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86B1 -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86B1
KR830001386B1 KR1019800003641A KR800003641A KR830001386B1 KR 830001386 B1 KR830001386 B1 KR 830001386B1 KR 1019800003641 A KR1019800003641 A KR 1019800003641A KR 800003641 A KR800003641 A KR 800003641A KR 830001386 B1 KR830001386 B1 KR 83000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filter
bag
air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니어 알렌 스타링 존슨
Original Assignee
주니어 알렌 스타링 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어 알렌 스타링 존슨 filed Critical 주니어 알렌 스타링 존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6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for filtering material, e.g. c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제1도는 백형관상 여과기를 여러개 사용한 여과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3도는 확산기튜우브에 여과기백이 장치된 여과기백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5도는 확산공(perforation) 들이 튜우브의 일측단부에서보다 그 반대편단부에 더 넓은 보이드(void)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불균일한 배열로된 지지장치를 겸한확산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제2도의 실예에 따른 여과기백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에서처럼 확산공들이 불균일한 분포로 여과 된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튜우브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개스흐름내로 유입된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가늘고 긴 백형관상 여과기를 사용하는 유형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여과장치는, 여과기백을 개방관상구조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여과기백이 그안에 관상지지플레임 또는 "케이지(cage)"를 위치시켜 여과기 하우징 또는 "백하스"에 장치시켜서된 다수의 관상 여과기백들로 이루어져 있다. 입자를 가진 가스는 여과기하우징으로 향하도록하여 가스가 투과하는 여과기백을 통과하여 흐르며 반면에 입자성물질은 여과되어 여과기백의 외부표면에 있게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여과기백에 포획된 입자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관상여과기백의 배출구 단부로 깨끗한 공기를 역류시키므로 여과기백를 세척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여과장치가 가지는 문제들중 하나는 상기의 세척작동이 여과기백으로부터 입자성물질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여과기백이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되고 난후 이 여과기백들은 점차로 입자성 물질들로 막혀지게 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막힘은 여과장치를 지나는 압력강하를 증가시키고 여과의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어느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기백의 입자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없으므로 여과기백을 자주갈아 주어야만 하는 것도 있다.
또한 여과기백에 포획된 입자성 물질로 인하여 공기흐름을 방해하는 결과가 되는데 이 여과장치는, 여과기백이 점차로 입자성물질에 의하여 막혀지면서도 계속사용할 수 있게하기 위하여 비교적 많은수의 여과기백들로 장치되고 여과기백에 대하여서는 공기흐름의 비교적 낮은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여과기백에 입자성 물질이 있게되면 여과기백에 연삭마모를 일으켜 유효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가 된다. 대표적으로 여과기백은 2년이상의 유효수명을 갖는다. 그러나 입자성물질이 매우높은 연삭의 특성을 가지는 어느피해가 심한 장치에 있어서 여과기백은 수주안으로 마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과장치가 수백개의 여과기백을 가지는데 이 여과기백의 개당가격이 50-100달러이라 가정한다면 여과기백을 계속대체시켜야하는 비용은 매우 비싼 여과장치의 실질가격에 이른다. 종래의 수많은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장치의 사용은 정부의 공기질 표준규격에 의하여 규제되어 유출가스내에 입자성물질의 양을 제한하였다.
1979년 9월 18일자로 출원된 내부에 공기확산기가 장치된 백형여과장치의 미국특허출원 제076,605에 깨끗한 공기를 여과기백내로 주기적으로 역류시켰을 때 여과기백의 효과적인 세척을 하게하는 백형의 여과기가 기술되었다. 상기의 출원중에 있는 출위서에 기술된 바와같이, 속이빈 확산기튜우브는, 여과기백이 개방관상구조로 지탱유지하기 위하여 여과기백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지지케이지는 내부에 장치하였다. 이 확산기튜우브는 여과기백의 배출구단부와 연통하여 있는 일측단부를 가지며 깨끗한 공기가 여과기백의 배출구단부로 향하여 주기적으로 역류될 때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확산하고 분포하기 위하여 내부에 위치된 확산공을 가진다.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깨끗한 공기의 비교적 균일한 분포는 종래의 백형여과기장치에 가능했던 세척 작용보다 매우 효과적인 세척작용을 한다.
