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014B1 -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14B1
KR840001014B1 KR1019810000796A KR810000796A KR840001014B1 KR 840001014 B1 KR840001014 B1 KR 840001014B1 KR 1019810000796 A KR1019810000796 A KR 1019810000796A KR 810000796 A KR810000796 A KR 810000796A KR 840001014 B1 KR840001014 B1 KR 84000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ransistors
phase
torqu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750A (ko
Inventor
미쓰오 우즈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014B1/ko
Publication of KR83000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2Monitoring commutation; Providing indication of commutation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종래 공지의 2상 4극무부러쉬 모터의 횡단도면.
제2도는 제1도의 모터의 회전토크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3도는 모터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며,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모터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을 자기테이프의 공급 리일 모터에 적용했을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6도는 모터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며,제7도는 제6도의 모터 구동호로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8도는 모터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모터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원한 설명도.
본 발명은 2상의 제1 및 제2의 고정자 코일의 제각기의 상에 있어서 180°이상의 전기각에 걸쳐 한쪽방향의 토크를 형성함과 동시에,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자 코일을 교대로 절환 통전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인 회전토크를 얻도록 한 2상 무부러쉬모터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VTR이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에 있어서는 와우(WOW) 플러터 (flutter)등의 개선을 위하여 초저속 무부러쉬 모터를 리일대에 직결해서 리일대를 상기 모터로 직접 구동하도록 한 것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위 직접 구동방식을 채용했을 때에는 장치의 조작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가 있으며, 또한 소형화에 유리하나 와우,플러터의 감소를 위하여 토크 리플이 극히 작은 무부러쉬 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이 때문에 대단히 고성능의 무부러쉬 모터가 필요한데 그 모터에 요구되는 성능의 허용한계가 대단히 엄격하므로 저 토크 리플의 무부러쉬 모터의 제작은 가격문제로 인해 실현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종래에는 토크리플을 저감하기 위하여 코일의 감는 방식 또는 형상을 연구하거나,나석의 착자 패턴을 연구하였으나, 이것에 의한 토크리플의 저감화는 어느 정도까지 밖에 행할 수가 없어 충분한 것이 못되었었다. 한편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무부러쉬 모터는 다음과 같은 방식과 문제점이 있다.
(1) 3상 일방향 통전방식
3상 코일에 전류를 일방향으로 순차로 공급하는 방식으로서, 회로구성은 비교적 간단하나 토크리플이 어느정도 커지는 결점이 있다.
(2) 3상 양방향 통전방식
3상 코일중 2개의 코일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순차 공급하여 양방향에 통전을 행하는 방식으로서, 토크리플은 (1)의 경우에 비해서 감소하지만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1),(2)의 방식은 그 어느것도 전류 절환의 타이밍과 자극반전의 타이밍이 중첩되기 때문에 전류 절환시에 토크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3) 정현파 구동 방식
2상의 각 코일의 쇄교 자속에 비례하는 정현파 모양의 구동전류를 이들 코일에 공급하고 각 코일의 구동전류와 쇄교자속에 의해서 형성되는 토크의 합을 회전각에 관계없이 일정하도록 한 방식으로서 토크리플을 작게 억제할 수는 있으나 정확한 회로조정이 필요하여, 2전원 효율에 난점이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 적당치 않다.
(4) 2상 스위칭 방식
제1도는 앞서 설명한 2상 스위치 방식의 무부러쉬 모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모터는 원통형의 외측회전자 요크(1)의 내주면 4극의 자석(2a),(2b),(3a),(3b)이 장착되고 그의 내측에 있는 고정자철심(4)의 표면에는 2상의 고정자 코일(5A), (5B),(5A')(5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 코일(5A)와 코일(5A')은 전기적으로 동상이며 서로 직렬로 결합되어 있고 또한 고정자 코일(5B)과 코일(5B')은 직렬로 결합되어 있다.
