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832Y1 - 전 동 장 치 - Google Patents

전 동 장 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832Y1
KR840000832Y1 KR2019830009067U KR830009067U KR840000832Y1 KR 840000832 Y1 KR840000832 Y1 KR 840000832Y1 KR 2019830009067 U KR2019830009067 U KR 2019830009067U KR 830009067 U KR830009067 U KR 830009067U KR 840000832 Y1 KR840000832 Y1 KR 840000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ransmission
electric
shaft
transmis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오 사다겐
시게유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뎃코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뎃코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구보다 뎃코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9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2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56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for utility vehicles, e.g. tractors or agricultural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 동 장 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동장치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제2전동케이스의 뒷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볼트 장착상태를 나타낸 종단측면도.
본 고안은 제1전동케이스와 제2전동케이스를 접속하고, 이 접속부분을 관통하는 전동축을 설치한 전동장치(transmission)에 관한 것이다.
제1전동케이스와 제2전동케이스와의 내부에는, 케이스안에 설치되는 전동기구(예를들면, 기어전동기구)를 윤환하기 위하여 윤환유가 저류되어 있으므로, 윤환유가 외부로 비산(飛散)하지 않도록 밀봉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경우, 제1전동케이스의 벽면과 제2전동케이스의 벽면과를 패킹등을 삽입한채 전체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음에 설명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1전동케이스 벽면과 제2전동케이스 벽면과를 전체적으로 접속시키려고 하는 경우, 양케이스의 벽면 모두를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으면 알맞고 확실하게 밀착할 수 없는 것이며, 제작에 시간과 수고가 많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양전동 케이스 제각기의 벽면에 모든 벽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조립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조립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전동장치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뤄진 것이며, 즉, 원통제를 사용하여 양전동케이스를 맞붙이고저 하는 것이며, 또한, 그 원통체의 외주부와 양케이스등 각각의 사이에 오일시일을 배치시켜 밀봉코저 하는 것이므로, 원통체의 외주부와 양케이스의 원통체를 결합시키는 면이 정밀하게 가공될 필요가 있으며, 종래처럼 양전동케이스의 벽면 전체를 정밀하게 가공하는데 비해서 제작이 용이해지는 것이며, 또한 종래 구조와 같이 양케이스를 정밀하게 조립하지 않더라고 알맞고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는 것이며, 조립작업도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과 잇점은 아래의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 바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농업용 트랙터의 전동장치를 나타내며, (1)은 엔진 출력축, (2)는 상기 출력축(1)에 고착된 플라이휘일, (3)은 주행계 입력축, (4)는 입력축(3)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그 입력축(3) 주위에 배치된 원통형의 PTO 계통의 입력축, (11)은 대형의 제1전동케이스, (13)은 제1전동케이스(11)의 전면에 접속되는 소형의 제2전동케이스이다.
주행계의 입력축(3) 및 PTO 계통의 입력축(4)의 제각기에, 마찰판(5a) 및 (6a)가 스프라인 연결됨과 동시에, 이들 마찰판(5a),(6a)가 플라이휘일(2)에 탄성적으로 압압되어, 주행계 클러치(5)와 PTO 계통의 클러치(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클러치(5),(6)은 플라이휘일(2)에 축지된 조작아암(7),(8)이 축심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지점(X1),(X2)를 중심으로 요동되면 클러치절환상태로 되는 것으로서 제2전동케이스(13)의 외측에 설치된 원통부재(9)의 일단부가, 상기 양 조작아암(7),(8)에 접촉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양 클러치(5),(6)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원통부재(9)의 일단부와 주행계의 클러치(5)의 조작아암(7)과의 간격보다도 원통부재(9)의 일단부와 PTO계통의 클러치(6)의 조작아암(8)과의 사이의 간격이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부재(9)를 시프트표오크(10)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먼저 조작아암(7)이 요동되어서 주행계 클러치(5)가 절환조작되며, 다음에, 조작아암(8)이 요동되어서 PTO계통의 클러치(6)이 절환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프트표오크(10)은 도시하지 않은 푸트페달을 밝는 조작에 의해 요동되는 것이다.
주행계 입력축(3)은 제2전동케이스(13)을 관통하여 제1전동케이스(11) 안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제1전동케이스(11)의 상부에 지지된 주행계 진동축(14)에 기어변속기구(15)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PTO계통의 입력축(4)는, 제2전동케이스(13)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전동케이스(11) 안에서 제2전동케이스(13) 안으로 연장된 PTO계통의 전동축(16)의 연장단부에 기어연동기구(17)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전동케이스(11)과 제2전동케이스(13)의 내부에는 윤환유가 저류되며, 양 케이스(11),(13) 안의 여러 전동기구를 윤환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제1전동케이스(11)과 제2전동케이스(13)은 윤환유가 외부로 누출하는 일이 없는 밀봉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2전동케이스(13)은 앞케이스 부분(13a)와 뒷케이스부분(13b)(제2도 참조)가 볼트로 연결되는 두개부분으로 구성되며, 앞케이스 부분(13a)과 뒷케이스 부분(13b)를 분할한 상태에서 먼저 뒷케이스 부분(13b)를 제1전동케이스(11)에 맞붙이고, 다음에, 뒷케이스 부분(13b)에 대하여 앞케이스 부분(13a)를 맞붙이도록 되어 있다. 제1전동케이스(11)과 뒷케이스 부분(13b)는, PTO계통 전동축(16)이 삽통하는 하부 원통체(12a), 주행계 입력축(3)이 삽통하는 중간 원통체(12b), 및 주행계 전동축(14)의 앞쪽에 위치하는 상부원통체(12c)를 끼어넣은 상태로 제1전동케이스(11)의 앞쪽벽에 볼트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원통체(12a), (12b), (12c)는 제1전동케이스(1) 및 뒷케이스 부분(13b)에 결함됨과 동시에, 이들 원통체(12a), (12b), (12c)의 외주부와 양케이스(11),(13a) 각각과의 사이에는, 오일시일로서의 0링(1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뒷케이스 부분(13b)와 제1전동케이스(11)을 연결하는 볼트(19)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0링(20)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부분으로부터의 기름누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2전동케이스(13) 안의 윤환유는 제1전동케이스(11) 안의 윤활유와 통하여 있고, 제1전동케이스내 윤활유는, 제1전동케이스(11)과 PTO계통 전동축(6)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격(21a), 원통체(12a)와 PTO계통 전동축(16)과의 사이의 간격(21b), 및 PTO계통 전동축(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2전동케이스(13)에 설치한 베어링(22)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케이스 부분에 형성한 절결홈(21c)로서 된 유로(油路)(21)을 통하여 제2전동케이스내로 흐른다. 상부원통체(12c)의 내부는 윤활유 유입에 수반하여 제2전동케이스(13)안의 공기를 제1전동케이스(11) 안으로 안내하는 공기유통로(23)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PTO계통 전동축(16)에는, 제2전동케이스 내 전동축(16)의 일단부로부터 제1전동케이스안에 위치한 전동축의 부분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통구멍(24)와, 그 제1연통구멍(24)의 제1전동케이스안에 위치한 부분과 연통하고 전동축(16)의 외주부에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연통구멍(25)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축(16)의 회전에 따라, 제2연통구멍안에 있는 윤활유가 원심력에 의해 방출되고, 제2전동케이스 안에 윤활유를 제1연통구멍(24)와 제2연통구멍(25)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흡인 및 복귀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흡인복귀 작용에 의해, 제2전동케이스 안의 윤활유가 소량이기 때문에 제2전동케이스(13)이 조기에 열화(劣化)되기 쉬운 경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26)은 PTO계통 전동축(16)에 헐겁게 설치됨과 동시에 주행계 입력축(3)에 기어 연결된 회전날개로서, 주행계 클러치(5)의 절환시에 신속하게 주행계 입력축(3)의 회동을 정지시키도록, 윤활유에 의하여 주어지는 회전저항에 따라 주행계 입력축(3)의 회동에 저항을 주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예시도면에 있어서는, 중간의 원통체(12b)의 내주부와 주행계 입력축(3)의 외주부와의 사이 및 PTO 계통 입력축(4)의 외주부와 제2진동케이스(13)와의 사이에 오일시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중간의 원통체(12b)의 외주부와 제2전동케이스(13)와의 사이에는 이일시일을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예시했지만, 이 부분에 오일시일을 설치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Claims (1)