상기의 출원중에 있는 출원서의 확산기튜우브는 특히 여과기백을 지지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케이지가 설치된 여과기에 장치하기에 적합하다. 상기의 출원중의 출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깨끗한 공기가 여과기백의 배출구단부로 향하여 주기적으로 역류하여 흐를때 여과기백의 세척작용을 보다 새롭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관상구조로 지지하고 유지시킴은 물론 여과기백을 향하여있는 깨끗한 공기를 주기적으로 역류시켰을 때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확산하고 분포시키기 위한 두가지 작용을 하는 부재를 여과기백내에 장치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늘고 긴 튜우브는 여과기백내에 종으로 연장하여 장치되며, 이 튜우브는 튜우브의 외측부분으로 부터 외부로연장하여 일련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최외각 부분을 형성하고, 그 둘레의 여과기백을 지지하며 그로부터 내부에 위치된 튜우브의 나머지 부분들과는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개방관상구조로 여과기백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튜우브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은 깨끗한 공기가, 튜우브로 향하여 주기적인 역류흐름이 있을 때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공기를 확산하고 분포시키기 위하여 위치된 확산공들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늘고 긴 확산공이 천설된 튜우브는 종래의 여과기백내에 장치될 때 여과기백 지지를 겸한 공기확산 작용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이후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튜우브로 설명될 일련의 외부로 연장한 여과기 최외각부분은,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된 나머지부분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지않고도 개방관상구조로 여과기백을 지지하고 유지시키기위한 튜우브의 최외각부분의 주위에 일정한 간격의 위치마다 방사상의 외부로 돌출한 종으로 연장시킨 핀(fin)을 형성하고 있다. 확산공들은 깨끗한 공기가 튜우브를 향하여 주기적인 역류흐름이 있을 때 여과기 전반에 걸쳐 확산하고 분포시키기위하여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예를 따르면,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는 튜우브의 최외각 주위로 일정한 간격의 위치마다 그 사이에 종으로 연장하여 내부로 위치시킨 골(Eroughs)이라 칭하는 일련의 종으로 연장한 정부(頂部)로 종방향의 주름진 구조로 성형된다. 일련의 종으로 연장한 정부는 주위의 여과기백을 지지하고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된 골들과 실질적인 접촉을 않고도 개방관상구조로 여과기백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며, 이 골들은 깨끗한 공기가 튜우브로 향하여 주기적으로 역류할때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공기를 확산하고 분포시키기위하여 내부에 위치된 확산공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확산공들은 튜우브의 종방향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균일한 보이드영역을 얻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예에서 확산공들은 깨끗한 공기가 튜우브로 향하여 역류되는 튜우브일단부에 인접한 구역에는 비교적 적은 보이드영역을 제공하고 튜우브반대편 단부에 인접하여서는 비교적 넓은 보이드영역을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깨끗한 공기의 역류가 더욱 균일하게 분포되도록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관상여과 기백의 길이와 크기에 따라 좌우되는 몇가지 실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의 확산공이 천설된 벽은, 여과기백내에 사용된 종래 유형이 지지케이지와 비교되는 바와 같이 여과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되며, 이는 정상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가 여과기에 바람직하지 못한 입력강하를 증가시키므로 여과작동에 방해를 받는다고 생각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에 의하여 얻어지는 공기흐름의 방해가 여과작동에는 방해를 하지않으며, 사실에 있어서 여과기백이 더 효과적인 세척 작용을 하므로 여과작동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는 공기흐름의 방해를 거의하지 않으며 신품의 여과기백이 설치되어 첫시동시 어느정도 압력강하가 증가 된다는 것뿐이다. 