자석(2a)(2b)(3a)(3b)은 제각기 140°의 전기각을 가진다. NS자극의 경계위치를 0°라 하면 140°내지 220°의 전기각 범위는 공극부분(6a)(6b)으로 되어 있다. 또 코일(5A)(5B),(5A')(5B')각각의 권선 핏치(왕로(往路)의 복로(復路)의 간격)는 예를들어, 전기각이 100°로 된다.
제2도(I)는 A상의 고정자 코일(5A)(5A')에 의해서 발생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A상의 고정자 코일의 왕로 V에 쇄교하는 자속은 제2도(I)의 가는 실선A'와 같이 된다. 즉 전기각 180°부근의 공극부(6a)(6b)에 있어서의 쇄교 자석은 감소된다. A상의 고정자 코일(5A)(5A')에 연속전류를 흘리면 왕로 V에 의해서 생기는 토크는 제2도(I)의 A'와 같이 된다. 또 A상 고정자 코일의 복로 U에 의해서 생기는 토크는 전류방향이 반대이며 또 100°의 위상차가 있으므로 제2도(I)의 점선 B'와 같이 된다. 따라서 A상의 고정자 코일(5A)(5A')의 왕로 V와 복로 U에 의해서 발생되는 합성토크는 제2도(I)의 실선(A)와 같이 된다. 즉, 180°이상의 전기각에 걸쳐서 한쪽 방향의 토크가 얻어진다.
따라서 180°의 전기각마다 A상과 B상의 코일(5A)(5A') 및 (5B)(5B')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절환 통전하면 제2도(II)와 같이 전류절환 시점의 근방 이외에는 일정한 연속적인 회전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무부러쉬 모터에서는 제2도에서와 같이 전류 절환시(스위칭시)에 토크의 떨어짐이 있기 때문에 토크리플이 생기는 결점이 있다. 또 무부러쉬 모터를 가령 VTR의 캡스턴 구동용 모터로서 사용했을 때는 특히 주파수 성분이 높은 토크 리플에 의해서 와우 플러터가 생겨 이에 따라 짓터(jitter)가 생기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2상 스위칭 방식의 무부러쉬 모터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은 불편을 해소키 위해 발명된 것으로, 2상의 제1 및 제2의 고정자 코일의 각각의 통전기간을 서로 중첩 통전하는 것에 의해 전류 절환시의 토크의 떨어짐을 저감시키도록 한 2상 무부러쉬 모터의 구동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제3도 내지 제9도를 참고해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2상 4극 무부러쉬 모터의 구동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의 모터에서는 회전자에 위치검출용 자석이 설치되고, 이에 대향해서는 호울소자가 설치되는데, 제3도에 있어서 호울소자(10)의 출력단자 A및 B로부터는 제4도(I)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교류출력신호 A1및 B1이 얻어지고, 이와같은 교류출력신호 A1및 B1은 차동증폭기(11)에 공급된다. 이 차동 증폭기(11)의 출력 단자 Q로부터는 제4도(II)에서와 같이 180°의 전기각마다 고 레벨 및 저레벨로 되는 전류절환신호 a가 얻어지고, 출력단자
Figure kpo00001
에서는 전류절환 신호a의 반전신호 b 〔제4도(III)〕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들의 출력신호 a 및 b는 트랜지스터(Tr1) 및 (Tr2)의 베이스에 각각 공급되고 이들 트랜지스터(Tr1) 및 (Tr2)는 상기 출력신호 a 및 b에 의해 교대로 온/오프 된다. 이에 의해 A상의 고정자 코일(5A),(5A')및 B상의 고정자코일 (5B)(5B')은 180°의 전기각 구간마다 교대로 통전되고, 그 결과 모터는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한편 호울소자(10)의 출력단자 A 및 B로부터는 제4도(I)에서와 같은 교류 출력신호 A1및 B1이 한쌍의 차동증폭시(13),(14)에 각각 공급되는데, 이들 차동증폭기 (13 ),(14)는 소정의 임계레벨 〔제4도(I)의 일점쇄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쪽의 차동증폭기(13)로부터는 출력신호 B1의 레벨이 출력신호 A1의 레벨보다 크고 그 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일 때에 저 레벨로 되는 제4도(IV)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신호c가 얻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다른쪽의 차동증폭기(14)로부터는 제4도(V)에서와 같은 출력신호 d가 얻어진다. 