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60B1 - 측면 핀쿠션(pincushion)변조기 회로 - Google Patents

측면 핀쿠션(pincushion)변조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60B1
KR840000560B1 KR1019810002251A KR810002251A KR840000560B1 KR 840000560 B1 KR840000560 B1 KR 840000560B1 KR 1019810002251 A KR1019810002251 A KR 1019810002251A KR 810002251 A KR810002251 A KR 810002251A KR 840000560 B1 KR840000560 B1 KR 84000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or
voltage
current
deflection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021A (ko
Inventor
로날드 나이트 피터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글렌 에이취, 브르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면 핀쿠션(pincushion)변조기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측면 핀쿠션 수정 및 과전압 보호를 갖는 편향 회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제1도의 회로 작동과 연관된 파형도.
본 발명은 편향회로의 측면 핀쿠션 수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텔레비젼 수상기의 영상관 내의 전자비임들은 수평 및 수직 편향 권선들을 흐르는 톱니파 편향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자장에 의하여 편향된다. 편향된 전자 비임들은 영상관 형광면 상의 래스터(raster)패턴(pattern)에 주사된다. 이것이 수정되지 않으면 래스터 패턴은 측면 즉 좌우 핀쿠션 왜곡과 같은 여러 가지 가하학적 왜곡들을 나타낸다.
측면 핀쿠션 왜곡을 수정하기 위하여 수평 편향 권선의 피크 -피크(peak-to-peak)수평 편향 소수 전류는 포물선형으로 수직 비율로 변조된다. 100°또는 110°의 커다란 편향각도에 대하여 수평 편향권선에 접속된 예를 들어 다이오드 변조기와 같은 변조기 회로에 의하여 포물선형 변조가 수행된다.
1975년 9월 16일 공고된 미합중국 특허 제3,906,305호에 설명된 통상적인 다이오드 변조기 회로에 있어서, 평향소인 캐패시터가 편향권선에 접속되며 변조기 인덕터가 변조기 캐패시터에 접속된다. 2개의 캐패시터들은 플라이백(flayback)변압기의 1차측 권선을 통하여 +B작동 전압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된다. 편향 권선과 변조기 인덕터에 수평비율 톱니파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편향스위치와 변조기 스위치가 제공된다. 수평귀선동안 톱니파 전류를 플라이 백 시키기 위하여 수평 편향 권선과 변조기 인덕터가 제각기의 귀선 캐패시터들과 공진한다.
변조기 캐패시터에 접속된 제어 회로는 캐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포물선형으로 수직비율로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소인 캐패시터 양단의 소인 전압이 유사한 형태로 변화하므로 측면 핀쿠션이 수정된다. 변조기 회로는 통상적으로 변조기 캐패시터를 분로시키는 주전류 동전 통로를 갖는 한 개의 트랜지스터단을 포함한다. 변조기 캐패시터로부터 분로된 전류의 양을 제어하므로 트랜지스 터단은 변조기 및 소인 전압들을 제어한다. 포물선형으로 변화하는 수직배율 바이어스 신호를 트랜지스터단에 인가하므로써 분로 전류가 유사한 형태로 변화하여 결국 측면 핀쿠션이 수정되도록 변조기 및 소인 전압들이 변화한다.
개방된 회로 즉 편향 권선 또는 소인 캐패시터가 접속되지 않은 이러한 잘못된 작동 상태하에서 변조기 캐페시터 양단 전압은 정상적인 작동상태하에서 제공된 피크 변조기 전압보다 실제로 큰 레벨로 증가한다. 이렇게 증가된 변조기 캐패시터 전압은 변조기 회로 제어단에 인가되어 과전압 상태를 유발하고 트랜지스터의 결합과 제어단의 다른 성분을 유발한다.