그러나 여과기백이 작동되기 시작하여 한번이상의 세척주기를 경과한 경우 여과기백에 압력강하는, 여과기백의 매우 효과적인 세척작용의 결과로 종전기술의 여과기장치에서보다 실질적으로 더욱 낮아진다. 이렇게 증가된 세척효율은, 약 2-3배 정도로 여과기전반에 걸쳐 주어진 압력강하에서 용적흐름의 비율의 증가가 일어난다. 이는 여과기백집단의 특정조건을 위하여 소요되는 여과기백의 수가 상당히 감소됨을 의미한다. 또한 여과기백 하우스는, 여과기백이 정상작동중에 막혀져감에 따라 발생하는 세척효율에서의 감소와 증가된 압력강하를 고려에 넣거나 보상하기위하여 더이상 과도한 설계를 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전반적인 최초비용에서의 상당한 절약과 감소된 유지와 작동비용에서도 부수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여과기백의 유효수명이 많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연삭마모로 기인되는 여과기백을 교체하기 위한 빈번한 필요성은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실질적으로 많은 작동비용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루어진 증진된 세척효율은 여과기백을 형성하는 직조물의 연삭마모를 일으키는 여과기백의 확산기공에 남아 있는 입자를 다른 방법으로 제거하는 데 있다. 또한 여과기백 내측에 속이빈 확산공이 천설된 튜우브는, 여과기백의 배출구단부에서 나오는 여과된 공기의 빠른 속도의 흐름으로부터 여과기백의 내측표면을 분리시키거나 격리시키며, 이 공기는 여과기백의 내측표면을 따라 다른 방법으로 흐르며 이 부위에서만 부수적인 마모를 일으킨다. 또한 여과기백전반에 걸쳐 공기의 역류흐름을 확산하고 분포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확산공이 천설된 튜우브는 공기의 집중된 송풍 또는 압력으로 인한 과도한 굴곡으로부터 여과기백을 보호하고 또한 그에 의하여 여과기백의 유효수명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도는 가늘고 긴 백형관상여과기를 사용한 유형의 종래의 여과장치를 도시하였다. 이 여과장치는, 수평벽(11)에 의하여 하단 여과챔버(12)와 상단 여과된 공기플리넘(plenum)(13)으로 분할된 "백하우스"이라 통칭하는 여과기하우스(10)을 포함하고있다. 도면번호(14)로 도시된 다수의 가늘고긴 속이빈 관상여과 기백은, 벽(11)로 이루어진 여과기 개방부를 경유하여 여과된 공기플리넘(13)과 연통한 상단부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여과챔버(12)에 장치된다.
인입도관(15)는 입자를 지닌 가스를 여과챔버(12)로향하게 하여 각각의 여과기백(14)을 통과하여서 이 가스가 투과할 수 있는 여과기백을 통과하여 흐르며 반면에 입자성물질은 여과되어 여과기백의 외부표면에 포획된다. 여과기백(14)의 속이빈 내부를 통과한 이 여과된 가스는 각각의 여과기백의 배출구단부를 통과하여 상단의 여과된 공기챔버(13)으로 가게하였다. 그로부터 여과된 가스는 배출구도관(16)으로 향하여 흐름다. 입자성물질이 여과기백(14)의 외부표면에 쌓여져감에 따라 여과기백을 세척하고 그로부터 충적된 입자성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게되는데 이는 역방향으로 여과기백을 관통하여 깨끗한 공기를 주기적으로 역류시키므로 이루어진다. 실예의 여과장치에 압축정화공기 공급장치(17)로 부터 나오는 깨끗한 공기는 밸브(18)를 순간적으로 개방하므로 압축된 공기도관(19)을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플리넘(13)으로 향하게 되었다. 동시에 밸브(21)은, 적당한 작동기(22) 예를들면 압축공기식 또는 수압식피스톤등에 의하여 고딕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어 배출도관(16)까지 이르는 여과된 공기배출을 막는다. 결국 압축공기는 각각의 여과기백(14)의 배출구단부에 역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여과기백으로 부터 제거된 압자성물질은 여과기하우징(10)의 하단에 충적되어 스크루우컨베이어(23)에 의하여 제거된다.
제1도에 도시된 여과장치에서 사용되는 여과기세척 장치는, 여과된 공기플리넘과 연통된 모든 관상여과기백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동시에 세척되게한 유형의 세척장치이다. 이 여과장치의 이러한 유형을 위한 세척장치의 다른 종래의 유형에서, 압축공기도관들은 각각의 여과기백의 각 배출구 단부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각각의 여과기백으로 향하도록 압축분사시켰다. 세척장치의 또 다른 종래의 유형은 여과기백을 세척하기 위하여 오랜기간동안 압축공기의 역류를 이용하였다. 다음의 설명에 따라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장치의 모든 종래의 유형에 응용될 수 있다.
