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448B1 -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448B1
KR820000448B1 KR7901085A KR790001085A KR820000448B1 KR 820000448 B1 KR820000448 B1 KR 820000448B1 KR 7901085 A KR7901085 A KR 7901085A KR 790001085 A KR790001085 A KR 790001085A KR 820000448 B1 KR820000448 B1 KR 82000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bags
support
tube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 샬텐브랜드 유진
Original Assignee
엘돈 에이취. 루더
디 에어 프리히터 컴페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돈 에이취. 루더, 디 에어 프리히터 컴페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엘돈 에이취. 루더
Priority to KR790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일련의 여과 포대(filter bag)들을 가진 포대 여과기(bag filter)의 측면도.
제2도는 여과포대를 위한 “걸림식(snap-in)” 지지케이지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3도는 걸림구조를 형성하는 만곡부를 가진 종단케이지 부재의 확대측면도.
본 발명은 다량의 먼지나 그외의 입자물질을 운반하는 가스를 받아서 이 운반가스가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먼지가 여과장치의 표면에 침적되도록 하는 포대여과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대여과기 장치는 보통 가스가 통과하는 여과포대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이 여과포대는 구멍뚫린 튜브 시이트에 의하여 지지되며, 환상 가로밴드들과 세로봉들로 구성된 원통형 와이어 프레임 또는 “케이지”의 외부 표면상에 직접 장치된다. 이 포대들은 클램프, 밴드 및 조임 스크류들에 의하여 케이지상에 조립되는데, 상기 클램프, 밴드 및 조임스크류들은 최적의 수집 및 정화 효율을 갖는 소정의 공간을 포대들이 가질 때까지 조립되고 독립적으로 조정된다. 여과포대가 수리 또는 교체될때는, 각 여과 포대가 우선 해체되어 옮겨져야 한다. 교체가 끝난 다음에는 여과기 벽으로부터 수집된 먼지 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한 최적의 여과효과 및 최대의 효율이 주어지도록 조정된다.
여러 가지 공지된 기술이 포대여과기의 특수한 지지 방법과 포대여과기를 위한 청소 분사류에 주안점을 두고는 있지만, 모든 공지된 장치들은 신속한 제거 수리 및 교체가 사실상 어려운 영구 또는 반영구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1970년 11월 24일자로 아스트롬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541,764호는 각 여과포대내로 청소공기류가 향하게하는 구멍을 가진 캡을 포함하는 지지물을 보여준다. 각 캡은 확실히 최적의 청소를 위하여 구멍을 중심에 두고 있지만, 분해시에 다수의 나비형 스크류(thumb screw)들의 독립적인 해체를 요하므로, 작업이 늦어지고 비용이 많이 든다.
1974년 3월 26일 포오쉬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98,878호는 튜브시이트에 볼트로 고정되어 해체시에는 몇개의 볼트들을 수동으로 제거해야하는 포대여과기를 위한 수집기-확산기(colllector-diffuser)를 보여준다. 여과기 포대용의 내부지지물은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3,680,285호는 유량 노즐(flow nozzle)이 그안에서 연장하는 방출노즐(dicharge nozzle)로부터 지지되도록하는 장치를 보여준다. 외부 포대지지 케이지는 튜브시이트에 고정된 독립된 칼러로부터 매달린다. 유량 노즐과 포대지지 케이지의 제거는 포대여과기가 수리 또는 교체될 때면 언제나 개별적으로 연속하여, 행해져야하는 두 단계를 가지므로 작업상 다대한 시간을 요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그 주요목적으로서, 튜브형 포대 여과기와 이것과 동심으로 배치된 튜브형 분사흡기기(jet aspirator) 사이에서 소정의 최적 공간을 유지하는 포대 여과기용의 지지케이지 설비를 가진다. 본 발명은 그것이 또한 분사 흡기기를 내부에서 견고하게 동심으로 유지하는 동안 포대 여과기를 위한 최대수의 단단한 지지물을 제공하는 지지케이지를 제안한다. 분사 흡기기용의 지지케이지와 호울더는 구멍뚫린 튜브시이트내에 그 자체를 걸도록되어 있는 스프링 바이어스식 걸쇠를 포함하도록 구부러진 일련의 세로 방향 연장 스트링거(stringer)로부터 형성된다. 케이지의 걸쇠작용은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한개의 단일 방향의 드러스트(thrust)에 의하여 즉시 극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먼지 운반 가스를 위한 입구(12)와 그로부터의 정화 가스 배출을 위한 출구(14)를 가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일련의 구멍(24)들을 가지는 튜브시이트(22)에 의하여 입구실(16) 및 출구실(18)로 분할된다.
