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46Y1 -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 Google Patents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46Y1
KR830001946Y1 KR2019830006662U KR830006662U KR830001946Y1 KR 830001946 Y1 KR830001946 Y1 KR 830001946Y1 KR 2019830006662 U KR2019830006662 U KR 2019830006662U KR 830006662 U KR830006662 U KR 830006662U KR 830001946 Y1 KR830001946 Y1 KR 830001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otor
present
armature coil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네유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00004139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4696A/ko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6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46Y1/ko

Links

Landscapes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제1도는 종래의 코일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및 본 고안의 코일에 적용하여 얻어지는 도선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코일을 프린트 기판에 취부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코일 제조 방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계락적인 측면도.
본 고안은 프린트 기판등에 취부하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채꼴형 브러쉬레스 직류모터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당한 전기자코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채꼴형 브러쉬레스 직류모터의 전기자로서 예를들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1)이 사용되었었다. 이러한 코일(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으로 권취되어서 가운데구멍(1a)이 형성됨과 동시에, 단말부에는 리드선(1b, 1c)으로서 도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1)을 형성하는 도선 2는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등의 심성(3)의 표면에 에나멜등의 절연피막(4)이 피복되고, 이위에는 접착피막(5)이 피복되어 자체 융착도선으로서 활용되어진다. 부채꼴 브러쉬레스 직류 모터에 있어서는, 종래 이와 같은 코일(1)을 복수게 프린트 기판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리드선(1b 및 1c)을 소정의 회로패턴에 납땜하던지, 또는 리드선(1b 및 1c)을 프린트 기판등에 설치된 단자핀에 감은 후에, 납땜하였었다.
이러한 경우 리드선(1b,1c)을 회로패턴 또는 단자핀에로 잡아다녀서 돌린후에 납땜되는 등의 손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을 현저히 감소시켰었다. 또한 단자핀을 활용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드선(1b 및 1c)을 감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복수개의 코일(1)에서 도출되는 리드선(1b 및 1c)을 잡아 다녀서 감는다는 것은 대단히 큰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모터를 소형화하는 데에 장해가 되어왔다. 또한 여기에서의 리드선(1b 및 1c)의 단선오베선 등이 생기는 경우에, 신뢰성의 면에서 문제가 생겼었다. 또한 더우기, 코일(1)을 자동권선기에서 형성하는 경우에, 제1도에 있어서의 감기 시작하는 측의 리드선(1b)은 코일(1)의 측면(1d)에 접촉하여서 이러한 접촉부분에 의하여 권취하는 것이 엉키기 때문에 코일(1)을 매우 정밀하게 권취하기가 곤란하였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고저 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상술된 부채꼴 형직류브러쉬 테스모터의 전기자코일에 적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본 고안에 의한 코일(6)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드선을 생략하고, 코일(6)의 권취되기 시작 및 종료되는 부분에서 적당한 길이 11의 부분의 절연피막(4) 및 접착피막(5) (제2도 참조)을 벗겨내어서, 심선(3)을 노출하여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심선(3)이 노출되는 부분은 코일(6)의 전극(6a 및 6b)으로서 사용되어 진다. 또한, 이러한 코일(6)은 제1도의 경우와 동일한 형태의 대략 삼각형태이며, 중앙에는 중간구멍(6c)이설치되어 진다.
이러한 코일(6)은 제1도의 코일(1)과 동일하게 자동권선기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한개의 코일(6)의 권회 종료후에, 권회가 종료된 부분의 길이가 약 211의 부분의 절연피막(4) 및 접착피막(5)을 벗기고. 이후에 약 1/ 2의 부분을 절단한다. 그래서 한쪽의 부분을 전극(6b)으로서 하고, 다른 쪽의 부분을 그다음에 권회되는 코일(6)의 전극(6a)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2도와 같은 자기융착도선(2)은 권회중에 알콜등의 용제가 뿌려짐에 의하여, 접착피막(5)이 용해되며, 인접된 도선(2)이 서로 접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3도와 같은 대략의 삼각형의 형태가 보유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코일은 제2도의 도선(2) 이외에 평편한 자기 융착도선 또는 다른 도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된 바에서 얻어지는 코일(6)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7)에 취부 되어진다. 즉,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일(6)을 프린트 기판(7)에 장착하여서 소정의 회로패턴(8 및 9)에 전극(6a 및 6b)을 납땜하여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경우, 기계적인 접합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접착제 및 나사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프린트 기판(7)에 가운데구멍(6c)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돌기를 설치하여서, 이 돌기에 코일(6)을 압입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상에서는 코일(6)이 리드선을 갖지 않으므로서, 종래의 제1도의 코일(1)에 의한 티드선(1b 및 1c)을 잡아다녀 돌리는 단자핀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서, 작업능률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티드선을 잡아다녀서 돌리는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여기에 해당하는 만큼모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티드선의 단선, 오배선 등의 사고를 없앨 수 있으므로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6)을 높은 정밀성으로서 정렬하여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린트 기판(7)에는 코일(6)이외에 코일(6)을 도전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나 구동회로등을 구성하는등 여러종류의 회로부품을 취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이러한 회로 부품으로서 자동장착이가능한공지의 리드레스형 회로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일(6)을 리드레스형 회로부품과 대략 동등한 회로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코일(6)의 취부 및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절연피막을 갖는 도선을 상호 및 밀착하도록 소정회수를 권회하므로서 코일을 형성하며, 이 코일의 한쌍의 전극부분의 상기 절연피복을 벗기므로서 형성하는 모터의 전기자코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코일의 프린트 기판위에 장착 또는 취부하는 공정을 대폭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 시키며, 모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