몇 개의 변조기 트랜지스터 단들은 수직 비율 변조기 캐패스터 전압이 포물선 형태를 유지하도록 변조기 전압이 부극성으로 귀환되는 에미터 폴로워로서 구성된다. 잘못된 작동상태하에서 이러한 에미터 폴로워 회로들은 변조기 캐패시시터로부터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전류를 분로시켜 트랜지스터단이 과도한 전력이 소비된다. 또한, 부극성 귀환 상태일때도 변조기 캐패시터 전압은 잘못된 작동 상태하에서 불필요하게 증가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잘못된 작동 상태하에서 변조기 회로에 과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고정회로는 캐패시터 양단에 걸리 전압이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변조기 캐패시터로부터의 전류를 바이패스시키도록 변조기 캐패시터 및 기준압원에 접속된다. 특정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회로는 잘못된 상태하에서 변조기 캐패시터 전압을 대략 기준전압 레벨로 고정시키는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변조기 회로내에 있는 트랜지스터단에 걸리는 과전압은 이렇게 감소된다. 또한, 변조기회로 트랜지스터단을 흐르는 전류보다 과도한 전류가 다이오드 고정회로를 흐르므로 트랜지스터단을 과도 전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축면 핀쿠션 수정회로는 소인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편향권선과 편향권선에 접속된 소인 캐패시턴스를 포함한다. 제1스위칭 장치는 편향권선에 편향소인류를 발생시키도록 소인전압을 평향권선에 인가한다. 편향권선에 접속된 제1귀선 캐패시턴스는 평향권선에 편향귀선 전류를 발생시킨다.
변조기 캐패시턴스는 변조기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조기 인덕턴스에 접속된다. 제2스위칭 장치는 변조기 인덕턴스에 톱니파변조기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변조기 전압을 변조기 인덕턴스에 인가한다.
제2귀선 캐패시턴스는 변조기 인덕턴스에 귀선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인덕턴스에 접속된다.
작동전압원은 소인 및 변조기 캐패시턴스들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플라이 백 변압기 권선을 포함하는 장치에 접속된다. 제어할 수 있는 분로장치는 변조기 캐패시턴스에 접속되며 소인 및 변조기 전압을 제어하도록 분로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한다.
수직 비율 바이어스 전압은 측면 핀쿠션을 수정하기 위하여 분로전류를 수직 비율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할수 있는 분로장치에 인가된다.
고정장치는 변조기 캐패시턴스 양단의 전압에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변조기 캐패시턴스로부터의 전류를 바이캐스 시키도록 변조기 캐패시턴스를 기준 전압원에 고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에 도시된 수평 편향회로 10에 있어서, 단자 21의 작동전위는 수평출력 변압기 즉 플라이백 변압기 22의 1처측 권선 22a에 인가된다. 1차측 권선 22a는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27의 콜렉터인 단자 43에서 스위칭 장치에 접속된다. 편향소인 캐패시터 31, 수평편향권선 30, 편향 귀선 캐패시터 29 및 댐퍼(damper)다이오드 28s형의 직렬장치가 단자 43 및 단자 41양단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변조기 회로 55는 수평 편향전류 iy에 측면링쿠션 수정을 제공하도록 수평편향권선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변조기 55는 변조기 인덕터 34 및 변조기 캐패시터 35의 직렬접속을 포함하며 변조기 인덕터 34는 단자 41에서 수평편향 권선 30에 접속된다. 변조기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직렬접속은 변조기귀선 캐패시터 33 및 다른 스위치 그리고 변조기 다이오드 32와 병렬이다.
소인 캐패시터 31과 변조기 캐패시터 35가 플라이백 변압기 1차측 권선 22a를 통하여 +B작 동단자 21로부터 충전되므로 캐패시터 31양단에 소인 전압 Vt가 설정되며 캐패시터 35양단에 변조기 전압 Vm이 설정된다.