이들 출력신호 c 및 d는 AND회로(15)에 공급되고 이 AND회로 (15)로부터는 제4도(Ⅵ)에서와 같이 상기 신호 c의 입상시점으로부터 신호 d의 입하시점까지의 기간에 걸쳐 고레벨로 되는 펄스 신호 e가 얻어진다. AND회로(15)로부터의 펄스 신호 e는 중첩 통전용 트랜지스터(Tr3) 및 (Tr4)의 베이스에 각각 공급되는데,고레벨의 펄스신호 e가 공급되었을때에 이들 트랜지스터(Tr3) 및 (Tr4)는 온 상태로 절환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모터 구동회로에 의하면 차동증폭기(11)로부터의 전류 절환 신호 a에 의해 트랜지스터(Tr1)가 온 상태로 놓여져 있는 기간에 걸쳐서 A상의 고정자 코일(5A)(5A')이 통전된다. [제5도(I)참조] 그리고 상기 전류 절환 신호 a에 의해 트랜지스터(Tr1)가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절환되기직전에 펄스 신호 e에 의해 트랜지스터(Tr4)가 온 상태로 절환되어 있기 때문에 B상의 고정자 코일(5B)(5B')는 전류 절환 직전의 소정기간 t에 걸쳐서 통전된다. 〔제5(Ⅱ)도 참조〕또 트랜지스터 (Tr1)가 오프상태로 절환되고, 트랜지스터(Tr2)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B상의 고정자코일 (5B)(5B')이 전류 절환신호 b에 의해 통전됨과 동시에, 이 전류 절환시에는 펄스 신호 e에 의해 트랜지스터( Tr3)가 온 상태로 놓여져 있기 때문에 A상의 고정자 코일 (5A)(5A')은 제5도 (II)에서와 같이 전류 절환 직후의 소정기간 t에 걸쳐서 통전된다.
이 결과, A상으부터 B상 혹은 B상으로부터 A상으로의 절환이 행해지는 시점 근방의 전후기간에 걸쳐서 A상의 고정자 코일(5A)(5A') 및 B상의 고정자코일 (5B) (5B')이 함께 중첩되어 통전되기 때문에 모터의 토크는 제5도(III)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전류 절환시의 토크의 떨어짐이 보상되어 토크의 특성이 평탄화되게 된다. 한편 토크의 떨어짐의 보상량은 트랜지스터(Tr3)및 (Tr4)의 콜렉터 저항(R1) 및 (R2)의 저항치를 변화시켜 임의로 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들어,고정자 코일( 5A) (5A')의 통전의 경우, 트랜지스터(Tr4)가 온으로 되었을때 트랜지스터(Tr3)도 온상태로 되나 트랜지스터(Tr1)가 온으로 때문에 트랜지스터(Tr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 다른쪽의 고정자 코일(5B)(5B')의 통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원리가 작용한다.
다음,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을 자기테이프의 리일 모터구동회로에 적용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호울소자(10)의 출력단자 A 및 B로부터 얻어지는 제4도(I)에서와 같은 교류 출력신호 A1및 B1은 트랜지스터(Tr5) 및 (Tr6)의 베이스에 각각 공급되고 차동 증폭되어,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로부터는 제7도(II)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형의 전류 절환 신호 f가 얻어진다. 이 전류 절환 신호 f는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Tr7) 및 (Tr8)는 180°의 전기각마다 교대로 온/오프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Tr9)는 전원단지(20)에서 공급되는 정 및 역회전 제어전압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로서, 공급 리일 모터 정 회전시(되감기)에는 전원단자(20)에서 고레벨의 전압이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 공급되어 온 상태로 되며,역회전시(조송의 테이프 되보내기)에는 전원단자(20)에서 저 레벨의 전압이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오프상태로 절환된다.
