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69Y1 -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69Y1
KR830002469Y1 KR2019830008462U KR830008462U KR830002469Y1 KR 830002469 Y1 KR830002469 Y1 KR 830002469Y1 KR 2019830008462 U KR2019830008462 U KR 2019830008462U KR 830008462 U KR830008462 U KR 830008462U KR 830002469 Y1 KR830002469 Y1 KR 830002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rice transplanter
rice
posture
plan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8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이시다
히로가즈 나까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0710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596A/ko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다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8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제1도는 이앙기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마아크 사시도.
제3도는 중요부의 측면도.
본 고안은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收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하로 이동하는 양정기구와연동하여 마아크(mark)를 자동적으로 수납하도록 한 것이다.
주행차체의 후방에 양정기구를 통해서 모심기 작업기를 장착한 이앙기에 있어서 심어지는 모의 이랑사이를 적당하게 유지하고 또한 기체의 직진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기체의 직진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모심기 작업시에 다음 이랑의 기체 주행 기준선을 논바닥에 표시하는 마아크를 구비하고 있었다. 통상적으로 상기의 마아크는 기체의 측방에 뻗어나와 있으므로 기체가 주행하면 논바닥에 주행 기준선을 표시하는 지표자세(指標姿勢)와 이앙기의 폭안에 수용되는 비지표자세(非指標姿勢)를 취하도록 선회가농하게 기체에 피봇트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앙기가 모심기 작업시에는 지표 자세로 또한 이앙기가 보통 도로를 주행할 때나 논 안에서 선회를 할때는 비지표 자세가 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마아크의 지표자세 및 비지표자세로 전환조작을 수동으로 해야만 하는 ㄱ여우, 특히 논 안의 이랑끝에서 선회할 때는 마아크의 비지표자세로의 변환조작을 잊어버리고 지표자세 그대로 이앙기를 선회시키면 상기 마아크에 의해서 이미 심어져있는 모를 쓰러뜨리고 또한 논두렁에 부딪혀서 손상을 받는 등의 사태가 발생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써 논에 모를 심는 모심기작업기를 양정기구에 의하여 주행차체에 대해서 자유롭게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 이앙기앙에 있어서 상기 이앙기에 장착되어 선단부를 논바닥으로 향한 지표자세와 논바닥으로 향하지 않는 비 지표자세로 자유롭게 상하 이동하는 마아크를 상기 상하로 작동하는 양정 기구사이에 상기 이앙기가 상승시에는 비 지표자세로 후퇴하고 하강시에는 지표자세로 돌출하는 방법으로 연동하도록 구성한 이앙기 마아크를 자동 수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서 도면부호 1은 승용형 4륜 주행차체이며, 그 후방은 평행링크로 된 양정기구를 통하여 모심기 작업기(3)가 상승, 하강 가능하게 장치된, 공지의이앙기를 구성하고 있다. 모심기 작업기(3)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를 겸한 프레임(4)을 중요부분으로 하여 그 아랫쪽에 플로우트(5)와 주행차체(1)에 대해서 경사져서 좌우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지지된 모저장태으크(6)와 이모 저장탱크와, 경사져서 아랫쪽에 마주보고 상하운동 가능토록 설치된 모심기 장치(7)를 갖는데, 상기 모심기 장치(7)에 의하여 모 저장탱크(6)에 실려있는 모를 모 배출구로부터 한 포기씩 뽑아서 논 바닥에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 저장탱크(6)의 양측부밑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4)으로부터 기체 측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지지봉(4Q)에 마아크(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아크(8)는 지지봉(4Q)에 고정된 부착받이(8a)와 부착받이(8a)에 핀(8b)에 의해서 피봇되어 있는 아암부(8c)의 선단에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끼워서 나선부(8d)와 나선부(8d)의 선단을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서 그 선단에 합성수지재를 끼운 표식부(8e)로 구성되어, 핀(8b)를 중심으로 선회하므로 기체측방에 뻗어나온 표식부(8e)의 선단이 논 바닥에 일정한 깊이만큼 삽입되는 지표 자세와 모 저장탱크(6)의 하측에 수납되는 비 지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아크(8)에는 부착받이(8a)에 부착된 뻗힘부재(9)와 아암부(8c)에 마련된 멈춤부(10) 사이에 인장스프링(11)이 걸려 있으며 보통때는 마아크(8)가 지표자세가 되도록 인장되어 있다. 그리고 멈춤부(10)와 그 반대측의 아암부(8c)에 마련된 멈춤부(12)에는 마아크(8)를 비 지표자세 쪽으로 끌어당기는 와이어(13)가 주행차체(1)측에 연장되어 있다.