실제 수효의 수평편향주기에 걸쳐서 평균할 때 변조기 전압Vm의 평균값은 단자 40에서 변조기 캐패시터 35와 분로적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 36에 의하여 제어된다. 바이어스 저항 53은 트랜지스터 36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변조기 캐패시터 35로부터 트랜지스터 36의 콜랙터로 분포된 분로전류 is의 양을 변화시키므로 써캐패시터 35양단에서 발생된 변조기 전압Vm의 평균값이 변한다. 분로 트랜지스터 36은 종래의 수직 포물선 발생기 54와 래스터폭 조정회로 57을 포함하는 변조기 제어회로 37의 일부분이다. 수직 포물선 발생기 54는 수직비율 1/TV인 포물선형 바이어스 신호 38을 캐패시터 51과 저항 5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36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변조기 전압 Vm의 평균값은 제1도의 파형 39로도시된 바와같이 수직비율로 포물선 형태로 변화한다.변조기 전압의 평균값이 포물선 형태로 수직비율로 변화하면 편향소인 캐패시터 31양단에서 제공된 소인 전압 Vt의 평균값은 수직 주사 중심에서 최대값이 되도록 포물선 형태로 수직 비율로 변화하며 이것은 수평편향전류 iy에 측면 핀 쿠션 수정을 제공하는데 필요하다.
래스터폭 조정회로 57은 전압분할저항들 46내지 49를 포함하며 트랜지스터 36의 베이스는 저항 48과 49의 접합부에 접속되며 저항 48은 저항 47의 와이퍼암(wiperarm)에 접속된다. 회로 57은 분로전류 IS의 DC레벨을 제어하도록 조정할수 있는 DC베이스 전류를 트랜지스터 36에 제공하므로 래스터의 폭이 제어된다.
제2a도내지 제2g도의 시간 t₁후인 수평편형 주기의 소인 간격의 제1부분 동안, 댐머 다이오드 28과 변조기 다이오드 32는 제2도의 댐퍼 다이오드 전류 i28 및 제2e도의 변조 다이오드 전류 i32로 도시된 바와같이 도전한다. 소인 전압 Vt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S형의 톱니파 수평편향 전류iy를 제공하도록 편향권선 30의 인가된다. 제2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조기 전압 Vm은 변조기 인덕터 34내에서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톱니파 변조기 전류 im을 제공하도록 변조기 인덕터 34양단에 인가된다.
제어할수 있는 분로 트랜지스터 36이 분로전류 is를 포물선 형태로 수직비율로 변화시키므로 변조기 전압 Vm은 2개의 파형들 사이에 수직선들로 표시된 바와같이 제 2f도의 상부 및 하부 파형들 사이에 유사한 방법으로 변화한다. 전압 Vm이 포물선 형태로 수직비율로 변조되므로 소인 전압도 변조되어 제 2a도의 2개의 파형들을 분리시키는 수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편향전류 iy가 수직비율로 변조된다. 이렇게 되므로써 축면 핀구션이 수정된다.
앞서 원금된 바와같이 시간 t₁후인 수평편향주기의 소인 간격의 제1부분동안, 댐퍼 다이오드 28과 변조기 다이오드 32는 제2d 도및 제2e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편향전류 및 변조기 언덕터 전류를 각각 도전시킨다. 제각기의 다이오드 전류들의 또 다른 성분은 플라이백 변압기 1차측 권선 22a를 흐르는 전류 ic이다.
시간 T₂의 근처에서, 수평 발진기 및 분할기 26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27의 베이스 및 에미터 전극 양단에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그후에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27이 베이스와 콜렉터가 역방향 도전 상태로 작동하므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27은 제2e도에 시간 t₂-t₃사이에 흐르는 부극성 콜렉터 전류 i27로도시된 바와같이 그리고 이간격 동안 제2d에 다이오드 32에 흐르는 전류 i32가 없게 도시된 바와같이 변조기 다이오드 32로부터 전류도전을 인수한다. 수평 편향 전류 iy가 변조기 전류 im보다 진폭이 크다고 가정하면 변조기 다이오드 32는 수평 편향전류 iy와 변조기 전류 im이 제2e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극성일 때 수평 소인 간격의 중심 근처에서 시산 후에 차전류 iy-im을 도전시킬 것이다.