여기서 먼저, 모터의 정회전시(제6도에서와 같이 스위치(Sw)가 회전속도 제어전압 단자 Vs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9)가 온 상태일때)의 회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트랜지스터(Tr7) 및 (Tr8)의 콜렉터들에서는 상기 전류 절환 신호 f에 따르는 펄스 신호들이 얻어지고,이 펄스 신호들은 트랜지스터(Tr10내지 Tr15), 저항(R1내지 R4) 및 콘덴서(C1내지 C3)로 구성되는 전류 절환회로에 공급된다. 즉 상기 각 펄스 신호는 트랜지스터(Tr11) 및 (Tr12)의 베이스에 각각 공급된다. 만일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에서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저레벨의 펄스신호가 공급된다면 공급된다면 트랜지스터(Tr11)가 온 상태로 절환되어 저항(R2) 트랜지스터(Tr10) 및 (Tr11)를 거쳐서 전류 IB가 흐르고,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Tr15)가 온 상태로 된다. 또한,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에서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저레벨의 펄스신호가 공급되면, 트랜지스터(Tr12)가 온으로 되어 트랜지스터(Tr14)가 온으로 된다.
이와같이 해서, A상 코일(5A)(5A')과 B상 코일(5B)(5B')은 교대로 절환 통전된다. 여기서 콘덴서(C2, C3)는 잡음방지용 콘덴서이다. 트랜지스터(Tr14)(Tr15)각각이 온일때의 콜렉터 전압은 다이오드(D1내지 D3)에 의해 검출되며, 검출전압은 트랜지스터(Tr13,Tr10) 및 저항(R1, R2)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전류제어회로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트랜지스터(Tr14)및 (Tr15)가 거의 포화점에서 동작토록 각각의 베이스전류 IB가 제어된다.
즉,제6도의 G점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r14,Tr15)가 온일때의 콜렉터 전압에 다이오드(D1) 또는 (D5)의 온 전압을 가한 전압이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D2)의 캐소드( H점)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r14,Tr15)의 콜렉터 전압으로 된다. 이 콜렉터 전압는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 이에 의해서(Tr13)의 콜렉터 전류가 정해진다.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 전류는 저항(R1)에 흘러서 트랜지스터(Tr10)의 베이스전압이 형성된다. 이 베이스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 전류가 정해진다. 이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Tr11) 및 (Tr12)가 온일때에 스위칭 트랜지스터(Tr14) 및 (Tr15)의 베이스에 흐른다.
예로서 트랜지스터(Tr14) 및 (Tr15)의 각각의 베이스 전류가 각각의 트랜지스터를 가장 적합하게 포화시키는 전류(콜렉터전류를 직류증폭율로 나눈것)에 대해서 과잉하다면, H점의 전압(검출전압)은 낮게 되어 트랜지스터(TrB)의 콜렉터 전류는 감소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 전류도 감소된다. 따라서 스위칭트랜지스터 (Tr14,Tr15)의 베이스 전류는 감소된다. 또 베이스전류가 적을때는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평형점은 H점의 전압(Tr14, Tr15의 콜렉터전압)이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미터전압(0.7V정도)이 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스위청 트랜지스터(Tr14,Tr15)의 콜렉터-에미터 전압은 거의 포화전압에 가까운 0.7V 정도로 된다.