  1. 절연피막을 갖는 도선을 상호 밀접시켜서 소정회수권회 시킴으로써 대략 3각형의 코일(6)을 형성하고 그코일의 하단위치에서 3각형상의 1변의 단연에 코일의 전극이 되는 단부(6a,6b)를 밀착상태로서 고정시키고 또는 상기 단부의 절연피막을 박리하여 이루어진 모터의 전기자코일.
KR2019830006662U 1980-10-29 1983-07-28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KR830001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662U KR830001946Y1 (ko) 1980-10-29 1983-07-28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39A KR830004696A (ko) 1980-10-29 1980-10-29 모타의 전기자(電氣子)코일
KR2019830006662U KR830001946Y1 (ko) 1980-10-29 1983-07-28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139A Division KR830004696A (ko) 1980-10-29 1980-10-29 모타의 전기자(電氣子)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946Y1 true KR830001946Y1 (ko) 1983-09-27

Family

ID=2662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662U KR830001946Y1 (ko) 1980-10-29 1983-07-28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7637A (en) Coil for electric motor
JPH075928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
KR830001946Y1 (ko) 모터의 전기자(電機子) 코일
JPS642411Y2 (ko)
JP2002118019A (ja) 面実装型巻線部品
JPH0120522B2 (ko)
JP2528326B2 (ja) 回路基板に対するコンデンサの取付方法
JP3275512B2 (ja) プリント基板及び端子
JPH0673868U (ja) 電子部品のケーブル接続構造
RU1820990C (ru) Составна щетка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
JPS62269509A (ja) 遅延線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546082B2 (ja) チップ型コイル
JPH0254618B2 (ko)
KR920008500Y1 (ko) 공심코일
JPS5849655Y2 (ja) ジヤンパ−回路用結合部品
JPH0923629A (ja) 無刷子電動機
JPH0718136Y2 (ja) チップ部品実装用端子
KR200146964Y1 (ko) 회전 헤드드럼의 신호선 고정장치
JP2555927Y2 (ja) はんだ作業補助具
JPH08236363A (ja) 電気回路部品の端子板
JPH0514493Y2 (ko)
JPH0557762U (ja) 金属ベース回路基板と外部リード線との接続装置
JPH0115087Y2 (ko)
JP2001015884A (ja) 実装用電子部品及びそれに用いるアタッチメント端子
JPH05343273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