノズル
CH661882A5 (de) * 1983-06-01 1987-08-31 Lauener W F Ag Verfahren zum zufuehren einer metallschmelze in den giessspalt einer giessmaschine und giessmaschin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DE3409910A1 (de) * 1984-03-17 1985-04-25 Fried. Krupp Gmbh, 4300 Essen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oppelbandstranggiesskokille zum druckgiessen von stahl und mit einer doppelbandstranggiesskokille zusammenwirkende giessdues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60199554A (ja) * 1984-03-23 1985-10-09 Sumitomo Metal Ind Ltd ツインベルトキヤスタ−給湯装置用樋
JPS6186052A (ja) * 1984-10-02 1986-05-01 Toshiba Ceramics Co Ltd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S61176449A (ja) * 1985-01-31 1986-08-08 Nippon Kokan Kk <Nkk> 同期式連続鋳造装置
JPS61195753A (ja) * 1985-02-27 1986-08-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鋳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9776A (en) 1990-08-21
KR910000270A (ko) 1991-01-29
BR8902986A (pt) 1990-02-06
EP0347723A3 (en) 1991-03-06
EP0347723A2 (en) 1989-12-27
JPH01321051A (ja) 1989-12-27
EP0347723B1 (en) 1994-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3612A (en) Continuous casting mold and process of casting
US46257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metal
EP1140392B1 (en) High speed continuous casting device and relative method
KR920000806B1 (ko) 무단 이동형 주형을 지닌 연속 주조기를 위한 용융금속 주입노즐
KR100685474B1 (ko) 연속주조용 몰드
EP0314179A2 (en) Casting apparatus using twin belt caster
US4033404A (en) Oscillatory mold equipped with a hollow mold cavity which is curv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strand
KR101620703B1 (ko) 쌍롤박판 주조기의 탕면응고 방지장치
JPH0450097B2 (ko)
US5232046A (en) Strand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6354363B1 (en) Ingot mould with multiple angles for loaded continuous casting of metallurgical product
JPH09122861A (ja) 連続鋳造スラブの二次冷却方法
KR950005220Y1 (ko) 주편내부의 필러 유입방지용 필러캡
JP2662467B2 (ja) ベルト式連続鋳造の注入方法
JPS5820356A (ja) 水平型連続鋳造装置
JPS6114051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H0217735Y2 (ko)
US4530392A (en) Continuous casting mold
JP3470537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における介在物除去方法
JP3538967B2 (ja) 連続鋳造方法
EP0369184A2 (en) Casting machine having a travelling block mold assembly
JPH1085909A (ja) 連続鋳造装置
JP2845706B2 (ja) 連続鋳造設備のモールド装置
JPS6440149A (en) Pouring method in twin belt type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H0399758A (ja) ロール間で薄い金属製品を連続鋳造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