즉 코일(5A)(5A'(5A')(5B)(5B')의 공급전압 Vs의 크기에 따라서 코일 통전 전류의 크기가 변화해도 트랜지스터(Tr14, Tr15)가 꼭 포하되도록 필요 최소한의 베이스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모터기 동시에 필요한 베이스 전류를 충족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모터가 정격회전으로 되었을때는 제어된 적은 베이스 전류로 최적하게 구동된다. 이에 따라서 모터의 소비전력을 보다 적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 있어서는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똑같이 A상 및 B상의 고정자코일 (5 A)(5A')및 (5B)(5B')의 각각의 통전기간이 전류절환시점 근방의 전후 기간에 걸쳐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호울소자(10)의 출력단자 A및 B로부터의 교류 출력신호 A1및 B1〔제4도(I)〕가 트랜지스터(Tr16) 및 (Tr17)로 구성되는 차동증폭기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이들의 콜렉터로부터는 제7도(I)에 g,h로 나타낸바와 같은 증폭 출력전압이 얻어진다. 이 출력 전압은 트랜지스터(Tr18,Tr19)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이들의 트랜지스터(Tr18,Tr19)는 제7도(I)에서와 같은 임계레벨(일점 쇄선으로 도시됨)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트랜지스터(Tr19,Tr18)의 콜렉터로부터는 제7도(III),(IV)에서와 같은 고레벨 구간이 서로 중첩되는 펄스신호 i, j가 얻어진다. 이들 펄스신호 i는 신호 j는 각각 임계레벨 이하일때 고레벨로 된다. 펄스신호 i, j가 함께 고레벨되었을 때는 다이오드 D4,D5의 케소드전위가 높게되기 때문에 저항 R5→다이오우드 D5→저항 R6및 저항 R5→다이오우드 D4→저항 R7의 경로를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 결과, 트랜지스터(Tr20)의 베이스 전위가 제7도(V)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류절환시점의 근방의 전후기간에 걸쳐서 높게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20)가 오프상태가 되고 이에 반하여 트랜지스터(Tr21)가 온상태로 절환된다, 이 트랜지스터(Tr21)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콜렉터전위가 올라가기 때문에 중첩통전용 트랜지스터(Tr22) 및 (Tr23)가 각각 온상태로 절환된다. 따라서 제7도 (II)의 전류절환신호 f에 의해서 예로서, A상의 고정자코일(5A)(5A')이 통전되는 경우, 전류 절환 시점 근방에서, B상의 고정자코일 (5B)(B')에 토크리플을 보상키 위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 이와 반대로 B상의 고정자 코일(5B)(B')이 통전되는 경우에는 전류절환 시점의 근방에서, A상의 고정자코일 (5A)(5A')에 토크리플보상 전류가 흐른다.
이 결과, 비통전 상태에 있어야할 다른쪽의 고정자 코일(5A)(5A') 또는 (5B )(5B')에 중첩통전용 트랜지스터 (Tr22) 또는 (Tr23)를 거쳐서 보상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전류절환 시점에서의 토크의 떨어짐을 보상할 수가 있어 토크특성을 평탄화할 수가 있다. 또한, 토크의 떨어짐의 보상량은 트랜지스터(Tr22) 및 (Tr23)의 콜렉터 저항(R8) 및 (R9)을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정할 수가 있다.
이상은 제6도의 모터구동회로의 정회전 모드의 동작으로서, 이 경우 공급리일모터는 자기 테이프의 송출방향과는 역방향의 토크를 형성하고 자기테이프에는 토크리플이 대단히 적은 백텐션(back-tension)이 작용된다.
다음 모터의 역회전에 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위치(SW)가 제6도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속도 제어전압단자 Vs로 부터 역회전용 전압단자 VR로 절환된다. 그리고 단자(20)에서 저레벨의 전압이 상기 단자 VR을 거쳐서 고정자코일 (5A)(5A') 및 (5B)(5B')의 일단에 공급된다. 또한, 역회전모드에서는, 공급 리일모터는 자기테이프의 송출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에 의해서 조종시의 테이프 주행부하를 경감토록 하고 있다.