시간 t₄이전에 수평발진기 및 구동기 26은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27의 베이스 및 에미터 전극들에 역 방향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트랜지스터 27는 대략 시간들 t₄-t5이에서 발생하는 수평 소인 간격이 시작되는 시간 T₄에서 차단된다. 수평 귀선 간격동안 수평편향권선 30과 수평귀선 캐패시터 29는 캐패시터 29양단에 귀선 펄스 전압을 제공하도록 공진한다. 변조기 인덕터 34와 변조기 귀선 캐패시터 33은 변조기 전류 im을 플라이백시키도록 반주기공안 공진 발진한다. 변조기 인덕터 34와 변조기 귀선 캐패시터 33의 값은 평향 귀선 주파수와 동일한 발진 주파수를 얻도록 선택된다.
시간들 t₄-t5사이에서 귀선 캐패시터 33양단에서 제공된 귀선 필스 전압 V33은 제2f도 도시된 바와같다.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27의 콜렉타인 단자 43에서 제공된 귀선 필스전압은 편향 및 복조기 귀선 캐패시터들 양단에서 제공된 귀선 펄스 전압들의 합을 포함하며 제2도에 필스 파형 Vr로 도시되어 있다. 다이오드 변조기 수정회로 55가 사용될 때 귀선 펄스 Vr은 귀선 펄스파형이 수직 비율로 변조되지 않기 때문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 주사에 걸쳐서 진폭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귀선 펄스 전압 Vr은 플라이백 변압기 22의 1차측 권선 22a에 인가되어 고전압 권선 22b에 의하여 승압된다. 플라이백 변압기 고전압 권선 22b양단에 접속된 고전압 회로 44는 권선 22b양단에서 제공된 고전압으로부터 고전압 DC가속전위를 단자 u로 유출한다. 단자 45에서 제공된 공급전압과 같은 다른 DC공급전압은 권선 22c와 같은 플라이백 변압기의 다른 권선들로부터 얻을수 있다. 플라이백 변압기 군선 22c의 양단에서 발생한 전압은 단자 45에 전압 Vo를 제공하도록 수평소인 간격동안 예를들어 다이오드 24에 의하여 정류되고 캐패시터 23에 의하여 여과된다.
전압 Vo는 제1도에 부하 RL로서 한꺼번에 도시된 수직편향 및 신호 처리 회로와 같은 부하 회로들에 대한 공급 전압으로 사용된다.
수평편향 전류 iy가 S형으로 되어야 하므로 편향소인 캐패시터 31과 변조기 캐패시터 35의 캐패시턴스 값들은 2개의 캐패시터들 양단에서 발생한 전압들이 수평비율 1/TH로 변화도록 선택된다. 제2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조기 전압 Vm은 수평소인간격의 중심인 시간 t₃근처에서 수평편향의 매주기 마다 최대로 된다. 전압 Vm이 측면 핀쿠션을 변조시키므로 수평편향의 매주기마다 얻어진 최대 전압은 수직 주사 중심의 레벨 Vm¹과 주직주사의 상부 및 부하레벨 Vm²사이에서 포물선 형태로 수직비율로 변화한다.
수평편향회로 10이 어떠한 잘못된 작동 상태하에 있을 때 변조기 캐패시터 35양단에서 발생한 전압은 다이오드 변조기 회로 55 또는 수평편향회로 10의 다른 부분들의 회로 소자들에과전압이 걸리게 하는 어떤 값으로 증가할수 있다. 수평 편향권선 30 또는 편향 소인 캐패시터 31이 개방 상태일때를 생각하자. 이러한 상태는 단자 41과 수평 편향 권선 30을 연결하는 도선을 가로지르는 표식 42인 접선 "X"로 제1도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평 편향 권선 30과 소인 캐패시터 31을 포함하는 회로 브랜치 (branch) 는 수평 회로의 나머지 부분에 작동할수 있게 접속되지 않았다. 이러한 잘못된 상태에서는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편향 전류 iy가 흐르지 않는다.