제2도를 참고하면, 도면번호(30)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튜우브를 나타낸다.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30)은, 개방관상 구조로 여과기백을 지지하고 유지시키고 또한 깨끗한 공기가 여과기백으로 향하여 주기적으로 역류될 때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공기를 확산하고 분포시키도록 작용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30)은 튜우브의 외측부분의 밖으로 연장한 일련의 일정한 간격을 가진 최외각부분들을 가지며 그둘레의 여과기백을 지지하고 그로부터 개방관상구조로 여과기백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제2도-제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예에서, 튜우브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부로 돌출한 최외각부분은,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한 나머지부분(32) 밖으로 돌출한 비교적 좁은 날개깃 모양의 핀(31)로 성형되어 있다. 핀(31)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지며 방사상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31)은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된 부분(32)와 일체식으로 성형되며 핀자체가 꺾어져 접혀진 튜우브의 벽으로 성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급적 각각의 핀(31)의 외측최단변부(邊部)는 원형의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내부로 성형된 원형의 구조상 형성물(33)을 가져 그둘레의 여과기백을 지지케하고 여과기백에 대하여 이부위에서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도시된바와 같이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된 부분(32)는 거기에 형성된 확산공을 가지며, 핀(31)은 확산공이 천설되지 않는다. 제4도에도 시된바와 같이, 핀(31)은 튜우브의 확산공의 천설된 내부로 위치한 부분(32)와 실지로 접촉하지 않는 개방관상구조로 여과기백(14)를 유지하기위하여 같은 크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성형되었다.
정상여과작동을 하는 동안 환산공(34)는 여과된 공기가 여과기백(14)를 통과하여 흐르게하되 튜우브(30)의 속이빈 내측부분으로 흐르며, 그다음 여과된 공기플리넘(13)에 외부로 흐른다. 압축된 깨끗한 공기가 또는 송풍공기가 튜우브(30)의 속이빈 내부로 향하여 역류되어 세척작동을 하는 동안 확산공(34)는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깨끗한 공기의 역흐름을 확산하고 분포시키도록 작용하여 여과기백 모든 부분들이 깨끗한 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세척된다.
제1도의 배열에서 여과된 공기를 위한 배출구로 작용하는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30)의 상단단부에, 튜우브(30)의 내측직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내측직경을 가지는 고리형 단부링(35)가 장치된다. 단부링(35)의 외측크기는 튜우브의 상단단부에 플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핀(31)의 최외측변부(33)밖으로 돌출하여 백하우스의 벽(11)에 튜우브(30)을 고정하였다. 원주의 밴드(36)은 단부링(35)아래 핀(31)을 돌아서 튜우브(30)의 상단부에 장치된다. 튜우브(30)의 하단부는 단부캡(cap)(37)에 의하여 밀봉된다.
지지장치-확산기튜우브(30)은 여과장치가 손상받기쉬운 상태를 견디어낼 수 있도록 어느 적절한 물질로 성형된다.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강 종류의 연성금속의 박판재료는 특히 본 명세서에 특별히 예시된 형성물로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며,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은 여과기백을 제조하는 다른 재료와 다른 방법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를 만드는데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종래기술로 만든 여과기백 배열의 비효과적인 세척에 대한 주된원인중 하나는 깨끗한 공기를 역류시킬 때 이공기의 압축 또는 송품이 여과기의 배출구인 여과기의 내부로 들어가는 인접한 부위에 집중된다는 것이다. 역류된 깨끗한 공기의 효과는 실질적으로 공기배출구 단부로부터 여과기의 하단부에 분산된다. 따라서 여과기의 배출구단부가 깨끗한 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세척되어지는 동안 배출구단부는 실지로 지나치게 세척되며 여과기의 하단부는 본질적으로 세척되지 않은채 남아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여과기백의 전길이는 여과를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했으며 여과기의 효율은 그에 따라 줄어든다.