단자(20)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에도 공급되어서 이 트랜지스터( Tr9)가 오프 상태로 되게한다. 이때, 트랜지스터(Tr7)(또는 Tr8)가 온상태가 되면, 트랜지스터(Tr7)(또는(Tr8)의 콜렉터전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제6도의 I점(j점)의 전위가 상승해 트랜지스터(Tr24)(또는 Tr25)가 온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트랜지스터(Tr24) 및 (Tr25)가 상기 전류 절환신호 f에 근거하여 등간격으로 교대로 온/오프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r24)가 온 상태일때는, 이 트랜지스터(Tr24) 및 다이오우드(D6)를 거쳐서, 또한, 트랜지스터(Tr25)가 온 상태일때에는 이 트랜지스터(Tr25)및 다이오우드(D7)를 거쳐서 전원전압 Vcc가 A상의 고정자 코일(5A)(5A') 및 B상의 고정자코일(5B) (5B')에 교대로 공급된다. 그 결과 모터가 역회전구동 되게 한다.
또한,이 경우, 트랜지스터(Tr9)가 오프상태에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3) 및 (Tr10)가 오프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Tr11) 및 (Tr12)는 함께 오프상태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4) 및 (Tr15)에는 베이스 전류 IB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A상 및 B상의 고정자 코일(5A)(5A') 및 (5B)(5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회전 구동용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정회전시에는, 상술한 한쌍의 트랜지스터(Tr24및 Tr25)가 함께 오프상태로되므로 역회전 구동용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제6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Tr26)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공급리일모터가 되감기 모드(권취리일모터인 때는 조송모드)로 절환되어서, 단자(20)에 고레벨의 전압이 공급되는 때 및 모터가 역회전면드일때에, 중첩통전용 트랜지스터(Tr22) 및 (Tr23)를 함께 오프 상태로 하여 이들 트랜지스터(Tr22및 Tr23)의 발열방지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기록/재생모드시에 모터토크가 공급릴의 백텐션으로서 작용되는 경우에는,트랜지스터(Tr26)는 오프 상태로 되고 중첩통전용 트랜지스터(Tr22및 Tr23)는 상술한 바와같이 교대로 온/오프 되어 중첩통전이 행해진다.
한편, 테이프 권취상태에서의 공급리일모터의 고속 정회전시에는 모터공급전압이 높아지므로 제6도의 K점 및 L점의 전위가 상승한다. 또, 테이프 조정시의 공급리일 모터의 테이프 송출을 위한 역회전일때에도 K점 및 L점이 고레벨이 된다. K점 및 L점의 전압은 다이오우드(D8, D9)에 의해서 검출되고, 이 검출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 (Tr26)가 온상태로 절환되어, 그 결과 트랜지스터(Tr20)가 오프, 트랜지스터( Tr21)가 온상태로 된다. 따라서 중첩통전용 트랜지스터(Tr22및 Tr23)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트랜지스터의 발열이 경감된다. 또한 이때 중첩통전은 행해지지 않게 되나, 권취(정회전)나 조성시의 송출(역회전)을 행할 때에는 모터의 토크리플이 크게 되어도 하등의 염려가 없다.
다음,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모터 구동회로로서, 제8도에 있어서 제3도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8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이미 설명한 제 1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중첩통전용 트랜지스터(Tr3,Tr4및 토크보상량 조정용저항(R1,R2)이 설치되어 있지않으며 호울소자(10)의 출력단자 A 및 B로 부터의 교류출력신호 A1및 B1〔제9도(II) 참조〕을 한쌍의 차동증폭기(13)(14)에 공급해 차동증폭하고. 이들 차동증폭기(13)(14)로부터 얻어지는 출력신호 c,d에 의해서 트랜지스터(Tr27. Tr28)를 각각 180°이상의 전기각에 걸쳐서 온/오프시켜, 이에 의해 A상 및 B상의 고정자코일( 5A)(5A')및 (5B)(5B')이 교대로 중첩하여 통전되도록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의 자석(2a)(2b),(3a)(3b)의 착자패턴을 바꿈으로써 혹은 고정자코일(5A)(5A')(5B)(5B')의 핏치각(왕로 V와 복로 U와의 각도간격)을 바꿈으로써, 제9도(I)에서와 같이 A상과 B상의 토크곡선이 거의 피크의 1/2위치에서 교차해 α=β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차동증폭기(13)(14)에서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9도(III) 및 (IV)에 도시한 바와같은 펄스 신호c,d가 각각 얻어지므로, 트랜지스터(Tr27) 및 (Tr28)가 제9도(V)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간 t'에 걸쳐서 함께 온상태로 된다. 즉, 이들 트랜지스터(Tr27및 Tr28)는 통전각이 180°+α(단 α> D)로 된다. 그 결과, 상기 기간 t'에 걸쳐서 중첩통전이 행해져, 전류절환시점에서의 토크의 떨어짐이 A상 및 B상의 고정자코일(5A)(5A')및(5B)(5B')의 동시통전에 의해, 제9도(I)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A상 및 B상 토크와 같은 레벨로 이상적으로 보상된다.