제3a도내지 제3g도는 회로 브랜치 인 다이오드 50이 생략된 때의 개방회로를 가정한 것으로 정상적인 작동상태하에서 제2도 내지 제2g도 각에 의하여 도시된 전류 및 전압이 잘못된 파형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회로가 개방된 잘못된 상태 즉 수평 권선이 수평편향회로 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하에서는 변조기 캐패시스터 전압 Vm은 제3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제로 증가한다. 변조기 전압 Vm은 제2g도에 도시된 정상 작동 상태하에서 제공된 최대 변조기 캐패시스터 전압 Vm²보다 크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적 큰 피크값 Vm³에 도달한다. 변조기 전압 Vm이 제어할수 있는 분로 트랜지스터 36에 인가되므로 잘못된 상태하에서 발생하는 변조기 전압의 실제적인 증가는 트랜지스터에 과전압을 인가하며 장치의 결함을 유발한다. 편향화로와 변조기 귀선 회로들의 공진 주파수가 실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변조기 제어회로 37에 접속된 부하임피던스가 크게 감소하므로 잘못된 작동 상태하에서 제3a도 내지 제3g도의 파형들은 수직 비율로 변조되지 않으며 변조되어도 그 수직비율이 크게 감소된다.
수평 편향 회로 10의 다른 소자들에 과전압이 인가될수 있다. 제3f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변조기 귀선 캐패시터 33양단에서 발생한 귀선 펄스 전압 V33은 잘못된 상태하에서 평균변조기 전압 Vm이 증가하므로 진폭이 보다 커진다. 변조기 다이오드 32에 보다 큰 전압이 이렇게 인가된다. 또한 잘못된 작동 상태하에서 댐퍼 다이오드 28은 제3d도에 시간 t₃-t₄사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소인간격의 첫 번째 반주기 보다는 2번째 반루기 동안 도전한다.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27은 수평귀선 간격 t₄-t5가 시작되는 시간 t₄에서 차단된다. 플라이백 변압기의 1차축 권선 22a의 인덕턴스는 귀선 캐패시터들 29 및 33과 공진하여 제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간 t₄-t5사이에서 단자 43에 펄스 전압을 제공한다. 전하가 축적되었기 때문에 댐퍼 다이오드 28이 귀선이 시작되어 차단될때까지 상단한 간격동안 도전하므로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며 장치에 과전압이 걸린다.
또한 시간 t₃후에,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27은 제3f도에서 증가하는 전압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포화상태를 벗어나므로 출력 트랜즈스터 27에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트랜지스터에 27대한 베이스 구동이 감소하고 콜렉터 전류가 증가하므로 출력 트랜지스터 27은 포화 상태를 벗어난다. 베이스 구동은 수평발진기 및 구동기 26내에 있는 베이스 구동회로에 제공된 전력 공급 전압의 함수이다. 이러한 전력 공급전압은 통상적으로 수평플라이백 변압기 22의 2차축 권선 양단에서 발생한 귀선 펄스 전압을 정류하여 얻어진다. 잘못된 상태하에서 귀선 펄스진폭, 전력 공급 전압 및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베이스 구동은 모두 감소된다.
플라이백 변압기 1차축 권선 22a와 귀선 캐패시터들 29 및 33의 공진 발진 주파수는 수평 귀선 주파수보다 실제로 낮다. 그러므로 플라이백 변압기 1차측 권선 22a로부터 귀선 캐패스터 29에 저장된 에너지는 제3a도내지 제3g도의 시간들 t5또는 t₁인 곳인 변조기 인덕터 34 및 변조기 캐패시터 33의 플라이백 끝에서 권선에 완정히 복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변조기 다이오드 32가 도전되는 시간인 t₁에서 편향귀선 캐패시터 29는 제3b도에 단자 43의 -이 아닌 V27로 도시된 바와같이 여전히 실제적인 레벨로 충전된다. 시간들 t₁-t₂사이인 소인 간격의 제1부분동안 편향 귀선캐패시터 29 및 시간들 t₁-t₂사이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전압 R로 도시된 바와같이 1차측 권선 22a에 의하여 서서히 방전된다. 시간 t₂에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27은 도전되며 그 후에 제3c도에 콜렉터 전류파형 i27의 작은 스파이크(spike)전류 5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 29는 급격히 방전된다. 귀선간격 t₄-t5동안 1차측 권선 22a의 전류 발진 공진 주파수가 변조기 인덕터 34와 변조기 귀선 캐패시터 33의 공진 주파수보다 낮기 때문에 1차측 권선 22a으로부터 변조기 귀선 회로에 공급된 모든 에너지는 귀선 간격끝전과 변조기 다이오드 32가 도전을 하기전에 1차측 권선으로 복귀될수 없다. 그러므로, 변조기 캐패시터는 제3g도와 제2g도의 변조기 전압을 비교하면 할수 있듯이 정상 작동 상태보다는 잘못된 작동상태하에서 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된다.