본 발명의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튜우브(30)은,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 깨끗한 공기를 역류로 압축 또는 송품을 확산하고 분포시키는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여과기백의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세척을하게 하였다. 깨끗한 공기의 압축 또는 송풍을 확산하고 분포시킨 결과로 무게 백분비로써 30% 이상의 압자성물질이 여과기백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하였다. 또한 증진된 세척작용의 결과로 주어진 압력강하 작동중에 여과기백을 통하여 흐르는 공기의 부피는 약 2-3배 정도 증가된다.
종래 기술의 배열로된 여과기배출구 단부에 인접하여 세척공기의 압력의 집중은 또한 이 부위에서의 여과기백의 과도한 굴곡을 일으킨다. 지지장치를 겸한 여과기튜우브(30)을 장치한 결과로 인하여 세척공기의 광범위한 분포는 여과기백의 과도한 굴곡을 피하므로 여과기백의 유효수명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여과기백의 마모에 대하여 지금까지 원인이되어왔던 또 다른 요인은 여과기의 배출구단부에 인접한 여과기의 내측단부를 따라 흐르는 매우빠른 속도의 공기흐름이었다. 여과기백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가 비교적 저속일 때 여과기백 배출구단부에 인접한 여과기백의 내부로 들어가는 공기속도는 여과기백의 전반적인 표면적에 비하여 감소된 단면적의 유량면적때문에 상당히 속도가 빠르게 되었다. 여과기백을 통과하는 공기내에 유입된 먼지입자를 가진 비교적 빠른 속도의 공기는 정상적으로 여과기백의 내측표면을 가로질러 흐르며 이 부위에서의 마모와 연삭을 일으킨다. 여과기백 내측에 장치된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는 높은 속도의 공기로부터 여과기백의 내측표면을 분리하거나 또는 격리시키도록 작용하므로 여과기백의 수명을 증가시키는데 또한 기여한다.
제2도-제4도에 도시된 실예에서, 확산공(34)는 튜우브(30)의 종방향 및 원주의 범위전반에 걸쳐 균일한 크기 및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설되었다. 가급적 확산공(33)의 크기와 간격은 확산기 튜우브가 약 35%부터 50%까지의 보이드영역을 가지도록 하였다. 여과기의 길이 및 직경과 그외 다른 요인들에 좌우되는 몇가지 실예에서 확산공에 의한 보이드영역은 가늘고 긴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30)의 전길이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깨끗한 공기의 역류흐름이 들어가는 장소와 가장 가깝게 튜우브의 단부에 인접한 구역에는 비교적 낮은 보이드영역을 제공하고 튜우브의 반대편단부에 인접한 구역에는 비교적 높은 보이드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보이드영역에서의 변화는 튜우브의 하단부에 깨끗한 공기의 역류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이용되므로 튜우브의 종방향범위 전반에 걸쳐 깨끗한 공기를 역류시킴에 있어 더욱 효과적인 분포를 할 수 있게하였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되어여 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를 도면번호(30')로 나타낸 본 발명의 수정형태에서, 확산기(34)에 의한 보이드영역의 백분율은 튜우브의 종방향크기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확산공의 연속적인 열의 간격을 변화시키므로 이루어진다. 제5도에 브래킷(A-D)는 튜우브(30')가 보이드영역을 구분하는 4개의 확실한 구역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깨끗한 공기가 역류되어 튜우브로 들어가는 장소와 가장 밀접한 최상단구역(A)에 확산공열은 점차적으로 더욱 밀접한 간격을 이룬다. 다음의 구역(B),(C)와 (D)에 확산공열들도 점차적으로 더욱 밀접한 간격을 이룬다. 결론적으로 보이드영역의 백분율은 깨긋한 공기가 역류되어 튜우브로 들어가는 가장 밀접한 최상단구역(A)에서는 배교적낮고, 튜우브 나측단부하단에 인접한 구역(D)에서는 비교적 높다.