또한 이와같이 구성했을때, 토크보상량 조정용 저항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토크 보상량의 조정은 할 수 없으나 이 저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방열이 적고 IC화에 적합한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2상의 제1및 제2의 고정자코일의 각각의 통전기간이 전류절환시점 근방에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류절환시점의 근방에서 생기는 토크의 떨어짐을 보상할 수가 있어 토크리플을 대폭 저감할 수가 있다. 따라서 특히 자기테이프 리일의 직접 구동방식의 VTR이나 테이프 레코더등에 본 발명의 구동회로를 사용하면 와우, 플러터, 짓터 저감화가 가능하다.

Claims (1)

  1. 2상의 제1 및 제2의 고정자 코일의 각 상에서 180°이상의 전기각에 걸쳐 한쪽 방향의 토크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자 코일을 교대로 절환통전함으로써 연속된 회전토크를 얻도록한 2상 무부러쉬)모터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자코일의 각각의 통전기간이 전류절환시점의 근방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KR1019810000796A 1981-03-07 1981-03-07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KR84000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796A KR840001014B1 (ko) 1981-03-07 1981-03-07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796A KR840001014B1 (ko) 1981-03-07 1981-03-07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50A KR830005750A (ko) 1983-09-09
KR840001014B1 true KR840001014B1 (ko) 1984-07-19

Family

ID=1922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796A KR840001014B1 (ko) 1981-03-07 1981-03-07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0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50A (ko) 198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067A (en) Apparatus for driving brushless motor
JPS6158461A (ja) ニパルス式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US4412159A (en) Drive circuit for an alternate phase brushless DC motor
US6400116B1 (en) Motor drive control apparatus
US4066935A (en) Stator winding control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NL192703C (nl) Besturingsschakeling voor een borstelloze gelijkstroommotor.
US4503369A (en) Power supply for plural brushless DC motors
US4039911A (en) Dc motor controlled by hall generator
KR840001014B1 (ko) 2상 무부러쉬 모터 구동회로
JPH0517798B2 (ko)
EP0154863B1 (en) Apparatus for driving polyphase brushless motor
JPH04183253A (ja) 鉄芯型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JPH0446583A (ja) 位置検知器を有しない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における回転子の停止位置の検出方法
US5754025A (en) Iron core motor device
KR0168576B1 (ko) 브이씨알의 드럼 모터 구동 장치
KR100220517B1 (ko) 홀센서가 제거된 헤드드럼모터의 구동회로
JPS58139697A (ja) モ−タ駆動装置
KR100222476B1 (ko) 브이씨알의 센서리스 헤드드럼모터의 구동전압 최적인가주기 결정방법
JPS5918878Y2 (ja) モ−タの駆動回路
JPS5918874Y2 (ja) モ−タ駆動回路
JP3399208B2 (ja) 直流モータの駆動装置
KR0170944B1 (ko) 브이.씨.알의 드럼모터 구동 장치
JPH0628959Y2 (ja) ブラシレスモ−タ
JPS6111078B2 (ko)
JPS62276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