제1도의 회로에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과전압 보호장치를 포함시키므로써 잘못된 상태하에서 변조기 전압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고정회로 25는 변조기 캐패시터 35에 접속되며 변조기 캐패시터 35양단의 전압 Vm이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구동된다. 고정회로는 단자 40의 변조기 캐패시터 35와 단자 45의 공급전압원 Vo사이에 접속된다. 전압Vo는 고정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준전압으로 작동한다. 잘못된 작동상태하에서 변조기 전압 기준전압레벨 Vo이상으로 1개의 다이오드 전압 강하만큼 증가해야하며 다이오드 50이 도전되어 변조기 캐패시터 35가 단자 45에 고정되며 변조기 Vm이 전압 Vo를 초과하지 않는다.
제4a도내지 제4g도는 개방회로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실시한 보호용 다이오드 고정장치가 포함될 때 제1도 회로의 전류 및 전압들의 잘못된 파형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4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압 Vm은 간격 t동안 대략 전압레벨 Vo로 고정되어 제어할수 있는 분로 트랜지스터 36에 과전압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잘못된 작동상태하에서 댐퍼 다이오드 28의 피크 전류는 제3d도와 제4d도를 비교하면 알수 있는 바와같이 소인 간격의 끝인 시간 t₁근처에서 실제로 감소된다. 또한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27의 피크 콜렉터 전류는 제43c도와 제3c도를 비교하면 알수 있는 바와같이 시간 t4의 근처인 소인 실제로 감소한다. 또한 베이스 구동이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 27은 제4f도와 제3f도를 비교하면 알수 있는 바와같이 콜렉터 전류가 감소하므로 수평소인 간격의 후미 부분동안 포화상태에 있게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변조기 전류 im이 플라이 백되는 동안 플라이 백 변압기 1차측 권선 22a의 전류 발진 ÷ 공진주파수가 낮아지므로 변조기 귀선회로에 과도한 에너지가 전달되어 결국 변조가 캐패시터 35에 과도한 에너지가 전달된다. 고정 다이오드 50이 단자 40과 Vo공급 단자 사이에 정속되므로써 단자 40에서의 전압이 레벨 Vo를 초과할 때 이러한 과도한 에너지 공급 단자 45로 향하게 된다. 이 에너지는 분로 트랜지스터 36을 통과하는 추과적인 전류로서 보다는 제4g도의 간격 t동안 다이오드 50의 전류로서 흐른다. 그러므로 단자 40과 45사이의 고정장치는 제회로 37보다는 변조기 제어 회로들과 사용하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단자 40의 전압 파형을 바이어스 신호 38의 파형과 동일하게 하도록 트랜지스터 36을 2개단의 예미터폴로워 트랜지스터 장치로 대치하면 변조기 인덕터 34로부터 캐패스터 35로부터 먼 쪽으로 흐르는 과도한 분로 전류는 에미터 폴로워 트랜지스터 장치보다는 공급단자 45로 향하게 되어 전력소비가 감소되며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Claims (1)

  1. 본문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같이, 편향권선과, 소인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편향권선에 접속된 소인 캐패시턴스와, 상기 편향권성에 편향 소인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편향권선에 상기 소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1스위칭 장치와, 상기 편향 권선에 편향 귀선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편향 권선에 접독된 제1귀선 캐패시턴스와, 변조기 인덕턴스와, 변조기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변조기 인덕턴스에 접속된 변조기 캐패턴스와, 상기상기 변조기 인덕턴스에 톱니파 변조기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변조기 전압을 상기 변조기 인덕턴스에 인가하기 위한 제2스위칭 장치와, 상기 변조기 인덕턴스에 귀선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변조기 인덕턴스에 접속된 제2귀선 캐패턴스와, 작동 전압원과, 상기 소인 및 변조기 캐패턴스들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 전압원에 접속된 플라이백 변압기 권선을 포함하는 장치와, 상기 변조기 캐패시턴스에 접속되며, 싱기 소인 및 변조기 전압들을 제어하는 분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이어스 전압들에 응답하는 제어할수 있는 분로장치와 측면 핀쿠션을 수정하기 위하여 상기 분로 전류를 수직 비율로 변화시키는 수직비율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제어할수 있는 분로 장치에 인가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측면 핀쿠션 수정회로에 있어서, 기준 전압원과, 변조기 캐패시턴스 양단의 전압이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상기 변조기 캐패시턴스로부터의 전류를 바이패스 시키도록 상기 변조기 캐패시턴스를 상기 기준 전압원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측면 핀쿠션 변조기회로.
KR1019810002251A 1980-06-23 1981-06-20 측면 핀쿠션(pincushion)변조기 회로 KR84000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211 1980-06-23