튜브시이트의 각 구멍내로 끼워지는 것은 입구실(16)내에 놓이는 폐쇄하단과 튜브시이트(22)의 구멍과 마주보는 개구단을 가지는 다공성 여과포대(26)이다. 가요성 지지링(28)이 묶는 작업에 의해서거나 재봉에 의하여 각 여과기 포대의 개구단에 부착되는데, 이 링은 그 고리형태의 최대범위까지 완전히 도달될때 튜브시이트내의 구멍 주변에 대하여 섬유제의 여과포대를 압박하도록 튜브시이트의 각각의 구멍내에 적절하게 끼워진다.
비교적 정화가 되면 다공성 여과포대(26)가 그것을 통하는 가스에 약간의 저항을 주게될 것이다. 그러나, 불결한 가스 환경에서의 장시간 계속적인 작업후에는, 여과기 벽이 입자물질의 두꺼운 층으로 누적될 것이며 그로 인하여 가스 흐름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여 포대로 하여금 공기를 새도록하여 그 수집효율상 손실을 가져오게 할 것이다.
따라서, 각 여과포대(26)는 압력차에 대하여 그것을 지지하는 횡단링(32)들을 가지는 종단 와이어(30)들로 구성된 지지케이지 골조를 갖추고 있다.
지지케이지의 종단 와이어(30)들은 케이지에 둘려져 있는 횡단링(32)들에 용접되며, 케이지의 바닥을 형성하는 팬(31)의 가장자리에 용접된다. 각 와이어(30)의 상단이 방사상 탄성을 유지하여 링(28)과 서로 걸리게 되는 걸쇠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케이지의 상단에는 횡단링(32)이 없다.
각 와이어(30)의 탄성적인 상단과 협동하는 걸쇠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와이어(30)의 상단은 제1의 방사상 돌출부(34)와 제2의 방사상 돌출부(36)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34) 및 (36)은 그 사이에 새들(saddle)(38)을 형성하는 거리만큼 간격이 져있다. 새들상에는 링(28)이 놓이게 되어 여과포대를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으로 그 각각의 구멍에서 유지하도록 한다. 돌출부(34) 및 (36)은 그것들이 모두 종단 와이어(30)들에서 측면으로 간단하게 구부러진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돌출부(34)는 가장 가까운 횡단링(32)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링(28)이 돌출부(34)와 간섭할 때, 링(28)이 통과하도록 측면으로 눌러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2의 돌출부(36)는 링(28)이 움직일수 없는 단단한 “정지” 부재를 형성한다. 이것은 사실상 종단와이어(30)들이 돌출부(36)으로부터 흡기기관(aspirator tube)(44)까지 내향으로 연장하며 비교적 비가요성인 방사상 요소(42)를 지니기 때문이다. 튜브(44)에 도달하면 각 방사상 지지봉(42)은 튜브(44)의 외주부를 따라서, 배열되며 다른 지지봉(42)들과 함께 튜브(44)를 위한 호울더를 형성하는 축방향 연장리브(46)를 형성하도록 90°로 굽혀진다. 리브(46)들은 결국 일체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하도록 튜브(44)의 측면에 용접된다.
청소 공기로 차 있는 방(18)내에 배치되며 포대(26)들의 바로 위에 놓이는 것은 압축공기 라인(52)이다. 압축 공기라인(52)은 청소 공기가 공급원으로부터 라인(52)으로 흘러서 배출구멍(56)들 밖으로 배출되도록 밸브(58)에 의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공기공급원(54)를 가진다.
구멍(56)은 각 여과포대 조립체의 흡기기(44)와 정렬되는데, 그 사이에는 정렬상의 어떠한 잘못도 포대(26)내의 흡기기(44)의 완전한 동심성에 의하여 보정되기 때문에 배출구멍(56)과 흡기기는 반드시 동심일 필요는 없다.