한편, 양정기구(2)는 그 상부링크(2a) 및 하부링크(2b)의 후단부가 모심기작업기(3)에 피봇되어 있고 상부링크(2a)의 전단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행자체(1)의 후부에 그 하부를 부착시킨 링크(14)의 상부위치에 링크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14)에 연결된 상부링크(2a)와 동축으로 일단을 축지지하고 그 타단은 스프링케이스(16)를 통하여 기단부를 주행차체에 부착된 유압실린더(17)의 피스톤(17a)의 선단위치에 피봇시킨 작동아암(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피스톤(17a)의 신축에 의하여 작동아암(15)을 통하여 상부링크(20)를 링크(14)와의 피봇점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하 운동시키며, 모심기 작업기(3)를 상승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아크(8)를 지표자세 및 비 지표자세로의 변환 동작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17a)의 선단부에는 표식판(18)을 부착시키고, 이 표식판(18)에 표식사프트(19)의 선단부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선단에 소정의 간격(c)을 유지하도록 멈춤구(20)를 부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식샤프트(19)의 기단부는 상기 유압실린더(17)에 부착된 지지부재(21)에 전후 방향에 뚫려 있는 구멍(21a)내에 전후로 간격 C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삽입시킨 록크 샤프트(22)의 일단에 부착시키고 록크 샤프트(22)의 타단에는 상기 와이어(13)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제한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에는 상기 구멍(21a)와 연통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멍(21b)이 뚫려 있으므로 여기에 노크핀(23)이 스프링(24)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그 선단은 상기 로크샤프트(22)에 마련된 끼워맞춤 구멍(22a)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크핀(23)의 기단부에는 와이어(25)의 한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주행차체(1)의 운전좌석(1a)의 근방에 있는 조작레버(2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26)는 양정기구(2) 및 마아크(8)의 출입이 연동 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앙기로써 모심기 작업을 할때, 양정 기구를 통하여 모심기 작업기를 하강시켜 플로우트(5)를 논바닥에 닿게 하여 주행 차체의 주행과 동시에 모심기 작업기(3)를 구동시켜 모심기 작업을 한다. 이때 이앙기는 이랑사이를 적당히 유지하고 또한 기체의 직지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다음번에 주행하는 논바닥에 주행기준선을 표시하면서 주행할 필요가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조작레버(26)를 당기므로서 와이어(25)를 통하여 노크핀(23)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편향되고, 노크핀(23)과 로크샤프트(22)의 끼우맞춤 구멍(22a)의 감합이 해제되어 마아크(8)는 인장스프링(11)에 의하여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측ㅂ아으로 넘어져서 표식부(8e)가 논바닥에 삽입되도록 하여 지표자세가 되며 동시에 와이어(13)가 인장되므로 로크샤프트(22) 및 표식샤프트(19)를 제3도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로크샤프트(22)의 왼쪽단부는 구멍(21a)의 오른쪽의 멈춤부(20)와 표식핀(18)사이의 간격(C)을 메우고 맞닿아 접촉되어 변환 동작의 범위를 제한한다. 그러므로 마아크(8)는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이앙기의 이동과 더불어 표식부(8e)에 의하여 일정깊이의 선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앙기의 다음 이랑의 주행기준선이 된다.