제6도와 제7도에 도면번호(40)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2도의 실예에 따라 만들어진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를 나타낸다. 상기의 실예에서,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40)은 튜우브의 타측부분으로 부터 밖으로 연장한 일련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 최외각 부분으로 성형되며 그둘레의 여과기백을 지지하고 개방 관상구조로 여과기백을 유지시키며, 이들의 외부로 연장한 최외각부분은 튜우브의 내부로 위치된 부분들과 실지로 접촉하지 않고도 여과기백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2도의 실예에서,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40)은 종으로 연장한 골(42)가 성형되어 그 사이에 일련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으로 연장한 정부(41)이 위치되므로 종으로 주름잡힌 구조가 되었다. 정부(41)은 골(42)와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여과기백(14)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골(42)에 대하여 같은 높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공(44)는 깨끗한 공기가 튜우브로 역류될 때 여과기백전반에 걸쳐 확산하고 분포시키기 위하여 골(42)에 형성되었다. 상기의 실예에서처럼 가늘고 긴 튜우브는 튜우브의 상단 또는 배출구단부에 고리형 단부링(45)를 가지는데 이 단부링(45) 외측의 범위는 정부(41)의 최외각 변부 밖으로 돌출하여 백하우스의 벽(11)에 튜우브(40)을 장치하도록 플랜지로 성형되었다. 이 원주의 밴드(46)은 단부링(45)아래에 정부(41)을 돌아서 튜우브 상단 단부에 장치되었다. 이 밴드(46)은 튜우브(40)에 여과기백(14)를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작용한다. 튜우브(40)의 하단부(40)은 단부캡(47)에 의하여 밀봉된다.
제8도에 도시되고 도면번호(40')로 나타낸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확산기튜우브의 수정형태는 제5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된 바와 유사하며, 이 튜우브의 확산공(44)도 불균일한 분포 또는 배열을 형성시키되 깨끗한 공기의 역류가 튜우브(구역 A)로 들어가는 장소와 인접한 튜우브의 단부에 비교적 적은보이드 영역을 제공하고 튜우브(구역 D)의 반대편 단부에 인접하여서는 비교적 넓은 보이드영역을 제공하였다. 이 수정형태의 목적과 기능은 제5도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되었으므로 여기에서의 기술은 생략되었다.

Claims (1)

  1.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입자를 가진 가스가 여과기백의 외부로 향하여 여과기백을 완전히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또한 여과기백의 외부에 입자성 물질이 포획되므로 깨끗한 공기를 주기적으로 확산공이 천설된 튜우브로 향하여 역류되게 할때 여과기백 전반에 걸쳐공기를 확산하고 분포시켜 더욱 효과적으로 여과기백을 세척하는 배출구단부로 작용하는 개방단부와 그 내부에 위치된 종으로 연장한 가늘고 긴 모양의 확산공이 천설된 튜우브를 가진 관상여과기백 유형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튜우브가 확산공이 천설된 부분과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하여 거기에 일련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최외각 부분을 가지므로 그 둘레의 여과기 백을 지지하고 또한 튜우브의 확산공이 천설된 부분에 실지로 접촉하지 않고도 개방관상 구조로 여과기 백을 유지시키도록 한 여과기백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가 장치된 백형의 여과장치.
KR1019800003641A 1979-09-26 1980-09-16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KR83000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76,942 US4259095A (en) 1979-09-26 1979-09-26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combination bag support and air diffuser
US76942 1979-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86B1 true KR830001386B1 (ko) 1983-07-21

Family

ID=221351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461A KR830003921A (ko) 1979-09-26 1980-09-16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KR1019800003641A KR830001386B1 (ko) 1979-09-26 1980-09-16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461A KR830003921A (ko) 1979-09-26 1980-09-16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4259095A (ko)
EP (1) EP0026641B1 (ko)
JP (2) JPS5656213A (ko)
KR (2) KR830003921A (ko)
AR (1) AR223730A1 (ko)
AT (1) ATE8209T1 (ko)
AU (1) AU531562B2 (ko)
BR (1) BR8006160A (ko)
CA (1) CA1151082A (ko)
DD (1) DD152918A5 (ko)
DE (1) DE3068445D1 (ko)
DK (1) DK152787C (ko)
ES (1) ES495285A0 (ko)
FI (1) FI75274C (ko)
IL (1) IL60992A (ko)
IN (1) IN153645B (ko)
MX (1) MX7063E (ko)
NO (1) NO151396C (ko)
NZ (1) NZ194870A (ko)
SU (1) SU1367842A3 (ko)