포대들의 청소가 필요할 때는, 밸브(58)가 열리고 공급원(54)으로부터의 압축공기류가 구멍(56)들로부터 배출되어 흡기기(44)로 들어간다. 흡기기(44)를 통한 압축공기의 배출은 흡기기(44)주위의 포대(26)들내로의 공기류를 증가시켜서, 포대가 급격히 팽창하여 입자물질의 침적물이 표준공정에 따라서 그로부터 떨어져 나온다.
청소공기의 분사시에, 수집된 입자물질이 여과포대(26)의 표면으로부터 입자물질의 수집이 통상의 밸브장치(62)를 통하여 제거되는 곳인 하우징(10)의 바닥으로 자유롭게 낙하한다.
하우징(10)은 제거 가능한 덮개(64)를 갖추고 있는데, 덮개를 제거하면 하우징(10)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특정한 포대(26) 또는 다수의 포대들이 낡고 찢어지거나,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덮개(64)가 제거될 수 있다. 교체될 포대를 단순히 당겨주기만하면 구멍뚫린 튜브시이트내의 걸쇠로 부터 풀려질 것이다. 그리하여 포대는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 같은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운반가스 용입구(12)와 정화가스용출구(14)를 가진 하우징(10)과, 구멍뚫린 튜브시이트(22)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 및 출구는 입구실(16)과 출구실(18)을 형성하며, 다수의 다공성 여과 포대(26)들이 상기 튜브시이트로부터 매어달리며, 상기 여과 포대들의 각각은 입구실내로 연장하는 폐쇄단과 상기 튜브시이트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단을 가지며, 상기 여과 포대들의 각각의 개구단에 부착된 지지링(28)이 상기 튜브시이트의 구멍에 대하여 등심으로 놓이며, 압축청소유체의 공급원(54)를 포함하며, 각 여과포대의 개구단내로 청소유체를 배출하는 노즐장치(52,26)을 포함하는, 가스류로부터 실려온 입자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간격이 진 탄성 부재들의 세로관형 골조와, 노즐 장치를 거치는 관형흡기기(44)를 지니며, 상기 여과포대들의 각각은 상기 노즐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청소유체를 받도록, 상기 골조의 탄성부재들과 접하며 여과포대들의 벽으로부터 먼지 입자들을 최대로 제거하도록 상기 노즐 장치로부터 최대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포대들 내에서 상기 흡기기를 동심으로 지지하여 방사상으로 받쳐주도록 탄성 부재들로부터 방사내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지지물(42)들을 지니며, 각 세로부재의 한끝이 그 사이에 가요성 지지링(28)을 유지하는 새들(38)을 형성하도록 간격이진 제1의 방사상 돌출부(34)와 제2의 방사상 돌출부(36)를 지니는 것에 의하여 특징 있는, 여과포대내의 지지 케이지.
KR7901085A 1979-04-06 1979-04-06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KR82000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85A KR820000448B1 (ko) 1979-04-06 1979-04-06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085A KR820000448B1 (ko) 1979-04-06 1979-04-06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448B1 true KR820000448B1 (ko) 1982-04-03

Family

ID=1921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085A KR820000448B1 (ko) 1979-04-06 1979-04-06 벤츄리 케이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4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4857A (en) 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ter from gas and having reverse flow cleaning means
US3509698A (en) Filter arrangement
US4220459A (en) Filter device with top access to filter bag
EP0027038B1 (en) Bag-type filter apparatus
US4767427A (en) Cartridge filter mounting apparatus
US4955996A (en) Top loading dust collector
US3765152A (en) Cleaning of filtering media
US4259095A (en)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combination bag support and air diffuser
US4306893A (en) Snap-in assembly for bag filter
US3377783A (en) Filter collector
US4324571A (en)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air diffuser having extended bag support
CA1151081A (en)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internal air diffuser
US3513638A (en) Filter
US45780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a dust collector
JP4046381B2 (ja) ガスを除塵するための装置
US4253856A (en) Filter arrangement
US4666472A (en) Dust collector with deflector means
GB2229108A (en) Vibrating sieve filter
US4157901A (en) Filter bag assembly including a venturi-cage assembly
US3204390A (en) Filter
US4789387A (en) Dust collector
GB1582968A (en) Air cleaners
US5176826A (en) Purge construction for a vibrating sieve filter
US4610704A (en) Downflow dust filter
US4306896A (en) Filter bag anchoring arrangement