  1. 전동케이스(11)에 제2전동케이스(13)가 접속되고 양 케이스(11),(13)의 접속부분을 주행계 입력축(3)과 적어도 한개의 전동축(16)이 관통하는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 케이스(11),(13) 사이의 전동축 관통부분에는 제1원통체(12a)가 그리고 입력축 관통부분에는 제2원통체(12b)가 각각 외주부에 오일시일로서의 0링(18)을 사이에 두고 설치됨과 동시에, 양 원통체(12a)(12b)내에 전동축(16) 및 입력축(3)이 각각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KR2019830009067U 1979-04-10 1983-10-24 전 동 장 치 KR840000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067U KR840000832Y1 (ko) 1979-04-10 1983-10-24 전 동 장 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124 1979-04-10
KR2019830009067U KR840000832Y1 (ko) 1979-04-10 1983-10-24 전 동 장 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124 Division 1979-04-10 1979-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832Y1 true KR840000832Y1 (ko) 1984-05-22

Family

ID=2662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067U KR840000832Y1 (ko) 1979-04-10 1983-10-24 전 동 장 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8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7582B2 (ja) 車両の動力伝達装置
KR100242270B1 (ko) 텐덤 구동 액슬의 동력 분할기 윤할
US8262528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3145582A (en) Positionable breather for a gear case
US4244241A (en) Final drive units for motor vehicles
KR920018382A (ko) 차량의 동력 전달장치구조
US4405038A (en) Device for troque transmission between a drive shaft, e.g. an engine crankshaft, and an attachment unit such as a hydrodynamic retarder
US4296644A (en) Casing for a transmission
KR860002667A (ko) 팬 클러치(Fan clutch)
US4324152A (en) Sealing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for an automobile
KR840000832Y1 (ko) 전 동 장 치
US4789376A (en) Gear type shaft coupling
JPS6216348B2 (ko)
US2616311A (en) Transmission
US4333359A (en) Lubricating oil transfer construction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US4011775A (en) Transmission including a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JPH0533814Y2 (ko)
KR0174167B1 (ko) 자동변속기
JPH0821520A (ja) 高速回転部の軸連結装置
JPH0251645A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スラストワッシャ装着装置
JPH09184561A (ja) 差動装置
US4642985A (en) Oil pump system in power train
JP2927191B2 (ja) Pto装置
JP2910233B2 (ja) 歯車変速機のシール方法
JPH0187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