US06/162,211 US4329729A (en) 1980-06-23 1980-06-23 Side pincushion modulator circuit with overstress protection
US162211 198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021A KR830007021A (ko) 1983-10-12
KR840000560B1 true KR840000560B1 (ko) 1984-04-20

Family

ID=2258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251A KR840000560B1 (ko) 1980-06-23 1981-06-20 측면 핀쿠션(pincushion)변조기 회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329729A (ko)
JP (1) JPS5730466A (ko)
KR (1) KR840000560B1 (ko)
AT (1) AT383921B (ko)
AU (1) AU536303B2 (ko)
CA (1) CA1163361A (ko)
DE (1) DE3124424C2 (ko)
ES (1) ES503089A0 (ko)
FR (1) FR2485310A1 (ko)
GB (1) GB2079117B (ko)
HK (1) HK37089A (ko)
IT (1) IT1136799B (ko)
PL (1) PL132685B1 (ko)
PT (1) PT73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5023A (en) * 1980-07-07 1981-12-08 Rca Corporation Raster distort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
US4516058A (en) * 1981-05-11 1985-05-07 Rca Corporation Linearity corrected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SE453241B (sv) * 1982-04-23 1988-01-18 Rca Corp Krets for variabel horisontalavbojning, vilken krets kan astadkomma ost-vestkuddkorrigering
DE3234314C1 (de) * 1982-09-16 1983-09-2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Schaltungsanordnung zur Korrektur von Ost-West-Kissenverzerrungen
JPS6047634A (ja) * 1983-08-24 1985-03-15 Maki Seisakusho:Kk 桃の滅菌,腐敗防止の方法
GB8331283D0 (en) * 1983-11-23 1983-12-29 Rca Corp E-w correction by yoke sink current control
US4533855A (en) * 1983-12-16 1985-08-06 Rca Corporation Switched capacitor S-correction circuit
JPH0733490Y2 (ja) * 1984-11-12 1995-07-3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イスプレイ装置の偏向・高圧回路
DE3510138A1 (de) * 1985-03-21 1986-09-25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Horizontal-ablenkschaltung
US4625154A (en) * 1985-07-30 1986-11-25 Rca Corporation Deflection circuit with a switched mode modulator circuit
JPS62168467A (ja) * 1986-01-21 1987-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平偏向回路
PT84306B (pt) * 1986-02-27 1989-10-04 Gen Electric Dispositivo de deflexao
US4677350A (en) * 1986-08-18 1987-06-30 Rca Corporation Raster width correction apparatus for multi scan frequency monitors
US4906902A (en) * 1988-03-10 1990-03-06 Rca Licensing Corporation Raster distortion corrected deflection circuit
JPH01268451A (ja) * 1988-04-15 1989-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素子の過電圧抑制回路
JP2656593B2 (ja) * 1989-01-05 1997-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水平偏向・高圧回路
US4910441A (en) * 1989-02-21 1990-03-2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udio loading modulated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5043637A (en) * 1990-12-14 1991-08-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ransformer coupled voltage clamp for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5939844A (en) * 1996-05-13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frequency horizontal deflection/high-voltage generation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US6274989B1 (en) * 1999-01-12 2001-08-14 Walter Truskalo Dynamic damping clamper arrangement associated with s-shaping capacitor