ZA (1) ZA8054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931A (en) * 1982-05-19 1983-08-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eramic fabric filter
JPS59119320U (ja) * 1983-01-28 1984-08-11 ガデリウス株式会社 バグフイルタ−
US4875913A (en) * 1984-05-24 1989-10-24 Filtration Water Filters For Agriculture And Industry, Ltd. Apparatus for cleaning corrugated filter elements
US4543113A (en) * 1984-08-10 1985-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iform minimum-permeability woven fabric, filter, and process therefor
US4756727A (en) * 1985-07-19 1988-07-12 Howeth David Franklin Horizontally mounted cylindrical segmented bore pleated filter system for rotary broom sweepers
US4802983A (en) * 1985-07-19 1989-02-07 Howeth David Franklin Hopper loading directly insertable horizontally mounted cylindrical segmented bore pleated filter system for rotary broom sweepers
JPH0312209A (ja) * 1989-06-08 1991-01-21 Mitsubishi Gas Chem Co Inc 粉塵ガスの濾過方法
FI87540C (fi) * 1989-12-22 1993-01-25 Tampella Oy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atning av gas till partikelfilter
DE9316420U1 (de) * 1993-10-27 1994-02-10 Gore W L & Ass Gmbh Stützkäfig für Glasfaser-Schlauchfilter zur Gasfiltration
US5800580A (en) * 1993-10-27 1998-09-01 Feldt; Klas-Goran Support cage for glass fiber bag filter for gas filtration
DE9409704U1 (de) * 1994-06-16 1994-10-27 Schumann Klaus Sternförmige Filterelemente und deren sternförmige Stützkörper
GB9500743D0 (en) * 1995-01-14 1995-03-08 Foseco Int Filtration
DE19623326A1 (de) * 1996-06-12 1997-12-18 Stephan Spanner Stützkorb für Filterschläuche oder dergleichen
US5951726A (en) * 1997-11-14 1999-09-14 Albany International Corp. Modular filter bag cage
US7150863B2 (en) * 2001-08-30 2006-12-19 Tda Research, Inc.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for fullerene synthesis in flames
US7279137B2 (en) * 2001-08-30 2007-10-09 Tda Research, Inc. Burners and combustion apparatus for carbon nanomaterial production
US6887291B2 (en) * 2001-08-30 2005-05-03 Tda Research, Inc. Filter devices and methods for carbon nanomaterial collection
US6706085B2 (en) * 2002-03-22 2004-03-16 Albany International Corp. Filter bag cage
US7097681B2 (en) * 2003-06-11 2006-08-29 Read Yes Enterprises Co., Ltd. Structure of filtering bag combination
US20070119146A1 (en) * 2005-11-30 2007-05-31 Caterpillar Inc. Retarding and filter cleaning method and system
AT506312B1 (de) * 2008-10-08 2009-08-15 Kappa Arbeitsschutz & Umweltte Filterelement zur reinigung eines mit partikeln beladenen luftstroms sowie damit ausgestattete filtervorrichtung
US8187352B2 (en) * 2009-09-21 2012-05-29 Klaus Schumann Filter
US9221003B2 (en) 2009-09-21 2015-12-29 Klaus Schumann Filter
US8226738B2 (en) * 2010-05-17 2012-07-24 Air-Cure Incorporated Wire filter cage locking mechanism
EP2854984A4 (en) * 2012-05-31 2016-01-27 Advancetex Internat Pty Ltd FILTER CAGE AND FILTER ASSEMBLY FOR TISSUE FILTERS
PL3895781T3 (pl) * 2013-03-04 2023-05-02 Donaldson Company, Inc. Układy filtrujące powietrze i sposoby ich wykorzystania
EP3714960B1 (en) 2013-10-24 2023-07-26 Donaldson Company, Inc. Pleated filter media
EP3286135B1 (en) 2015-04-21 2021-11-2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ssembly and methods
GB2538801B (en) * 2015-05-29 2017-12-20 Pmu Air Oy Filter unit for filtering air
EP3680001B1 (en) 2016-03-02 2023-10-0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element having inner support and method of filtering a fluid
IL257991B (en) * 2018-03-08 2021-09-30 Beth El Zikhron Yaaqov Ind Ltd Air filter with shutter for waste removal
US11717775B2 (en) * 2018-06-13 2023-08-08 Cargill, Incorporated Liquid discharge filter and its use