이앙기가 논안에서 선회할때 또는 보통도로를 주행할때 등 비작업시에는 모심기 작업기(3)를 양정기구(2)에 의하여 들어올리는데 이 작업은 제3도에서 유압실린더(17)의 피스톤(17a)을 신장하는 방향 즉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상 하부 링크(2a, 2b)를 모두 링크(14)와의 피봇점을 중심으로 상승시키면 된다. 피스톤이 오른쪽으로 신장되면 표식판(18)에 의하여 멈춤부(20)와 표식샤프트(19)가 당겨지며 이와 동시에 로크샤프트(22) 및 와이어(13)도 당겨지며 마아크(8)는 인장스프링(11)을 인장하도록 제2도의 실선위치 즉 제1도의 2점쇄선위치와 같이 세워지고 모 저장탱크(6)의 아래측에 수납되어 비 지표자세가 된다. 이때, 로크샤프트(22)의 이동에 의하여 끼워맞춤 구멍(22a)과 노크핀(23)이 끼워 맞추어지는 위치로 되면 노크핀(23)은 스피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멍(22a)과감합되어 로크된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마아크(8)는 모심기 작업기(30를 하강시켜 조작레버(26)를 당길때 지표자세가 되며 모심기 작업기를들어올릴 때에는 지표자세로부터 자동적으로 비 지표자세로 수납되어 로크된다. 따라서 선회할때에는 마차크(80는 반드시 비 지표자세로 수납되게 되며 심은 모를 마아크에 의하여 넘어 뜨리는 일이 없으며, 보통의 도로를 주행할 때 기체측방에 뻗어나와 주행의 장해가 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마아크(8) 및 그조작장치를 1조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것을 기체의 양측에 2조 설치하여 어느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해도 무방하고 또한 마아크(8)를 하강시키기 위한 조작장치는 도시된 것외의 같은 기능을 가지는 다른 구조일지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의한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수납장치는 양정기구에 의하여 모심기 작업기를 비 작업위치로 상승시켰을때 지표자세에 있는 마아크를 이 양정기구의 작동과 연동시켜서 상기 상승위치에 맞물려서 지지되도록 연동 구성하고, 이렇게 맞물려 지지된 마아크를 지표자세로 하강시기기 위한 조작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앙기가 선회할때 혹은 도록 주행시등에는, 모심기 작업기는 반드시 비 작업위치로 상승되므로 이 모심기 작업기를 상승시키는 리프트기구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마아크는 자동적으로 비 지표수납되므로 수동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이앙기에 있어서 양정기구(2)를 하강시켜 모심기 작업기(3)를 하강시켰을 경우라도 조작레버(26)는 그대로 유지되고 노크핀(23)과 로크샤프트(22)의 끼워 맞춤구멍(22a)의 감합이 유지되므로 마아크(8)의 비 지표자세로의 유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 과정에서의 모심기가 불필요한 경우에 다음의 주행 기준선이 불필요하므로 마아크(8)의 비 지표자세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모심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심어져 있는 모를 쓰러뜨림 및 마아크가 논두렁과 부딪혀서 손상을 받는 것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모심기 작업기(3)를 양정기구(2)에 의하여 주행차체(1)에 대해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설계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모심기 작업기(3)에 장착된 마아크(8)가 모심기 작업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양정기구(2)와 연동하여 상기 작업기(3)의 상승시는 그 선단부가 논바닥 윗쪽으로 향하는 비지표 자세로 후퇴하고 하강시는 그 선단부가 논바닥으로 향하는 지표자세로 돌출되면서 자동적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KR2019830008462U 1980-02-21 1983-09-30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KR830002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8462U KR830002469Y1 (ko) 1980-02-21 1983-09-30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10A KR830001596A (ko) 1980-02-21 1980-02-21 논 식묘기의 표식수단 자동수납장치
KR2019830008462U KR830002469Y1 (ko) 1980-02-21 1983-09-30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10A Division KR830001596A (ko) 1980-02-21 1980-02-21 논 식묘기의 표식수단 자동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69Y1 true KR830002469Y1 (ko) 1983-12-05

Family

ID=2662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8462U KR830002469Y1 (ko) 1980-02-21 1983-09-30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2469Y1 (ko) 이앙기의 마아크 자동 수납장치
JPS6341852Y2 (ko)
US4363174A (en) Gravity actuated guiding device for farm machines
JPS6237922B2 (ko)
JP2935599B2 (ja) 水田作業機におけるローリング装置
JP3359769B2 (ja) 植付昇降装置におけるセンサーワイヤー端部のガイド構造
JPS5840806Y2 (ja) マ−カ−付田植機
JPH0232006Y2 (ko)
JP2686553B2 (ja) フイルム支柱打込装置
JP3538581B2 (ja) 水田作業車
JPS6123307Y2 (ko)
JP2667660B2 (ja) 一輪歩行型水田作業機
JPS6337770Y2 (ko)
JP4141413B2 (ja) 水田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H0240731Y2 (ko)
JPS6029848Y2 (ja) 湿田作業機
JPH025695Y2 (ko)
JPH0218986Y2 (ko)
JP2537410Y2 (ja) 水田作業車
JPS637Y2 (ko)
JP3751875B2 (ja) 田植機
JPS61187710A (ja) 水田用農作業機の作業機昇降制御装置
JPH024248B2 (ko)
JPH0229851Y2 (ko)
JPS6229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