US6614193B2 (en) * 2001-08-31 2003-09-02 Thomson Licensing S.A. Deflection current modulation circuit
US7961086B2 (en) * 2006-04-17 2011-06-14 James Roy Bradley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US20080122606A1 (en) * 2006-04-17 2008-05-29 James Roy Bradley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2056A (en) * 1963-03-08 1967-01-31 Rca Corp Transistor protection circuits
DE1293335C2 (de) * 1966-03-17 1973-02-01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fuer kontaktlose Steuerbausteine
NL152733B (nl) * 1973-02-01 1977-03-15 Philips Nv Schakelinrichting voor een van een beeldweergeefbuis voorziene beeldweergeefinrichting voor het opwekken van een zaagtandvormige afbuigstroom door een regelafbuigspoel, alsmede beeldweergeefinrich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schakelinrichting.
US3894269A (en) * 1974-01-31 1975-07-08 Rca Corp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31823A1 (ko) 1982-02-15
DE3124424A1 (de) 1982-03-18
AT383921B (de) 1987-09-10
KR830007021A (ko) 1983-10-12
ES8204261A1 (es) 1982-04-01
IT8122475A0 (it) 1981-06-19
ATA277981A (de) 1987-01-15
CA1163361A (en) 1984-03-06
IT1136799B (it) 1986-09-03
JPS6260876B2 (ko) 1987-12-18
US4329729A (en) 1982-05-11
PL132685B1 (en) 1985-03-30
PT73207B (en) 1982-07-06
GB2079117B (en) 1983-10-26
HK37089A (en) 1989-05-12
AU536303B2 (en) 1984-05-03
FR2485310A1 (fr) 1981-12-24
AU7188481A (en) 1982-01-07
ES503089A0 (es) 1982-04-01
DE3124424C2 (de) 1983-12-01
GB2079117A (en) 1982-01-13
JPS5730466A (en) 1982-02-18
FR2485310B1 (ko) 1985-04-05
PT73207A (en) 198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560B1 (ko) 측면 핀쿠션(pincushion)변조기 회로
CA1145480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modular circuit
CA1154153A (en) Deflection and power supply circuit with reduced start-up drive
KR920005869B1 (ko) 동-서 핀쿳션 보정 수평편향회로
EP0211569B1 (en) A deflection circuit with a switched mode modulator circuit
US4316128A (en) Television receiver focus voltage circuit
US4634938A (en) Linearity corrected deflection circuit
US5428272A (en) Voltage regulator for CRT electrode supply
KR100239076B1 (ko) Crt 전극 전원용 전압 부우스터
US4916366A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US4572993A (en) Television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US4780648A (en) Deflection apparatus
JP3120850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の電源
FI93293B (fi) Televisiolaitteen suurjännitesäätäjä
JPS596672A (ja) 水平偏向電流発生回路配置
US4118655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US4187451A (en) Color picture display device with a circuit for generating a screen grid voltage
KR970005222B1 (ko) 텔레비젼 장치의 전원 장치
EP0266996B1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S4169989A (en)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saw-tooth currents in coils
EP0521659B1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799942B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편향 장치
US5012164A (en) Horizontal deflection and EHT generator circuit
US4419608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EP0114430B1 (en) Pictur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circuit and a line deflection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