US11679347B2 (en) * 2018-09-17 2023-06-20 McFarlen Engineering Ltd. Filter support el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00384388A1 (en) * 2019-06-05 2020-12-10 Ceco Environmental Ip Inc. Self-cleaning filter
US20210346824A1 (en) * 2020-04-13 2021-11-11 Evoqua Water Techhnologies LLC Regenerative Media Filtration Apparatus Improveme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6178A (en) * 1960-11-16 1965-09-14 Fmc Corp Diffuser tube
CH467808A (de) * 1963-05-28 1969-01-31 Mueller Hans Verfahren zur Regeneration von Anschwemmitteln aus der Viskose-Filtration
US3291310A (en) * 1964-04-24 1966-12-13 Bowser Inc Filter and porous support core
CH437213A (fr) * 1964-07-01 1967-06-15 Doucet Charles Installation de filtration d'un fluide
JPS443743Y1 (ko) * 1966-06-07 1969-02-12
FR1536888A (fr) * 1967-09-13 1968-08-16 Bougie de filtration flexible
FR2031710A5 (ko) * 1969-02-04 1970-11-20 Comptoir Filtration Cof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03029A (fi) 1981-03-27
DK405180A (da) 1981-03-27
AU6267180A (en) 1981-04-09
IL60992A0 (en) 1980-11-30
MX7063E (es) 1987-04-10
FI75274C (fi) 1988-06-09
JPS607772Y2 (ja) 1985-03-16
DK152787C (da) 1988-09-26
DE3068445D1 (en) 1984-08-09
NO151396B (no) 1984-12-27
IN153645B (ko) 1984-08-04
AR223730A1 (es) 1981-09-15
ES8106091A1 (es) 1981-08-01
NO151396C (no) 1985-04-03
EP0026641A3 (en) 1982-02-03
KR830003921A (ko) 1983-06-30
AU531562B2 (en) 1983-08-25
JPS5656213A (en) 1981-05-18
FI75274B (fi) 1988-02-29
EP0026641B1 (en) 1984-07-04
IL60992A (en) 1985-11-29
EP0026641A2 (en) 1981-04-08
ES495285A0 (es) 1981-08-01
ATE8209T1 (de) 1984-07-15
NO802835L (no) 1981-03-27
JPS58132523U (ja) 1983-09-07
US4259095A (en) 1981-03-31
DD152918A5 (de) 1981-12-16
ZA805470B (en) 1981-10-28
NZ194870A (en) 1983-09-30
CA1151082A (en) 1983-08-02
SU1367842A3 (ru) 1988-01-15
BR8006160A (pt) 1981-04-07
DK152787B (da) 198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386B1 (ko) 여과기백 지지장치를 겸한 공기확산기를 가지고 있는 백형여과장치
KR830001385B1 (ko) 내부에 공기확산기를 장치한 백형여과기를 가지고 있는 여과장치
EP0027038B1 (en) Bag-type filter apparatus
US4324571A (en)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air diffuser having extended bag support
US4336035A (en) Dust collector and filter bags therefor
US3765152A (en) Cleaning of filtering media
US3853509A (en) Bag type filter device
US3726066A (en) Dust collector
US3798878A (en) Filter cleaning apparatus
US4297115A (en) Bag-type filter with air diffuser tubes of helical construction
EP0753333B1 (en) Self-cleaning belt filter and method
GB2048111A (en) Cleaning a gas filter bed
US5030261A (en) Two stage transition input section for dust collectors
US4446112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fluid with particulate solid material
US3835624A (en) Gas treatment apparatus
SU1367843A3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CA1125188A (en) Filtering apparatus
PL194182B1 (pl) Urządzenie do czyszczenia elementów filtracyjnych
FI87540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atning av gas till partikelfilter
SU1139477A1 (ru)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газов
KR820000448B1 (ko)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SU841644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SU7437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JPH04322708A (ja) 濾過機
PL117275B1 (en) Filtering apparatus,in particular pressure-type tank filter,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nik dlja otdelenija tverdykh wehhestv ot zhidkostej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